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515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515A
KR20160073515A KR1020140181869A KR20140181869A KR20160073515A KR 20160073515 A KR20160073515 A KR 20160073515A KR 1020140181869 A KR1020140181869 A KR 1020140181869A KR 20140181869 A KR20140181869 A KR 20140181869A KR 20160073515 A KR20160073515 A KR 20160073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display module
cover portion
protruding
midd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181B1 (ko
Inventor
이부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1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1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는 미들프레임,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기구, 및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DP(Plasma Display Pan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텔레비전(Television), 모니터(Monitor), 휴대폰(Mobile phone)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11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이 결합되는 미들프레임(120),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을 덮도록 상기 미들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커버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미들프레임(120)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이 수용되는 수용홈(121), 상기 커버부(130)가 안착되는 안착부재(122), 및 상기 안착부재(122)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돌출부재(123)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수용홈(121)에 수용된 디스플레이모듈(110)을 덮도록 상기 안착부재(122)에 안착된다.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돌출부재(123)의 내측에 위치되게 상기 안착부재(122)에 안착된다.
여기서, 최근 업계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가 차지하는 비중을 증대시키기 위해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이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123)는 상기 커버부(130)가 상기 안착부재(122)에 안착된 후에도 상기 커버부(130)의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커버부(130)의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재(123)로 인해 베젤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네로우 베젤을 구현하는데 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커버부(130)의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재(123)로 인해 전면(全面) 디스플레이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베젤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미들프레임;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기구; 및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미들프레임; 상기 커버부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기구; 및 상기 측벽에 마련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는 상기 측벽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들프레임이 커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베젤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네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고, 커버부가 미들프레임의 외측면까지 확장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전면(全面) 디스플레이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결합부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광흡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결합부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광흡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2),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에 결합되는 커버부(3),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을 수용하기 위한 미들프레임(4), 및 상기 커버부(3)와 상기 미들프레임(4)을 결합시키는 결합부(5)를 포함한다. 상기 미들프레임(4)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이 수용되는 수용홈(41), 및 상기 수용홈(41)을 둘러싸는 측벽(42)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 상기 커버부(3), 상기 미들프레임(4), 및 상기 결합부(5)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은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은 상기 수용홈(41)에 삽입된다. 상기 수용홈(41)에 삽입된 디스플레이모듈(2)은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미들프레임(4)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는 접착테이프, 레진(Resin) 등과 같은 접착제 등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은 디스플레이패널(21,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은 디스플레이모듈(2)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이 LCD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은 액정(Liquid Cryst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은 백라이트유닛(Back-Light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이 OLED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은 형광성 유기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이 PDP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은 불활성기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이 EPD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은 전기영동 분산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은 하부커버(22, 도 3에 도시됨), 및 광학시트(23,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22)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을 지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은 상기 하부커버(22)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하부커버(22)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커버(22)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을 수용하기 위한 패널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22)가 갖는 측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의 측면을 이룬다.
상기 광학시트(23)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에 결합된다. 상기 광학시트(23)는 상기 커버부(3)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은 복수개의 광학시트(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3)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은 상기 커버부(3) 및 상기 미들프레임(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부(3)는 강화유리, 커버 플라스틱, 및 메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3)는 투명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3)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수단은 접착테이프, 레진(Resin) 등으로 구현된 접착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3)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은 상기 수용홈(41)에 수용되어 상기 미들프레임(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은 상기 커버부(3)가 상기 미들프레임(4)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미들프레임(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3)는 상기 미들프레임(4)의 측벽(42)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부(3)는 밑면(31)이 상기 미들프레임(4)의 측벽(42)에 접촉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는 밑면(31)이 상기 미들프레임(4)의 측벽(4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3)는 상기 결합부(5)에 지지된다. 상기 커버부(3)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 및 상기 미들프레임(4)의 측벽(42)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는 상기 미들프레임(4)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3)의 측면 및 상기 미들프레임(4)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들프레임(4)의 외측면은, 상기 측벽(42)에서 상기 수용홈(41)을 향하는 쪽에 위치한 내측면에 대해 반대 쪽에 위치한 측면이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미들프레임(4)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을 수용한다. 상기 미들프레임(4)은 내측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모듈(2)을 지지한다. 상기 미들프레임(4)은 상기 수용홈(41), 및 상기 측벽(42)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41)은 상기 측벽(42)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은 상기 수용홈(41)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미들프레임(4)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수용홈(41)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과 대략 일치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용홈(41)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41)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과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벽(42)은 상기 수용홈(41)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상기 측벽(42)은 상기 수용홈(41)에 수용된 디스플레이모듈(2)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벽(42)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의 측면은 대략 일치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벽(42)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의 측면이 갖는 변(邊)과 동일한 개수의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이 4개의 변을 갖는 경우, 상기 측벽(42)은 4개의 변(42a, 42b, 42c, 42d)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벽(42)은 사각 고리 형태로 마련된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5)는 상기 커버부(3) 및 상기 미들프레임(4)을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부(5)는 돌출기구(51) 및 삽입홈(52)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기구(51)가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3)는 상기 미들프레임(4)에 결합된다. 상기 돌출기구(51)가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5)는 상기 돌출기구(51) 및 상기 삽입홈(52) 각각이 마련되는 위치에 따라 크게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참고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측벽(42)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된다. 상기 삽입홈(52)은 상기 커버부(3)에 마련된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3) 및 상기 미들프레임(4)을 결합시킨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3)를 상기 결합위치로 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버부(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커버부(3)가 상기 미들프레임(4)에 결합된 후에, 상기 돌출기구(51)가 상기 커버부(3)에 삽입되어서 상기 커버부(3)의 외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의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재(123, 도 1에 도시됨)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베젤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커버부(3)를 결합위치에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젤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네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의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재(123, 도 1에 도시됨)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상기 미들프레임(4)의 외측면까지 확장되는 커버부(3)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전면(全面) 디스플레이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측벽(42)의 상면(421)으로부터 상측 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홈(52)은 상기 커버부(3)의 밑면(31)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3)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이 상기 수용홈(41)에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홈(52)을 통해 상기 커버부(3)에 삽입되면서 상기 커버부(3)를 결합위치로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커버부(3)를 결합위치로 정렬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는 별도로 제조된 후에 상기 측벽(42)의 상면(42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측벽(42)의 상면(421)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측벽(42)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상기 삽입홈(52)과 대략 일치하는 길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방향은 상기 돌출기구(51)가 상기 측벽(42)의 상면(42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이 경우, 상기 돌출기구(51)가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부(3)는 상기 측벽(42)에 접촉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상기 삽입홈(52)에 비해 긴 길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기구(51)가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부(3)는 상기 측벽(4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고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커버부(3)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된다. 상기 삽입홈(52)은 상기 측벽(42)에 마련된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3)를 상기 결합위치로 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측벽(4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측벽(4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커버부(3)가 상기 미들프레임(4)에 결합된 후에, 상기 돌출기구(51)가 상기 측벽(42)에 삽입되어서 상기 커버부(3)의 외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의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재(123, 도 1에 도시됨)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베젤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커버부(3)를 결합위치에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젤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네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의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재(123, 도 1에 도시됨)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상기 미들프레임(4)의 외측면까지 확장되는 커버부(3)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전면(全面) 디스플레이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커버부(3)의 밑면(31)으로부터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홈(52)은 상기 측벽(42)의 상면(421)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3)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이 상기 수용홈(41)에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홈(52)을 통해 상기 측벽(42)에 삽입되면서 상기 커버부(3)를 결합위치로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커버부(3)를 결합위치로 정렬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는 별도로 제조된 후에 상기 커버부(3)의 밑면(3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부(3)의 밑면(31)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커버부(3)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상기 삽입홈(52)과 대략 일치하는 길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방향은 상기 돌출기구(51)가 상기 커버부(3)의 밑면(3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이 경우, 상기 돌출기구(51)가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부(3)는 상기 측벽(42)에 접촉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상기 삽입홈(52)에 비해 긴 길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기구(51)가 상기 삽입홈(52)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부(3)는 상기 측벽(4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에 있어서,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커버부(3)가 상기 측벽(42)의 상면(421)에 대해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커버부(3)를 상기 결합위치로 정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전면(全面) 디스플레이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3)는 밑면(31)이 상기 모듈프레임(4)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구현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는 밑면(31)이 상기 모듈프레임(4)에 비해 큰 면적으로 구현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3)는 밑면(31)이 상기 모듈프레임(4)과 동일한 면적으로 구현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3)가 상기 결합부(5)에 의해 결합위치로 정렬되었을 때, 상기 커버부(3)의 측면 및 상기 미들프레임(4)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에 있어서, 상기 돌출기구(51) 및 상기 삽입홈(52)은 서로 상보적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돌출기구(51)의 위치를 미들프레임(4)의 측벽(42)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기구(51)는 장방체 형태의 돌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은 장방체 형태의 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 및 상기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은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기구(51)는 원통 형태의 돌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은 원통 형태의 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 및 상기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은 대략 일치하는 직경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돌출기구(51) 및 상기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이 원통 형태, 장방체 형태로 제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돌출기구(51) 및 상기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은 상기 커버부(3)를 결합위치로 정렬할 수 있도록 서로 상보적인 형태이면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는, 상기 돌출기구(51) 및 상기 삽입홈(52)을 각각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돌출기구(51)들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들은 2개의 돌출기구(51)들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돌출기구(51)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돌출기구(51)들이 상기 측벽(42)이 갖는 변들(42a, 42b, 42c, 42d)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변(42a)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마련되고, 2개의 돌출기구(51)들이 상기 제1변(42a)에 대향되는 제3변(42c)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 4개의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들은 4개의 돌출기구(51)들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돌출기구(51) 및 상기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이 각각 2개, 4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돌출기구(51) 및 상기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은 상기 커버부(3)를 결합위치로 정렬할 수 있는 개수이면 3개 또는 5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에 있어서, 상기 돌출기구(51)는 제1돌출부재(511, 도 8에 도시됨) 및 제2돌출부재(512,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돌출기구(51)의 위치를 미들프레임(4)의 측벽(42)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돌출부재(511)는 상기 측벽(42)이 갖는 변들(42a, 42b, 42c, 42d)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변(42a)을 따라 마련된다. 상기 제1돌출부재(511)는 상기 제1변(42a)과 평행한 제1축방향(Y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직방체 형태의 돌기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512)는 상기 제1변(42a)에 연결되는 제2변(42b)을 따라 마련된다. 상기 제2돌출부재(512)는 상기 제2변(42b)과 평행한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직방체 형태의 돌기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제2돌출부재(512) 및 상기 제1돌출부재(511)는 서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기구(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모두에 대해 상기 커버부(3)를 상기 결합위치로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커버부(3)를 상기 결합위치로 정렬하기 위한 돌출기구(51)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은 상기 돌출기구(51)에 대응되는 형태의 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돌출기구(51) 및 상기 삽입홈(52, 도 4에 도시됨)은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가 2개의 돌출기구(51)들을 포함하는 경우, 2개의 돌출기구(51)들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돌출기구(51)들은 각각 상기 제1돌출부재(511) 및 상기 제2돌출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돌출기구(51)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돌출기구(51)는, 제1변(42a)을 따라 마련되는 제1돌출부재(511) 및 상기 제2변(42b)을 따라 마련되는 제2돌출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제2돌출기구(51)는, 제1변(42a)에 대향되는 제3변(42c)을 따라 마련되는 제1돌출부재(511) 및 상기 제2변(42b)에 대향되는 제4변(42d)을 따라 마련되는 제2돌출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기구(51)는 상기 제1변(42a)과 상기 제2변(42b)이 연결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돌출기구(51)는 상기 제3변(42c)과 상기 제4변(42d)이 연결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5)는 2개의 돌출기구(51)들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2개의 삽입홈(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광흡수부(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광흡수부(6)의 위치를 상기 수용홈(41) 및 상기 측벽(42)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돌출기구(51)에 결합된다.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돌출기구(51)에 조사되는 광을 흡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기 돌출기구(51)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빛샘 현상 등으로 인해 영상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돌출기구(51)의 내측면(5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면(51a)은 상기 돌출기구(51)가 갖는 측면의 일부로, 상기 미들프레임(4)의 측벽(42)에서 상기 수용홈(41) 쪽을 향하는 내측방향(ID)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수용홈(41)에 수용된 디스플레이모듈(2)로부터 외측방향(OD)으로 방출되는 광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기 돌출기구(51)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측방향(OD)은 상기 내측방향(ID)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용홈(41)에서 상기 미들프레임(4)의 측벽(42)을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돌출기구(51)의 외측면(51b)에 위치되게 마련되는 관통공(61, 도 10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51b)은 상기 돌출기구(51)가 갖는 측면의 일부로, 상기 외측방향(OD)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돌출기구(5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로부터 방출된 광이 조사되지 않는 부분까지 광흡수부(6)가 불필요하게 구비되지 않도록 구현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0에는 상기 관통공(61)이 상기 광흡수부(6)에서 대략 절반에 해당하는 크기를 차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기 돌출기구(51)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이면 상기 관통공(61)은 상기 광흡수부(6)에서 절반 미만의 크기 또는 절반 이상의 크기를 차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상기 광흡수부(6)가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광흡수부(6)는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광흡수부(6)가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광흡수부(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기구(51)의 상면에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돌출기구(51)의 내측면(51a, 도 10에 도시됨) 및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기 돌출기구(51)의 상면에 반사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함으로써, 영상의 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돌출기구(51)에 광을 흡수할 수 있는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돌출기구(51)에 검은색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돌출기구(51)에 광을 흡수할 수 있는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돌출기구(51)에 검은색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돌출기구(51)에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레진을 코팅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흡수부(6)는 상기 돌출기구(51)에 검은색 레진을 코팅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커버부(3)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커버부(3)의 밑면(31)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터치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장치 2 : 디스플레이모듈
3 : 커버부 4 : 미들프레임
5 : 결합부 6 : 광흡수부
41 : 수용홈 42 : 측벽
51 : 돌출기구 52 : 삽입홈

Claims (12)

  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미들프레임;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기구; 및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기구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벽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기구는 상기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커버부의 밑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기구에 결합되는 광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벽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광흡수부는 상기 미들프레임의 측벽에서 상기 수용홈 쪽을 향하는 내측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돌출기구의 내측면, 및 상기 돌출기구의 상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미들프레임;
    상기 커버부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기구; 및
    상기 측벽에 마련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기구는 상기 측벽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벽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기구는 상기 커버부의 밑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측벽의 상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벽의 상면에 대해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측벽의 상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기구는 상기 미들프레임의 측벽이 갖는 제1변을 따라 마련되는 제1돌출부재, 및 상기 제1변에 연결되는 미들프레임의 제2변을 따라 마련되는 제2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재 및 상기 제2돌출부재는 서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기구에 결합되는 광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부는 상기 미들프레임의 측벽에서 상기 수용홈 쪽을 향하는 내측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돌출기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부는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미들프레임의 측벽을 향하는 외측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돌출기구의 외측면에 위치되게 마련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강화유리, 커버 플라스틱, 및 메탈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사이에 마련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40181869A 2014-12-16 2014-12-16 디스플레이장치 KR102234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869A KR102234181B1 (ko) 2014-12-16 2014-12-16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869A KR102234181B1 (ko) 2014-12-16 2014-12-16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515A true KR20160073515A (ko) 2016-06-27
KR102234181B1 KR102234181B1 (ko) 2021-03-31

Family

ID=5634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869A KR102234181B1 (ko) 2014-12-16 2014-12-16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0742A (zh) * 2019-04-17 2020-10-27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5035799A (zh) * 2022-06-23 2022-09-09 厦门天马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891A (ko) * 2007-12-26 2009-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00072504A (ko) * 2008-12-22 2010-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13191208A (ja) * 2012-03-13 201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る携帯端末
KR20140021333A (ko) * 2012-08-10 2014-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891A (ko) * 2007-12-26 2009-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00072504A (ko) * 2008-12-22 2010-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13191208A (ja) * 2012-03-13 201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る携帯端末
KR20140021333A (ko) * 2012-08-10 2014-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0742A (zh) * 2019-04-17 2020-10-27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5035799A (zh) * 2022-06-23 2022-09-09 厦门天马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和显示装置
CN115035799B (zh) * 2022-06-23 2023-12-26 厦门天马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和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181B1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8757B2 (en) Display device having mold frame with elastic protective member
US9323087B2 (en)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3187281A1 (ja) 表示装置
WO2015022887A1 (ja) 表示装置
US9116275B2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US9322980B2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KR101569076B1 (ko) 렌즈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61247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47919B1 (ko) 평판 표시 장치
KR10196954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2034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US9049781B2 (en) Display apparatus
JP6530949B2 (ja) 医療用モニター、電子機器、及び映像表示ユニット
KR20160073515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143936A (ko) 표시 장치
JP5677996B2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043968B1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298576A (ja) 弾性リブを有するインジケータ回路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30335668A1 (en) Front Fr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20807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TWI566004B (zh) 顯示器、顯示裝置及顯示裝置組裝方法
JP2013257480A (ja) 表示装置
TWI409729B (zh) 顯示裝置及其組裝方法
US10162101B2 (en) Backlight module
KR102236377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