KR20160075255A -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255A
KR20160075255A KR1020140185012A KR20140185012A KR20160075255A KR 20160075255 A KR20160075255 A KR 20160075255A KR 1020140185012 A KR1020140185012 A KR 1020140185012A KR 20140185012 A KR20140185012 A KR 20140185012A KR 20160075255 A KR20160075255 A KR 20160075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relay
bracket
hous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범
강상욱
김현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주식회사 쏠리드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주식회사 쏠리드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40185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255A/ko
Publication of KR20160075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4Frames or mounting racks for selector switches; Accessories therefor, e.g. frame c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4/00Electricity: conductors and insulators
    • Y10S174/09Pull-out cabinet or drawer with retractabl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계기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브라켓(Bracket)으로서, 바닥면 또는 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중계기를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 이격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커버하여 상기 중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댑터(adapter)를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BRACKET FOR FIXING REPEATER}
본 발명은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계기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어댑터를 중계기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댑터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미관상 유리하고 어댑터 파손의 위험이 적은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계기란 산이나 빌딩 혹은 기타 지형지물로 인한 전파 차단 지역 또는 터널, 지하 주차장과 같이 전파 도달이 어려운 음영지역을 대상으로 기지국의 신호가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를 증폭해 음영지역을 서비스하고, 음영 지역 단말기의 신호가 기지국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중계기는 통신 사업자가 전파 사각 지역에 기지국을 증설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키고 소규모 음영지역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는 성능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댁내의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용 중계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정용 중계기는 교류인 전압을 직류로 변환시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어댑터가 필요하다. 이러한 어댑터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파손의 위험이 높고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어댑터는 중계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계기에 필요한 요소이나 중계기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중계기와 일체로서 취급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4280호(2010. 06. 09 등록)
본 발명은, 중계기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어댑터를 중계기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댑터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미관상 유리하고 어댑터 파손의 위험이 적은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계기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브라켓(bracket)으로서, 바닥면 또는 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중계기를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커버하여 상기 중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댑터(adapter)를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어댑터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통풍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풍구멍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중계기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중계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출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중계기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일측 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어댑터를 중계기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댑터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미관상 유리하고 어댑터 파손의 위험이 적은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의 후면도이다.
도 4는 중계기의 후면도이며, 도 5는 중계기의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10)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1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10)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브라켓(10), 베이스 플레이트(110), 체결구(113), 하우징(150), 통풍구멍(151), 결합구(153), 고정돌기(155), 버튼(154), 결합홈(157)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10)은, 중계기(5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브라켓으로서, 바닥면 또는 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중계기(50)를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 이격시키며,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커버하여 중계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댑터(30)를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50)을 포함하는 포함하여, 어댑터(30)를 중계기(50)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댑터(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댑터(30)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50)는 후술할 브라켓(10)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중계기(50)는 댁내의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가정용 중계기(50)로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와 서비스 안테나(Service antenna)를 구비하는 양 방향 중계기(50)일 수 있다. 기지국 신호는 도너 안테나에 수신되어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되며, 단말기 신호는 서비스 안테나에 수신되어 도너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1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하우징(150)과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건물이나 댁내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50)은 중계기(50)를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커버하여 중계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댑터(30)를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50)은 내부에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어댑터(30)가 수용된다. 하우징(15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커버하며, 체결구(113)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구(113)는 볼트와 너트, 리벳 등과 같이 다수의 물체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3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류 및 변압하여 적정 크기의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중계기(50)로 공급하고, 어댑터(30)의 일단에 플러그가 결합되고 타단에 잭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일단의 플러그는 외부전원의 콘센트에 연결되며 타단의 잭은 중계기(50)에 구비되는 접속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댑터(30)는 브라켓(10)에 수용되어 중계기(50)에 고정 결합되어 중계기와 일체로서 취급될 수 있고, 어댑터(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노출로 인한 어댑터(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10)의 하우징(150)의 외면에는 어댑터(3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통풍구멍(151)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30)는 사용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열이 발생하는데, 하우징(150) 외면에 형성되는 통풍구멍(151)을 통해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어댑터(30)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통풍구멍(151)은 일정한 길이를 가진 슬릿(slit)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50)의 외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풍구멍(151)이 하우징(150)의 절곡면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통풍구멍(151)은 어댑터(30)의 방열을 고려하여 하우징(15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중계기(50)의 후면도이고 도 5는 중계기(50)의 저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10)의 사용 상태도이다.
중계기(50)는 브라켓(10)에 결합되어 벽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중계기(50)는 브라켓(10)의 높이만큼 벽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6은 중계기(50)가 브라켓(10)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브라켓(10)의 높이만큼 중계기(50)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중계기(50)의 후면에서 발생한 열의 방열이 용이하다.
다음으로 중계기(50)와 브라켓(10)의 결합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브라켓(10)의 하우징(150)의 상면에는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는 결합구(153)가 형성되고, 중계기(50)의 후면에는 결합구(153)에 대응하도록 중계기 결합구(53)가 형성되어 중계기(50)가 브라켓(10)의 하우징(15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150)의 상면에는 중계기(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55)가 출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브라켓(10)에 형성된 버튼(154)을 작동하면 고정돌기(155)가 하우징(150) 상면으로 돌출되어 중계기 고정홈(55)에 삽입되어 중계기(50)를 고정시킨다. 버튼(154)의 작동에 의해 고정돌기(155)가 돌출되는 동작은, 버튼(154)이 고정돌기(155)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거하여 고정돌기(155)가 돌출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50)의 상면에는, 중계기(5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57)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157)은 일측 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계기(50)의 후면에는 결합홈(157)에 대응하여 중계기 결합돌기(57)가 형성되고 중계기 결합돌기(57)가 하우징(150)의 결합홈(157)에 삽입된 후 슬라이딩되어 중계기(50)가 브라켓(10)에 고정된다. 이때, 결합홈(157)은 일측 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157)의 면적은 연속적으로 점차 좁아지거나 단차지도록 단속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한편, 중계기(50)는 브라켓(10)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중계기(50)는 브라켓(10)의 높이만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7은 중계기(50)가 브라켓(10)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브라켓(10)의 높이만큼 중계기(5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중계기(50)의 설치 높이가 높아지므로 기지국 신호의 수신에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50)는 저면에 중계기 결합구(53), 중계기 고정홈(55), 중계기 결합돌기(57)가 형성된다. 중계기(50)와 브라켓(10)의 결합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중계기 결합구(53), 중계기 고정홈(55), 중계기 결합돌기(57)의 형성 위치만 상이하고 각 구성의 결합 과정은 앞선 실시예의 결합 과정과 동일하므로 결합 과정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브라켓(Bracket) 30: 어댑터(Adapter)
50: 중계기 53: 중계기 결합구
55: 중계기 고정홈 57: 중계기 결합돌기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3: 체결구
150: 하우징 151: 통풍구멍
153: 결합구 155: 고정돌기
154: 버튼(Button) 157: 결합홈

Claims (6)

  1. 중계기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브라켓(Bracket)으로서,
    바닥면 또는 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중계기를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커버하여 상기 중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댑터(adapter)를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어댑터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통풍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멍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중계기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중계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출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중계기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일측 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KR1020140185012A 2014-12-19 2014-12-19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KR20160075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012A KR20160075255A (ko) 2014-12-19 2014-12-19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012A KR20160075255A (ko) 2014-12-19 2014-12-19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255A true KR20160075255A (ko) 2016-06-29

Family

ID=5636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012A KR20160075255A (ko) 2014-12-19 2014-12-19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52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1613B2 (en) 2019-05-10 2024-01-23 Corning Incorporated Transparent package for window mounted transceiver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80B1 (ko) 2008-05-09 2010-06-16 알파웨이브(주) 댁내형 무선 중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80B1 (ko) 2008-05-09 2010-06-16 알파웨이브(주) 댁내형 무선 중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1613B2 (en) 2019-05-10 2024-01-23 Corning Incorporated Transparent package for window mounted transceiver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5232B2 (en) Encased power receptacle
US20120009820A1 (en) Power data housing
US7067982B2 (en) Deriving power for an external device from a fluorescent light power source
KR20190049805A (ko) 천장 램프의 구조체
CN105531879B (zh) 适用于印刷电路板的电连接器
US20140057490A1 (en) Integrated compression connector
KR102214034B1 (ko)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및 그 설치 방법
CN101208844A (zh) 用于至少一块电气设备的辅助支撑框
KR101655231B1 (ko)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20160075255A (ko)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KR20160071728A (ko)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KR101457154B1 (ko)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200483337Y1 (ko) 고정용 장치
CN109892025B (zh) 侦听机
EP3361568B1 (en) Base station antenna
US10763907B2 (en) Card holder apparatus for installing phone card
US10326234B2 (en) Cable protection kit and radio remote unit including the same
US8905766B2 (en) Grounding system for terminal block
CN110311338B (zh) 一种装配式室内电源供电系统
GB2503526A (en) Remote controlled power socket with integrated control unit
US20190372194A1 (en) Antenna assembly
CN103365381A (zh) 风扇固定装置
CN109413467A (zh) 一种高实用性DVB-T2TVDongle数字电视接收器
JP2010027421A (ja) 配線装置及び配線ダクトシステム
CN210074220U (zh) 一种能互换的电缆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