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442A -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 Google Patents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442A
KR20160072442A KR1020140180047A KR20140180047A KR20160072442A KR 20160072442 A KR20160072442 A KR 20160072442A KR 1020140180047 A KR1020140180047 A KR 1020140180047A KR 20140180047 A KR20140180047 A KR 20140180047A KR 20160072442 A KR20160072442 A KR 2016007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ing
chamber
sea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르티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르티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르티앤엠
Priority to KR102014018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2442A/ko
Publication of KR2016007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5Pet food for dog, cat, bird, or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흰동가리돔의 산란부터 부화, 치어의 안정기 진입까지 적절한 환경의 조성과 먹이 공급을 통해 대량 인공 부화를 가능케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성체의 산란 및 수정을 유도하는 단계; (b) 수정란을 산란상에 부착하여 부화조에 옮기는 단계; 및 (c) 수정란을 25℃ ~ 27℃ 온도의 부화조에서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Sea water aquarium system and incubation method of clownfis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 수족관에 저장된 해수를 교체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는 해수 수족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흰동가리돔의 산란부터 부화, 치어의 안정기 진입까지 적절한 환경의 조성과 먹이 공급을 통해 대량 인공 부화를 가능케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 아이들의 정서발달로 인한 애완동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독신자가 늘고 핵가족화 및 고령화에 따른 도심 생활의 고독감 및 인간 소외 현상 등을 적절히 달래기 위해 물고기와 바다의 신비를 맛볼 수 있는 취미생활을 하는 애호가들이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수 관상어 산업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수 관상어를 보존하기 위하여 해수 수족관을 사용하고 있는데, 해수 수족관 내부에는 해수 관상어가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는 적당한 양의 산소 및 온도의 해수가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해수 수족관에 저장된 해수에는 부유물, 용존 유기물, 해수 관상어의 배설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당량 발생하여 수족관 바닥에 축적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미생물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해수의 용존산소량을 고갈시킬 뿐만 아니라 질산 이온이나 암모늄 이온 등과 같은 분해물질이 증가되어 독성을 일으키게 된다.
더욱이, 영양물질이 증가하여 해수의 수질이 악화되며, 이에 따라 각종 세균이 급증함으로써 해수 관상어가 폐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족관 내부에 해수 관상어의 생존을 위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수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하지만, 내륙지방에서 해수를 자주 교체하는 것은 비용 및 시간에 있어서 상당한 단점이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해수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수족관 내부의 해수를 정화할 수 있는 장비로 스키머(skimmer)가 사용되고 있다. 스키머는 수족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물질들을 버블(bubble)과 함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해수의 수질을 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종래 스키머에 관한 특허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1049378호와 등록특허 제10-0983021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스키머는 단순히 물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버블을 생성하는 것에 불과하여 미세 버블 생성율이 낮아 이물질 제거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과, 또한 버블과 다량의 물이 혼합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물이 배출되면서 버블이 함께 배출되어 버블의 소실율도 크다는 단점과, 큰 출수압력으로 인해 버블이 뭉쳐지는 것을 깨뜨리게 되어 버블의 효율적인 배출도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흰동가리돔은 자리돔과 흰동가리아과 흰동가리속 물고기의 총칭이며, 클라운피쉬(clownfish) 또는 아네모네피쉬(anemonefish)로도 불린다. 몸길이는 15cm 정도로 산호초나 암초의 말미잘 주위에서 생활하며 위협을 받을 때나 밤에는 말미잘의 촉수 사이에 숨는다.
보통 말미잘 한마리에는 큰 암컷 한 마리, 그보다 작은 수컷 한마리, 그리고 어린 흰동가리돔 1 ~ 3마리가 집단을 이루어 생활한다. 산란기는 5 ~ 11월이며, 말미잘이 있는 암초 위에 알을 낳는다. 제주도, 일본, 필리핀, 인도양, 아프리카 동쪽 연안, 홍해 등지에 분포한다.
흰동가리돔은 보통 다른 열대어에 비해 공격성이 크게 떨어진다. 성숙기의 개체들이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강한 개체들과 몸싸움을 하며, 그 결과 형성된 세력권 아래로 가계가 형성된다. 세력권 형성과 가계 형성이 마무리되면, 가장 강한 개체가 암컷이 되어 세력을 이끌고 그 아래로 수컷 서너마리가 무리를 이루게 된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둥글고 몸집이 크며, 수컷은 몸집이 암컷의 60 ~ 70% 정도이며 작고 가늘다. 이후 성체 가계들은 미성어들을 견제하고 공격한다. 이 과정에서 심한 몸싸움이 일어나 일부가 폐사하기도 한다.
짝짓기 과정에서는 암컷이 수컷을 향해 몸을 흔들며 접근하며, 수컷은 도망가다 근거리에서 비슷하게 몸을 흔들며 짝짓기를 시작한다. 짝짓기를 마친 성어들은 같이 움직이고 잠을 자기 때문에 짝짓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산란기가 되면 암컷은 신중하게 시간을 들여 주변을 탐색한 후 산란처를 정한다. 산란처를 정하면 그곳의 모래를 입으로 퍼내고 다듬어 둥지를 만든다. 이곳에서 암컷이 수란관을 체외로 내어 산란을 하며, 수컷이 뒤를 따라 수정관으로 알들을 수정시킨다. 한번에 수백 ~ 수천 개에 이르는 알을 낳으며, 알의 색은 영양 상태가 좋을수록 진한 주황색을 띤다. 보통 색이 흐린 알들은 암컷이 모두 먹어버린다.
흰동가리돔은 18 ~ 20개월 만에 성숙하여 한 달 남짓 간격으로 산란을 반복한다. 간격이 짧을 때에는 10일 내로 재산란하는 경우도 있다.
산란 후 부화까지의 시간은 7일 내외이며, 보통 해가 진 후 밤 시간에 부화하게 된다. 산란까지의 과정에서 수컷은 수정란에 지느러미질을 하여 산소를 공급하고, 암컷은 주위를 지킨다.
그런데, 암컷은 수정란 보호 과정에서 신경이 날카로워지며, 주변 개체나 사육자에 의해 방해받으면 알을 먹어버린다. 또한, 습관적으로 알을 먹는 경향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흰동가리돔은 다른 열대 어종에 비해 알도 크고 치어도 큰 편이다. 흰동가리돔의 치어는 부화시에 약간의 난황질을 달고 나오며, 바로 섭식 활동을 시작한다.
따라서, 흰동가리돔의 인공 부화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산란 후 인공 환경에서 암컷에 의한 수정란의 잦은 파괴로 부화율이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치어의 영양 결핍 및 환경 변화에 따른 폐사도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KR 10-2013-0066878 A (2013.06.21 공개) KR 10-0179337 B1 (1998.11.26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족관 내부의 해수를 교체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 수족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흰동가리돔의 부화 과정에서 모어에 의한 수정란의 파괴를 방지하여 부화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어에게 적절한 모이를 제공함으로써 영양 결핍으로 인한 폐사를 방지할 수 있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절한 환경 조성과 먹이 공급에 의해, 부화된 치어를 안정기까지 사육할 수 있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성체의 산란 및 수정을 유도하는 단계; (b) 수정란을 산란상에 부착하여 부화조에 옮기는 단계; 및 (c) 상기 수정란을 25℃ ~ 27℃ 온도의 부화조에서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화조의 광도를 조절하고, 상기 부화조에 크로렐라를 투입하여 수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산란상은 표면이 매끄러운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d) 상기 수정란에서 부화된 치어를 사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치어의 먹이로 로티퍼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해수 기준 50vol%의 로티퍼를 24℃ ~ 26℃의 온도에서 하루 2회 크로렐라를 공급하여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로티퍼는 농축 냉동 크로렐라와 지방산을 첨가한 영양 강화제에 20분 ~ 40분 동안 담겼다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생후 5일 ~ 7일부터 로티퍼와 알테미아를 동시 공급하고, 생후 10일부터 알테미아와 건조 사료를 동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에 의하면, 모어의 산란 후 적절한 시기에 수정란을 격리시켜 보호함으로써, 모어에 의한 수정란의 파괴를 방지하여 부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에 의하면,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 및 로티퍼의 먹이 체인을 유지함으로써, 치어의 안정적인 먹이 공급을 가능케 하여 폐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에 의하면, 부화조에 적절한 물리, 화학적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치어를 안정기까지 사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에 의하면, 부화율 향상 및 치어의 안정적인 사육으로 인해 많은 성어를 획득할 수 있고, 따라서 가치가 높은 희귀 품종을 얻기 위한 종묘 실험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희귀 어종과 멸종위기 종의 종묘 산업을 통한 생물자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수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의 섬프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의 측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의 섬프의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의 스키머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키머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키머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인공 수조에서의 흰동가리돔의 인공 부화는 매우 어려우며, 산란 후에도 부화율과 치어의 생존율이 극히 낮다. 본 발명은 흰동가리돔의 산란부터 부화, 치어의 안정기 진입에까지 적절한 환경의 조성과 치어의 먹이 공급을 통해 대량 인공 부화를 가능케 하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과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순서도이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산란 및 수정 유도 단계( S10 ):
흰동가리돔류(clown fish)의 경우 자웅동체로서, 2~5마리가 무리를 만들어 살아가며, 서열이 가장 높은 개체가 암컷이 된다. 무리 중 가장 몸집이 큰 개체가 암컷이 되는 경우가 많고 그 다음으로 큰 개체가 수컷이 된다. 나머지 개체들은 암컷의 통제와 보호 아래에서 보모 역할을 하며, 암컷이 죽게 되면 수컷이 서열 1위의 암컷으로 변환되며 다음 서열이 수컷이 되어 한 가족을 이루어 살게 된다. 이런 그룹 가족을 하렘(harem)이라고 한다.
보통 2년생 이후부터 산란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짝을 이루게 되면 몸을 서로 비비며 터는 구애 행동을 한다.
그런데, 하렘을 이루기 전, 초기에 여러 마리의 흰동가리돔을 같은 수조에 함께 수용하는 경우, 이들 간에 주도권 쟁취를 위한 세력다툼이 시작된다. 이러한 세력다툼은 최후의 2~3마리가 남을 때까지 계속되며, 최종적으로 가계를 이루기 위한 암수 한 쌍이 일정한 장소(산란 예정지)에서 같이 지내게 된다.
따라서, 수조에 여러 마리를 수용한 초기에는, 세력다툼 발생시 공격받는 개체를 다른 수조로 즉시 옮겨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렇게 다른 수조로 옮겨진 개체가 3마리 이상인 경우에는 옮겨진 수조에서도 다시 세력다툼이 발생하므로, 공격받는 개체들을 골라서 또 다른 수조로 옮길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원래는 폐사할 개체들을 쌍으로 묶어서 하렘 수를 늘리고 산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정란을 부화조로 옮기는 단계( S20 ):
보통 산란을 하게 되면 2주 간격으로 7회~20회 정도 산란을 연속적으로 하게 된다. 모체에 영양 공급이 원활히 되지 않거나 병이 든 경우에는 산란이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짝을 이루게 되면 가정 내에서는 연중 아무 때나 이루어지게 되며, 수온의 온도가 높을수록 산란 회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산란율 향상을 위해 수온은 25℃~27℃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의 개수는 100개 정도를 시작으로 많게는 500개 이상을 산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란시 암컷은 라이브락이나 수조의 벽면 등에 알을 부착하는데, 이 경우 별도의 부화조로 수정란을 옮기기가 어렵다. 따라서, 산란상(40, 도 2 참조)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산란상은 토기나 타일 등 표면이 매끄러운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산란상에 부착된 알들을 부화조로 옮길 때, 알들이 공기에 노출되어서는 안된다. 알들은 온도와 외부 환경에 너무나 민감하기 때문에 잠시라도 다른 압력이 느껴지게 되면 부화 이전에 폐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란상은 기존 수조의 물에 담겨진 채로 외부로 꺼내진 후 부화조로 옮겨져야 하며, 부화조의 수질 또한 기존 수조의 물을 그대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수조의 물 양은 이후에 부화조로 옮겨질 물 양을 고려하여 충분히 많이 확보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정에서 수조의 적정 용량은 200L 정도이며, 이는 물 환수시 기존 수조의 질산화 사이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를 확인해가며 내린 결론이다.
부화 단계( S30 ):
환경 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국내의 연평균 실내 온도는 동절기 22℃~24℃, 하절기 27℃~30℃ 정도로, 실내 온도와 수온의 차이는 ±1℃ 정도이다.
부화시 적정 온도는 25℃~26℃로서 부화 기간과 관련이 있다.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부화가 빨랐으며,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1일 정도 부화가 늦었다. 부화 기간이 생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부화율이 일정하지 않았으며 부화율도 적정 온도 이상인 경우보다 낮은 편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조의 단면도이다.
적절한 부화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실내를 적정 온도로 맞추거나, 부화조(10) 내에 히터를 삽입하는 방법이 있으나, 실내 온도 조절은 에너지 소요가 많고, 히터 삽입시에는 부화된 치어들이 히터열에 스치기만 하여도 화상을 입어 폐사하기 때문에 적절치 못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조(10)의 바닥면에 열패드(20)를 설치하여 부화조(10) 내 수온을 적정 온도로 유지한다. 여름철의 경우에는 실내 온도가 27℃ 이상이기 때문에 열패드(20)가 필요 없으나, 겨울철의 실내 온도는 약 22℃ 정도이므로 열패드(20)를 사용하여 부화조(10)의 수온을 적정 부화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존의 수조에서는 수컷이 알들을 입으로 골라내며 지느러미로 산소를 공급하여 관리하지만, 부화조(10)로 옮겨진 알들은 관리해주는 수컷이 없기 때문에 다른 방법으로 산소를 공급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부화조(10) 내 산란상(40)의 일측에 기포기(30)를 설치한다. 기포기(30)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알들이 흔들리면서 산소를 공급받게 되는데, 아주 약한 미세 기포들이 알의 측면으로 지나가면서 수류를 발생시켜, 수컷 대신에 알들을 털어주게 된다. 이때, 기포를 과도하게 큰 압력으로 공급하면 부화율이 낮아지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알들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부드러운 수류를 만들어 줘야 한다.
이후, 부화 당일 날 저녁 시간대에 주변을 어둡게 한 다음 산란상(40)을 살살 흔들면서 틀어주면 알 속에서 치어들이 나오게 된다.
한편, 산란 후 즉시 알들을 부화조(10)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산란한 수조에 그대로 둬서 수컷이 알들을 관리하게 한 후 부화 당일날에 부화조(10)로 옮기거나, 알들이 부화된 후 치어를 빛으로 유도하여 한 마리 혹은 여러 마리씩 골라내는 방법도 있다.
치어 관리 단계( S40 ):
갓 부화한 치어들의 경우에는 빛에 상당히 민감하다. 따라서, 부화조(10) 내부를 비추는 별도의 조명을 사용하지 않고, 어두운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육면체 부화조(10)의 경우에는 3면을 종이 등으로 차폐하여 어둡게 해주는 것이 좋다.
아울러, 치어들의 안정감을 높여주기 위해, 식물성 플랑크톤류인 크로렐라를 부화조(10)에 투입하여 수객을 실시한다. 이때, 상태가 싱싱한 크로렐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화조(10) 내 치어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 식별 가능할 정도의 농도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색은 치어의 형태가 희미하게 보일 정도로 크로렐라의 농도를 맞춰주면 되는데, 수색이 너무 진하면 치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투입된 크로렐라는 점차 소진되기 때문에, 농도를 확인하면서 1일 ~ 2일 간격으로 크로렐라를 보충해 준다.
수색을 하기 전에는 치어들이 빛이 없는 한쪽 구석에만 있으면서 위축된 모습을 보였지만, 수색 후에는 부화조(10) 전체를 안정감 있는 모습을 유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부화조(10) 내 치어의 개체 수에 따라, 부화조(10)의 용존 산소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치어의 사육 방법에는 물을 흘려보내는 유수식과, 흐르지 않는 물에서 사육하는 지수식, 이렇게 2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지수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30 큐브 어항에 물 20L를 채워서 500여 마리 내외의 개체수를 사육하였다. 이때, 기포기(30)를 이용하여 산소 공급을 실시하였으며, 산소량은 치어의 상태를 체크하면서 조금씩 늘려주었다. 이때, 수면이 아주 미세한 진동을 할 정도로 기포기(30)를 틀어주면 치어들의 산소 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컨대, 치어는 부화 직후 약 3mm 이하의 크기로, 아주 작은 수류에도 떠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기포기를 이용한 산소 공급에 있어서는 치어들의 유영에 무리를 주지 않는 강도로 산소를 공급하여야 한다. 만약, 기포기를 너무 세게 작동시키면, 치어는 수류를 이겨내지 못하고 기포기의 방향으로 계속해서 빨려 들어가 제대로 된 먹이 활동을 하지 못하고 심한 에너지원의 낭비를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기포기는 치어의 움직임에 무리를 주지 않는 선에서 작동시켜야 하며, 직경 2mm의 공기방울이 1초에 8개 내지 10개 정도가 수면에 도달하는 정도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어들은 부화하면서 난황을 가지고 태어난다. 하지만, 24시간 이내에 첫 먹이 공급이 되어야만 생존할 수 있다. 24시간을 경과하는 경우에는 약한 개체부터 차례로 폐사하게 된다.
치어들의 초기 먹이인 로티퍼(rotifer)는 동물성 플랑크톤으로서, 치어들의 좋은 먹이 생물이다. 로티퍼는 일반적으로 육안으로는 자세히 들여봐야만 보일 정도로 아주 작은 크기이며,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배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수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해수 기준 50wt%의 로티퍼를 24℃ ~ 26℃의 온도에서 하루 2회 아침과 저녁시간에 크로렐라를 공급하여 배양하였다. 이때, 배양수조(5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서, 역삼각뿔 형태의 바닥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배양수조(50)의 하단부를 통해 크로렐라 찌꺼기를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수조(50)의 하단부에 배출밸브(51)를 장착하여 크로렐라 찌꺼기를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로티퍼의 배양 온도는 로티퍼의 배양 속도 및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높은 온도에서의 배양은 배양 속도 면에서 높은 효율을 보이나, 크기 면에서는 낮은 온도에서 배양된 로티퍼보다 작다. 일 예로서, 26℃의 온도에서 배양된 로티퍼의 크기는 0.1mm인 반면에, 상대적으로 그보다 낮은 24℃의 온도에서 배양된 로티퍼의 크기는 0.2mm이다.
이에 따라, 부화 초기에는 작은 로티퍼를 공급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로티퍼를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생후 7일 이상의 치어들을 위해서는 낮은 온도에서 로티퍼를 배양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로티퍼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어에게 로티퍼를 먹이로 공급할 때에는 영양 강화를 위해, 농축 냉동 크로렐라와 불포화 지방산(DHA, EPA)을 첨가한 영양 강화제에 로티퍼를 20분~40분 정도 담가두었다가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배양되는 로티퍼는 간편하게 빵 효모를 급여하여 배양시키는데, 이 경우 신선한 해양 크로렐라를 자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지 못하다. 따라서, 불포화 지방산을 로티퍼에게 급여하여 영양가를 높여준 상태로 로티퍼를 치어에게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티퍼에게 불포화 지방산을 급여하는 시간이 20분 미만이면 로티퍼가 충분히 불포화 지방산을 흡수하여 체내에 저장하지 못하며, 40분 초과시에는 충분히 불포화 지방산을 체내에 저장한 상태이므로 더 이상의 영양 강화 효과를 보기 어렵다.
먹이 공급부터 사료 적응까지 가장 중요한 것은, 먹이의 단계별 공급시에 먹이 종류를 교차 공급함으로써 폐사율을 낮추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생후 5~7일부터 알테미아(artemia)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알테미아만 먹이로 주게 되면 몸집이 작은 개체들은 알테미아를 섭취하지 못하고 폐사하게 된다. 또한, 생후 10일부터 사료 적응을 하게 되는데, 사료만 공급하면 사료를 섭취하지 못하는 개체들이 폐사하게 된다. 따라서, 치어들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료 적응 후에도 로티퍼와 알테미아의 공급을 일정 기간 동안 계속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90% 이상의 치어 생존율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알테미아는 사료 적응 후에도 20일까지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테미아 공급시에는 탈각이 바로 된 알테미아만 공급하여야 한다. 탈각 후 4시간이 지난 알테미아는 바로 공급을 중단한다. 20일이 지난 경우에도 사료 적응을 하지 못하는 치어는 별도로 격리시켜 알테미아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면서 사료 적응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과정을 거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티퍼와 알테미아의 공급만큼 중요한 것은 초기 건조 사료의 적응 단계이다. 많은 개체들이 이 단계에서 폐사하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먹이의 교차 공급으로 폐사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
초기 사료의 공급 시기는 생후 10일부터 교차 급여를 하기 시작하는데, 어분의 냄새를 익숙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10일 이후부터 사료를 먹는 개체들도 있지만 보통은 15일 정도 지나서 사료의 냄새를 맡고 먹이 활동을 시작한다. 초기에는 너무 많은 양을 주게 되면 오히려 수직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10일차에는 하루에 두 번씩 나눠서 엄지와 검지로 살짝 집어 수면 위에 뿌려주면 되며, 3 ~ 4일이 지나서 치어들이 사료 냄새를 맡고 입을 수면으로 내밀어 벌렸다 닫았다 반복하면 먹이 활동을 시작하게 된 것으로 보고 그 때부터는 사료의 양을 늘려주면서 알테미아 양을 조금씩 줄여준다.
아울러, 건조 사료의 크기, 영양 성분, 냄새 등을 적절히 선택해야만 높은 성공률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 사료로서 노르웨이산 조단백 60% 이상, 100㎛~200㎛ 사이즈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인공 플랑크톤 분말도 약간 량씩 첨가하였다. 이후, 치어들이 사료에 반응을 시작하면 사이즈를 조금씩 더 큰 타입으로 바꿔가면서 적응시켰으며, 생후 1달이 되었을 시에는 400㎛~500㎛ 사이즈의 사료까지 적응시켜 치어의 생존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
여기서, 사료의 사이즈를 키워주는 이유는 큰 먹이를 먹음으로써 치어의 위가 늘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가 늘어나게 되면 많은 양의 먹이를 공급받음으로써 빠른 성장을 할 수 있다. 작은 사이즈의 먹이를 여러 번 나눠서 공급하는 방법도 있으나, 성장 속도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사료의 사이즈를 키워 섭취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사료 사이즈의 변경 시기는 치어의 성장과 비례하여 입으로 삼킬 수 있는 크기로 성장하게 되면 한 두 알씩 먹을 수 있는지 반응을 본 후 양을 조금씩 늘려주면 된다. 한편, 인공 사료의 교체에 있어서도 항상 전 단계 사료의 교차 공급은 필수로 해줘야 한다. 여러 마리의 과밀 사육에 있어서는 반드시 늦게 적응하는 개체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은 수족관(100), 섬프(200), 스키머(300)를 포함하며, 해수를 순환시키면서 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족관(100)에는 해수 관상어가 서식할 수 있는 해수가 저장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섬프(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섬프(200)는 해수를 순환 및 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족관(100)의 내부 일측 벽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섬프(200)는 상단 일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ㄷ' 형태의 상측 결합부(270)를 가질 수 있고, 상측 결합부(270)에는 복수의 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홀에는 볼트(B)가 체결됨으로써, 섬프(200)가 수족관(10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섬프(200)는 그 내부가 해수 저장부(210), 해수 정화부(220) 및 정화수 저장부(230)로 구획된다. 해수 저장부(210)는 수족관(100)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공간이며,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복수의 해수 유입공을 갖는다. 해수 저장부(210)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해수는 이물질이 함유된 상태이다. 해수 정화부(220)는 해수 저장부(210)에서 이동되는 해수를 스키머(300)로 정화시키는 공간이다. 정화수 저장부(230)는 해수 정화부(220)에서 스키머(300)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이동되어 저장되는 공간으로, 저장된 정화수는 다시 수족관(100)으로 배출된다. 정화수의 배출을 위해 정화수 저장부(230)에 순환펌프(232)가 내장될 수 있고, 배출관(234)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족관(100)의 해수가 섬프(200)의 해수 저장부(210), 해수 정화부(220), 정화수 저장부(230) 및 수족관을 순환하면서 정화가 된다.
섬프(200)는 해수 저장부(210)와 해수 정화부(220)를 구획하는 제1격벽(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격벽(240)은 하단이 상기 섬프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이격되고 상단이 상기 섬프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즉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섬프(200)의 상단 및 바닥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수 저장부(210)에 저장된 해수가 제1격벽(240)의 하단 밑의 통로를 통해 해수 정화부(220)로 이동하면서 바닥의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해수 저장부(210)에 저장된 해수가 제1격벽(240)의 상단 위로 오버플로우 되면서 해수 저장부(210) 상단의 유막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섬프(200)는 해수 정화부(220)와 정화수 저장부(230)를 구획하는 제2격벽(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격벽(250)은 하단이 섬프(200)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스키머(300)는 제2격벽(250)의 상단에 장착된다.
또한, 섬프(200)는 제1격벽(240)과 스키머(300) 사이에 제1격벽(240)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3격벽(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격벽(260)은 제1격벽(240)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해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스키머(300)는, 도 5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310), 제1챔버(320), 제2챔버(340), 제3챔버(360), 제4챔버(380), 제1덮개(330), 제2덮개(350), 제3덮개(370), 제4덮개(390)를 포함하며, 탈착부재(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챔버, 덮개 및 탈착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챔버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펌프(310)는 물과 공기를 유입시키고 내부에서 버블을 생성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물과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물 유입구(311)와 공기유입구(312)를 가지며, 상측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313)를 갖는다. 이 경우, 공기유입구(312)는 물 유입구(311)의 상측에 형성되며, 펌프(310)의 내부로 물과 공기가 동시에 유입된다. 공기유입구(312)에는 공기주입관(312a)이 연결되고, 공기주입관(312a)에는 공기조절밸브(312b)가 연결되어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절밸브(312b)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후술하는 제1챔버(320) 내부 상측에 채워지는 버블의 양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버블의 양이 적어 아래쪽에 머무르게 되면 공기를 많이 공급하고, 버블의 양이 많아지면 공기를 적게 공급할 수 있다.
펌프(310)는 몸체(314), 커버(316), 니들휠(318)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4)에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되고, 니들휠(318)이 결합될 수 있는 홈(315)이 형성된다. 커버(316)는 몸체(314)의 일측에 결합되는데, 커버(316)와 몸체(314)와 사이에 공간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가 생긴다. 커버(316)의 일측에 물 유입구(311)와 공기유입구(312)가 형성되고, 커버(316)의 상측에 제1배출구(313)가 형성된다. 니들휠(318)은 몸체(314)에 형성된 홈(315)에 삽입결합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커버(316)의 공기유입구(312)를 통해 몸체(314) 내측의 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파쇄, 분쇄하여 미세 버블을 생성한다.
니들휠(318)은 바디(318a), 샤프트(318b), 돌기(318c) 및 떨림방지링(318d)을 포함한다. 바디(318a)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318a)의 중심에는 샤프트(318b)가 관통고정되며, 바디(318a)의 일면에 다수의 돌기(318c)가 돌출형성된다. 샤프트(318b)는 바디(318a)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샤프트(318b)가 회전되면 바디(318a)가 함께 회전된다. 샤프트(318b)는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샤프트(318b)의 외면에는 자석(318e)이 결합될 수 있는데, 자석(318e)이 구비됨으로 인해 펌프의 홈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고 지지된다. 또한, 샤프트(318b)의 일단, 즉 바디(318a)의 일면 쪽으로 관통된 단부에는 바디(318a)의 회전시 떨림을 방지하기 위한 떨림방지링(318d)이 결합될 수 있다. 돌기(318c)는 바디(318a)의 일면에 다수로 돌출형성된다. 돌기(318c)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챔버(320)는 원형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방과 하방이 개구된 형태를 이룬다. 제1챔버(320)의 하단에 제1덮개(330)가 부착되는데, 제1덮개(330)는 펌프(310)의 제1배출구(313)가 끼워질 수 있도록 표면에 관통형성되는 제1버블유입구(332)를 갖는다. 따라서 펌프(310)의 제1배출구(313)로 배출되는 물과 버블은 제1덮개(330)의 제1버블유입구(332)를 통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덮개(330)는 제1버블유입구(33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표면에 관통형성되는 정화수 배출구(334)를 가지는데, 제1챔버(320)의 내부에서 정화된 물이 제1덮개(330)의 정화수 배출구(334)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다.
제2챔버(340)는 제1챔버(320)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1챔버(320)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관 형상을 이루어진다. 제2챔버(340)의 하단은 제1덮개(330)의 상면에 부착되는데, 이 경우 제2챔버(340)의 원주 내에 제1덮개(330)의 제1버블유입구(332)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펌프(310)에서 배출되는 물과 버블은 제1버블유입구(332)를 통해 제2챔버(340)로 유입되며, 제2챔버(340)와 제1챔버(320)는 격리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2챔버(340)가 반응챔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2챔버(340)의 상단에는 제2덮개(350)가 부착되는데, 제2덮개(350)에는 제2챔버(340) 내부의 물과 버블이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352)이 형성된다. 관통공(352)은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덮개(350)의 표면 중 제1버블유입구(332)의 수직상방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물과 버블이 유입되는 제1버블유입구(332)의 수직상방이 막혀있게 되면, 뚫린 경우보다 출수 압력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버블이 물에 의해 깨어지지 않고 잘 뭉쳐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챔버(340) 내부의 물과 버블이 제2덮개(350)의 관통공(352)으로 배출되면 비중이 큰 물은 아래로 내려가려는 성질을 갖지만 비중이 작은 버블은 계속해서 상승하게 되며, 결국 버블이 이물질과 상승함으로써 정화가 되는 물은 제2챔버(340)의 외면과 제1챔버(320)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면서 하방에 있는 제1덮개(330)의 정화수 배출구(334)를 통해 배출된다.
제3챔버(360)는 원형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챔버(340) 상측에 결합되어 제2챔버(340)에서 상승하는 버블만을 수용하는 것이며, 제3챔버(360)에 저장되는 버블 및 오염수는 제3챔버(360)를 제2챔버(340)에서 분리한 후 버리면 된다. 이를 위해 제3챔버(360)의 하단에 제3덮개(370)가 부착되며, 제3챔버(360)와 제3덮개(370)는 일체를 이루게 된다.
제3덮개(370)는 제1챔버(32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되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3덮개(370)의 중앙부에는 제2버블유입구(372)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3덮개(370)의 하면은 제2버블유입구(372)를 향하여 상방 함입된 형태를 이루는데, 이는 버블이 제2버블유입구(372)로 잘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덮개(370)는 하단이 단턱지게 형성되며, 단턱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가 제1챔버(320)의 상단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된다.
제4챔버(380)는 제3챔버(360)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3챔버(36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4챔버(380)는 하단이 제3덮개(370)의 제2버블유입구(372)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4챔버(380)의 외경이 제2버블유입구(372)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4챔버(380)의 내부와, 제4챔버(380) 및 제3챔버(360) 사이의 공간을 구획을 나누게 되어, 서로 격리된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제2버블유입구(372)를 통해 유입되는 버블은 제4챔버(38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계속 상승하여 제4챔버(380)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된 버블은 제3챔버(360)와 제4챔버(380) 사이의 공간에 축적되며, 결국 제3챔버(360)와 제4챔버(380) 사이의 공간에 오염수가 저장된다. 제3챔버(360)에 저장되는 오염수의 양이 많아지면, 제3챔버(360)를 제2챔버(340)에서 분리하여 오염수를 버린 후에 다시 제2챔버(340)에 결합시키면 된다.
제4덮개(390)는 제3챔버(360)의 상단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4덮개(390)가 제3챔버(360)를 덮게 되면 제4챔버(380)의 상단으로 배출되는 버블이 제4덮개(390)의 하면에 부딪힌 후 하방으로 제3챔버(360)와 제4챔버(38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탈착부재(322)는 제1챔버(320)의 외면에 부착고정되며, 수족관 벽면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상측 결합부(323)를 갖는다. 상측 결합부(323)는 하방으로 개구된 'ㄷ' 형태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스키머에 의해 해수가 정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펌프(310)의 물 유입구(311)로 해수가 유입되고 공기유입구(312)로 공기가 유입되면, 펌프(310) 내부에서 회전하는 니들휠(318)에 의해 미세 버블이 생성된다. 그러고 나서, 미세 버블은 물과 함께 제1배출구(313)와 제1버블유입구(332)를 통해 제2챔버(340)의 내부로 유입되며, 제2챔버(340)의 내부에서 물과 함께 상승하여, 관통공(352)을 통해 배출된다. 그러고 나서, 제2챔버(340)에서 배출된 물은 제1챔버(320)에 채워지게 되고 미세 버블은 계속해서 상승한 후, 제3덮개(370)의 제2버블유입구(372)를 통해 제4챔버(380)로 유입된다. 그러고 나서, 미세 버블은 제4챔버(380) 내부에서 상승하여 배출된 후 제4챔버(380)와 제3챔버(360) 사이의 공간에 저장되는데, 여기에 저장된 미세 버블은 다량의 이물질을 함유한 상태로 오염도가 높은 것이므로 주기적으로 버리면 된다. 제1챔버(320) 내부에서 정화된 정화수는 제1덮개(330)의 정화수 배출구(334)를 통해 제1챔버(320)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부화조
20 : 열패드
30 : 기포기
40 : 산란상
50 : 배양수조
51 : 배출밸브
100 : 수족관
200 : 섬프
300 : 스키머

Claims (7)

  1. (a) 성체의 산란 및 수정을 유도하는 단계;
    (b) 수정란을 산란상에 부착하여 부화조에 옮기는 단계; 및
    (c) 상기 수정란을 25℃ ~ 27℃ 온도의 부화조에서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화조의 적어도 일면을 차폐하여 광도를 조절하고, 상기 부화조에 크로렐라를 투입하여 수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란상은 표면이 매끄러운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d) 상기 수정란에서 부화된 치어를 사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치어의 먹이로 로티퍼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해수 기준 50vol%의 로티퍼를 24℃ ~ 26℃의 온도에서 하루 2회 크로렐라를 공급하여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티퍼는 농축 냉동 크로렐라와 지방산을 첨가한 영양 강화제에 20분 ~ 40분 동안 담겼다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생후 5일 ~ 7일부터 로티퍼와 알테미아를 동시 공급하고, 생후 10일부터 알테미아와 건조 사료를 동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KR1020140180047A 2014-12-15 2014-12-15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KR20160072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047A KR20160072442A (ko) 2014-12-15 2014-12-15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047A KR20160072442A (ko) 2014-12-15 2014-12-15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442A true KR20160072442A (ko) 2016-06-23

Family

ID=5635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047A KR20160072442A (ko) 2014-12-15 2014-12-15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244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337B1 (ko) 1995-12-19 1999-02-01 김종철 황복의 부화 방법
KR20130066878A (ko) 2011-12-13 2013-06-21 어업회사법인 (주)한빛수산 쏘가리 부화기술 및 어류 양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337B1 (ko) 1995-12-19 1999-02-01 김종철 황복의 부화 방법
KR20130066878A (ko) 2011-12-13 2013-06-21 어업회사법인 (주)한빛수산 쏘가리 부화기술 및 어류 양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09763B (zh) 海水生态观赏水族箱的制作方法及海水生态观赏水族箱
CN100372510C (zh) 全人工培育斑节对虾亲体的方法
MXPA06007857A (es) Metodo y sistema para produccion acuicola.
CN104012435B (zh) 中华鳑鲏(Rhodeus sinensis)高效繁殖方法
CN102100190B (zh) 七带石斑鱼苗种培育方法
CN105638525B (zh) 一种大泷六线鱼的封闭式循环水养殖方法
CN107114283B (zh) 一种棘头梅童鱼的人工繁育方法
Engell-Sørensen et al. Rearing of flounder (Platichthys flesus) juveniles in semiextensive systems
DE202014103397U1 (de) Aquakulturanlage
JPH0331404B2 (ko)
GB2518217A (en) Shrimp aquaculture
Kestemont et al. Culture methods of Eurasian perch and yellow perch early life stages
KR101744393B1 (ko)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Chen et al. Sea cucumber aquaculture in China
CN104488770B (zh) 一种快速大菱鲆家系苗种培育方法
CN113455428B (zh) 一种马夫鱼的人工育苗方法
CN110622892B (zh) 一种条石鲷流水式促产方法及仔稚鱼培育方法
Oliver et al. Live prey production systems
KR20160072442A (ko)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UA65842A (en) Metod of commercial growing rosenberg's giant freshwater shrimp (macrobrachium rozenbergii)
Dionísio et al. Snails, slugs and cephalopods
Baensch Dwarf angelfish
KR102651693B1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주꾸미 양식 방법
James Breeding and farming of the silver pomfret Pampus argenteus: a technical manual
RU2786108C1 (ru) Способ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солоноватоводных кладоцер moina sal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