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197A -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197A
KR20160074197A KR1020140183208A KR20140183208A KR20160074197A KR 20160074197 A KR20160074197 A KR 20160074197A KR 1020140183208 A KR1020140183208 A KR 1020140183208A KR 20140183208 A KR20140183208 A KR 20140183208A KR 20160074197 A KR20160074197 A KR 20160074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accelerator pedal
opening amount
pedal opening
required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040B1 (ko
Inventor
권기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40183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0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산소센서 및 촉매 불량에 따라 MIL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한 큰 토크 요구가 있더라도 토크 변화량을 줄여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해 배기 가스의 발생이 저감되도록 한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MIL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가속 페달 센서의 센싱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전압이 증가하는 경우 센싱 전압을 이용하여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의 변화가 일정 범위 지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 페달 개도량 제어후, 요구 토크를 설정된 제한 토크값으로 제한하고, 제한된 토크값에 따라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quired torgu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산소센서 및 촉매 불량에 따라 MIL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한 큰 토크 요구가 있더라도 토크 변화량을 줄여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해 배기 가스의 발생이 저감되도록 한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 차량의 성능면(배기가스, 연비, 그리고 동력성능)에서 산소센서에 의한 연료량(공연비) 자동 피드백(Feedback)제어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연료량(공연비) 피드백 시스템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ECU에서 고장을 판정하여 엔진 체크 등 밀 점등(Check Engine Lamp; MIL 온(On))을 규제한다.
그 판정조건을 보면, 우선, 리얼타임(Real Time) 판정에 따른 냉각수온 센서(WTS), 흡기온 센서(ATS), 공기량 센서(AFS), 쓰로틀 포지션 센서(Throttle Position Sensor; 이하 TPS라 함) 등의 센서가 정상이어야 한다.
그리고 실화 모니터링(Monitoring)에 의한 고장판정에 따라 체크엔진 램프(MIL)가 켜져 있지 않고, 고장판정 횟수가 0이어야 한다.(통상 MIL은 고장판정 2회시 점등됨)
그리고 고장판정 방법은, 냉각수온, 흡기온, 엔진 회전수, 및 충진효율을 체크한다.
이어서, 시동 모드 해지 후, 일정시간 경과했는지 판단하고, 냉각수온이 특정온도 이상이고, 흡기온이 일정 기정 범위내에 있는지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단계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엔진 스톨(Engine Stall)(시동꺼짐), 시동, 연료 컷(Fuel Cut), 산소 센서가 아닌지 판단하고, 엔진 회전수가 특정 범위내에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충진 효율(EV%)이 특정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고, 공연비 피드백 제어 판정 개시수온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는 냉각수온이 산소 센서 피드백 제어 판정 개시 수온 이상일 경우 공연비 피드백 제어 시점부터 고장판정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공연비(A/F) 피드백을 시작하는지 판단하고, 공연비 피드백에 의한 연료량 제어 및 연료량 학습을 시작한다. 그리고 엔진 오프(Engine Off)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공연비 피드백 시스템 고장 판정에 의한 MIL 램프를 점등한다. 이는 차량 점검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차량에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산소 센서, 촉매장치 등이 장착되어 있어 공연비 제어 및 배기가스 여과를 통해 배기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ECU는 산소 센서를 통해 공연비를 피드백 제어하여 배기가스를 저감시키며, 배기단에 있는 촉매장치는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 배기가스를 저감시킨다.
만약, 산소 센서의 불량이나 촉매장치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배기가스 최적화를 할 수 없게 되어 MIL 램프를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고 이를 파악한 운전자는 정비소에서 수리를 받게 된다.
그러나, 산소 센서 불량이나 촉매장치의 불량이 발생한 상태이기 때문에 정비소까지 이동중에 많은 유해 배기가스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 차량을 구동하기 위한 목표 공연비가 존재하여 ECU가 이를 제어한다. 대부분의 경우 유해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목표 공연비를 람다값 1을 기준으로 제어하고 있으며, ECU는 산소 센서를 통해 피드백 제어를 하여 람다값 1에 가깝게 조절한다.
만약, 산소 센서가 불량인 경우는 목표 공연비를 람다값 1로 컨트롤할 수 없으며, 촉매 장치가 불량인 경우에는 람다값 1로 제어를 하더라도 배기가스의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산소 센서나 촉매 장치의 불량이 발생한 차량으로 운전자가 급가속을 하게 되는 경우 즉, 순간적으로 큰 토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그만큼의 많은 연료량이 소모가 되어 유해 배기가스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산소센서 및 촉매 장치의 불량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한 큰 토크를 요구하는 경우 즉, 급가속을 하는 경우 운전자의 요구 토크 변화량을 느리게 조절하고 연료 분사량을 줄여 유해 배기가스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산소센서 및 촉매 불량에 따라 MIL 램프 점등된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한 큰 토크 요구가 있더라도 토크 변화량을 줄여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토크 변화량을 줄여 연료 소비를 줄임으로써 주행중 발생되는 유해 배기 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은, MIL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가속 페달 센서의 센싱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전압이 증가하는 경우 센싱 전압을 이용하여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의 변화가 일정 범위 지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 페달 개도량 제어후, 요구 토크를 설정된 제한 토크값으로 제한하고, 제한된 토크값에 따라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을 지연 제어하기 위한 일정 범위는 10% ~ 30%일 수 있다.
상기 MIL 램프의 점등이 산소 센서 에러 또는 촉매장치의 에러에 의한 점등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요구 토크 제한은 람다가 1보다 크게(Rich) 변하는 토크값을 토크 제한값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토크 제한값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요구 토크를 제한한다.
상기 가속 페달 센서의 센싱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전압이 증가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센싱 전압에 대응되는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에 따라 요구 토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는, MIL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가속 페달 센서의 센싱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증가하는 경우 센싱 전압을 이용하여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의 변화가 일정 범위 지연되도록 제어하는 요구토크 변화량 감쇠부; 및 상기 가속 페달 개도량 제어후, 요구 토크를 설정된 제한 토크값으로 제한하고, 제한된 토크값에 따라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요구 토크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을 지연 제어하기 위한 일정 범위는 10% ~ 30%일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MIL 램프의 점등이 산소 센서 에러 또는 촉매장치의 에러에 의한 점등인지를 판단한 후,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의 에러에 의한 점등인 경우 가속 페달 센서의 센싱값을 검출한다.
상기 요구 토크 제한부는, 람다가 1보다 크게(Rich) 변하는 토크값을 토크 제한값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토크 제한값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요구 토크를 제한한다.
상기 요구 토크 변화량 감쇠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가속 페달 센싱 전압이 증가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센싱 전압에 대응되는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에 따라 요구 토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센서 및 촉매 장치의 불량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한 큰 토크를 요구하는 경우 즉, 급가속을 하는 경우 운전자의 요구 변화량을 느리게 조절함으로써, 연료 분사량을 줄여 연료의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료 분사량을 줄여 연료의 소모를 저감시킴으로써 유해 배기가스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는, MIL 램프(100), 산소 센서 에러 검출부(110), 촉매 에러 검출부(120), 가속 페달 센서(130), 제어부(140), 요구 토크 변화량 감쇠부(150) 및 요구 토크 제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MIL 램프(100)는 엔진의 배기 규제를 위반하는 경우, 예를 들면, 배기관에 장착된 산소 센서의 에러, 촉매 장치의 에러 등에 의해 점등된다. 즉, 상기 산소 센서, 촉매장치 등의 에러를 통해 공연비 피드백 시스템 고장 판정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산소 센서 에러 검출부(110)는 배기관에 설치된 산소 센서의 에러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140)로 제공한다.
촉매 장치 에러 검출부(120)는 촉매 장치의 에러 발생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부(140)로 제공한다.
상기에서, 산소 센서의 에러 및 촉매 장치의 에러 검출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구체적인 검출 방법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가속 패달 센서(130)는 운전자에 의해 가속 페달의 개도 여부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검출 전압값을 제어부(140)로 제공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MIL 램프(100)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고, MIL 램프(100)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의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라고 판단하여 가속 페달 센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전압값에 따라 가속 페달 개도량(0 ~ 100%)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 즉, 운전자의 요구 토크에 따라 연료를 분사하여 공연비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MIL 램프(100)의 점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큰 토크를 요구하게 되는 경우 즉, 가속 페달의 개도량이 클 경우에는 페달 개도량에 따라 연료를 농후(Rich)하게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가속 페달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전압값은 대략 0 ~ 5V를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상한, 하한 안전 제한치를 주기 때문에 전압 영역은 더 작게 된다.
한편, 제어부(140)는 상기 MIL 램프(100)가 점등된 것으로 판단되면, 산소 센서 에러 검출부(110)와 촉매 장치 에러 검출부(120)로부터 제공되는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MIL 램프(100)의 점등이 산소 센서의 에러 또는 촉매 장치의 에러에 의해 점등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속 페달 센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전압값에 따라 가속 페달 개도량(0 ~ 100%)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 즉, 운전자의 요구 토크에 따라 연료를 분사하여 공연비를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MIL 램프(100)의 점등이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의 에러에 의해 점등된 경우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가속 페달 센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전압값의 변화를 확인한다. 만약, 센싱 전압의 변화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그 변화량이 완만하게 변화되는 경우에는 가속 페달 센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전압값에 따라 가속 페달 개도량(0 ~ 100%)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 즉, 운전자의 요구 토크에 따라 연료를 분사하여 공연비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MIL 램프(100)의 점등이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의 에러에 의해 점등되고, 가속 페달 센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전압값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지는 경우 즉, 센싱 전압의 변화량이 급격하게 큰 경우 제어부(140)는 가속 페달의 개도량을 일정 시간 지연시켜 그 개도량의 변화가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요구 토크 변화량 감쇠부(150)로 제공한다.
요구 토크 변화량 감쇠부(150)는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가속 페달 센서(130)에서 검출한 센싱 전압값을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을 정상적인 상황보다 일정 범위 지연시켜 조절함으로써 요구 토크 변화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요구 토크 변화량을 줄임으로써 그만큼의 유해 배기가스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속 페달 개도량의 지연 범위는 10% ~ 30% 정도일 수 있다.
정리하면,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 등의 불량으로 인해 MIL 램프(100)가 점등되는 경우, 요구 토크 변화량 감쇠부(150)에 의해 운전자의 요구 토크 변화량을 감쇠시켜 연료 소비를 줄이고 이에 따라 유해 배기가스가 줄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이 가속 페달 개도량의 지연 제어가 이루어진 후, 제어부(140)는 토크값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요구 토크 제한부(160)로 제공한다.
요구 토크 제한부(160)는 제어부(14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가속 페달 개도량의 큰 변화 요구 즉,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농후(Rich)한 공연비 설정 구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해당 설정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운전자의 요구 토크에 의해 농후한 공연비를 설정한 맵으로부터 토크값을 읽어들여 해당 토크값으로 최대 토크값으로 제한한다.
일반적으로는 가속 페달 개도량이 큰 경우(운전자가 큰 토크를 요구하는 경우)운전자의 큰 토크 요구에 부합되도록 연료를 농후하게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왜냐하면, 람다 1보다 농후한 경우가 연비는 좋지 않지만 토크 측면에서는 좋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소 센서 또는 촉매장치의 불량이 경우 상기와 같이 연료를 농후하게 분사한다면 람다 컨트롤이 불가한 상태에서 연료가 더 분사될 수 있으며, 촉매장치에서 유해 배기가스가 여과되지 않기 때문에 농후하게 분사되는 연료의 소비를 막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보통 운전자의 요구 토크와 엔진 회전수의 3차원 맵의 아웃풋으로 농후한 연료가 분사되는데(람다 1을 기준으로 토크와 엔진 회전수가 클수록 1 → 0.9 → 0.8식으로 농후해짐),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의 불량인 경우, 람다가 1보다 농후하게 변하게 되는 토크값을 읽어들여 그 값 이상으로 토크가 올라가지 않도록 토크를 제한 예컨대, 최대 토크가 100%인 상황일 때, 90%부터 운전자 요구 토크에 의한 농후한 연료가 분사된다면 90% 토크 제한치를 설정하여 토크가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제한시킨다면 운전자가 큰 토크를 요구하더라도 람다 1로 제어되는 토크 영역만 사용하기 때문에 농후한 연료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의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MIL 램프가 점등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1).
판단 결과, MIL 램프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의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라 판단하여 가속 페달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전압값에 따라 가속 페달 개도량(0 ~ 100%)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 즉, 운전자의 요구 토크에 따라 연료를 분사하여 공연비를 제어한다(S204). 즉, MIL 램프의 점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큰 토크를 요구하게 되는 경우 즉, 가속 페달의 개도량이 클 경우에는 페달 개도량에 따라 연료를 농후(Rich)하게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가속 페달 센서에서 센싱되는 전압값은 대략 0 ~ 5V를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상한, 하한 안전 제한치를 주기 때문에 전압 영역은 더 작게 된다.
반대로, MIL 램프가 점등된 것으로 판단되면, MIL 램프의 점등이 산소 센서의 에러 또는 촉매 장치의 에러에 의해 점등된 것인지를 판단한다(S202).
판단 결과, MIL 램프의 점등이 산소 센서의 에러 또는 촉매 장치의 에러에 의해 점등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속 페달 센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전압값에 따라 가속 페달 개도량(0 ~ 100%)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 즉, 운전자의 요구 토크에 따라 연료를 분사하여 공연비를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MIL 램프(100)의 점등이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의 에러에 의해 점등된 경우라고 판단되면, 가속 페달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전압값이 증가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203).
판단 결과, 센싱 전압값이 증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가속 페달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전압값에 따라 가속 페달 개도량(0 ~ 100%)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 즉, 운전자의 요구 토크에 따라 연료를 분사하여 공연비를 제어한다(S204).
그러나, 상기 S20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가속 페달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전압값이 증가한다고 판단되면, 즉, 센싱 전압의 변화량이 급격하게 큰 경우 큰 요구 토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가속 페달의 개도량을 일정 시간 지연시켜 그 개도량의 변화가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S205).
즉, 가속 페달 센서에서 검출한 센싱 전압값을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을 정상적인 상황보다 일정 범위 지연시켜 조절함으로써 요구 토크 변화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요구 토크 변화량을 줄임으로써 그만큼의 유해 배기가스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속 페달 개도량의 지연 범위는 10% ~ 30% 정도일 수 있다.
정리하면,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 등의 불량으로 인해 MIL 램프가 점등되는 경우, 운전자의 요구 토크 변화량을 감쇠시켜 연료 소비를 줄이고 이에 따라 유해 배기가스가 줄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S205 단계에서 가속 페달 개도량의 지연 제어가 이루어진 후, 토크값을 제한하게 된다. 즉, 가속 페달 개도량의 큰 변화 요구 즉,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농후(Rich)한 공연비 설정 구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S206).
판단 결과, 해당 설정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운전자의 요구 토크에 의해 농후환 공연비를 설정한 맵으로부터 토크값을 읽어들여 해당 토크값으로 최대 토크값으로 제한한다(S207).
일반적으로는 가속 페달 개도량이 큰 경우(운전자가 큰 토크를 요구하는 경우)운전자의 큰 토크 요구에 부합되도록 연료를 농후하게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왜냐하면, 람다 1보다 농후한 경우가 연비는 좋지 않지만 토크 측면에서는 좋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소 센서 또는 촉매장치의 불량이 경우 상기와 같이 연료를 농후하게 분사한다면 람다 컨트롤이 불가한 상태에서 연료가 더 분사될 수 있으며, 촉매장치에서 유해 배기가스가 여과되지 않기 때문에 농후하게 분사되는 연료의 소비를 막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보통 운전자의 요구 토크와 엔진 회전수의 3차원 맵의 아웃풋으로 농후한 연료가 분사되는데(람다 1을 기준으로 토크와 엔진 회전수가 클수록 1 → 0.9 → 0.8식으로 농후해짐),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의 불량인 경우, 람다가 1보다 농후하게 변하게 되는 토크값을 읽어들여 그 값 이상으로 토크가 올라가지 않도록 토크를 제한 예컨대, 최대 토크가 100%인 상황일 때, 90%부터 운전자 요구 토크에 의한 농후한 연료가 분사된다면 90% 토크 제한치를 설정하여 토크가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제한시킨다면 운전자가 큰 토크를 요구하더라도 람다 1로 제어되는 토크 영역만 사용하기 때문에 농후한 연료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MIL 램프
110 : 산소센서 에러 검출부
120 : 촉매 에러 검출부
130 : 가속 페달 센서
140 : 제어부
150 : 요구 토크 변화량 감쇠부
160 : 요구 토크 제한부

Claims (10)

  1.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에 있어서,
    MIL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가속 페달 센서의 센싱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전압이 증가하는 경우 센싱 전압을 이용하여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의 변화가 일정 범위 지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 페달 개도량 제어후, 요구 토크를 설정된 제한 토크값으로 제한하고, 제한된 토크값에 따라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을 지연 제어하기 위한 일정 범위는 10% ~ 30%인 것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L 램프의 점등이 산소 센서 에러 또는 촉매장치의 에러에 의한 점등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요구 토크 제한은 람다가 1보다 크게(Rich) 변하는 토크값을 토크 제한값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토크 제한값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요구 토크를 제한하는 것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페달 센서의 센싱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전압이 증가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센싱 전압에 대응되는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에 따라 요구 토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
  6.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에 있어서,
    MIL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가속 페달 센서의 센싱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증가하는 경우 센싱 전압을 이용하여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의 변화가 일정 범위 지연되도록 제어하는 요구 토크 변화량 감쇠부; 및
    상기 가속 페달 개도량 제어후, 요구 토크를 설정된 제한 토크값으로 제한하고, 제한된 토크값에 따라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요구 토크 제한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을 지연 제어하기 위한 일정 범위는 10% ~ 30%인 것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MIL 램프의 점등이 산소 센서 에러 또는 촉매장치의 에러에 의한 점등인지를 판단한 후, 산소 센서 또는 촉매 장치의 에러에 의한 점등인 경우 가속 페달 센서의 센싱값을 검출하는 것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토크 제한부는, 람다가 1보다 크게(Rich) 변하는 토크값을 토크 제한값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토크 제한값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요구 토크를 제한하는 것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토크 변화량 감쇠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가속 페달 센싱 전압이 증가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센싱 전압에 대응되는 가속 페달 개도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가속 페달 개도량에 따라 요구 토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방법


KR1020140183208A 2014-12-18 2014-12-18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67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208A KR101672040B1 (ko) 2014-12-18 2014-12-18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208A KR101672040B1 (ko) 2014-12-18 2014-12-18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197A true KR20160074197A (ko) 2016-06-28
KR101672040B1 KR101672040B1 (ko) 2016-11-02

Family

ID=5636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208A KR101672040B1 (ko) 2014-12-18 2014-12-18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0929A (zh) * 2023-01-03 2023-06-0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控制方法、装置、终端以及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0388B (zh) * 2018-11-08 2021-02-2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整车起步所需发动机扭矩的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965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케피코 차량의 토크 제한장치 및 방법
KR101206693B1 (ko) * 2011-10-11 2012-11-29 주식회사 케피코 엑셀 페달 센서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469676B1 (ko) * 2013-10-31 2014-12-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고장표시램프의 점등시 공연비 제어를 통한 배기가스 저감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965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케피코 차량의 토크 제한장치 및 방법
KR101206693B1 (ko) * 2011-10-11 2012-11-29 주식회사 케피코 엑셀 페달 센서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469676B1 (ko) * 2013-10-31 2014-12-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고장표시램프의 점등시 공연비 제어를 통한 배기가스 저감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0929A (zh) * 2023-01-03 2023-06-0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控制方法、装置、终端以及介质
CN116220929B (zh) * 2023-01-03 2024-04-1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控制方法、装置、终端以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040B1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6943C2 (ru) Способ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варианты)
JP6548759B2 (ja) 車載制御装置
JP2009008103A (ja) 自動車駆動ユニットのトルク制御方法及び装置
RU2599685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рециркуляцией отработавшего газ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ециркуляцией отработавшего газа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5299375B2 (ja) 車両の異常診断装置
JP4873378B2 (ja) 吸入空気量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KR101534723B1 (ko) 산소센서의 열화 진단 장치 및 방법
JP2007120334A (ja) 車両駆動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WO2014119151A1 (ja) 可変圧縮比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1201023B (zh) 内燃机的节流阀控制装置
KR101672040B1 (ko) 차량의 요구 토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2126194A (ja) 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2005188309A (ja) スロットル系の異常判定装置
JP2011007145A (ja) 排出ガスセンサのヒータ制御装置
US2012018045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generation process in lnt devices
KR101251090B1 (ko) 퍼지 밸브 열림 고착 시 엔진 스톨 방지 제어 방법 및 장치
US6877471B1 (en) Engine control device
US10006381B2 (en) Diagnostic system and diagnostic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786655B1 (ko) 차량용 연료게이지의 응답성 제어방법 및 장치
JP6423759B2 (ja) 車載制御装置
US201601443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ditions for entry into fuel cut mode
KR102283605B1 (ko) 과도 주행 상황의 검출 및 해석 방법
JP2012229659A (ja) 空燃比センサの診断装置
KR101251760B1 (ko) 엔진 저온 시 급가속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18009512A (ja) 車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