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337B1 - 황복의 부화 방법 - Google Patents

황복의 부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337B1
KR0179337B1 KR1019950051894A KR19950051894A KR0179337B1 KR 0179337 B1 KR0179337 B1 KR 0179337B1 KR 1019950051894 A KR1019950051894 A KR 1019950051894A KR 19950051894 A KR19950051894 A KR 19950051894A KR 0179337 B1 KR0179337 B1 KR 0179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ing
fertilized egg
glass plate
fertilized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376A (ko
Inventor
장선일
한형균
강희웅
이권혁
Original Assignee
김종철
국립수산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국립수산진흥원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1995005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337B1/ko
Publication of KR97003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Abstract

황복의 인공 부화방법에 있어서, 수정난을 유리판에 부착시키고, 염분농도를 0.5%이하로 유지시키며, 온도는 15-25℃ 보다 상세히는 18-21℃로 유지하며 수정난의 밀도를 최소한 유리판 20 평방밀리미터당 하나로 함으로써, 85%이상의 부화율로 부화시킬 수 있었다.

Description

황복의 부화 방법
본 발명의 황복의 수정난을 부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황복의 수정난을 유리판에 부착시킨 후 특정의 조건하에 부화시킴으로써 부화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복(Takifugu obscurus)은 참복과(Traodontidae)에 속하는 어류로서, 우리 나라의 서남해와 중국의 동남해에 국한되어 분포한다.
맛과 육질이 뛰어나 북어류 중에서 맛이 가장 뛰어나다고 알려진 황복은 중국에서는 하돈 또는 하둔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황복(익산), 복쟁이(파주), 강복(서울) 등 각지역마다 20여개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워지고 있다(정문기, 한국어류 도감, 727면, 일지사, 1977).
황복은 5-6월 산란시기에 강이나 큰 하천의 중류까지 거슬러 올라와 산란하는데 (정문기, 한국어류도감, 727면, 일지사, 1977; 김익수와 이완옥, 한국수산학회지 2:1-27, 1990), 하천이 오염되어 산란을 하기 위해서 올라오는 성숙 어류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으며, 산란 시기중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하여 멸종위기에 처해있다(최기철, 멸종직전의 황복을 구하기 위해 특별한 조치를 바랍니다. 민보협, 제94-001호, 1993).
황복을 세계적으로 황해에 접해있는 지역에서만 서식하므로 초기 생활사 이외에는 연구보고가 거의 없었다. 인간의 태반성 성선자극 호르몬(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또는 성성숙을 자극하는 물질과 같은 성호르몬을 산란기의 성숙 암컷 황복에 주사하였을 때 배란이 유도되어 양질의 난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본 발명자는 계속된 연구에서 황복 수정란의 부화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부화율로서 황복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황복의 수정란을 유리판에 부착시킨 후 염분농도 0.5% 이하의 조건에서 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황복 수정란의 부화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그외의 목적, 그리고 장점과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란에 의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황복의 수정난은 서로 떨어지려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유리판 등에 잘 부착되어, 물에 뜨지 않는 성질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리점착침성이라는 성질에 의하여, 자연상태에서 황복이 자갈 등에 산란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황복을 상술한 바 있듯이, 그의 분포지가 매우 한정되어 있어 그 구입이 용이하지 않고, 또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산란시기에 포획된 황복을 대상으로 하여 자연 성숙을 유도하고자 하는 시도도 배란이 잘 되지 않는 관계로 실패로 끝난바 있어서 인공적으로 배란을 유도하여 수정란을 얻고 이를 부화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예를 들면, 본 발명자가 임진강 현지에서 자연 채란을 하여 수정에는 성공한바 있으나, 이를 인공적인 배양장소로 옮기는데 있어서 약 5-8시간이 소요되는 이유로 수정난의 난 발생에 큰 스트레스가 주어져서 부화에 완전히 실패한 적도 있다. 더우기, 산란기라 할지라도 완숙한 난을 얻을 수 있는 기회도 매우 낮고, 또 완숙난을 얻었다 할지라도 난의 특성상 부착성질이 강하여 대량의 난을 충실히 이동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보다 성공적인 방법으로 배란을 유도하고 수정란을 높은 부화율로 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분농도, 온도, 수정난의 밀도 등 수정란의 부화의 환경조건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양식조건이 멸균상태가 아니므로 곰팡이 등 수생 미생물이 번식하거나 미수정난 또는 난질이 불량하여 발생되지 못하는 수정난이 부패되는 등 관리함으로써 황복의 수정난을 최대로 부화시킬 수 있다.
황복의 수정난은 아크릴이나 플라스틱 보다 유리재질에 매우 강하게 접착하여 살 수 하는 경우에도 손실되는 경우가 적었다.
구체적으로는 수정난을 유리판에 부착시키고, 염분농도를 0.5% 이하로 유지시키며, 온도는 15-25℃, 보다 상세하게는 18-21℃로 유지하며, 수정난의 밀도를 20평방밀리미터당 하나를 배치하면, 85% 이상 부화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유리하게 부화시킬 수 있는 황복 수정란은 산란기의 암컷황복에 성호르몬을 주사하여 배란시킨 난자의 수정란이다. 성호르몬으로는 인간 태반성 성선 자극 호르몬(500-1000IU/kg), 성선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100-200㎍/㎏), 또는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10㎍/㎏)과 피모자이드(1㎎/㎏)와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군산과 강화도 근해에서 1995년 5월에 포획된 황복 성체(600-1000g) 5마리(암컷 3, 수컷 2)를 구입하고, 충남 보령시 국립수산진흥원 보령수산종묘 배양장에 위치한 7톤 콩크리트 수조에 3일간 수용하였다. 해수내에 함유된 뻘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트리지(pore size 3㎛)로 여과처리한 해수(이를 여과해수라 한다)를 공급하였다.
[실시예 2]
적응시킨 산란시기의 황복 암컷에 인간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 (시그마사 제품, CG-10)을 어체 kg당 1000 IU를 주사하고, 여과해수로 채워진 2톤 원형수조에 옮겼다. 3일후 전량이 지하수(pore size 1㎛의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여과한다)로 치환되도록 서서히 희석하였고, 배란시까지 자연 광주기(낮 14시간, 밤 10시간)로 광도를 조절하였다.
100-200㎛의 나일론 망위에 배란시키고, 즉시 수컷의 복부를 압박하여 정액으로 수정시킨 후, 부드러운 붓으로 쓸어주고, 지하수로 잔여 정액을 세척하였다.
세척된 난은 직경 10cm의 페트리접시에 옮기고, 지하수를 첨가하여 수정난이 충분히 잠기도록 하고 수온을 18.0±1.0℃로 유지하여 수정을 95%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유리판(각각 가로 30cm × 세로 60cm)에 한쪽 말단으로부터 40cm의 거리까지 상기 실시예 2의 수정난 3000개를 부착시키고, 염분농도를 0, 0.5, 1.0, 1.5, 2.0, 2.5%로 조절한 200ℓ의 원형 수조에 담그고, 수온을 18±1℃로 유지하면서 매일 3회 환수하여 부화율을 측정하였다. 각 염분 농도에서의 부화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한편, 유리판 대신 동일한 크기의 아크릴판 또는 플라스틱판에 수정란을 동일한 밀도로 부착시켰을 때, 유리판의 경우와 달리 부착률이 낮아 50% 이상의 수정란이 탈락하였다.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염분농도가 0.5% 이하에서 부화율은 80%로 높았지만, 염분농도가 그 이상으로 증가하면 부화율이 낮아졌다. 수정난에서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270-295시간으로 일정했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유리판 염분농도를 0%로 고정한 동일 수조에 넣고, 수온을 12±1, 15±1, 18±1, 21±1, 25±1, 30±1℃로 변화시키면서 부화를 행하고, 각 수온에서의 부화율과 부화에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부화시간은 수온이 높아질 수록 단축되었으며, 15±25℃ 범위에서 부화율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염분농도를 0%로, 수온을 18±1℃로 고정하고, 유리판의 가로길이를 10, 30, 50, 100, 150, 200cm로 조절하여 2톤 수조에 수용하고 각 조건에서의 부화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유리판의 가로 길이가 10-100cm 일 때, 부화율은 75% 이상으로 높았으나, 150cm 이상으로 커질 때는 부화율이 현저히 낮았다. 이것은 유리판이 커지면 물의 흐름 또는 교반상태가 불량해지고, 이에 따라 수생미생물이 번식할 기회가 증가되기 때문이었다.
[실시예 6]
피펫을 이용하여 수정난 각 군당 1만개 이상을 1mm 이하, 2mm, 3mm 이상 등의 간격으로 이식하고, 실시예 3에서의 조건에서 부화하였다. 각 간격에서의 부화율을 측정하고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난과 난사이의 거리가 2mm 이하인 경우 부화율은 매우 낮았다. 이는 황복의 난이 각각 분리되는 성질을 나타내는 것과 일치한다. 이상의 결과에서, 수정난 끼리는 최소한 3mm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수정난의 밀도를 20평방밀리미터당 하나를 배치하면, 85% 이상 부화시킬 수 있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황복의 수정난을 유리판에 부착시키고, 염분 농도를 0.5% 이하로 유지시키며, 온도는 15-25℃, 보다 상세히는 18-21℃로 유지하며, 수정난의 밀도를 20평방밀리미터당 하나가 되도록 배치하면, 85% 이상의 부화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Claims (5)

  1. 황복의 수정난을 인공적으로 부화시킴에 있어서, 상기 수정난을 유리판에 부착시키고, 수정난이 들어 있는 수조의 염분농도를 0.5% 이하로 조절하며, 수조의 수온을 15∼25℃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복 수정난의 부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조의 수온은 18∼21℃의 범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유리관은 그의 가로 길이가 100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유리판에 부착된 황복 수정난의 밀도는 최소한 유리판 20 평방밀리미터당 수정난 1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난은 황복 암컷에 인간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또는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과 피모자이드와의 혼합물을 투여하여 배란시킨 난자에서 유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방법.
KR1019950051894A 1995-12-19 1995-12-19 황복의 부화 방법 KR0179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894A KR0179337B1 (ko) 1995-12-19 1995-12-19 황복의 부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894A KR0179337B1 (ko) 1995-12-19 1995-12-19 황복의 부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376A KR970032376A (ko) 1997-07-22
KR0179337B1 true KR0179337B1 (ko) 1999-02-01

Family

ID=1944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894A KR0179337B1 (ko) 1995-12-19 1995-12-19 황복의 부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876B1 (ko) * 2011-03-21 2011-05-31 전라남도 짱뚱어 인공종묘 생산 및 양성방법
KR20160072442A (ko)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미르티앤엠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876B1 (ko) * 2011-03-21 2011-05-31 전라남도 짱뚱어 인공종묘 생산 및 양성방법
KR20160072442A (ko)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미르티앤엠 해수 수족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흰동가리돔의 부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376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rváth Egg development (oogenesis) in the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Liao Experiments on induced breeding of the grey mullet in Taiwan from 1963 to 1973
Hassin et al. Domestication of the white grouper, Epinephelus aeneus 1. Growth and reproduction
CN103875572B (zh) 一种软刺裸裂尻鱼人工繁殖和鱼卵孵化方法
CN105284679A (zh) 一种黑尾近红鲌的人工繁殖方法
CN104642212A (zh) 白甲鱼人工繁育方法
CN101960996A (zh) 一种多鳞铲颌鱼鱼苗的人工繁育方法
CN103444610A (zh) 一种云南光唇鱼的人工繁殖方法
Burke et al. Experimental intensive culture of summer flounder, Paralichthys dentatus
Belda et al. Notes on the induced spawning and larval rearing of the Asian moon scallop, Amusium pleuronectes (Linne), in the laboratory
CN1172581C (zh) 大鲵人工繁殖方法
CN1336108A (zh) 大竹蛏人工育苗方法
CN101513172B (zh) 纹缟虾虎鱼人工综合调控生态因子的繁殖方法
KR101019537B1 (ko) 양식용 개불 종묘의 생산 방법
KR0179337B1 (ko) 황복의 부화 방법
Tookwinas Larviculture of seabass (Lates calcarifer) and grouper (Epinephelus malabaricus) in Thailand
CN104642211A (zh) 岩原鲤人工繁育方法
CN111387095B (zh) 一种梭鱼良种亲本培育方法
CN115251010A (zh) 一种雌性马口鱼与雄性宽鳍鱲杂交繁育的方法
CN110178760B (zh) 营养调控黄河口半滑舌鳎亲鱼繁殖高雌化苗种的方法
Ee-Yung Annual reprodutive cycle of the jackknife clams, Solen strictus and Solen gordonis
CN113331087A (zh) 一种裸腹叶须鱼的人工繁殖方法
Dash et al.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of different synthetic hormonal induction in the breeding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inn. 1758) in eco-carp hatchery
Nwadukwe Analysis of production, early growth and survival of Clarias gariepinus (Burchell), Heterobranchus longifilis (Val.)(Pisces: Clariidae) and their F 1 hybrids in ponds
CN106172124A (zh) 一种南方地区欧洲鳇的人工繁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