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104A - 스프레더 - Google Patents

스프레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104A
KR20160075104A KR1020140184654A KR20140184654A KR20160075104A KR 20160075104 A KR20160075104 A KR 20160075104A KR 1020140184654 A KR1020140184654 A KR 1020140184654A KR 20140184654 A KR20140184654 A KR 20140184654A KR 20160075104 A KR20160075104 A KR 20160075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reader
wire
unit block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4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104A/ko
Publication of KR2016007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1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1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 B66C1/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for two or more containers end to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스프레더는 착탈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크레인에 연결된 제1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 와이어 연결부, 상기 제1 와이어 연결부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인양물에 연결된 제2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레더{SPREADER}
본 발명은 스프레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인양하는 크레인에 연결되어 중량물 인양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스프레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국가간 물류의 규모가 커지면서 해로를 통한 수출입 물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10,000 TEU급 이상의 초대형 선박이 등장하고, 컨테이너 터미널의 규모도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을 정도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세계의 선진항만에는 컨테이너를 선적하거나 하역하기 위한 대형 크레인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크레인은 격자 구조의 붐이 있는 박스 거더(box girder)의 전형적인 A-Frame으로, 그 구조는 거더, 레드 탑레그, 탑비임, 다이아고날, 텐션바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계장치로는 크레인 전체를 이동시키는 주행 장치, 트롤리를 붐과 거더상으로 이동시키는 횡행장치, 스프레더와 컨테이너 박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상장치, 배의 입출항시에 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복장치, 트롤리가 횡행시 컨테이너 박스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앤티 스웨이(anti-sway) 장치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한 크레인은 선박과 부두사이로 컨테이너를 선적하고 하역하는 장비이며, 컨테이너 크레인은 정박된 컨테이너선의 흔들림이나 정확한 곳에 위치하지 못한 컨테이너 위치 때문에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기 위한 스프레더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초대형 선박 및 해양플랜트에서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해 스프레더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으로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컨테이너 또는 인양물의 폭에 부합되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프레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는 착탈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크레인에 연결된 제1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 와이어 연결부, 상기 제1 와이어 연결부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인양물에 연결된 제2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결합 부위에 피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외측에서 확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에 볼트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유닛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블록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블록은 양 단부에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지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블록은 양 끝단에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단 및 상기 삽입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과 부합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에는 탭이 삽입되어, 상기 유닛블록과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에 따르면, 스프레더는 유닛블록을 이용하여 중량물의 폭 길이와 같도록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스프레더의 제2 와이어 연결부와 중량물의 연결부위를 수직하게 위치시켜, 인양시 중량물 연결부위의 손상, 샤클의 손상 및 이에 따른 예기치 못한 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와 크레인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와 유닛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와 유닛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와 크레인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프레더(100)는 크레인(미도시)과 중량물(60)사이에 배치된다. 크레인에 연결된 제1 와이어(11,21)는 스프레더(100)의 제1 와이어 연결부(12,22)에 연결되고, 스프레더(100)의 제2 와이어 연결부(14,24)에 연결된 제2 와이어(13,23)는 중량물(60)과 연결된다. 이 제2 와이어(13,23)는 중량물(60)과 수직한 상태로 유지된 채, 중량물(60)은 크레인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스프레더(100)는 지지대(5)와 제1 와이어(11,21)가 연결되는 제1 와이어 연결부(12,22) 및 제2 와이어(13,23)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연결부(14,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서포트(40,42)와 다수의 제1 와이어 연결부(12,22)및 제2 와이어 연결부(14,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구성 사시도에서는 본 실시예의 스프레더(100) 1개를 이용하여 중량물(60)을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냈지만, 스프레더(100)는 중량물(60)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 복수가 이용될 수 있다.
크레인이 스프레더(100) 없이 제1 와이어(11,21)를 중량물(60)에 직접 연결시키는 경우에 중량물(60)이 흔들리고, 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중량물(60)을 제1 와이어(11,21)로 인양하게 된다면, 중량물(60)의 연결부위(65)에는 중량물(60)의 중량에 따른 응력과 제1 와이어에 의한 압축력이 복합적으로 중량물(60) 상단에 직접 작용하여 중량물(60)의 손상이 야기 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1 와이어는 샤클로 중량물(60)과 연결되는데, 인양 중에 샤클이 제1 와이어(11,21) 및 중량물(60)의 연결부위(65)와 엉키게 되는 경우, 중량물(60)의 연결부위(65)를 손상 시킬 수 있고, 이동 중에 샤클이 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고 중량물(60)의 연결부위(65)에 걸린채 힘을 받게 되는 경우에는 샤클과 중량물(60)의 연결부위(65)의 치명적인 손상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예기치 않은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스프레더(100)를 이용하여, 중량물(60)의 폭과 스프레더(100)의 제2 와이어 연결부(14,24)를 수직하게 위치시켜, 제2 와이어(13,23)가 중량물(60)과 수직하게 연결되면 컨터이너가 흔들리거나, 컨테이너가 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중량물(60) 연결부위(65)의 손상 및 샤클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예기치 않은 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스프레더(100)의 지지대(5)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5)는 제1 와이어(11,21)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력과 제2 와이어(13,23)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을 견디는 구조로 설계된다. 따라서, 지지대(5)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조적으로 균일한 단면으로 이루어진 구조일 경우, 지지대(5)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큰 압축 또는 인장력을 견딜 수 있다.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은 중량물(60) 길이의 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의 규격은 정해져 있으며, 20ft 또는 40ft 규격이 무역운송에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의 길이는 10ft 또는 20ft로 제작할 수 있다. 다만, 자주 인양하는 중량물(60)에 따라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의 단면 형상은 다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축하중을 받는 구조물인 경우 균일한 단면이 형성된 경우, 큰 인장 및 압축력을 견딜 수 있어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피팅부(7)를 더 포함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피팅부(7)는 구조물인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 플랜지부(15,25,55) 및 연결공(3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15,25,55)는 제1 프레임(10)및 제2 프레임(20) 외측에서 확장된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이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플랜지부(15,25,55)는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의 원주 방향으로 외측에서 확장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의 원형턱과 같이 형성된다. 플랜지부(15,25,55)에는 볼트(B)와 너트(N)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피팅부(7)에 형성된 플랜지부(15,25,55)의 연결공(30)에 볼트(B)와 너트(N)를 연결한 플랜지 이음으로 상호 연결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연결하기 위해 소켓 이음, 메커니컬 이음 등의 관 이음의 연결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와이어 연결부(12,22)는 지지대(5)의 양측에 배치되고, 지지대(5)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 와이어(11,2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와이어 연결부(12,22)는 패드아이(Pad-eye)일 수 있다. 제1 와이어 연결부(12,22)에는 제1 와이어(11,21)와 연결시키기 위해 샤클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와이어 연결부(14,24)는 지지대(5)의 양측에 배치되고, 지지대(5)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2 와이어(13,23)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와이어 연결부(14,24)는 제1 와이어 연결부(12,22)와 대칭 되도록 설치된다. 크레인이 중량물(60)을 인양하게 될 때 지지대(5)에 설치된 제1 와이어 연결부(12,22)와 제2 와이어 연결부(14,24)는 서로 배치되어, 지지대(5)를 사이에 두고 제1 와이어(11,21) 및 제2 와이어(13,23)는 수직하게 위치한다. 제2 와이어 연결부(14,24)에는 제2 와이어(13,23)와 연결시키기 위해 샤클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어 연결부(12,22)와 제2 와이어 연결부(14,24)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중량물(60)의 중량이 클 경우, 다수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인양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제1 와이어 연결부(12,22)및 제2 와이어 연결부(14,24)를 이용하게 되면, 다수의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샤클이 서로 엉키거나, 와이어 연결부에 설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중량이 큰 중량물(60)의 인양을 쉽게 도모하기 위해 제1 와이어 연결부(12,22) 및 제2 와이어 연결부(14,24)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40,42)는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인 스프레더(100)를 사용하지 않아 보관하게 될 때, 지면에 두게 되면 버팀목이 추가로 더 필요하게 된다. 또한,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경우 지면의 상태에 따른 스프레더(100)의 손상이 예상되고, 스프레더(100)의 보관 위치를 옮기게 될 때면 버팀목 역시 옮겨야 하므로, 인력 및 시간의 손해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스프레더(100)는 지지대(5)의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의 하부에 서포트(40,42)를 더 포함하여,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스프레더(1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스프레더(100)를 이동시킬 경우, 추가적인 부재가 필요가 없어 인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100)와 유닛블록(5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프레더(100)의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사이에 유닛블록(50)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닛블록(50)의 단면 형상은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유닛블록 (50) 단면 역시 원형으로 형성하여,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과 유닛블록(50)의 결합이 균일한 단면의 구조체를 형성하여, 큰 축하중에 견딜 수 있다.
유닛블록(50)은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 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중량물(60)의 길이가 지지대(5)의 길이보다 길 경우, 사용자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사이에 유닛블록(50)을 연결하여 중량물(60)의 길이와 스프레더(100)의 길이를 맞출 수 있다.유닛블록(50)은 1개만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다수가 연결될 수 있다.
유닛블록(50)의 양 단에는 연결부(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는 유닛블록에 형성된 플랜지부(55) 및 연결공(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부(8)는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의 피팅부(7)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의 피팅부(7)가 플랜지부(15,25,55)와 연결공(30)을 형성하여 플랜지 이음으로 연결된 경우, 연결부(8) 역시 플랜지부(15,25,55)와 연결공(30)을 형성하여,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의 피팅부(7)와 플랜지 이음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블록(50)의 양 단부는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와 유닛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및 유닛블록(50)이 상호 연결된 스프레더(100)가 도시된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제2 삽입홈(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닛블록(50)의 양 단부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단(33)을 포함할 수 있다. 유닛블록(50)의 삽입단(33)에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제2 삽입홈(36)과 크기와 위치가 같은 제1 삽입홈(3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닛블록(50)의 제1 삽입홈(34)과,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의 제2 삽입홈(36)이 정렬되고, 여기에 탭(35)이 삽입되면서,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과 유닛블록(50)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홈(34) 및 제2 삽입홈(36)과 탭(35)은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과 유닛블록(50)에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0: 스프레더
5: 지지대 7 : 피팅부
8 : 연결부 10: 제1 프레임
20: 제2 프레임 11, 21: 제1 와이어
13, 23: 제2 와이어 12, 22: 제1 와이어 연결부
14, 24: 제2 와이어 연결부 15, 25, 55: 플랜지부
30: 연결공 33 : 삽입단
34: 제1 삽입홈 35: 탭
36 : 제2 삽입홈 40, 42: 서포트
50: 유닛블록 60: 중량물
B : 볼트 N : 너트

Claims (8)

  1. 착탈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크레인에 연결된 제1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 와이어 연결부;
    상기 제1 와이어 연결부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인양물에 연결된 제2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연결부;
    를 포함하는 스프레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결합 부위에 피팅부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외측에서 확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에 볼트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공이 형성되는 스프레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유닛블록을 더 포함하는 스프레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블록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동일한 스프레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블록은 양 단부에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프레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지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더.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블록은 양 끝단에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단; 및
    상기 삽입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과 부합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에는 탭이 삽입되어, 상기 유닛블록과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고정하는 스프레더.
KR1020140184654A 2014-12-19 2014-12-19 스프레더 KR20160075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654A KR20160075104A (ko) 2014-12-19 2014-12-19 스프레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654A KR20160075104A (ko) 2014-12-19 2014-12-19 스프레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04A true KR20160075104A (ko) 2016-06-29

Family

ID=5636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654A KR20160075104A (ko) 2014-12-19 2014-12-19 스프레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51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320B2 (en) Hoisting device for big loads
US7905528B2 (en) Spreader frame for cargo container
US20070069536A1 (en) Load suppor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coupling for lifting
US201301043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wind turbine tower sections
US5603544A (en) Compression cap assembly for spreader pipe
ZA200300319B (en) Device for handling unit loads.
CA2737988C (en) Methods for positioning a large load into a transport position and for positioning a large load into a storage position, trailer and/or lorry
CA2415410C (en) Device for handling unit loads
US7621410B1 (en) Removable externally mounted bridge crane for shipping containers
KR20060035704A (ko) 길이 가변형 와이어슬링
KR101556393B1 (ko) 조합체 및 대형 물품들의 수송 방법
US8622449B1 (en) Material handling system
JP6401937B2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CN203667798U (zh) 轻型高强度横梁吊具
KR20160075104A (ko) 스프레더
KR101908402B1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US202000021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elongate construction elements
JP3204833U (ja) 吊りピース付きコラム切梁
US10969189B1 (en) Weapon maintenance system
US10466008B2 (en) Weapon maintenance stand
RU2707615C1 (ru) Система рам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US20150052726A1 (en) Safety Appliance for a Downhaul Weight
EP2853512B1 (en) Device to connect a lifting means, such as a crane, to an object that shall be lifted
KR20140003936U (ko) H빔 운반용 지그
KR20120007135U (ko)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