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442A - 살균수 생성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살균수 생성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442A
KR20160073442A KR1020140180948A KR20140180948A KR20160073442A KR 20160073442 A KR20160073442 A KR 20160073442A KR 1020140180948 A KR1020140180948 A KR 1020140180948A KR 20140180948 A KR20140180948 A KR 20140180948A KR 20160073442 A KR20160073442 A KR 2016007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ntal
electrode
sterilizing
electrolytic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만
강용구
Original Assignee
장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만 filed Critical 장성만
Priority to KR102014018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442A/ko
Publication of KR2016007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3Wastewater from hospitals, laboratories and the like, heavily contaminated by pathogenic microorgan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입 헹굼수 및 핸드피스용 물에 사용하는 살균수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장치를 물의 공급 라인 중간에 설치함으로써 치과 내의 모든 유닛체어에 살균수를 공급하여 환자의 감염 방지 및 환자로부터 핸드피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살균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는 전해조, 전기 분해용 전극, 전해조 상부의 둥근 구조, 전해조에 전원을 공급하고 주기적으로 전극의 극성을 바꿔 스케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 공급장치, 전해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전해조 내부의 온도에 따라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폭발 방지장치, 전해조의 물 흐름을 감지하여 전극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물 흐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살균수 생성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lectrode and Equipment for seterilizing water of dental clinic}
본 발명은 치과에서 사용하는 입 헹굼수 및 핸드피스용 일반수를 살균수로 전환시키는 것을 용도로 하는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치과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입안을 헹굴 때 사용하는 헹굼수, 이를 갈아내는 드릴작업에 사용하는 핸드피스의 마찰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물을 분무하면서 드릴 작업을 하고 있는데, 헹굼수나 핸드피스용 물의 수질 관리가 되지 않아 일반세균이 기준치를 훨씬 초과하는 상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일반세균에 오염된 물을 헹굼수나 핸드피스용 물로 사용하게 될 경우, 치아나 잇몸의 상처부위로 헹굼수나 핸드피스용 물에 포함된 세균이 감염되어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더욱이 핸드피스의 경우,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가 멈출 때 순간적으로 핸드피스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여 입안의 물 또는 안개처럼 떠있는 작은 물입자가 핸드피스 내부로 역류가 발생할 수 있이 일어날 수 있고, 이 물에 묻어 있던 환자의 구강 세균이 핸드피스 내부로 유입되어 핸드피스를 오염시켰다가, 다른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입안으로 방출되어 다른 환자를 감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핸드피스와 물의 살균 관리는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현재 핸드피스로 물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기술적으로 어려운 일이며, 세균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관리하는 방법은 물이 공급되는 수관과 핸드피스를 분해하여 주기적으로 살균제등을 사용하여 소독하는 방법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방법은 청소 및 소독을 상당히 자주 해야 실효성이 있지만, 핸드피스의 역류로 인한 오염은 환자를 치료할 때마다 매번 발생하고 있기에 세균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이 되지 못하고 임시 처방적인 방법에 불과하며, 또한 조금만 소독을 게을리 하게 되면 금새 다시 세균이 번식하여 수관 및 핸드피스를 오염시키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특허문헌 1에서는 염소농도 50~700 ppm 를 함유하는 살균수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 살균수로 가글할 경우 입안의 치주 병원균, 우식병원균 및 구강내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나, 이것은 지나치게 염소농도가 높아 실제 치과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야채나 조리기구등을 살균할 때의 염소농도는 100 ppm 정도에서 살균하도록 하고 있고, 살균을 마친 후에도 깨끗한 물로 충분히 헹구어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어 실제 야채를 섭취할 때의 염소농도는 100 ppm 보다 훨씬 낮은 농도로 섭취하게 된다. 식수의 염소농도 상한선도 4 ppm 이 최대 허용량으로 4 ppm 이상은 식수로 사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50~700 ppm 의 염소 농도를 가지는 살균수를 치과에서 바로 입안 헹굼용이나 핸드피스용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입안의 상처로 바로 흡수되거나, 상처가 없더라도 입안의 피부층은 상당히 얇기 때문에 피부를 통하여 상당부분 흡수가 일어 날 수 있다. 또한 치과 치료 과정에서 물을 삼킬 수도 있기 때문에 치과용 살균수로는 부적합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출원인은 세균을 살균하면서도 식수로도 음용이 가능한 살균수 제조장치를 개발하여 이렇게 만들어진 살균수를 치과에서 입 헹굼수 및 핸드피스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살균수가 실제 여러가지 세균에 대하여 살균력을 가지고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특허문헌 2에서는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제조한 살균수를 치과용으로 사용하는 장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고, 살균장치 및 각종 안전장치들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살균수의 살균력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치과용 입 헹굼수나 핸드피스용 살균수로 사용하는 근본적인 목적이 살균이 가능한 물의 제조임에도 불구하고 제조된 물에 살균력이 없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장치에 불과할 것이다. 전기분해 방법을 이용한 기존의 살균수 제조장치들은 백금 또는 백금 도금된 전극을 사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전극으로는 일반수를 전기분해하여 충분한 살균력을 가지는 살균수를 제조할 수 없다. 이런 이유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소금물을 추가로 투입하여 살균력을 높이는 장치가 필요했다.
본 출원인은 소금물 투입장치 같은 추가 장비 없이도 일반수를 살균이 충분히 가능한 살균수로 제조할 수 있는 전극을 개발하였고, 이 전극을 이용하여 제조된 살균수가 치과 입 헹굼수 및 핸드피스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수준의 살균력을 가지고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특허 제1044297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특허 제1441562호
세균으로 오염되기 쉬운 치과의 입 헹굼수 및 핸드피스용 물을 살균수로 전환시켜, 세균이 없는 위생적인 위생 살균수로 제조하고, 환자의 입안으로부터 핸드피스가 세균 오염되었을 때, 유입된 세균을 살균하여 다른 환자로의 감염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및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는 일반수를 전기분해하여살균수로 변환시키는 전극(12); 전기 분해가 일어나는 전해조 (11); 전해조의 이상작동으로 인한 내부 압력 증가 및 인화성인 수소, 산소 가스 발생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전해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21) 및 폭발 방지 장치(22); 온도 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면서 주기적으로 극성을 바꿔 전극에 스케일 발생을 억제하는 전원공급장지 (31);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살균수를 사용할 때만 살균수를 제조하도록 전원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물 흐름 감지 센서 (41);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전극은 루데늄, 로듐, 파라듐, 오스뮴, 이리듐, 금, 은, 크롬, 철, 납, 티타늄, 망간, 코발트, 니켈, 몰리브덴, 텅스텐, 알루미늄, 규소, 아연, 주석 및 이들의 합금 혹은 혼합물 중에 선택된 것으로 제조된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전극은 전해조의 물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고 600 ml/분의 속도로 흐르는 상태에서도 4ppm 의 염소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는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전해조의 상부 구조 (51)는 전기분해시에 발생하는 인화성이 강한 수소 및 산소 가스가 전해조 내부에 고여 폭발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전해조의 상부 구조가 둥근 원형으로 제조된 전해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폭발 방지 장치 (22)는 전해조 내부에 전기분해가 일어나지 않아야할 상황에서 의도하지 않게 전기분해가 일어나면, 전해조에 설치된 온도센서 (21)로부터 전해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더 이상 전기 분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전해조 내부에 수소 및 산소 가스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폭발 방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전원공급장치 (31)는 전극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대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분해 장치는 전해조의 전극에는 직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교류를 사용하는 일반 전기 공급을 직류 전기로 바꿔주는 전원공급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지속적으로 전기분해를 하게되면 물 속에 녹아있는 여러가지 이온들이 전극에 부착되어 상당한 두께의 스케일이 전극에 부착되어 전기 분해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전극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반대 전극끼리 접촉되어 전기 합선의 위험까지 발생할 수 있게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정된 시간마다 전극의 극성을 서로 바꿔줌으로써 물속의 이온들이 전극에 달라붙지 못하게 함으로써, 전기 분해의 효율을 최대로 유지시키고, 전극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전기 합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물 흐름 감지 센서 (41) 는 입 헹굼수를 사용하거나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물 흐름이 발생하였을 때, 물 흐름을 감지하여 물이 흐를 때에만 전해조에서 전기분해가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장치는 본 장치를 통과하는 일반수를 살균수로 전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료용 유닛체어에 물을 공급하는 메인 정수 시스템에 설치하면 치과 내의 모든 유닛체어의 입 헹굼수 핸드피스등 물을 사용하는 모든 곳에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장치는 전기분해를 통하여 생성되는 염소의 양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극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백금전극보다 월등히 높은 농도의 염소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그 결과 기존 백금 전극에서는 별도로 소금용액을 투여하여 높은 농도의 염소를 만들고 다시 적절한 농도를 희석해 주어야 하는 단점을 극복하고, 소금 투여 장치 및 희석장치 없이도 일반수로부터 직접 적당한 농도의 염소 농도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장치는 생성되는 살균수가 1~4 ppm 의 염소 농도를 가지므로, 염소 농도 4 ppm 이하인 음용수 기준을 충족하기 때문에 직접 먹어도 인체에 해가 없으면서도 우수한 살균 효과를 가지는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장치에서 생성되는 살균수는 각종 세균에 대하여 살균 효과를 가져, 입 헹굼용으로 사용하는 물은 물론 환자의 타액으로부터 오염된 핸드피스 내부의 세균도 살균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입 헹굼수로부터의 세균 오염은 물론이고, 다른 환자에서 오염된 핸드피스로부터의 2차 오염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피스 또는 입 헹굼수를 사용할 때만 전기분해가 작동하여, 인화성이 강한 산소 및 수소 가스가 전해조에 고여있지 않도록 하고, 전해조의 상부를 곡면처리하여 가스가 고여있을 공간을 없앴으며, 전해조의 온도를 감지하여 비정상적인 전기분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갖추고 있어, 장치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전기분해를 하게 되면 물 속의 금속 이온들이 전극에 달라 붙어 스케일을 형성하게 되어, 전극의 수명을 단축하고 심하면 합선을 일으킬 수도 있는 위험이 있는데 반하여, 본 장치는 전극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스케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고, 전극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합선의 위험을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 전해조
12 : 전극
21 : 온도센서
22 : 폭발 방지 장치
31 : 전원 공급 장치
41 : 물 흐름 감지 센서
51 : 전해조 상단부의 곡면 구조
61 : 원수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생성 장치 및 그 생성 방법, 그리고 그 생성 장치의 실시형태에 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품 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의 개략도로써 3.5 ppm 의 염소 농도를 생성하여 살균력을 가지면서도 그대로 음용수로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해조 (11), 전해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31), 전해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 (21), 온도 센서로부터 받은 온도 신호에 따라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폭발 방지 장치 (22), 전해조 내의 물 흐름을 감지하는 물 흐름 감지 센서 (41) 로 구성되어 있다.
본 살균수 제조장치는 치과 진료시에 사용되는 물 공급 라인의 중간 어디에라도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별도의 밸브나 펌프등으로 물 흐름을 제어하지 않고 기존의 치과 유닛체어에서 물의 공급을 열거나 차단함에 따라서 전해조에 원수(61)가 공급되거나 멈추게 된다. 도1에서와 같이 원수 (61)는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정수기를 거친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원수가 전해조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극 (12)를 지나면서 전기분해되어 염소를 생성하게 된다.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면서 수소와 산소 가스가 함께 발생하게 되는데, 수소와 산소 가스는 인화성이 강하므로 전해조에 고여있게 되면 전극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스파크에 의해 폭발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전해조의 상부 구조는 기체가 고여있을 수 없도록 원형(51) 으로 제조하여 전해조 상부에 부착된 출수구로 물이 빠져나가면서 함께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해조에서 빠져나온 살균수는 물 흐름 감지센서 (41) 를 지나면서 물이 흐르고 있다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는 전원 공급 장치 (31) 에 전달되어 물이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전원공급장치에서 전극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물이 흐르지 않을 때에도 전극에 전원이 공급되면 물의 전기분해로 발생하는 수소와 산소 가스가 전해조 내부에 고이게 되어 전해조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이 압력으로 전해조가 폭발을 일으킬 수도 있으며, 수소와 산소 가스 자체가 강력한 인화성을 가지므로 전극에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인화되어 폭발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하여 물이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전기 분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전원을 차단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장치는 상기의 물 흐름 감지 센서가 물이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나 어떤 이유로 물이 흐르지 않을 때에 전원이 공급되게 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온도 감지 센서 (21) 및 폭발 방지 장치 (22) 를 갖추고 있다. 물이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 전기 분해가 이루어 지면 외부에서 온도가 낮은 새로운 물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전해조 내부의 물의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온도 감지 센서는 전해조 내부의 온도를 항상 체크하여 전해조 내부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폭발 방지 장치 (22) 로 이 신호를 전달하고, 폭발 방지 장치는 이 신호를 다시 전원 공급장치 (31) 로 전달하여 전극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다.
실시예 1 전극
본 발명의 장치의 전해조에 사용하는 전극은 일반적인 전기 분해 장치에서 전극으로 사용하는 백금전극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가지 백금족의 금속 (루테늄, 로듐, 파라듐, 오스뮴, 이리듐) 이외에 금, 은, 크롬, 철 티타늄, 망간, 코발트, 니켈, 몰리브덴, 텅스텐, 알루미늄, 규소, 아연 및 주석으로 이루어지는 선택되는 1종 또는 1종 이상의 금속과의 합금, 또는 이들로 구성된 산화물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전극은 고내식성 소재인 티타늄을 기본으로 하고, 루테늄, 이리듐, 파라듐, 니켈, 텅스텐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 금속 또는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전극은 백금 또는 백금으로 코팅된 일반 전극과 비교하여 실시예 2에서 볼 수 있듯이 월등히 많은 양의 염소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살균수 생성
본 발명의 장치를 수돗물 또는 정수기를 거친 수돗물에 연결하고 2 리터/분의 속도로 물을 통과시키면서 30V 8A의 직류 전기로 수돗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제조하였다.
생성된 살균수에 함유된 염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리 염소 농도 측정 장치 (Hanna Instruments) 를 이용하여 유리 염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유리 염소의 농도 측정은 Hanna Instrument 에서 판매하는 시약 및 장치를 이용하여 제시된 실험 방법대로 실시하였다. 살균수를 측정 장치에 포함된 유리병의 눈금만큼 채우고 1회 분량으로 포장된 Free Chlorine Reagent 를 유리병에 넣어 발색 반응 시켰다. 유리병을 측정 장비에 넣고 발색 정도를 측정하여 유리 염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 장치의 염소 발생량을 기존의 백금 전극을 이용한 전기 분해 살균기와의 비교하였다. 본 발명 장치에서 전극만 백금 전극으로 교체하고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살균수를 제조한 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 염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장치와 백금 전극을 이용한 장치에서 생성된 유리 염소의 양은 표1 과 같다.
본 발명장치 백금 전극 장치
살균수 제조전 염소 농도 0.1 ppm 0.1 ppm
제조된 살균수의 염소 농도 3.5 ppm 0.1 ppm
위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백금을 전극으로 사용하는 전기 분해 살균장치는 흐르는 물에 대해서는 살균수로 쓸 수 있을 정도의 염소를 만들지 못하고 있는반면 본 발명장치에서는 실시예 3에서 볼 수 있듯이 충분한 살균력을 가지면서도 음용수의 기준인 4 ppm 이하에도 적합하여 먹어도 안전한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백금을 전극으로 사용하는 살균수 제조 장치의 경우 그릇에 물을 담아 전극을 물에 담그고 1~2분간 전기분해하여야 살균력을 가질 수 있는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으며, 현재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살균수 제조기들 모두 그릇에 담긴 물을 물의 양에 따라 1~3분간 전기분해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백금등을 사용한 기존의 살균수 제조장치는 흐르는 물에서는 충분히 살균력을 가질 수 있는 살균수를 제조할 수 없으며, 흐르는 물을 살균해야 하는 치과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반면, 본 발명장치의 경우 흐르는 물에서도 충분한 살균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치과용 살균수로 사용에 적합하다.
실시예 3 살균수의 살균력 실험
각 시험균주를 Brain heart infusion 에 접종하여 섭씨 37도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희석하여 초기 세균수가 1~9 x 105 CFU/ml 이 되도록 조정한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본 장치에서 제조된 살균수를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시험용액 20ml 에 각 시험균액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상온에서 2분동안 방치하였을 때, 각각의 세균수를 측정하여 초기 세균수에 대한 감소율을 알아보았다. 멸균 생리 식염수를 대조로 하여 세균수를 측정한 것을 초기 세균수로 표시하였다.
모든 실험의 최초 희석 단계에서는 D/E Neutralizing broth 를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배지에서 균이 증식한 경우,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최종 균수를 산출하였다. 배지에서 균이 전혀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감안하여 세균 감소율을 100%로 하지 않고 “99.9% 이상”으로 표시하였다.
모든 단계의 세균수의 측정은 Tryptic soy agar를 사용하였으며, 진균수의 측정은 Sabouraud agar 를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세균수 계산은 아래의 계산식 (식 1)에 따라 계산하였고 세균 감소율은 (식 2) 에 따라 결정하였다.
세균수 계산 (식 1) N = C x D
N : 세균수, C : 집락수 (2매의 집락 수 평균치), D : 희석배수 (희석액의 희석배수)
감소율 계산 (식 2) R (%) = [ ( A-B) / A ] x 100
R : 세균 감소율, A : 초기 세균수, B : 살균수 처리 후의 세균수
본 장치로부터 제조된 살균수의 살균력 실험 결과는 아래 표 2과 같다.
균주 초기 접종 세균수 (cfu/ml) 살균수 처리후 생존 세균수 (cfu/ml) 감소율 비고
Escherichia coli 6.3 x 105 0 99.9% 이상 대장균
Salmonella typhimurium 5.1 x 105 0 99.9% 이상 식중독균
Shigella flexneri 2.7 x 105 0 99.9% 이상 이질균
MRSA* 4.7 x 105 0 99.9% 이상 수퍼박테리아
Salmonella choleraesuis 4.2 x 105 0 99.9% 이상 급성패혈증균
Vibrio vulnificus 2.0 x 105 0 99.9% 이상 비브리오패혈증균
Candida albicans 2.1 x 105 0 99.9% 이상 피부병 진균
*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장치로부터 생성된 살균수는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에 대하여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람 음성 세균 및 이보다 더 튼튼한 세포벽을 가지고 있는 그람 양성 세균은 물론이고 세균보다 살균이 더 어려운 진균 (C. albican) 까지 살균할 수 있는 살균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티타늄을 기본으로 하고 이리듐, 루테늄, 로듐, 파라듐, 오스뮴, 금, 은, 크롬, 철, 납, 망간, 코발트, 니켈, 몰리브덴, 텅스텐, 알루미늄, 규소, 아연, 주석 및 이들의 합금 혹은 혼합물 중에 선택된 재료를 티타늄에 코팅한 전극으로 사용하는 살균수 제조용 물 전기분해 장치
  2. 치과용 입 헹굼수 (가글수) 및 핸드피스용 치과용 일반수를 유효 염소의 농도가 0.1~10 ppm 을 가지는 살균수로 변환시켜 환자가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과용 기구가 세균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살균수는 일반세균수 100 cfu/ml 이하 및 대장균군 불검출인 음용수의 세균 기준 규격에 적합하도록 살균력을 가진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유효 염소의 농도는 1~4 p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식수의 염소 기준치에 적합하여 음용이 가능하면서도 살균력도 갖춘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는 전해조, 전원공급장치, 물 흐름 감지 장치, 폭발방지장치로 구성된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전해조는 제1항의 전극을 사용한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전해조는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가스 및 산소가스가 전해조 내부에 고여있지 못하고 물의 흐름과 함께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전해조의 상부가 원형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전원공급장치는 전해조의 전극에 직류전기를 공급함에 있어서 1분 내지 24시간중 선택된 특정 시간마다 전극의 극성을 교대하여 전극에 발생하는 스케일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물 흐름 감지 장치는 살균수 제조장치에서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치과에서 헹굼수 및 핸드피스 사용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폭발방지장치는 전해조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섭씨10도 내지 섭씨40도 사이에서 선택된 설정 온도가 넘으면 자동으로 살균수 제조장치의 작동을 중지시켜 폭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11. 루데늄, 로듐, 파라듐, 오스뮴, 이리듐, 금, 은, 크롬, 철, 납, 티타늄, 망간, 코발트, 니켈, 몰리브덴, 텅스텐, 알루미늄, 규소, 아연, 주석 및 이들의 합금 혹은 혼합물 중에 선택된 전극을 사용한 전해조를 포함하고, 전극의 극성을 일정시간마다 교대하여 전극에 스케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운전 작동을 조절하는 물 흐름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온도센서를 이용한 폭발 방지 장치를 포함하며, 전해조에서의 전기분해를 통하여 치과용 입 헹굼수 (가글수) 및 핸드피스용 치과용 일반수를 유효 염소의 농도가 0.1~10 ppm 을 가지는 살균수로 변환시켜 환자가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과용 기구가 세균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치과용 살균수 제조방법

KR1020140180948A 2014-12-16 2014-12-16 살균수 생성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60073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948A KR20160073442A (ko) 2014-12-16 2014-12-16 살균수 생성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948A KR20160073442A (ko) 2014-12-16 2014-12-16 살균수 생성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442A true KR20160073442A (ko) 2016-06-27

Family

ID=5634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948A KR20160073442A (ko) 2014-12-16 2014-12-16 살균수 생성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4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6006A1 (ko) * 2018-11-21 2020-05-28 유대현 살균 전극 및 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297B1 (ko) 2008-02-08 2011-06-28 퍼펙트 페리오 주식회사 치과용 살균수 및 그 생성 방법, 그리고 그 생성 장치
KR101441562B1 (ko) 2011-01-24 2014-09-17 (주) 덴토존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297B1 (ko) 2008-02-08 2011-06-28 퍼펙트 페리오 주식회사 치과용 살균수 및 그 생성 방법, 그리고 그 생성 장치
KR101441562B1 (ko) 2011-01-24 2014-09-17 (주) 덴토존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6006A1 (ko) * 2018-11-21 2020-05-28 유대현 살균 전극 및 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leman et al. Biofilm problems in dental unit water systems and its practical control
US5709546A (en) Water sanitizing system and process
US6019905A (en) Process for sanitizing chlorinated water
EP2241322B1 (en) Dental sterilizing water, method for producing the water,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water
CA2399005A1 (en) Dental equipment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equipment
CN107326389A (zh) 一种可稳定保存的次氯酸溶液的生产方法
KR20060112378A (ko) 생리식염수의 제조 방법
JPWO2007072697A1 (ja) 殺菌水及びその生成方法並びに生成装置
KR20060049297A (ko) 치과 용수 급수방법 및 장치
Jeyapalan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efficacy of three immersion chemical disinfectants on clinically derived poly (vinyl siloxane) impressions
WO2000033757A1 (en) A system for decontamination of dental unit waterlines using electrolyzed water
JP7053507B2 (ja) 口腔ケア用抗菌剤の投与
KR20160073442A (ko) 살균수 생성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849618B1 (ko) 제어된 잔류 염소의 함량을 갖는 살균력이 높은 무취생리식염수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158423A (zh) 口腔医疗设备消毒装置及方法
KR100945188B1 (ko) 저농도의 잔류 염소를 함유한 의료용 살균 생리식염수의제조 방법
KR20090087317A (ko) 전해차아수 생성장치
CN210103520U (zh) 牙科综合治疗台水路消毒装置
KR20110124830A (ko)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JP4696255B2 (ja) 歯科用設備の殺菌方法、便器の殺菌方法および歯科用設備への電解水供給システム
KR20150019755A (ko)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WO2019045275A1 (ko) 살균제 또는 세정제를 생성할 수 있는 전기분해 장치 및 그것을 위한 전기분해 방법
CN215626963U (zh) 一种口腔综合治疗台水路消毒装置
KR200323948Y1 (ko)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100032265A (ko) 기능수 발생기가 구비된 유니트체어 내장형 치과용수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