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503A -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503A
KR20160073503A KR1020140181824A KR20140181824A KR20160073503A KR 20160073503 A KR20160073503 A KR 20160073503A KR 1020140181824 A KR1020140181824 A KR 1020140181824A KR 20140181824 A KR20140181824 A KR 20140181824A KR 20160073503 A KR20160073503 A KR 2016007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guidance
information
voice
uniqu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216B1 (ko
Inventor
김주완
김정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2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6/00Signals and indicators
    • Y10S116/17Tacti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음성 안내 장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음성 안내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음성 안내 시스템은 음성 안내 장치들로부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장치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음성 안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VOICE GUIDAN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음성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안내 장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음성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성 안내 장치는 보행자의 횡단을 안내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보행 신호 음성 안내 보조 장치 또는 음성 안내 보조 장치라고도 지칭할 수 있다. 특히, 시각 장애인에게 사물의 위치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소리를 이용하여 알려주는 방법은 매우 중요하므로, 음성 안내 장치는 횡단 보도, 지하철 또는 공공 기관 등을 안내하기 위해 곳곳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현재에는 음성 안내 장치의 일정한 범위 내에서 무선 리모컨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리모컨 겸용 음성 안내 장치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리모컨 겸용 음성 안내 장치는 리모컨에서 발생되는 특정 코드를 수신하면 무조건 동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횡단 보도, 지하철 또는 공공 기관 등의 주변에 리모컨 겸용 음성 안내 장치들이 밀집되어 설치된 경우, 무선 리모컨에서 발생되는 특정 코드에 상응하여 여러 개의 리모컨 겸용 음성 안내 장치들이 동시에 동작함으로써 오히려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혼선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시각 장애인은 통상적으로 주변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리모컨 겸용 음성 안내 장치들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무선 리모컨을 지속적으로 동작시키면서 보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무선 리모컨의 특정 코드를 수신한 여러 개의 리모컨 겸용 음성 안내 장치들은 동시에 음성 안내 멘트가 동작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혼선을 줄 뿐만 아니라 소음에 대한 민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 겸용 음성 안내 장치들은 한 지역 내에 설치할 수 있는 개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제공하는 음성 안내 멘트 또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안내 장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음성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안내 장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음성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은 음성 안내 장치들로부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안내 장치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음성 안내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식별 번호 정보, 위치 정보 및 음성 안내 멘트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변환부, 상기 변환된 정보를 표출하는 정보 표출부, 상기 변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 및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음성 안내 멘트를 선택하여 선택 결과를 생성하는 정보 선택부, 상기 선택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보 변환부는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보 선택부는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 및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음성 안내 멘트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선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보 선택부는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 및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음성 안내 멘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선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미리 저장된 자신의 식별 번호 정보, 위치 정보 및 음성 안내 멘트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음성 안내 멘트를 활성화 시키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활성화된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음성 안내 장치들은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방법은 음성 안내 장치들이 원격 제어 장치에게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수신된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안내 장치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에게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식별 번호 정보, 위치 정보 및 음성 안내 멘트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정보를 표출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 및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음성 안내 멘트를 선택하여 선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변환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 및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음성 안내 멘트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선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 및 상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음성 안내 멘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선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음성 안내 멘트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이 현재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들에 대한 목록을 미리 인지하고,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만을 선별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으로 인한 시각 장애인의 보행 혼선을 막을 수 있고, 소음에 대한 민원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들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를 선별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를 통해 음성 안내 멘트를 선별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한 지역 내에 여러 개의 음성 안내 장치들을 밀집되게 설치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음성 안내 멘트들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어 시각 장애인에게 보다 편리한 보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교차로 횡단 보도에 설치된 음성 안내 장치들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지하도 또는 건물에 설치된 음성 안내 장치들 중에서 일부만을 선별적으로 선택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100) 및 음성 안내 장치(200)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후술할 음성 안내 장치들(200)를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는 무선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TV 응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또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이거나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거나 부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해 화면간 또는 화면내 예측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서, 원격 제어 장치(100)는 한 개의 음성 안내 장치 즉 제1 음성 안내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음성 안내 장치 즉, 제1 음성 안내 장치(200) 및 제2 음성 안내 장치에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 개 이상의 음성 안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음성 안내 장치(200)와 제2 음성 안내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제1 음성 안내 장치(200)와 제2 음성 안내 장치를 구분하지 않고 음성 안내 장치(200)라 지칭하여 설명한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로부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은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로부터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은 자신의 서비스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즉,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수신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는 한 개 이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의 식별 번호 정보, 위치 정보 및 음성 안내 멘트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에 포함된 모든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통신부(110), 정보 변환부(120), 정보 표출부(130), 정보 선택부(140) 및 신호 생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200)에 포함된 제2 통신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와 제2 통신부(22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통신부(110)와 제2 통신부(220)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통신부(110)와 제2 통신부(220)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부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10)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또는 송신하는 기능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신부(112) 및 제1 송신부(114)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신부(112)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로부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어서, 제1 수신부(112)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포함된 제2 통신부(220)로부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수신부(112)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포함된 제2 송신부(224)로부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신부(114)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송신부(114)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에 포함된 제2 통신부(220)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송신부(114)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에 포함된 제2 수신부(222)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부터 수신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후술할 정보 변환부(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보 변환부(120)는 상술한 제1 통신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변환부(120)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 변환부(120)는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정보 변환부(120)는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정보 변환부(120)는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를 자동적으로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보 변환부(120)는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명령에 의해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음성 정보 또는 점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예서, 정보 변환부(120)는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음성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보 변환부(120)는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점자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점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변환부(120)는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를 후술할 정보 표출부(130)와 후술할 정보 선택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 표출부(130)는 상술한 정보 변환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표출부(130)는 정보 변환부(120)로부터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 표출부(130)는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게 표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정보 표출부(130)는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음성 정보를 음성으로 표출하는 음성 표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표출 장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보 표출부(130)는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점자 정보를 점자로 표출하는 점자 표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0)는 현재 위치에서 서비스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정보들을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표출할 수 있다. 특히, 원격 제어 장치(100)는 현재 위치에서 서비스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정보들을 모두 표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일부 음성 안내 장치(200)들만 선별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정보 선택부(140)는 상술한 정보 변환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선택부(140)는 정보 변환부(120)로부터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 선택부(140)는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 및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음성 안내 멘트를 선택하여 선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정보 선택부(140)는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 및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음성 안내 멘트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선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보 선택부(140)는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 및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음성 안내 멘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선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50)는 상술한 정보 선택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50)는 정보 선택부(140)로부터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 및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음성 안내 멘트를 선택하여 생성된 선택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신호 생성부(150)는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 및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음성 안내 멘트를 선택하여 생성된 선택 결과에 상응하여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50)는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술한 제1 통신부(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보행자의 횡단을 안내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보행 신호 음성 안내 보조 장치 또는 음성 안내 보조 장치라고도 지칭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음성 유도기, 음향 신호기 및 버스 부착용 음성 유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유도기는 지하철 또는 공공 건물 등에 설치되어 시각 장애인들이 송신하는 리모컨의 전파를 수신하여 건물의 정보를 안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음향 신호기는 교통 신호 제어기와 연결된 횡단 보도 신호등의 보행 신호등에 설치되어 시각 장애인들이 송신하는 리모컨의 전파를 수신하여 횡단 보도의 진입 유무를 안내하는 장치일 수 있다.
버스 부착용 음성 유도기는 버스 정류장에서 시각 장애인의 버스 승차를 지원하기 우해 버스 번호를 알려주는 장치일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음성 안내 장치(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원격 제어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음성 안내 장치(200)는 두 개 이상의 원격 제어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상술한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음성 안내 장치(200)는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성 안내 장치(200)는 자신의 서비스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즉,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정보 생성부(210), 제2 통신부(220), 정보 처리부(230) 및 음성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210)는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자신의 식별 번호 정보, 위치 정보 및 음성 안내 멘트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고유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성 안내 장치(200)에 포함된 모든 정보들에 기초하여 고유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210)는 생성된 고유 식별 정보를 후술할 제2 통신부(2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는 상술한 정보 생성부(210), 원격 제어 장치(100)와 후술할 정보 처리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는 정보 생성부(21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통신부(220)는 고유 식별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즉, 제2 통신부(220)는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통신부(220)는 자신의 서비스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 즉,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22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있다. 제2 통신부(220)는 수신된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후술할 정보 처리부(2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a, 22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또는 송신하는 기능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송신부(224) 및 제2 수신부(222)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송신부(224)는 정보 생성부(21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송신부(224)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송신부(224)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제1 통신부(110)에게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송신부(224)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제1 수신부(112)에게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2 송신부(224)는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송신부(224)는 자신의 서비스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즉,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제2 수신부(222)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수신부(222)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제1 통신부(110)로부터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수신부(222)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제1 송신부(114)로부터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신부(222)는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후술할 정보 처리부(2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230)는 제2 통신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처리부(230)는 제2 통신부(220)로부터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 처리부(230)는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음성 안내 멘트들 중에서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음성 안내 멘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정보 처리부(230)는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처리(Processing)하고, 처리된 신호에 상응하는 음성 안내 멘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음성 출력부(240)는 정보 처리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40)는 정보 처리부(230)에서 활성화된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출력부(24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예서, 교차로 횡단 보도에 위치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200)는 보행 신호등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보행 신호등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200)는 사용자 동작 명령에 따라 음성 안내 멘트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입구에 위치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200)는 사용자 동작 명령에 따라 “XX 건물 출입구 입니다.”라는 획일된 음성 안내 멘트 대신 “XX 건물의 운영 시간은 X시부터 X시까지 입니다.”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다양한 안내 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들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를 선별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를 통해 음성 안내 멘트를 선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리모컨의 특정 코드를 수신한 여러 개의 리모컨 겸용 음성 안내 장치들이 음성 안내 멘트를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혼선을 줄 뿐만 아니라 소음에 대한 민원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종래의 음성 안내 시스템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이 현재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들에 대한 목록을 미리 인지하고,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만을 선별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으로 인한 시각 장애인의 보행 혼선을 막을 수 있고, 소음에 대한 민원도 줄일 수 있다.
또한, 한 지역 내에 설치할 수 있는 리모컨 겸용 음성 안내 장치들의 개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제공하는 음성 안내 멘트 또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종래의 음성 안내 시스템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들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를 선별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를 통해 음성 안내 멘트를 선별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한 지역 내에 여러 개의 음성 안내 장치들을 밀집되게 설치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음성 안내 멘트들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어 시각 장애인에게 보다 편리한 보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시스템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의 간명성을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방법은 음성 안내 장치(200)들이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300), 원격 제어 장치(100)가 수신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장치(200)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400), 원격 제어 장치(100)가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500) 및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먼저,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이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300).
원격 제어 장치(100)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서, 원격 제어 장치(100)는 한 개의 음성 안내 장치 즉 제1 음성 안내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음성 안내 장치 즉, 제1 음성 안내 장치(200) 및 제2 음성 안내 장치에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 개 이상의 음성 안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음성 안내 장치(200)와 제2 음성 안내 장치는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는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설명의 간명성을 제1 음성 안내 장치(200)와 제2 음성 안내 장치를 구분하지 않고 음성 안내 장치(200)라 지칭하여 설명한다.
즉,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이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은 자신의 서비스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즉, 원격 제어 장치(100)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의 식별 번호 정보, 위치 정보 및 음성 안내 멘트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에 포함된 모든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S300 단계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수신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로부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즉, 시각 장애인이 사용자 단말 장치 즉, 원격 제어 장치(100)를 가지고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의 서비스 범위 내에 들어가게 되면, 시각 장애인의 원격 제어 장치(100)는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주기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방송되는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들을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교차로 횡단 보도에 설치된 음성 안내 장치들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교차로 횡당 보도 주위에는 8개의 음성 안내 장치들(A, B,…)이 설치될 수 있다. 교차로 횡당 보도 주위에 설치된 8개의 음성 안내 장치들(A, B, …) 은 자신의 서비스 범위(aa, bb, …) 내에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안내 장치 A는 aa만큼의 서비스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 장치 B는 bb만큼의 서비스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이 사용자 단말 장치 즉, 원격 제어 장치(100)를 가지고 음성 안내 장치 A의 서비스 범위 aa 내 및 음성 안내 장치 B의 서비스 범위 bb 내에 들어 가게되면, 시각 장애인의 원격 제어 장치(100)는 음성 안내 장치 A 및 B에서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은 원격 제어 장치(100)를 통해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 A 및 B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S 410 단계 이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20).
즉,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를 자동적으로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명령에 의해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음성 정보 또는 점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예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음성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목록 및 음성 안내 멘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점자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점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420 단계 이후,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를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게 표출할 수 있다(S430).
일 예에서,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음성 정보를 음성 표출 장치를 통해 음성으로 표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표출 장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점자 정보를 점자 표출 장치를 통해 점자로 표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0)는 현재 위치에서 서비스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정보들을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표출할 수 있다. 특히, 원격 제어 장치(100)는 현재 위치에서 서비스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200)들에 대한 정보들을 모두 표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일부 음성 안내 장치(200)들만 선별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S430 단계 이후,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 및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음성 안내 멘트를 선택하여 선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S440).
일 예에서,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 및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음성 안내 멘트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선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각 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변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 및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음성 안내 멘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선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S440 단계 이후,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 및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음성 안내 멘트를 선택하여 생성된 선택 결과에 상응하여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지하도 또는 건물에 설치된 음성 안내 장치들 중에서 일부만을 선별적으로 선택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하도 또는 건물 주위에는 4 개의 음성 안내 장치들(C, D, E, F)이 설치될 수 있다. 지하도 또는 건물 주위에 설치된 4개의 음성 안내 장치들(C, D, E, F)은 자신의 서비스 범위(cc, dd, ee, ff) 내에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안내 장치 C는 cc만큼의 서비스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 장치 D는 dd만큼의 서비스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 장치 E는 ee만큼의 서비스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 장치 F는 ff만큼의 서비스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이 사용자 단말 장치 즉, 원격 제어 장치(100)를 가지고 음성 안내 장치 F의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을 때, 서비스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들은 C, D, E, F일 수 있지만, 이미 지나온 음성 안내 장치 C에 대한 음성 안내는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시각 장애인이 음성 안내 장치 F 주변의 도서관을 찾는다고 가정하면, 시각 장애인이 사용자 단말 장치 즉, 원격 제어 장치(100)를 가지고 음성 안내 장치 F의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을 때, 서비스 가능한 음성 안내 장치들은 C, D, E, F일 수 있지만, 음성 안내 장치 D와 E에서 출력되는 음성 안내 멘트가 화장실 위치 관련 음성 안내 멘트인 경우, 음성 안내 장치 D와 E에 대한 음성 안내 멘트는 불필요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불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 및 음성 안내 장치의 불필요한 안내 멘트들을 선별적으로 제외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S 400 단계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500).
즉, 원격 제어 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가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S60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500 단계 이후,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200)가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10).
이후,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S620). 즉,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음성 안내 멘트들 중에서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음성 안내 멘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처리(Processing)하고, 처리된 신호에 상응하는 음성 안내 멘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후, 활성화된 음성 안내 멘트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630). 여기에서,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원격 제어 장치 110: 제1 통신부
112: 제1 수신부 114: 제1 송신부
120: 정보 변환부 130: 정보 표출부
140: 정보 선택부 150: 신호 생성부
200: 음성 안내 장치 210: 정보 생성부
220: 제2 통신부 222: 제2 수신부
224: 제2 송신부 230: 정보 처리부
240: 음성 출력부

Claims (1)

  1. 음성 안내 장치들로부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안내 장치들 중에서 필요한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음성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시스템.
KR1020140181824A 2014-12-16 2014-12-16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98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824A KR101982216B1 (ko) 2014-12-16 2014-12-16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824A KR101982216B1 (ko) 2014-12-16 2014-12-16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503A true KR20160073503A (ko) 2016-06-27
KR101982216B1 KR101982216B1 (ko) 2019-05-27

Family

ID=5634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824A KR101982216B1 (ko) 2014-12-16 2014-12-16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2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026Y1 (ko) * 2000-10-07 2001-03-15 주식회사한길핸디케어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
KR200329406Y1 (ko) * 2003-06-25 2003-10-17 손삼호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 장치
JP2006153711A (ja) * 2004-11-30 2006-06-15 Towa Kk 携帯端末を用いた案内情報報知システム
KR101065669B1 (ko) * 2010-03-16 2011-09-19 (주) 파이시스네트웍스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026Y1 (ko) * 2000-10-07 2001-03-15 주식회사한길핸디케어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
KR200329406Y1 (ko) * 2003-06-25 2003-10-17 손삼호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 장치
JP2006153711A (ja) * 2004-11-30 2006-06-15 Towa Kk 携帯端末を用いた案内情報報知システム
KR101065669B1 (ko) * 2010-03-16 2011-09-19 (주) 파이시스네트웍스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216B1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62452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 sound signal
CN108139215B (zh) 利用声音信号对人员的路径导引
CN103474068A (zh) 实现语音命令控制的方法、设备及系统
CN108154877B (zh) 空气调节器的语音播报方法及装置
JP2020121852A (ja) エレベータ利用システム、記憶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55266B2 (en) Relay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748777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KR101982216B1 (ko)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09436A (ko) 안경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교통신호 안내시스템
KR101154424B1 (ko) 음성 안내 시스템 및 음성 안내 방법
KR101633308B1 (ko) 시각 장애인용 자동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7605A (ko) 사용자 단말의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005208A (ja) 音送信システム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2016066983A (ja) 通訳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通訳サービス方法
KR20110000024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3654A (ko) 역사 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장치
JP2016115254A (ja) 携帯端末、信号ポー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019807A (zh) 用于导航的方法和装置
KR20140033293A (ko) 자동차 및 그의 단말기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Hansen et al. Collecting location-based voice messages on a TalkingBadge
KR101155529B1 (ko) Usn 기반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KR10133327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공정보 안내시스템의 무선 음성수신 시스템
KR101413496B1 (ko) Tts를 이용한 무선방송장치 및 무선방송방법
KR101065669B1 (ko)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KR102467090B1 (ko)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