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818A -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818A
KR20160073818A KR1020140182624A KR20140182624A KR20160073818A KR 20160073818 A KR20160073818 A KR 20160073818A KR 1020140182624 A KR1020140182624 A KR 1020140182624A KR 20140182624 A KR20140182624 A KR 20140182624A KR 20160073818 A KR20160073818 A KR 20160073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case
reed switc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454B1 (ko
Inventor
이원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4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33Mountings; Housing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드스위치 조립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용기 및 각 일 측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 타 측은 상기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며, 자화 시 서로 접촉되는 리드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 및 상기 각 리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맞물림되어 통전가능하게 접속되는 터미널을 구비한 와이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용접 작업을 배제하여 센서와 와이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REED SWITCH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센서와 와이어의 연결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식품을 냉동 및/또는 냉장 상태에서 보관하여 신선한 상태를 더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통상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실의 개방 시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등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 및 도어에는 상기 저장실의 개방을 감지하여 저장실의 개방시 상기 조명등이 점등될 수 있게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자석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상기 냉장고 본체에는 상기 리드스위치 조립체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스위치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센서(30) 및 상기 센서(30)와 연결되는 와이어(4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일 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센서(30)가 수용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센서(30)의 지지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센서(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31) 및 일 단은 상기 용기(31)의 내부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어 자기력의 인가 시 서로 접촉되고 타 단은 상기 본체의 양 단부에 노출되는 리드(35)를 구비한다.
상기 리드(35)는 자성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드(35)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리드(35)는 상기 자석의 접근 시 자력에 의해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각 내측 단부가 접촉되고, 상기 자석의 이격 시 자체의 탄성으로 상기 용기(31)의 내부의 단부가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서로 이격 및 분리된다.
상기 리드(35)에는 와이어(40)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리드(35)와 와이어(40)의 경계에는 접합부(45)가 구비된다.
상기 리드(35)와 와이어(40)는 통상 납땜 등의 방법으로 접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리드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센서(30)의 리드(35) 및 와이어(40)는 크기가 매우 작고 가늘어서 용접(납땜) 작업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40)가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당겨질 경우, 상기 리드(35)와 와이어(40)의 접합부(45)가 분리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40)가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당겨질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35)가 상기 용기(31)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두 리드(35)의 단부 사이가 벌어져 자기력의 인가시에도 두 리드(35)의 접촉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40) 및 리드(35)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사용 기간이 경과될 경우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상기 와이어(40) 및/또는 리드(35)의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드스위치 조립체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35)는 상기 자석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와이어(40)와 연결되기 때문에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감지거리가 단축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자석(자기력)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감지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리드(35)를 용기(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킬 경우 상기 케이스(10)의 폭방향 크기가 증가되어 콤팩트한 구성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접 작업을 배제하여 센서와 와이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당김에 기인한 와이어와 센서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에 의한 리드 및 와이어의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거리를 줄이지 아니하고 케이스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용기 및 각 일 측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 타 측은 상기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며, 자화 시 상기 용기의 내부의 단부가 서로 접촉되는 리드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 및 상기 각 리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맞물림되어 통전가능하게 접속되는 터미널을 구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방향에 대해 맞물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리드가 삽입되는 리드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드삽입부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방향에 대해 상기 돌출부의 후방에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는 상기 리드삽입부에 미리 설정된 죔새를 가지고 압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삽입부의 입구에는 상기 리드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리드는 절곡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리드의 각 절곡단부가 삽입되는 절곡단부삽입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절곡단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절곡단부안내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피복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와이어가 인출될 수 있게 와이어인출공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및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바디 및 커버의 접촉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리브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및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편; 및 상기 바디 및 커버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걸림편과 맞물림되어 상기 바디 및 커버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은 자체의 탄성력으로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편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방수물질로 상기 터미널과 상기 리드의 둘레에 형성되는 방수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장고 본체 및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및 상기 도어의 닫힘 시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할 수 있게 상기 냉장고 본체 및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리드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와 와이어의 터미널이 상호 맞물림 결합되게 함으로써, 용접 작업을 배제하여 센서와 와이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과 케이스가 맞물림되게 하여 와이어의 당김력이 와이어와 센서의 연결부위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당김에 기인한 와이어와 센서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드 및 와이어의 도체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리드 및 와이어의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센서의 리드가 절곡 단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감지거리를 줄이지 아니하고 케이스의 폭방향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센서의 절곡단부 를 안내하는 절곡단부안내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케이스 및 센서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은 센서 리드 및 터미널이 상호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리드와 터미널의 접촉 불량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리드스위치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리드스위치 조립체의 와이어 인장에 의한 리드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스위치 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스위치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와이어의 확대도,
도 8은 도 4의 커버의 분리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와이어 및 센서의 평면도,
도 10은 도 4의 바디의 평면도,
도 11은 도 4의 커버의 사시도,
도 12는 도 4의 ⅩⅡ-Ⅹ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3의 냉장고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스위치 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는, 저장실(12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110), 상기 저장실(120)을 개폐하는 도어(140), 상기 냉장고 본체(110) 및 상기 도어(14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석(150) 및 상기 도어(140)의 닫힘 시 상기 자석(150)의 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할 수 있게 상기 냉장고 본체(110) 및 도어(14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16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0)은, 예를 들면,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냉동실(1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0)은, 예를 들면,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는 냉장실(131)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장고 본체(110)가 상측에 냉동실(121)이 구비되고 하측에 냉장실(131)이 구비된 소위 탑 마운트 냉장고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바텀 프리저 냉장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 등 다른 타입의 냉장고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어(140)는, 상기 냉동실(121)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140)는, 상기 냉장실(131)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0)의 개구의 테두리에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스위치 조립체(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위치 조립체(160)는, 예를 들면, 상기 저장실(120)의 개구의 상부 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위치 조립체(160)는 상기 냉동실(121) 및 냉장실(131)의 각 개구의 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리드스위치 조립체(160)가 상기 냉동실(121)의 개구 테두리에 구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리드스위치 조립체(160)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내부에 매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40)에는 자석(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40)에는 자석(150)이 삽입되는 자석삽입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141)에는 닫힘 시 상기 리드스위치 조립체(160)와 대면할 수 있게 자석(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150)은, 예를 들면, 영구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자석(150)은, 예를 들면, 상기 냉동실도어(141)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150)은, 예를 들면, 상기 냉동실도어(141)의 내부에 매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스위치 조립체(160)는,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70); 용기(231) 및 각 일 측은 상기 용기(231)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 타 측은 상기 용기(231)의 외부로 인출되며, 자화 시 상기 용기(231)의 내부 단부가 서로 접촉되는 리드(233)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17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230); 및 상기 각 리드(233)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맞물림되어 통전가능하게 접속되는 터미널(260)을 구비한 와이어(2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리드스위치 조립체(160)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실제 크기 보다 크게 확대된 상태를 도시(예를 들면, 3배 내지 4배 크기로 확대 도시됨)하고 있으며, 실제는 도면에 도시된 크기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7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 또는 바디(171)(이하, '바디(171)'로 표기함) 및 상기 바디(171)를 개폐하는 제2케이스 또는 커버(210)(이하, '커버(210)'로 표기함)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230)는, 예를 들면, 용기(231) 및 일 단부는 상기 용기(231)의 내부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고 타 단부는 상기 용기(231)의 양 단부에 각각 돌출되는 리드(23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231)는, 예를 들면, 유리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231)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231)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불활성 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리드(233)는, 예를 들면,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233)는, 예를 들면, 통전 가능한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233)는, 예를 들면, 상기 용기(231)의 내부에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231)의 외부는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원형 막대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리드(233)는, 예를 들면, 상기 리드(233)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절곡된 절곡단부(235)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절곡단부(235)는 상기 바디(171)의 두께방향(도면상 하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있다.
상기 각 절곡단부(235)는 상기 자석(150)과의 거리는 동일하게 유지하므로 자기력에 감응할 수 있는 감지거리는 단축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유지되며, 상기 용기(231)의 길이방향을 따른 길이는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센서(230)의 감지거리는 유지하면서 센서(230)의 전체 길이(상기 케이스(170)의 좌우방향을 따른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좌우방향을 따른 상기 케이스(170)의 폭(W)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250)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 가능한 도체(251), 상기 도체(251)를 감싸는 피복부재(252) 및 상기 도체(251)와 연결되는 터미널(26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체(251)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직경의 다수의 와이어(에나멜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와이어(250)의 도체(251)의 일 단부는 상기 센서(230)의 리드(233)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각 와이어(250)의 도체(251)의 각 타 단부는, 예를 들면, 제어부(28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리드(233)의 접촉시 상기 제어부(280)에 접촉신호(예를 들면, 도어의 닫힘 감지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피복부재(252)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절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260)은, 예를 들면, 상기 도체(251)에 결합되는 결합편(261), 상기 센서(230)의 리드(2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편(265) 및 상기 결합편(261)과 상기 접속편(265)을 연결하는 연결편(263)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261)은, 예를 들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261)의 일 측은, 예를 들면, 상기 도체(251)의 둘레를 감싸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도체(251)의 단부를 감싸 소성 변형됨으로써 물리적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261)의 타 측은, 예를 들면, 상기 피복부재(252)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편(265)은, 예를 들면, 상기 도체(251) 또는 피복부재(252)의 외폭에 비해 확장되어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6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편(265)은, 예를 들면, 상기 도체 또는 피복부재(252)의 양 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속편(265)의 상기 케이스(170)의 내부 수용시 상기 접속편(265)의 양 측이 상기 케이스(170)에 삽입 및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접속편(265)에는, 예를 들면, 상기 센서(230)의 리드(233)가 삽입될 수 있게 리드삽입부(2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삽입부(267)는, 예를 들면, 상기 접속편(265)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170) 및 리드(233)와 결합 시 두 리드삽입부(267) 중 어느 하나와 리드(233)를 결합하면 되므로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리드삽입부(267)는 상기 센서(230)의 리드(233)의 외경(외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삽입부(267)에는 상기 리드(233)가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리드(233)와 상기 리드삽입부(267)의 상호 접촉영역의 공극을 줄여 상기 센서(230)와 상기 접속편(265)의 접속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리드(233)와 상기 접속편(265)은 실제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리드삽입부(267)의 내폭이 상기 리드(233)의 외폭에 비해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센서(230)의 리드(233)와 상기 접속편(265)의 접촉면적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여 접속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상기 리드(233)와 리드삽입부(267)는 서로 압입되게 구성됨으로써 접속불량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리드삽입부(267)의 입구에는, 예를 들면, 상기 리드(233)를 안내할 수 있게 안내경사부(26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경사부(268)는, 예를 들면, 상기 리드삽입부(267)에 비해 외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내폭이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편(265)은,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170) 및 커버(210)의 결합 시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부(26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269)는,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의 돌출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외폭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편(265)은, 예를 들면, 비드(2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입 시 상기 접속편(26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233)와 상기 접속편(265)의 둘레에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공기 중의 습기)과 접촉이 억제될 수 있게 방수처리부(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수처리부(270)는,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수처리부(270)는, 상기 리드(233)와 상기 터미널(260)의 접속 후 상기 리드(233)와 터미널(260)의 둘레에 실리콘을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전체인 상기 리드(233)와 접속편(265)이 공기 중의 수분과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리드(233) 및 접속편(265)의 부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방수처리부(270)는,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17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얇은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70)의 바디(171)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부(172)와, 상기 전면판부(172)와 대향 배치되는 후면지지부(173) 및 상기 전면판부(172) 및 후면지지부(173)의 양 측에 구비되는 측면지지부(17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양 측면지지부(174)는, 예를 들면, 일 단부는 바디(171)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바디(171)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지지부(173)의 내측에는 빈공간(19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지지부(173)의 내측에는 관통부(19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170)가 삽입 결합될 수 있게 리드스위치결합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예를 들면, 상기 리드스위치결합부(127)에 삽입 결합 시, 상기 양 측면지지부(174)는 상기 리드스위치결합부(127)의 양 측부에 탄성적으로 접촉지지되고, 상기 후면지지부(173)는 상기 리드스위치결합부(127)의 후면에 접촉지지되고, 상기 전면판부(172)는 상기 리드스위치결합부(127)의 전면 개구를 차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171)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센서(230)가 수용되는 센서수용부(1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수용부(175)는, 예를 들면, 상기 용기(231)가 수용되는 용기수용부(176) 및 상기 리드(233)가 수용되는 리드수용부(17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기수용부(176)의 일 측(도면상 후방 단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커버(210)결합리브(191) 상기 바디(171)와 상기 커버(210)의 상호 접촉영역의 배후에 배치되는 결합리브(19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91)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수용부(176)의 후방측 변 및 양 측부의 일 부에 구비되어 대략 'U'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91)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71)와 커버(210)의 결합 시 상기 커버(210)의 용기수용부(176)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바디(171)와 커버(210)의 결합면의 내측(배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바디(171)와 커버(210)의 결합이 공고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191)는 상기 바디(171)와 커버(210)의 상호 접촉영역의 배후(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171)와 커버(210)의 틈새를 차단하여 내부로 이물질 및/또는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수용부(176)의 양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와이어(250)의 터미널(260)이 수용되는 터미널수용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터미널수용부(180)는, 예를 들면, 상기 접속편(25)이 수용되는 접속편수용부(182)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접속편수용부(182)는 상기 터미널수용부(180)에 비해 두께방향을 따라 더 깊이 함몰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각 접속편수용부(182)의 후방측 단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접속편(265)의 돌출부(266)와 접촉되는 걸림턱(18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250)의 외측(실제로는 상기 케이스(170)의 후방측)으로 당김 시 상기 와이어(250)의 인장방향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266)와 상기 걸림턱(184)이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와이어(25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상기 터미널(260)과 상기 리드(233)의 접속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와이어(250)의 당김에 기인한 상기 센서(230)와 와이어(250)의 분리(이탈)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어(250)의 당김에 기인하여 상기 리드(233)가 상기 용기(231)에 대하여 외측으로 상대이동되어 상기 리드(233)들의 내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이에 기인하여 자기력이 작용하여도 두 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못하게 되는 작동 불량이 발생될 염려가 없다.
상기 바디(171)의 터미널수용부(180)의 일 측(도면상 후방 단부)에는 상기 와이어(250)가 인출될 수 있게 와이어인출공(186)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리드수용부(178)는 상기 용기수용부(176)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리드수용부(178)는 상기 절곡단부(235)가 각각 삽입될 수 있게 상기 바디(171)의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절곡단부삽입부(187)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단부삽입부(187)는, 예를 들면, 상기 접속편수용부(182)에 비해 두께방향을 따라 더 깊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리드수용부(178)는 상기 절곡단부(235)를 안내하는 절곡단부안내부(188)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부연하면, 본 실시예의 센서(230)의 리드(233) 및 절곡단부삽입부(187)는 실제 그 크기가 매우 작고, 상기 절곡단부삽입부(187)는 상기 바디(171)의 내부에 두께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깊은 위치에 형성되지만, 상기 절곡단부안내부(188)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상기 절곡단부(235)가 상기 절곡단부삽입부(187)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각 리드수용부(178)는, 예를 들면, 상기 바디(171)의 상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하향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단부안내부(188)는, 예를 들면, 상기 바디(17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절곡단부삽입부(187)를 향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10)는, 예를 들면, 상기 바디(171)와 두께방향으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10)는, 예를 들면, 상기 용기(231)가 수용되는 용기수용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기수용부(212)의 양 측에는, 예를 들면, 터미널수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터미널수용부(213)는 상기 터미널(260)의 접속편(265)이 각각 수용되는 접속편수용부(214)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210)의 접속편수용부(214)의 후방측 단부에는 상기 터미널(260)의 돌출부(266)와 접촉되는 걸림턱(2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250)의 외측으로 당김 시 상기 터미널(260)의 돌출부와 접촉됨으로써 당김방향에 대해 상기 돌출부와 상기 걸림턱이 상호 맞물림으로써, 상기 와이어(250)의 당김력이 상기 터미널(260)과 리드(233)의 접속부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260)은 일 측(도면상 하측)은 상기 바디(171)의 걸림턱과 돌출부가 맞물림되고 타 측(도면상 상측)은 상기 커버(210)의 걸림턱과 돌출부가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와이어(250)의 당김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와이어(250)의 당김력이 상기 터미널(260)과 리드(233)의 접속부위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171)와 상기 커버(210)는 맞물림결합부(192)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결합부(192)는, 예를 들면, 상기 바디(171) 및 상기 커버(210)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편(218) 및 상기 바디(171) 및 커버(210)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걸림편(218)과 맞물림되어 상기 바디(171) 및 커버(210)를 고정시키는 고정편(193)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218)은,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218)은, 예를 들면, 상기 커버(21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218)은, 예를 들면,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218)은, 예를 들면, 자체의 탄성력으로 외측으로 벌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218)은, 예를 들면, 상기 고정편(193)이 수용될 수 있게 고정편수용부(2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수용부(219)는, 예를 들면, 상기 걸림편(218)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93)은, 예들 들면, 상기 바디(17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93)은, 예를 들면, 경사면(195)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93)의 경사면(195)은, 예를 들면, 상기 바디(171)의 두께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향할수록 외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예를 들면, 저장실(120)의 개방을 감지하여 저장실(120)의 내부가 조명되게 제어하는 제어부(2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에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12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게 리드스위치 조립체(16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저장실(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등(125)이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등(125)은, 예를 들면, 상기 냉동실(121) 및 냉장실(131)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70)의 내부에 상기 센서(230)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센서(230)의 절곡단부(235)가 하측을 향하게 하여 상기 바디(17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230)는 상기 절곡단부(235)를 상기 절곡단부안내부(188)의 입구에 대고 하측으로 가압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센서(230)의 절곡단부(235)는 상기 절곡단부안내부(188)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절곡단부삽입부(187)의 내부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와이어(250)의 터미널(260)은 상기 바디(171)의 양 측 터미널수용부(180)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두 터미널(260)을 동시에 해당 터미널수용부(180)에 삽입하기 위해 지그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각 터미널(260)의 접속편(265)이 해당 접속편수용부(182)에 각각 삽입되면 상기 각 터미널(260)의 리드삽입부(267)의 내부에 상기 센서(230)의 리드(233)가 상대이동되어 각각 압입될 수 있다.
상기 각 와이어(250)는 상기 와이어인출공(186,216)을 통해 외부로 각각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260)과 리드(233)의 접속 후 상기 리드(233)와 접속편(265)의 외곽에는 방수처리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처리부(270) 형성 후 상기 바디(171)에 커버(2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10)의 걸림편(218)을 상기 바디(171)의 양 측에 대고 상기 바디(171)와 커버(210)는 서로 접근되게 가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커버(210)의 걸림편(218)은 상기 고정편(193)의 경사면(195)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171)와 커버(21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편(218)은 자체의 탄성력으로 내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각 고정편(193)은 상기 걸림편(218)의 고정편수용부(219)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편(193)과 맞물림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커버(210)와 상기 바디(171)가 서로 불시에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250)는 상기 제어부(28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위치 조립체(160)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리드스위치결합부(127)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40)(냉동실도어(141))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자석(150)은 상기 리드스위치 조립체(160)에 접근될 수 있다.
상기 리드(233)는 상기 자석(150)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용기(231)의 내측의 단부가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80)에 상기 냉동실도어(141)의 닫힘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냉동실도어(141)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냉동실(121)의 조명등이 소등(OFF)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141)가 개방되면 상기 센서(230)의 리드(233)의 용기(231)의 내측에 배치된 단부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냉동실도어(141)의 개방을 감지하고, 상기 냉동실(121)의 내부의 조명등이 점등(ON)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냉장고 본체 120 : 저장실
121 : 냉동실 125 : 조명등
127 : 리드스위치결합부 131 : 냉장실
140 : 도어 141 : 냉동실도어
145 : 자석삽입부 150 : 자석
160 : 리드스위치 조립체 170 : 케이스
171 : 바디 175 : 센서수용부
176,212 : 용기수용부 178 : 리드수용부
180 : 터미널수용부 182,214 : 접속편수용부
184,215 : 걸림턱 186,216 : 와이어인출공
187 : 절곡단부삽입부 188 : 절곡단부안내부
191 : 결합리브 192 : 맞물림결합부
193 : 고정편 195 : 경사면
210 : 커버 230 : 센서
231 : 용기 233 : 리드
235 : 절곡단부 250 : 와이어
251: 도체 252 : 피복부재
260 : 터미널 261 : 결합편
263 : 연결편 265 : 접속편
266 : 돌출부 267 : 리드삽입부
268 : 안내경사부 269 : 안내부
270 : 방수처리부 280 : 제어부

Claims (14)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용기 및 각 일 측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 타 측은 상기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며, 자화 시 상기 용기의 내부 단부가 서로 접촉되는 리드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 및
    상기 각 리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맞물림되어 통전가능하게 접속되는 터미널을 구비한 와이어;
    를 포함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방향에 대해 맞물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리드가 삽입되는 리드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드삽입부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방향에 대해 상기 돌출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리드삽입부에 미리 설정된 죔새를 가지고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삽입부의 입구에는 상기 리드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리드는 절곡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리드의 각 절곡단부가 삽입되는 절곡단부삽입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절곡단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절곡단부안내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피복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와이어가 인출될 수 있게 와이어인출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및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바디 및 커버의 접촉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및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편; 및
    상기 바디 및 커버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걸림편과 맞물림되어 상기 바디 및 커버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구비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자체의 탄성력으로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편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수물질로 상기 터미널과 상기 리드의 둘레에 형성되는 방수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리드스위치 조립체.
  14.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장고 본체 및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및
    상기 도어의 닫힘 시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할 수 있게 상기 냉장고 본체 및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1항의 리드스위치 조립체;
    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40182624A 2014-12-17 2014-12-17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781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24A KR101781454B1 (ko) 2014-12-17 2014-12-17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24A KR101781454B1 (ko) 2014-12-17 2014-12-17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18A true KR20160073818A (ko) 2016-06-27
KR101781454B1 KR101781454B1 (ko) 2017-09-25

Family

ID=5634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624A KR101781454B1 (ko) 2014-12-17 2014-12-17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4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76B1 (ko) 2019-08-28 2020-04-23 태광물산 주식회사 도어감지 조립체
KR20200121561A (ko) 2019-04-16 2020-10-26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홀센서를 이용한 도어개폐 감지장치
KR102416364B1 (ko) 2021-05-13 2022-07-05 태광물산 주식회사 도어감지장치
US12000650B2 (en) 2020-12-22 2024-06-04 Lg Electronics Inc. Reed switch assembly and refrig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561A (ko) 2019-04-16 2020-10-26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홀센서를 이용한 도어개폐 감지장치
KR102103776B1 (ko) 2019-08-28 2020-04-23 태광물산 주식회사 도어감지 조립체
US12000650B2 (en) 2020-12-22 2024-06-04 Lg Electronics Inc. Reed switch assembly and refrigerator
KR102416364B1 (ko) 2021-05-13 2022-07-05 태광물산 주식회사 도어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454B1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8437B1 (en) Refrigerator
US10659864B2 (en) Earbud charging storage case
US9401566B2 (en) Charging plug with contact-free switch device
KR101781454B1 (ko) 리드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60069895A (ko) 조명가능한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
KR20140034055A (ko) 전원 코드
KR101695696B1 (ko) 냉장고
KR20090096210A (ko) 냉장고의 수평조절장치
US9748054B2 (en) Contact device
KR20090038294A (ko) 센서커버를 구비한 냉장고
US9443671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pass electrical signals through a refrigerator cabinet liner
US20240060714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camera on an interior-compartment wall of a domestic appliance, and domestic appliance
JP2011256804A (ja) 圧縮機及び冷蔵庫
US9016885B2 (en) Refrigerator having an internal lighting system
US6496339B2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and equipment using thereof
KR100892162B1 (ko) 공동주택의 벽체 내설형 내선구조
JP2013036895A (ja) 圧縮機及び冷蔵庫
KR100395967B1 (ko) 냉장고 베리어 구조
JP3718381B2 (ja) 冷蔵庫用開扉装置
CN109243874B (zh) 一种开关结构的触发装置
KR20180133717A (ko) 커넥터
JP2019138568A (ja) 冷蔵庫
KR101329502B1 (ko) 방수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KR200168931Y1 (ko) 냉장고용 램프소켓
JPH0740500B2 (ja) 蛍光ランプ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