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71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717A
KR20180133717A KR1020170070927A KR20170070927A KR20180133717A KR 20180133717 A KR20180133717 A KR 20180133717A KR 1020170070927 A KR1020170070927 A KR 1020170070927A KR 20170070927 A KR20170070927 A KR 20170070927A KR 20180133717 A KR20180133717 A KR 20180133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sertion port
electrode portion
rib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715B1 (ko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71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함몰된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의 내부에 다수의 제1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다수의 제1 터미널과 접속되는 다수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제2 하우징 바디; 상기 제2 하우징 바디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다수의 제2 터미널 중 일부가 구비되는 제1 전극부; 상기 제2 하우징 바디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나머지 상기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바디의 일측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가 단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돌출된 단부가 단차짐에 따라서,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 사이의 쇼트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e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선과 전선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는, 적용제품 및 적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적용되고 있다.
커넥터는, 내부에서 서로 접촉되는 터미널의 개수에 따라 1핀 타입, 2핀 타입, 4핀 타입 등 다양한 핀 타입으로 제공된다.
한편, 냉장고의 내부와 같이 공기중에 습도가 높고 물의 접촉 확률이 높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는, 물에 의한 쇼트의 발생이 안정적으로 방지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적용제품의 운송 또는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서, 결합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안정적인 결합 구조가 요구된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1598 호에는, 제1 하우징(110)과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커넥터(100)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제1 터미널(140)이 구비되고,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제1 터미널(140)과 연결되는 다수의 제2 터미널(1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터미널과(140)과 제2 터미널(150)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하우징 체결공(118)에 상기 제2 하우징(120)이 삽입되면 서로 연결된다.
하지만, 선행문헌과 같은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2 하우징(120)의 단자부가 동일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즉, 내부에 하나의 상기 제2 터미널(15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되는 단자부들이 동일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제2 하우징(120)의 단자부들 중 일부가 라이브단(+단)이고, 다른 일부가 네츄럴단(-단)일 경우, 단자부들의 전단 사이의 공간거리 및 연면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쇼트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20)이 분리된 상태에서 물 또는 높은 습도의 공기에 노출될 경우, 물또는 습기에 의해서 단자부들의 전단이 서로 통전되어 쇼트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AS 작업을 위해서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분리 및 결합 작업시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브 단자부와 네츄럴 단자부의 쇼트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일측에 함몰된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의 내부에 다수의 제1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다수의 제1 터미널과 접속되는 다수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제2 하우징 바디; 상기 제2 하우징 바디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다수의 제2 터미널 중 일부가 구비되는 제1 전극부; 상기 제2 하우징 바디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나머지 상기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바디의 일측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가 단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부 내부의 제2 터미널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접속된 전선의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부 내부의 제2 터미널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접속된 전선의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제1 전극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 상기 제2 전극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삽입구는 상기 제1 전극부의 돌출된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구는 상기 제2 전극부의 돌출된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는 서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외측면에는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리브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리브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전극부의 상면에서 돌출된 제1 리브; 상기 제2 전극부의 상면에서 돌출된 제3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리브와 제3 리브는, 상기 제1 전극부의 상면과 상기 제2 전극부의 상면에서 서로 반대되는 측방으로 편측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전극부의 하면에서 돌출된 제2 리브; 상기 제2 전극부의 하면에서 돌출된 제4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브와 제4 리브는, 상기 제1 전극부 하면과 상기 제2 전극부의 하면에서 가로 방향 폭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하우징에 상기 제2 하우징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를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구속되는 돌기 수용부가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구속부재의 전단 및 좌우측 가장자리의 내측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상기 제2 하우징이 삽입될 때, 전단이 상기 돌기와 접촉되어 상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 수용부에 위치되었을 때, 전단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돌기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와 상기 구속부재의 전단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구속부재의 전단의 상방 회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와 구속부재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구속부재는 전단이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동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돌출된 단부가 서로 단차짐에 따라서, 단부 사이의 공간거리가 보다 크게 확보되어, 습도가 높은 환경이나 물이 접촉될 수 있는 환경에서 쇼트 발생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분리 및 결합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 중 하나가 더 길게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가 서로 단차짐에 따라서,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단부 사이의 연면거리가 보다 크게 확보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분리 및 결합시 및 결합 상태에서 보다 크게 확보된 연면거리에 의해서 쇼트 발생이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되어, 사용자의 안전 및 제품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도 서로 다른 깊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 중 하나가 다른 하나 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 내부의 제1 터미널 사이의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도 더 크게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 내부의 제1 터미널 사이의 쇼트 발생도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넷째, 제1 리브와 제3 리브가 제1 전극부의 상면과 제2 전극부의 상면에서 서로 반대되는 측방으로 편측되어 위치됨에 따라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오조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섯째, 제2 리브와 제4 리브가 제1 전극부의 하면과 제2 전극분의 하면 중심에 더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오조립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가 상기 삽입부에 보다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으며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여섯째,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와 구속부재가 구비됨에 있어서, 다수개의 구속부재의 전단은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동 동작된다. 즉, 다수개의 구속부재가 일체형으로 제공되어, 탄성변형을 위해서는 보다 큰 힘이 요구되고 체결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돌기와의 구속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상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텍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3'-3''을 기준으로 절개시킨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6'-6''를 기준으로 절개시킨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가 구비된 냉장고를 보인 도면이다.
각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텍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3'-3''을 기준으로 절개시킨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1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은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에는 별도의 전선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하우징(100)에는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는 제1 전선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200)에는 전기적 신호를 공급받는 제2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전선이 전기적 신호를 공급받는 전선이고, 상기 제2 전선이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는 전선일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의 흐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전선과 연결된 제1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전선과 연결된 제2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은,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의 결합시 서로 접촉되어 제1 전선과 제2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은 암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제1 하우징 바디(110)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2 하우징(200)이 결합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바디(11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선이 내부의 상기 제1 터미널과의 연결을 위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에는 상기 결합부(120)의 돌출 방향으로 개구된 삽입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30)는 상기 결합부(120)의 돌출된 전면에서 상기 결합부(12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3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터미널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삽입구(130)의 내부에서 상기 삽입구(130)의 개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2 하우징 바디(210)와, 상기 제2 하우징 바디(210)에서 도출되며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삽입구(130)에 삽입되는 단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바디(21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선이 내부의 제2 터미널과의 연결을 위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220)는 돌출된 전면의 둘레면을 제외한 내측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함몰된 내부 공간에 상기 제2 전선과 연결된 상기 제2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220)가 상기 삽입구(13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터미널이 상기 단자부(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부(220)의 내부의 상기 제2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터미널은 다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부는 상기 제1 전선의 +단(라이브 단)과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전선의 -단(네츄럴 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삽입구(130)는, 상기 제1 전선의 +단과 연결된 +극의 제1 터미널이 노출된 제1 삽입구(140)와, 상기 제1 전선의 -단과 연결된 -극의 제1 터미널이 노출된 제2 삽입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구(140)와 제2 삽입구(150)는 상기 결합부(120)의 돌출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터미널도 다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부는 상기 제2 전선의 +단(라이브 단)과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제2 전선의 -단(네츄럴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터미널의 개수는 상기 제1 터미널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220)는, 상기 제1 삽입구(140)에 삽입되는 제1 단자부(230)와, 상기 제2 삽입구(150)에 삽입되는 제2 단자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23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전선의 +단과 연결된 +극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단자부(230)가 상기 제1 삽입구(140)에 삽입되었을 때, +극의 제1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부(24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전선의 -단과 연결된 -극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되어, 상기 제2 단자부(240)가 상기 제2 삽입구(150)에 삽입되었을 때, -극의 제1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230)는 상기 제1 삽입구(140)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삽입구(140)와 형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부(240)는 상기 제2 삽입구(150)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삽입구(150)와 형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는 서로 구획된 상기 제1 삽입구(140)와 제2 삽입구(150)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돌출된 전단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2 단자부(240)는 상기 제1 단자부(230) 보다 상기 제2 하우징 바디(210)로 부터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단자부(230) 내부의 +극의 제2 터미널과 상기 제2 단자부(240) 내부의 -극의 제2 터미널간의 쇼트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돌출된 전단이 단차짐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이물 또는 물에 노출되더라도, 이물 또는 물이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전단에 함께 접촉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물 또는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커넥터(10)가 사용되더라도 쇼트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전단과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전단이 단차짐에 따라,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전단과 제2 단자부(240)의 전단 사이의 공간거리와 연면거리가 보다 크게 확보되어 이물 또는 수분 농도가 높은 공기에 의한 쇼트 발생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간거리(Air clearance)는 공학적인 의미로 두개의 도전성 부분들 간의 공기 중의 최단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연면거리(Creepage distance)는 공학적인 의미로 두개의 도전성 부분간의 절연물 표면을 따라 측정한 가장 짧은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돌출된 전단을 도전성 부분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전단과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전단이 단차짐에 따라, 공간 거리가 대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었을 때 보다 공간 거리가 더 많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 사이의 쇼트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돌출된 전단을 도전성 부분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2 단자부(240)가 상기 제1 단자부(230) 보다 더 길게 돌출됨에 따라서,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측면과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측면 및, 상기 제2 단자부(240)와 제1 단자부(230)의 측면을 연결하는 면을 따라 그려지는 연면거리가 더 많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 사이의 쇼트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삽입구(140)는 상기 제1 단자부(230)의 돌출된 길이와 대응하는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삽입구(150)는 상기 제2 단자부(240)의 돌출된 길이와 대응하는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2 삽입구(150)는 상기 제1 삽입구(140) 보다 더 깊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부(220)와 삽입구(130)에는,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정위치 결합을 위한 구성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자부(230)가 제2 삽입구(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단자부(240)가 제1 삽입구(140)에 삽입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외측면에는 리브(260)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리브(260)는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리브(261)와, 상기 제1 단자부(230)의 하면에 형성된 제2 리브(2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260)는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상면에 형성된 제3 리브(263)와 상기 제2 단자부(240)의 하면에 형성된 제4 리브(2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261)와 제2 리브(262)는 상기 제1 단자부(230)의 돌출된 전면을 전방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가로 방향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상면과 하면의 가로 방향 폭 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상면과 하면의 전단에서 부터 후단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리브(263)와 제4 리브(264)는 상기 제2 단자부(240)의 돌출된 전면을 전방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가로 방향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상면과 하면의 가로 방향 폭 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상면과 하면의 전단에서 부터 후단 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261)와 제2 리브(262)는, 가로 방향으로 서로 편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리브(263)와 제4 리브(264)도, 가로 방향으로 서로 편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2 리브(262)는 상기 제1 단자부(230)의 하면의 가로 방향 폭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리브(261)는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상면의 가로 방향 폭 중심에서 좌우 측 중 일측으로 편측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리브(264)는 상기 제2 단자부(240)의 하면 가로 방향 폭 중심에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리브(263)는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상면의 가로 방향 폭 중심에서 좌우 측 중 일측으로 편측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리브(263)는 상기 제1 리브(261)의 편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편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리브(263)는 상기 제1 리브(261)가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상면에서 좌측으로 편측된 경우,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상면에서 우측으로 편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100)에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정확하게 결합될 때 상기 리브(260)가 삽입되는 리브 가이드(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 가이드(160)는, 상기 제1 리브(261)가 삽입되는 제1 리브가이드(161)와, 상기 제2 리브(262)가 삽입되는 제2 리브 가이드(162)와, 상기 제3 리브(263)가 삽입되는 제3 리브 가이드(163)와, 상기 제4 리브(264)가 삽입되는 제4 리브 가이드(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제4 리브 가이드는 각각 상기 제1~제4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 가이드(161)는 상기 제1 삽입구(140)의 상면에 상기 제1 리브(26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삽입구(140)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리브(261)에 대응하는 위치로 편측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 가이드(162)는 상기 제1 삽입구(140)의 하면에 상기 제2 리브(26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삽입구(140)의 하면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리브 가이드(163)는 상기 제2 삽입구(150)의 상면에 상기 제3 리브(26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삽입구(150)의 상면에서 상기 제3 리브(263)에 대응하는 위치로 편측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리브 가이드(164)는 상기 제2 삽입구(150)의 하면에 상기 제4 리브(26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삽입구(150)의 하면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리브(260)와 리브 가이드(160)의 구조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단자부(230)가 상기 제2 삽입구(150)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단자부(240)가 상기 제 1 삽입구(140)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230)가 상면과 하면이 역전된 180도 회전상태에서 상기 제1 삽입구(140)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단자부(240)가 상면과 하면이 역전된 180도 회전상태에서 상기 제2 삽입구(150)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230)가 상면과 하면이 역전된 180도 회전상태에서 상기 제2 삽입구(150)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단자부(240)가 상면과 하면이 역전된 180도 회전상태에서 상기 제1 삽입구(140)에 삽입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가 상기 제1 삽입구(140)와 제2 삽입구(150)에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삽입이 시도되는 경우에만, 상기 리브(260)가 리브 가이드(160)에 삽입 가능하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상기 리브(260)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삽입시 보다 부드러운 삽입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오조립의 방지만을 위해서는, 상기 제1~제4 리브 중 일부만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 예로들어, 제1 리브(261)와 제3 리브(263)만 제공되고, 상기 제1 리브 가이드(161)와 제3 리브 가이드(163)만 제공되어도 오조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에는,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돌기(170)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170)를 구속하는 구속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돌출된 상기 돌기(1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상기 단자부(220)가 상기 삽입구(13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170)를 구속하는 구속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270)는 상기 제2 하우징(2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별도의 구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27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부(220)가 상기 삽입구(130)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170)와 접촉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170)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구속부재(270)는, 상기 제 하우징 바디(2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후 절곡되어 상기 단자부(220)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220)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상기 돌기(170)가 삽입되어 구속되는 돌기 수용부(2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수용부(275)는 상기 돌기(17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17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돌기 수용부(275)는, 상기 구속부재(270)의 전단과 좌우 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270)는, 상기 단자부(220)가 상기 삽입구(130)에 삽입될 때, 전단이 상기 돌기(170)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170)가 상기 돌기 수용부(275)에 위치되었을 때, 전단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돌기(170)를 구속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단자부(220)의 전단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170)에는 상기 단자부(220)의 전단의 경사를 따라 이동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220)가 상기 삽입구(13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기(170)는 상기 돌기 수용부(275)에 위치되고, 상기 구속부재(270)의 전단은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돌기(170)를 구속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기 수용부(275)의 내측 전면과 좌우 측면은 상기 돌기(170)의 둘레면에 접하여 상기 돌기(17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돌기 수용부(275)의 좌우 폭은 상기 돌기(170)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 수용부(275)의 내측 전면과 이에 접하는 상기 돌기(170)의 면은,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170)가 상기 돌기 수용부(27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170)가 임의로 상기 돌기 수용부(275)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170)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기(170)는 상기 제1 삽입구(140)의 상방 및 상기 제2 삽입구(150)의 상방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270)는, 상기 돌기(170)이 수에 대응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170)가 상기 제1 삽입구(140)와 제2 삽입구(150)의 상방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상기 구속부재(270)는 상기 제2 하우징 바디(210)의 상면에서 좌우로 배치된 한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구속부재(270)는 체결력 및 내구성의 향상을 위해서 서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한쌍의 구속부재(270)는, 상기 단자부(220)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면 전체가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하우징(100)은 2개의 제1 터미널이 구비되는 2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200)도 2개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2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일 실시예로써,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핀 타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세히, 상기 제2 하우징(200)은 4개의 제1 피미널이 구비되는 4핀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더 많은 핀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제2 하우징(200) 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더 많은 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4핀 타입의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 및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6'-6''를 기준으로 절개시킨 단면도이다.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제1 전선의 +단과 연결되는 +극의 제1 터미널이 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전선의 -단과 연결되는 -극의 제1 터미널이 한쌍으로 구비되는 4핀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2 전선의 +단과 연결되는 +극의 제2 터미널이 한쌍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전선의 -단과 연결되는 -극의 제2 터미널이 한쌍으로 구비되는 4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은 암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에는 상기 제1 하우징(100)에는 삽입되는 상기 단자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100)에는 상기 단자부(220)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상기 제1 단자부(230)에는 한쌍의 상기 +극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극의 제2 터미널은 상기 제1 단자부(230)의 내부에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230)는 내부에 각각 상기 +극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32)로 구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단자부(230)는 상기 제2 하우징 바디(210)에서 돌출되는 제1 전극부(231)와, 상기 제2 하우징 바디(210)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1 전극부(231)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전극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32)에는 돌출된 방향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32)의 내부 공간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극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제2 단자부(240)에는 한쌍의 상기 -극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극의 제2 터미널은 상기 제2 단자부(240)의 내부에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부(240)는 내부에 각각 상기 -극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3전극부(241)와 제4 전극부(242)로 구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단자부(240)는 상기 제1 단자부(230) 측방의 상기 제2 하우징 바디(210)에서 돌출되는 제3 전극부(241)와, 상기 제3 전극부(241) 하방의 상기 제2 하우징 바디(210)에서 돌출되는 제4 전극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부(241)와 제4 전극부(242)에는 돌출된 방향으로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전극부(241)와 제4 전극부(242)의 내부공간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극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상기 제1 삽입구(140)는, 상기 제1 전극부(231)가 삽입되는 제1 전극 삽입구(141)와 상기 제2 전극부(232)가 삽입되는 제2 전극 삽입구(14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삽입구(141)와 상기 제2 전극 삽입구(142)의 내부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극의 제1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극의 제1 터미널은, 상기 제1 단자부(230)가 상기 제1 삽입구(140)에 삽입되었을 때, 한쌍의 상기 +극의 제2 터미널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상기 제2 삽입구(150)는, 상기 제3 전극부(241)가 삽입되는 제3 전극 삽입구(151)와, 상기 제4 전극부(242)가 삽입되는 제4 전극 삽입구(15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 삽입구(151)와 제4 전극 삽입구(152)의 내부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극의 제1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극의 제1 터미널은, 상기 제2 단자부(240)가 상기 제2 삽입구(150)에 삽입되었을 때, 한쌍의 상기 -극의 제2 터미널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돌출된 전단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2 단자부(240)는 상기 제1 단자부(230) 보다 상기 제2 하우징 바디(210)로 부터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구(140)는 상기 제1 단자부(230)의 돌출된 길이와 대응하는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삽입구(150)는 상기 제2 단자부(240)의 돌출된 길이와 대응하는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2 삽입구(150)는 상기 제1 삽입구(140) 보다 더 깊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상기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32)는 동일한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상기 제3 전극부(241)와 제4 전극부(242)는 동일한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32)의 전단은, 상기 제3 전극부(241) 및 제4 전극부(242)의 전단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 삽입구(141)는 상기 제1 전극부(231)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 삽입구(142)는 상기 제2 전극부(232)에 대응하는 깊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전극 삽입구(151)는 상기 제3 전극부(241)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4 전극 삽입구(152)는 상기 제4 전극부(242)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전단과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전단 사이의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가 보다 많이 확보되어, 쇼트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한편,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에는,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돌기(170)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170)를 구속하는 구속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리브(2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00)에는 상기 리브(260)가 삽입되는 상기 리브 가이드(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60)는,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리브(261)와, 상기 제1 단자부(230)의 하면에 형성된 제2 리브(262),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상면에 형성된 제3 리브(263)와 상기 제2 단자부(240)의 하면에 형성된 제4 리브(2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리브(261)는 상기 제1 전극부(23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리브(262)는 상기 제2 전극부(232)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리브(263)는 상기 제3 전극부(24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리브(264)는 상기 제4 전극부(242)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 가이드(160)는, 상기 제1 리브(261)가 삽입되는 제1 리브 가이드(161)와, 상기 제2 리브(262)가 삽입되는 제2 리브 가이드(162)와, 상기 제3 리브(263)가 삽입되는 제3 리브 가이드(163)와, 상기 제4 리브(264)가 삽입되는 제4 리브 가이드(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261)와 제2 리브(262)는, 가로 방향으로 서로 편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리브(263)와 제4 리브(264)도, 가로 방향으로 서로 편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2 리브(262)는 상기 제2 전극부(232)의 하면의 가로 방향 폭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리브(261)는 상기 제1 전극부(231)의 상면의 가로 방향 폭 중심에서 좌우 측 중 일측으로 편측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리브(264)는 상기 제4 전극부(242)의 하면 가로 방향 폭 중심에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리브(263)는 상기 제3 전극부(241)의 상면의 가로 방향 폭 중심에서 좌우 측 중 일측으로 편측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리브(263)는 상기 제1 리브(261)의 편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편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리브(263)는 상기 제1 리브(261)가 상기 제1 전극부(231)의 상면에서 좌측으로 편측된 경우, 상기 제3 전극부(241)의 상면에서 우측으로 편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제4 리브 가이드는 각각 상기 제1~제4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리브 가이드(161)는 상기 제1 전극 삽입구(141)의 상면에 상기 제1 리브(26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 가이드(162)는 상기 제2 전극 삽입구(142)의 하면에 상기 제2 리브(26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리브 가이드(163)는 상기 제3 전극 삽입구(151)의 상면에 상기 제3 리브(26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리브 가이드(164)는 상기 제4 전극 삽입구(152)의 하면에 상기 제4 리브(26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리브(260)와 리브 가이드(160)의 구조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단자부(230)가 상기 제2 삽입구(150)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단자부(240)가 상기 제 1 삽입구(140)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230)가 상면과 하면이 역전된 180도 회전상태에서 상기 제1 삽입구(140)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단자부(240)가 상면과 하면이 역전된 180도 회전상태에서 상기 제2 삽입구(150)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230)가 상면과 하면이 역전된 180도 회전상태에서 상기 제2 삽입구(150)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단자부(240)가 상면과 하면이 역전된 180도 회전상태에서 상기 제1 삽입구(140)에 삽입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가 상기 제1 삽입구(140)와 제2 삽입구(150)에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삽입이 시도되는 경우에만, 상기 리브(260)가 리브 가이드(160)에 삽입 가능하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230)의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제2 단자부(24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상기 리브(260)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삽입시 보다 부드러운 삽입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추가적인 오조립의 방지를 위해서, 상기 제1 삽입구(140)와 제2 삽입구(15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 삽입구(141)와 제2 전극 삽입구(142)는 제1 삽입구 구획부(143)에 의해서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전극 삽입구(151)와 제4 전극 삽입구(152)는 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32)는, 서로 구획된 상기 제1 전극 삽입구(141)와 제2 전극 삽입구(142)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32)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삽입구 구획부(143)가 삽입되는 이격공간(2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전극부(241)와 제4 전극부(242)는 서로 연결된 일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전극부(241)와 제4 전극부(242)가 상기 제1 전극 삽입구(141)와 제2 전극 삽입구(142)에 삽입이 시도될 경우, 상기 제1 삽입구 구획부(143)에 간섭되어 삽입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돌기(260)와 돌기 가이드(160)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제1 삽입구(140)와 제2 삽입구(150)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그리고, 상기 제1 삽입구(140)와 제2 삽입구(15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돌기(260)와 돌기 가이드(160)가 제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전원과 전선을 연결이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커넥터(10)는,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의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피시비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넥터(10)의 가전기기의 적용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가 구비된 냉장고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식품의 저온 보관을 위한 냉장고(20)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40),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 및 액화를 위한 응축기, 액화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40)는 냉장고(20)의 일측에 형성된 기계실(25)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20)에는 상기 압축기(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30)는 상기 기계실(25) 외측의 상기 냉장고(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30)는 전선에 의해서 상기 압축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20)의 내부의 저장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기(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피시비(30)와 압축기(4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피시비(30)와 전선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압축기(40)와 전선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제1 삽입구(140) 내부의 제1 터미널은 상기 피시비(30)와 연결된 전선의 +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삽입구(150) 내부의 제1 터미널은 상기 피시비(30)와 연결된 전선의 - 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제1 단자부(230) 내부의 제2 터미널은 상기 압축기(40)와 연결된 전선의 +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부(240) 내부의 제2 터미널은 상기 압축기(40)와 연결된 전선의 -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기계실(25)에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피시비(30)와 압축기(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25)의 내부는 압축기(40)의 구동에 의해서 큰 진동이 발생하는 환경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5)에는 상기 증발기를 제상시켜 생성된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습도가 높은 환경일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습도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10)의 결합 해제 및 결합시 또는 결합 상태에서 쇼트의 발생 위험도가 높을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해서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상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의 돌출된 전단이 단차짐에 따라서, 상기 기계실(250) 내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결합 해제 및 결합시 또는 결합 상태에서, 쇼트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돌기(170)와 구속부재(270)의 결합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임의로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속돌기(170)가 상기 구속부재(270)의 돌기 수용부(27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돌기(170)의 후면 및 양측면이 상기 돌기 수용부(275)의 내측면에 접하여 유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진동에 의해서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돌기(170)와 구속부재(270)가 다수개로 제공되고, 다수개의 상기 구속부재(270)가 일체형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높은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25)의 내부에 큰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진동에 의해서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Claims (13)

  1. 일측에 함몰된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의 내부에 다수의 제1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다수의 제1 터미널과 접속되는 다수의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제2 하우징 바디;
    상기 제2 하우징 바디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다수의 제2 터미널 중 일부가 구비되는 제1 전극부;
    상기 제2 하우징 바디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나머지 상기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바디의 일측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가 단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 내부의 제2 터미널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접속된 전선의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부 내부의 제2 터미널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접속된 전선의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제1 전극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
    상기 제2 전극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구는 상기 제1 전극부의 돌출된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구는 상기 제2 전극부의 돌출된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는 서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외측면에는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리브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리브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전극부의 상면에서 돌출된 제1 리브;
    상기 제2 전극부의 상면에서 돌출된 제3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리브와 제3 리브는, 상기 제1 전극부의 상면과 상기 제2 전극부의 상면에서 서로 반대되는 측방으로 편측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전극부의 하면에서 돌출된 제2 리브;
    상기 제2 전극부의 하면에서 돌출된 제4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브와 제4 리브는, 상기 제1 전극부 하면과 상기 제2 전극부의 하면에서 가로 방향 폭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하우징에 상기 제2 하우징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를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구속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구속부재의 전단 및 좌우측 가장자리의 내측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상기 제2 하우징이 삽입될 때, 전단이 상기 돌기와 접촉되어 상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 수용부에 위치되었을 때, 전단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돌기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구속부재의 전단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구속부재의 전단의 상방 회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구속부재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구속부재는 전단이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동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70070927A 2017-06-07 2017-06-07 커넥터 KR10233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27A KR102338715B1 (ko) 2017-06-07 2017-06-0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27A KR102338715B1 (ko) 2017-06-07 2017-06-0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717A true KR20180133717A (ko) 2018-12-17
KR102338715B1 KR102338715B1 (ko) 2021-12-14

Family

ID=6500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927A KR102338715B1 (ko) 2017-06-07 2017-06-0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046U (ko) * 2019-06-28 2021-01-0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591A (ko) * 2007-07-30 2009-02-0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패널 고정식 커넥터
JP2012169220A (ja) * 2011-02-16 2012-09-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装置
KR20120109777A (ko) * 2011-03-28 2012-10-09 주식회사 케피코 인터락 기능을 갖는 커넥터
KR101543386B1 (ko) * 2014-03-19 2015-11-20 한성전자 주식회사 Ffc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591A (ko) * 2007-07-30 2009-02-0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패널 고정식 커넥터
JP2012169220A (ja) * 2011-02-16 2012-09-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装置
KR20120109777A (ko) * 2011-03-28 2012-10-09 주식회사 케피코 인터락 기능을 갖는 커넥터
KR101543386B1 (ko) * 2014-03-19 2015-11-20 한성전자 주식회사 Ffc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046U (ko) * 2019-06-28 2021-01-0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715B1 (ko)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024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JP3158697U (ja) 電気コネクタ
US9853403B1 (en)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JP6203953B2 (ja) 電力コネクタ
US8851938B2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JP2009218221A (ja) 基板対基板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010009817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female contact
JP2009110963A (ja) ばね力接続装置
JP2015041449A (ja) 電気コネクタ
JP2015220184A (ja) コネクタ
US7714693B2 (en) Slow blow fuse and electric junction box
US20240170881A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US10910752B2 (en)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US798508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uxiliary hold-down arrangement
KR20180133717A (ko) 커넥터
KR101032255B1 (ko) 암형단자 및 암형단자를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
US704858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US10998668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case that has a connection stopping portion that prevents stopping contact between first and second connectors
JP2015220172A (ja) 端子構造及びコネクタ
CN212626388U (zh) 电连接器及电子设备
JP2014531724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200410014Y1 (ko) 커넥터
JP7289907B2 (ja) コネクタ
JP2018156764A (ja) コネクタ
JP200622192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