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324A -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324A
KR20160074324A KR1020140183539A KR20140183539A KR20160074324A KR 20160074324 A KR20160074324 A KR 20160074324A KR 1020140183539 A KR1020140183539 A KR 1020140183539A KR 20140183539 A KR20140183539 A KR 20140183539A KR 20160074324 A KR20160074324 A KR 20160074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wiring electrode
transparent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643B1 (ko
Inventor
김정두
강민수
정문섭
모성호
손동학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6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유기발광소자 패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투명 배선 전극층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출원은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는 전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층에 전극을 통해 정공과 전자를 주입하여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여기자를 이룬 후 소명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는 자발광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비해 얇고, 소비전력이 낮으며 우수한 시야각과 높은 응답 속도를 지니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발광소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무기 이엘 패널 디스플레이에 비해 10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여 소비 전력이 낮고 색감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유기발광소자는 휘는 특성이 있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갖는 유기발광소자를 조명 장치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기발광소자가 다양한 형태 또는 용도의 조명 장치에 적용되기 위하여는, 적용하고자 하는 형태 또는 용도에 적합한 설계가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91815호
본 출원은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유기발광소자 패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투명 배선 전극층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투명 기재 및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에 구비된 전도성 패턴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투명 기재 및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에 구비된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패턴은 금속 메쉬 패턴이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 및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 사이에 구비된 전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접착층을 통하여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에 구비되고,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연결부; 및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항하는 반대면과,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이 구비된 영역 이외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기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 및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투명 기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고,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추가의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를 와이어에 의하여 직접 전원 연결부에 연결하지 않고, 투명 배선 전극층을 통하여 전원 연결부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다양한 형태 및 용도의 조명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유리 선반에도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장착할 수 있다.
도 1 및 6 내지 16은 각각 본 출원의 실시상태들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적층구조의 예시의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전도성 패턴을 예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5는 각각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의 절연된 계면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출원의 실시상태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상태는 유기발광소자 패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투명 배선 전극층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이 실시상태에 따르면,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일면에 구비된 투명 배선 전극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가 와이어를 이용하여 전원부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투명 배선 전극층을 통하여 전원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다양한 형태 및 용도의 조명 장치에 장착할 수 있으며, 특히 유리 선반에도 미관을 해침이 없이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장착할 수 있다. 도 1는 상기 실시상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적층 구조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유기발광소자 패널과 투명 배선 전극층의 폭은 동일할 수도 있으나, 도 1과 같이 투명 배선 전극층의 적어도 하나의 폭이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대응하는 폭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발광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은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은 양극,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유닛, 상기 유기발광유닛을 밀봉하는 봉지부 및 상기 유기발광유닛을 외부 전압에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유기발광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부에 금속막이 포함되는 경우, 봉지부와 인쇄회로기판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봉지부 내의 금속막은 인쇄회로기판의 일 요소일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면저항은 0.5 오옴/스퀘어 이하이다.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면저항은 작을수록 전압 강하를 방지하여,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0.05 오옴/스퀘어의 전극층을 사용시 전압 증가가 0.1 V 수준이지만, 면저항이 0.5 오옴/스퀘어로 10배 정도 상승하면 전압도 1 V 수준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면저항 범위의 투명 배선 전극층을 사용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투명 배선 전극층의 존재에 의한 전압 상승이 1V 이하이다. 실제 소자에서 와이어로 직접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예컨대 8.5 V라고 하면, 0.5 오옴/스퀘어의 면저항을 갖는 투명 배선 전극층을 통하여 전류를 인가하면 약 1V 정도 전압 상승이 발생하고, 0.05 오옴/스퀘어의 면저항을 갖는 투명 배선 전극층을 통하여 전압을 인가하면 0.1V 정도 전압 상승이 발생한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투명 기재 및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에 구비된 전도성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기재로는 PET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고, 유리 기판과 같은 투명 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의 형태는 메쉬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메쉬 패턴은 격자 형상의 패턴을 의미하며, 격자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메쉬 패턴은 규칙 패턴 또는 불규칙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메쉬 패턴을 구성하는 각 메쉬의 형태는 다각형 형태 또는 다각형의 선의 굴곡도가 변형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의 굴곡도가 변형되었다는 것은 직선이 지그재그 또는 곡선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변형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다각형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한다. 불규칙 패턴은 메쉬 패턴을 구성하는 폐쇄도형의 형태, 크기, 선간격, 선폭, 선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외 요인에서 규칙성을 갖지 않도록 형성된 패턴을 의미한다. 예컨대, 불규칙 패턴은 보로노이 패턴 또는 델로니 패턴으로서 규칙성이 없는 패턴을 포함한다. 도 2는 전도성 패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전도성 패턴의 재료는 전도성을 나타내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패턴은 금속 메쉬 패턴이다. 금속은 전도성이 높으므로,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낮은 면저항을 도달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메쉬 패턴의 재료로는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구리, 은(silver), 은으로 코팅된 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패턴의 단차가 시인되고, 여기에 다른 층 또는 필름을 부착하면 필름이 헤이즈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패턴의 시인성을 낮추기 위하여, 다시 말하면 투명 배선 전극층의 가시광선 투과도를 높이기 위하여, 또한 필요에 따라 전도성 패턴을 구성하는 재료, 예컨대 금속을 공기중에서의 산화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성 패턴의 공극을 메워주는 투명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화 층 형성을 위한 투명화 공정은 기재 상에 투명 점착제를 라미네이션한 후, 이를 투명 배선 전극층의 전도성 패턴 상에 라미네이션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라미네이션 후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거쳐 전도성 패턴들 사이의 공극을 메워주게 되면 투과도가 상승한다. 투명화층 재료로는 투명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금속과 같은 전도성 패턴 재료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르복실산기가 없거나 적은 점착제를 사용하거나, 점착제에 BTA 등의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은 첫째 상기 기재 상에 전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을 직접 인쇄한 후 건조 또는 소성을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둘째 금속 박막을 상기 기재에 라미네이션한 후 상기 금속 박막을 패터닝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셋째 은염이 코팅된 기재 위에 포토그래프 방식을 이용하여 은 패턴을 형성한 후, 도금을 통하여 원하는 면저항을 얻을 때까지 선의 두께를 높이는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식 중 첫번째인 인쇄법을 사용하는 경우 인쇄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등의 인쇄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오프셋 인쇄는 패턴이 새겨진 요판에 페이스트를 채운 후 블랑킷(blanket)이라고 부르는 실리콘 고무로 1차 전사를 시킨 후, 블랑킷과 유리를 밀착시켜 2차 전사를 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전도성을 띠는 재료 이외에 인쇄 공정이 용이하도록 유기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바인더는 소성 공정에서 휘발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 바인더로는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우즈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계 수지 및 변성 에폭시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은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프릿은 시판품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나, 친환경적인 납성분이 없는 글래스 프릿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사용하는 글래스 프릿의 크기는 평균 구경이 2 마이크로미터 이하이고 최대 구경이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전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에는 용매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카르비톨 아세테이트(Carbitol acetate), 시클로 헥사논(Cyclohexanon), 셀로솔브 아세테이트(Cellosolve Acetate) 및 테르피놀(Terpineol) 등이 있으나, 이들 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이 전도성 재료, 유기 바인더, 글래스 프릿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각 성분의 중량비는 전도성 재료 50 ~ 90 중량%, 유기 바인더 1 ~ 20 중량%, 글래스 프릿 0.1 ~ 10 중량% 및 용매 1 ~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방식 중 두번째 방식인 금속 박막을 기재에 라미네이션한 후 상기 금속 박막을 패터닝하는 방법에서, 금속 박막을 라미네이션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박막을 기재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도 있으며, 기재 상에 진공 증착법을 이용하여 금속 박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금속 박막이 라미네이션된 기재 상에 금속선을 패터닝하는 방식으로는 식각 보호층을 패턴한 후에 보호층 이외에 부분을 식각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식각 보호층은 포토리소그라피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오프셋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패턴의 개구율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전도성 패턴의 개구율은 상기 투명 기재 상의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영역 중 전도성 패턴이 덮지 않은 면적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투명 기재의 전면에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경우, 개구율은 상기 투명 기재 전체 면적 대비 전도성 패턴에 의하여 덮여있지 않은 면적의 백분비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투명 기재의 일부에만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경우, 예컨대 상기 투명 기재의 전체 면적 중 70%에 해당하는 영역에만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경우, 상기 투명 기재의 면적의 70% 대비 상기 투명 기재의 면적의 70% 중 전도성 패턴에 의하여 덮여있지 않은 면적의 백분비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을 구성하는 전도성 라인들의 선폭, 선간 간격(피치), 선고 등은 전술한 개구율이나 전도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도성 라인들의 선폭은 30 마이크로미터 이하, 구체적으로 1 마이크로미터 내지 3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라인들의 선간 간격은 50 마이크로미터 내지 3 밀리미터, 구체적으로 100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라인들의 선고(선의 높이)는 0.2 마이크로미터 내지 30 마이크로미터, 구체적으로 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예컨대 PET 필름 상에 약 1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구리(Cu) 박막을 접착제로 부착한 후, 피치 300 마이크로미터, 선폭 10 마이크로미터의 메쉬 패턴으로 에칭하는 경우 0.08오옴/스퀘어 수준의 면저항을 갖는 투명 배선 전극층을 제조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서, PET 필름 상에 금속막을 수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형성한 후 개구율 70% 이상으로 메쉬 패턴으로 에칭하는 경우 0.3 오옴/스퀘어 수준의 투명 배선 전극층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7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 전압 연결부 및 - 전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전도성 패턴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의 + 전압 연결부 및 - 전원 연결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전도성 접착층도 역시, + 전압 연결부와 제1 전도성 패턴을 연결하고, - 전압 연결부와 제2 전도성 패턴을 연결하되, 제1 전도성 패턴과 제2 전도성 패턴이 단락되지 않도록 분리되어야 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전도성 패턴의 제1 전도성 패턴과 제2 전도성 패턴의 구성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의 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 전압 연결부와 연결된 제1 전도성 패턴과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 전압 연결부에 연결된 제2 전도성 패턴이 적색으로 표시된 선을 경계로 절연(isolation)된 상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1 전도성 패턴과 제2 전도성 패턴의 절연된 계면은, 그 역할을 하는데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도성 패턴과 제2 전도성 패턴은 연속된 패턴을 단선시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패턴이 단선된 간격(도 5의 a)은 상기 제1 전도성 패턴과 제2 전도성 패턴의 최인접 말단간 거리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눈에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패턴이 단선된 간격은 1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포토그래피 법에 의한 에칭에 의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단선된 부분이 후공정, 예컨대 라미네이션 또는 오토클레이브 중에 다시 연결되어 쇼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성과 쇼트 측면에서 최적의 단선 간격이 필요하며, 하나의 단선보다 2개 이상의 단선으로 쇼트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속된 패턴을 단선시킨 형상의 전도성 패턴은, 상기와 같은 형상을 설계한 후, 인쇄법 또는 드라이 에칭이나 ? 에칭 방법을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라피법 등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패터닝 방법을 이용하여 설계된 형상에 따른 전도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격자 형태의 메쉬 패턴을 형성할 때,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을 분리한 패턴도 동시에 형성가능하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 및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 사이에 구비된 전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접착층을 통하여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이 구비된 예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은 투명 배선 전극층과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용도로서, 50-3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연결부가 연결되어 쇼트 발생 위험이 있고, 너무 두꺼우면 투명 배선 전극층과 유기발광소자 패널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서 신뢰성이나 파손 등의 위험이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으로서 전도성 양면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전도성 양면 테이프로는 Tesa 60253, 3M 9722S와 같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투명 배선 전극층이 차폐부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발광소자 패널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측에 대향하는 면이 발광면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연결부로서 전도성 단면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전도성 단면 테이프에만 한정되지 않고, 전도성 양면 테이프를 적용하여 패널의 안쪽으로 말아서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에지부 차폐부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유기발광소자 패널이 상면으로 발광하는 경우 상면 글라스가 파손에 취약할 수 이으나, 본 실시상태에 따른 구조에서는 발광면이 투명 배선 전극층에 의하여 가려지고, 필요에 따라 그 위에 투명 기판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 및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전도성 연결부에 의하여 투명 배선 전극층과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접착층은 전도성일 필요가 없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미도시)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경우, 전도성 연결부, 차폐부 및 접착층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전술한 차폐부는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ID 마킹이나 인쇄 영역을 가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인쇄, 스프레이, 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한 예로서, 투명 배선 전극층의 전도성 패턴 형성시 금속 박막의 일부를 패터닝하지 아니함으로써 차폐부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공정 없이 차폐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구비되어,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으로는 감압접착제층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 재료로는 시판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일반 아크릴 점착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7 및 도 8의 조명 장치에 투명 기판이 접착제층을 이용하여 부착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투명 기판은 유리일 수 있으며, 예컨대 선반 유리일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 사이에 접착제층이 구비된 경우, 상기 차폐부는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접착제층 사이 또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접착제층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투명기판과 접착제층 사이에 차폐부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차폐부는 인쇄, 스프레이, 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항하는 반대면과,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이 구비된 영역 이외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보호층은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예컨대, 유리 선반의 상면에 유기발광소자 패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패널을 보호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보호층의 재료는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보호층으로서,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단차를 맞추는 필름 또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호층을 부착하기 위하여 접착층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 보호층 및 전도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호층을 갖는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기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 및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투명 기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고,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추가의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추가의 유기발광소자 패널 사이에 구비된 전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로서 전도성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기판의 양면에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장착함으로써 양면 발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 및 상기 추가의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하여는 전술한 투명 배선 전극층 및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투명 기판의 양면에 각각 투명 배선 전극층 및 유기발광소자 패널이 접착제층을 이용하여 부착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4에 따르면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구비된 유기발광소자 패널 상에 보호층이 구비된다.
전술한 조명 장치는 다양한 형태 및 용도로 사용되기 위하여, 다른 부품들과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선반에 사용되기 위하여, 상기 조명 장치는 벽 등에 장착되기 위한 선반의 나머지 부품과 결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서, 테이블에 사용되기 위하여, 상기 조명 장치는 3개 이상, 예컨대 4개의 테이블 다리와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하나의 선반에 적용하는 경우, 한 장의 투명 배선 전극층에 여러 개의 패널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패널들이 직렬 연결이 가능하게 패턴을 만들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각각 패널을 2개 및 4개 포함하는 실시상태를 예시하였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적색 선은 제1 전도성 패턴과 제2 전도성 패턴이 절연된 계면을 표시한 것이다.

Claims (32)

  1. 유기발광소자 패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투명 배선 전극층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면저항은 0.5 오옴/스퀘어 이하인 것인 조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존재에 의한 전압 상승이 1V 이하인 것인 조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투명 기재 및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에 구비된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조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은 메쉬 패턴인 것인 조명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은 금속 메쉬 패턴인 것인 조명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의 개구율은 70% 이상인 것인 조명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의 선폭은 1 내지 30 마이크로미터, 피치 100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 선고는 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인 것인 조명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광투과율이 70 % 이상인 것인 조명 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 전압 연결부 및 - 전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전도성 패턴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의 + 전압 연결부 및 - 전원 연결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조명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과 제2 전도성 패턴은 연속된 패턴을 단선시킨 형상을 갖는 것인 조명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과 제2 전도성 패턴의 최인접 말단간 거리는 1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인 조명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에 구비된 것인 조명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 및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 사이에 구비된 전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접착층을 통하여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인 조명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접착층은 전도성 양면 테이프인 것인 조명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명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것인 조명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전원 연결부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조명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전도성 단면 테이프인 것인 조명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 및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조명 장치.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2. 청구항 1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2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조명 장치.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된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조명 장치.
  26. 청구항 1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항하는 반대면과,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이 구비된 영역 이외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투명 기판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투명 기판의 상기 투명 배선 전극층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 및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의 상기 투명 기판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고,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추가의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조명 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에 구비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31.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추가의 투명 배선 전극층과 상기 추가의 유기발광소자 패널 사이에 구비된 전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접착층은 전도성 양면 테이프인 것인 조명 장치.
KR1020140183539A 2014-12-18 2014-12-18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51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539A KR102051643B1 (ko) 2014-12-18 2014-12-18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539A KR102051643B1 (ko) 2014-12-18 2014-12-18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324A true KR20160074324A (ko) 2016-06-28
KR102051643B1 KR102051643B1 (ko) 2020-01-08

Family

ID=5636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539A KR102051643B1 (ko) 2014-12-18 2014-12-18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6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0258A1 (de) * 2016-09-27 2018-04-05 Inuru Gmbh Kontaktierung vo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n
KR20190042978A (ko) * 2017-10-17 2019-04-25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투명표시장치
CN111837237A (zh) * 2018-08-24 2020-10-27 株式会社Lg化学 用于透明发光二极管显示器件的电极基板和包括其的透明发光二极管显示器件
KR20210012856A (ko) * 2019-07-24 2021-02-03 한솔테크닉스(주) 투명 발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815A (ko) 2002-05-28 2003-12-03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가요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영역 조명 광원 및조명기구 고정체를 갖는 조명장치
JP2010192819A (ja) * 2009-02-20 2010-09-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用有機elパネル
KR20110007593A (ko) * 2009-07-16 2011-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4949A (ko) * 2010-05-12 2011-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명용 oled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815A (ko) 2002-05-28 2003-12-03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가요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영역 조명 광원 및조명기구 고정체를 갖는 조명장치
JP2010192819A (ja) * 2009-02-20 2010-09-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用有機elパネル
KR20110007593A (ko) * 2009-07-16 2011-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4949A (ko) * 2010-05-12 2011-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명용 oled 패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0258A1 (de) * 2016-09-27 2018-04-05 Inuru Gmbh Kontaktierung vo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n
KR20190053933A (ko) * 2016-09-27 2019-05-20 이누루 게엠베하 광전자 소자의 접촉
CN110088929A (zh) * 2016-09-27 2019-08-02 伊努鲁有限公司 光电子部件的接触
JP2019536258A (ja) * 2016-09-27 2019-12-12 イヌ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部品同士の接触
US11018301B2 (en) 2016-09-27 2021-05-25 Inuru Gmbh Contacting optoelectronic components
CN110088929B (zh) * 2016-09-27 2022-06-28 伊努鲁有限公司 光电子部件的接触
JP2023039964A (ja) * 2016-09-27 2023-03-22 イヌ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部品同士の接触
KR20190042978A (ko) * 2017-10-17 2019-04-25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투명표시장치
CN111837237A (zh) * 2018-08-24 2020-10-27 株式会社Lg化学 用于透明发光二极管显示器件的电极基板和包括其的透明发光二极管显示器件
KR20210012856A (ko) * 2019-07-24 2021-02-03 한솔테크닉스(주) 투명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643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894B1 (ko) Led 발광 장치의 플래인 구조체
JP6620464B2 (ja) フレキシブル透明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スルー型のled表示装置
KR100902862B1 (ko) 투명 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EP3429315B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92019A (ko) 발광 장치
KR102051643B1 (ko)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130106838A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및 그 제법
EP1947693B1 (en) Plane structure of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JP2017044868A (ja) シースルー型のled表示装置
US1065142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illuminating lamp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8214472A1 (zh) 电路板、包括该电路板的背光模组和显示设备
KR101509089B1 (ko) 칩엘이디를 이용하는 플렉서블 투명보드형 엘이디 전광판 발광모듈
US20050152125A1 (en) El light emitting device
KR20200008778A (ko) Led 투명 전광판용 연성회로기판
KR200233483Y1 (ko) 양면발광기능을 갖는 전계발광 장치
KR20120021901A (ko) 금속 판넬을 가지는 조명장치
KR20180012544A (ko) 고해상도 투명 발광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1810209A (zh) 電致發光轉印式貼紙及可電致發光的轉印標籤
EP2913860B1 (en) Lighting panel
TW201635600A (zh) Led元件用基板、led構裝模組、及使用該等而得之led顯示裝置
CN103151367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333254B1 (ko) 이엘소자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46812B1 (ko) 정전기층 과 접착층을 구비한 이엘램프
WO2016017072A1 (ja) 有機el素子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TWI461104B (zh) 有機電致發光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