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393A -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393A
KR20160072393A KR1020140179785A KR20140179785A KR20160072393A KR 20160072393 A KR20160072393 A KR 20160072393A KR 1020140179785 A KR1020140179785 A KR 1020140179785A KR 20140179785 A KR20140179785 A KR 20140179785A KR 20160072393 A KR20160072393 A KR 20160072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miconductor layer
type semiconductor
conductivity typ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정훈
박기연
김화목
이충민
한건우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2393A/en
Publication of KR2016007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3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01L33/641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01L33/642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shap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Especi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with an excellent heat discharging ability by applying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in an inner structure of a chip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Description

열방출능이 우수한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0001] LIGHT EMITTING DEVICE <

본 발명은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소자의 칩 내부 구조에 열전달물질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열방출능이 우수한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excellent heat emitting ability by introducing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into a chip internal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evice.

발광소자는 전기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변환되는 특성을 갖는 p-n 접합 광반도체이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a p-n junction optical semiconductor hav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electrical energy is converted into light energy.

발광소자는 순방향전압 인가시, n층의 전자가 p층으로 이동하여 정공과 결합하면서 열 또는 빛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즉, n층의 전자와 p층의 정공이 결합하면서 전도대와 가전자대 사이의 에너지 준위 차이에 따라 에너지를 발산하게 되는데, 상기 에너지 준위 차이인 밴드갭 에너지에 따라 빛의 색상이 정해지게 된다. 즉, 에너지의 차이가 크면 단파장인 자외선 계통의 빛을 나타내고, 에너지 차이가 작으면 장파장인 적외선 계통의 빛을 나타낸다.When a forward voltage i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electrons in the n layer migrate to the p layer and combine with holes to emit energy in the form of heat or light. That is, the electrons of the n layer and the holes of the p layer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emit energy according to the energy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conduction band and the valence band. The color of the ligh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and gap energy which is the energy level difference. That is, when the energy difference is large, the light of the ultraviolet ray system of short wavelength is represented, and when the energy difference is small, the infrared ray system of long wavelength is represented.

발광소자는 방출하는 빛의 종류에 따라 가시광선 발광소자(VLED), 적외선 발광소자(IR LED), 자외선 발광소자(UV LED)로 구분되는데, 이 중 자외선 발광소자는 살균, 피부치료, 검사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divided into a visible light emitting device (VLED),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IR LED), and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UV LED) according to the type of light to be emitted. Among them, Is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한편, 발광소자는 발광효율이 우수하지만, 발열량도 매우 높다. 즉, 열의 형태로 방출하는 에너지의 수준이 상당한데, 효과적으로 방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발광소자 내 온도가 너무 높아져서 칩 자체 또는 패키징에 사용되는 수지가 열화된다. 이는 결국 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의 저하와 칩의 단수명화의 문제와 직결되는바,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하는 기술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has excellent light emitting efficiency, but also has a very high heating value. That is, the level of energy emitted in the form of heat is considerable. If the heat radiation is not effected effectively, the temperature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becomes too high, and the chip itself or the resin used for packaging deteriorates. As a result, the emission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deteriorates and the number of chips is shortened.

특히 자외선 발광소자의 경우, 활성층 내 알루미늄 원소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칩 자체의 발열량이 매우 높은 수준인바, 광특성 저하문제가 심각하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since the content of aluminum element in the active layer is high,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chip itself is very high, so that the problem of degrad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is serious.

구체적으로, 활성층의 GaN/InGaN 또는 GaN/AlGaN 영역의 인터페이스에서 결함(defect) 혹은 계면상태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광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GaN, AlGaN, AlN의 c-plane은 종방향 열전도특성이 낮으며, 특히 칩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열전도특성이 더 낮아지므로,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Specifically, heat is generated in the interface of GaN / InGaN or GaN / AlGaN region of the active layer depending on a defect or an interface state, thereby acting as an element for lowering optical characteristics. The c-plane of GaN, AlGaN, and AlN has a low thermal conductiv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ticularly, as the size of the chip increases, the heat conduction characteristics become low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발광소자의 칩 내부 구조에 열전달물질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열방출능이 우수한 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has excellent heat emission performance by introducing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into a chip internal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To this e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 RTI ID =

발광 구조체;A light emitting structure;

상기 발광구조체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상에 형성된 활성층;An a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활성층상에 형성된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되,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active layer,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형성된 복수의 홀;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복수의 홀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체층의 일부 상에 형성된 절연층;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body layer;

상기 절연층에 의하여 내측면이 감싸여진 복수의 홀의 내부에 형성된 열전달물질구조;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formed inside the plurality of holes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layer;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층;을 더 포함하고,And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복수의 홀 형성 영역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층 형성 영역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And the plurality of hole forming regions are located under the first electrode layer forming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한편,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도전형 반도체층;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상에 형성된 활성층;An a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활성층상에 형성되며, 어느 일면이 패턴화된 패턴부를 갖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active layer and having a patterned pattern portion on one side;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홀;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active layer to expose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복수의 홀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상에 형성된 절연층;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a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절연층에 의하여 내측면이 감싸여진 복수의 홀 및 상기 패턴부의 내부에 형성된 열전달물질구조;A plurality of holes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by the insulating layer, and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formed inside the pattern portion;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And a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의 발광소자에 의하면 발광소자의 칩 내부 구조에 제2 도전형 반도체층으로부터 상기 활성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홀 내부에 열전달물질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홀에 의해 노출된 활성층의 m-plane, a-plane 면을 통해 종방향으로 열을 빠르게 방출시킬 수 있는바, 발광소자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roducing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from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into the hole formed in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oward the active layer, the m-plane of the active layer exposed by the hole, the heat can be rapidly em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a-plane surfac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to 6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인바,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over)"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over)"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layer (film), area, pattern or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being "on" or "under" the substrate, each layer Quot; on "and" under "are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 All included. Also, the criteria for top, bottom, or bottom of each lay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는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발광 구조체;A light emitting structure;

상기 발광구조체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상에 형성된 활성층;An a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활성층상에 형성된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되,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active layer,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형성된 복수의 홀;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복수의 홀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체층의 일부 상에 형성된 절연층;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body layer;

상기 절연층에 의하여 내측면이 감싸여진 복수의 홀의 내부에 형성된 열전달물질구조;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formed inside the plurality of holes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layer;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층;을 더 포함하고,And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복수의 홀 형성 영역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층 형성 영역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plurality of hole forming regions are located under the first electrode layer forming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소자는 활성층(300)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 사이에 개재되도록,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 활성층(300)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1,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such that an active layer 300 is interposed between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 The a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are formed.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은 제1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반도체층이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이 n형 반도체층인 경우, 상기 제1 도전형 도펀트는 n형 도펀트인 Si, Ge, Sn, Se, T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is a semiconductor layer doped with a first conductive dopant. Wh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i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the first conductive dopa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 Ge, Sn, Se, and Te, which are n-type dopants.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은 InxAlyGa1 -x- yN(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 AlGaAs, InGaAs, AlInGaAs, GaP, AlGaP, InGaP, AlInGaP, InP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may include a semiconductor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formula of In x Al y Ga 1 -x- y N (0? X? 1, 0? Y? 1, 0? X + And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 AlGaAs, InGaAs, AlInGaAs, GaP, AlGaP, InGaP, AlInGaP and InP.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모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 상에는 언도프 질화갈륨을 포함하는 전류확산층, 전자주입을 위한 초격자층(210), 스트레인 제어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1, a current diffusion layer including undoped gallium nitride, a superlattice layer 210 for electron injection, and a strain control layer are additionally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As shown in FIG.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 상에 형성된 활성층(300)은 단일 양자 우물 또는 다중 양자 우물(MQW)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3족-5족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층(300)은 InGaN 우물층/GaN 장벽층이 교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active layer 300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formed as a single quantum well or a multi quantum well (MQW) structure. That is, 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GaN, InN, AlN, InGaN, AlGaN, and InAlGaN using a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material. For example, the active layer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InGaN well layers / GaN barrier layers are alternately formed.

상기 활성층(300)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에서 공급되는 캐리어와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에서 공급되는 캐리어가 재결합하면서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이 n형 반도체층인 경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에서 공급되는 캐리어는 전자일 수 있고,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이 p형 반도체층인 경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에서 공급되는 캐리어는 정공일 수 있다.The active layer 300 recombines carriers supplied fro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200 and carriers supplied from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to generate light. Wh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200 i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the carriers supplied fro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electrons,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may be p- In the case of a semiconductor layer, the carrier supplied from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may be a hole.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활성층(300) 상에 전자차단층이 형성되어 전자 차단 및 활성층의 클래딩 역할을 해줌으로써 발광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차단층은 InxAlyGa1 -x- yN(0≤x≤1, 0≤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층(300)의 에너지 밴드 갭보다는 높은 에너지 밴드갭을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n electron blocking layer is formed on the active layer 300 to serve as an electron blocking layer and a cladding layer of the active layer, thereby improving the luminous efficiency. For example, the electron blocking layer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having a composition formula of In x Al y Ga 1 -x- y N (0? X? 1, 0? Y? 1) It can have an energy band gap higher than the energy band gap.

상기 활성층(300) 상에 형성된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은 제2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반도체층을 포함하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formed on the active layer 300 includes a semiconductor layer doped with a second conductive dopant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은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이 p형 반도체층인 경우, 상기 제2 도전형 도펀트는 p형 도펀트인 Mg, Zn, Ca, Sr, Ba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GaN, InN, AlN, InGaN, AlGaN, and InAlGaN. Whe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is a p-type semiconductor layer, The conductive dopa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g, Zn, Ca, Sr, and Ba, which are p-type dopa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은 n형 반도체층,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은 p형 반도체층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 상에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 반도체, 예컨대 n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구조물은 n-p 접합구조, p-n 접합구조, n-p-n 접합구조, p-n-p 접합구조 중 어느 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may be a p-type semiconductor lay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 semiconductor, for example,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by any one of an np junction structure, a pn junction structure, an npn junction structure, and a pnp junction structure.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소자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과 상기 활성층(300)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홀(H)을 포함한다. 1,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exposing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200 through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and the active layer 300, (H).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홀(H)의 폭은 100~10,00nm, 깊이는 50~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홀(H)의 폭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발광면적이 감소하는 문제가, 깊이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도 발광면적 감소 및 광추출시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s of the plurality of holes (H) are 100 to 10 nm and the depth is 50 to 1,000 nm. If the width of the hole H deviates from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 emitting area is reduced.

홀(H)의 모양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 사각형, 선타입 등 다양할 수 있으며, 홀(H)의 크기는 원형의 경우 지름, 사각형의 경우 일변의 길이, 선타입의 경우 폭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hape of the hole H may be circular, square, line type, or the like as viewed from a plane. The size of the hole H may be a diameter of a circle, a length of one side of a square, But is not so limited.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홀(H)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으로부터 상기 활성층(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활성층(3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으로부터 상기 활성층(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holes (H) are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to the active layer (300). That is, the active layer 300 is preferably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toward the active layer 300 in order to effectively dissipate hea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300.

복수의 홀(H)의 내측면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의 일부 상에는 절연층(500)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500)을 통해 활성층(300)과 열전달물질구조(600)에 포함되는 열전달물질간 발생될 수 있는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한다. An insulating layer 50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les H and a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Thereby preventing electrical shorts that may occur between the active layer 300 and the heat transfer material included in the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600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500.

절연층(500) 형성물질로는 SiO2, Al2O3. SiNx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연층(500)의 두께는 10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500)의 두께가 100nm를 초과하게 되면 활성층(300)에서 발생된 열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 및 제1 전극층(800)을 통해 방출되는 효과가 떨어진다.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500, SiO 2 , Al 2 O 3 . SiN x ,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500 is preferably 100 nm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500 is more than 100 nm, the hea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300 is not emitted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800.

상기 절연층(500)에 의하여 내측면에 감싸여진 복수의 홀(H)의 내부에는 열전달물질구조(600)이 형성될 수 있다. 열전달물질구조(600)은 활성층(300)에서 발생된 열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 및 제2 전극층(700)을 통해 빠르게 방출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600 may be formed in the plurality of holes H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layer 500 on the inner side. The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6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that the hea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300 can be rapidly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700.

구체적으로, Ag, Cu, Al, Cr, Au, Fe, 다이아몬드, 탄소나노튜브, 그래핀과 같이 열전도효과가 우수한 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Concrete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materials having excellent heat conduction effect such as Ag, Cu, Al, Cr, Au, Fe, diamond,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can be used.

본 발명의 발광소자는, ,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층(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700)은 캐리어 주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단일 금속 혹은 금속 합금, 금속산화물 등을 다중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ectrode layer 700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The second electrode layer 700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single metal, a metal alloy, a metal oxide, or the like so as to efficiently perform carrier injection.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전극층(700)은 반사금속층(701), 반사커버금속층(702), 본딩금속층(703), 컨택기판층(704)을 포함할 수 있다.
1, the second electrode layer 700 may include a reflective metal layer 701, a reflective cover metal layer 702, a bonding metal layer 703, and a contact substrate layer 704. Referring to FIG.

제2 전극층(700)은 반도체와 전기적인 접촉이 우수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ITO, IZO, IZTO, IAZO, IGZO, IGTO, AZO, ATO, GZO, IZON, AGZO, IGZO, ZnO, IrOx, RuOx, NiO, RuOx/ITO, Ni/IrOx/Au 및 Ni/IrOx/Au/ITO, Ag, Ni, Cr, Ti, Sn, Al, Rh, Pd, Ir, Ru, Mg, Zn, Pt, Au, Hf 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econd electrode layer 7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tact with a semiconductor and may be formed of ITO, IZO, IZTO, IAZO, IGZO, IGTO, AZO, ATO, GZO, IZON, AGZO, IGZO, ZnO, IrOx, RuOx , NiO, RuOx / ITO, Ni / IrOx / Au and Ni / IrOx / Au / ITO, Ag, Ni, Cr, Ti, Sn, Al, Rh, Pd, Ir, Ru, Mg, Zn, ,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도 1의 발광소자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본 발명의 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H) 형성영역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층(800) 형성 영역과 일치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전극층(800)의 하단에 형성됨으로써 활성층(300)에서 발생된 열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 및 제2 전극층(700)을 통해 방출되는 효과를 최대로 할 수 있다.In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holes (H) forming regions may be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layer 800 is formed,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Can be small. That is, by forming the lower electrod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800, the hea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300 can be maximized through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70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발광소자는 특히 활성층(300)에서의 열발생이 많은 UV-발광소자에 적용될 수 있는바, 이 때, 상기 활성층(300)의 알루미늄 함량은, 활성층(300)을 구성하는 전체 원소 대비 40원소%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열방출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플립칩 방식으로 실장기판 상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particularly to UV-light emitting devices which generate much heat in the active layer 3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40 atomic% or more of the total elements,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ounted on a mounting substrate by flip-chip method in order to maximize heat emission.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3 to 6.

먼저, 기판(100)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 활성층(300),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을 통상의 반도체 증착방법에 의하여 형성한 후, 에칭을 통해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과 상기 활성층(300)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홀(H)을 형성하고, 복수의 홀(H)의 내측면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의 일부상에 절연층(500)을 증착을 통해 형성한다(도 3a).
First,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an active layer 300,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are formed on a substrate 100 by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position method. Then,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and the active layer 300 to expose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o form a plurality of holes H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les H, An insulating layer 500 is formed on a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through deposition (FIG. 3A).

기판(100)은 열전도성이 뛰어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기판 또는 절연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Al2O3, SiC, Si, GaAs, GaN, ZnO, GaP, InP, Ge 등과 같은 공지의 재료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1)의 위 및/또는 아래에는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철 패턴의 형상은 스트라이프 형상, 렌즈 형상, 기둥 형상, 뿔 형상 등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The substrate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may be a conductive substrate or an insulating substrate. For example, the substrate 100 may be formed of a known material such as Al 2 O 3 , SiC, Si, GaAs, GaN, ZnO, GaP, InP, A concavo-convex pattern may be formed on and / or below the substrate 101, and the shape of the concavo-convex pattern may be freely selected such as a stripe shape, a lens shape, a columnar shape, and a horn shape.

본 발명에 있어서, 도 3a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판(100) 상에는 버퍼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활성층/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과 기판 간의 격자 부정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버퍼층의 재료는 3-5족 화합물 반도체, 예컨대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3A, a buff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The buffer layer mitigates lattice mismatching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 the active layer /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ubstrate. The material of the buffer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such as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nd AlIn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3a 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버퍼층 상에 언도프(undoped) 반도체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n undoped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on the buffer layer although not shown in FIG. 3A.

절연층(500)이 형성된 형태는 도 3b,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의 노출영역은 선형일 수도 있고,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의 노출영역이 점 형태일 수도 있다.
Forms in which the insulating layer 500 is formed are shown in Figs. 3B and 3C. As shown in FIG. 3B, the exposed region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may be linear, or the exposed region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may be in a dotted form, as shown in FIG. 3C.

다음으로, 상기 절연층(500)에 의하여 내측면이 감싸여진 복수의 홀(H)의 내부에 열전달물질구조(600)을 증착을 통해 형성한다(도 4(a)). 열전달물질구조(600)이 증착된 발광소자의 평면도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다.Next,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600 is formed inside the plurality of holes H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layer 500 by vapor deposition (FIG. 4 (a)). A plan view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600 deposited thereon is shown in Fig. 4 (b).

다음으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 상에 제2 전극층(700)을 형성한다(도 5). Next, a second electrode layer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FIG. 5).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전극층(7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서 가까운 층부터 순차적으로 반사금속층, 반사커버금속층, 본딩금속층, 컨택기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딩금속층은 AuSn 등과 같이 제2 전극층으로 전류주입이 가능한 금속이라면 그 재질에 제한이 없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cond electrode layer 700 may include a reflective metal layer, a reflective cover metal layer, a bonding metal layer, and a contact substrate layer sequentially from the layer closer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material of the bonding metal layer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al such as AuSn capable of injecting current in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다음으로, 기판(100)을 분리하고, 기판(100) 분리시 발생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의 손상층을 제거한다. 그 후 칩 사이즈에 맞추어 통상의 격리(isolation) 공정, 측면 패시베이션 공정을 거친 다음,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층(80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제2 전극층(700)의 이면에 방열구조(900)를 부착하여 방열을 위한 칩 패키징을 완료한다(도 6).
Next, the substrate 100 is removed, and the damaged layer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200, which is generated when the substrate 100 is separated, is removed. Thereafter, a first electrode layer 8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after a normal isolation process and a side passivation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chip size. Then,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900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700 to complete chip packaging for heat dissipation (FIG. 6).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는, In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도전형 반도체층;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상에 형성된 활성층;An a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활성층상에 형성되며, 어느 일면이 패턴화된 패턴부를 갖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active layer and having a patterned pattern portion on one side;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홀;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active layer to expose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복수의 홀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상에 형성된 절연층;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a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절연층에 의하여 내측면이 감싸여진 복수의 홀 및 상기 패턴부의 내부에 형성된 열전달물질구조;A plurality of holes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by the insulating layer, and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formed inside the pattern portion;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도 7은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의 어느 일면이 패턴화된 패턴부(410)를 가지며, 절연층(500)에 의하여 내측면이 감싸여진 복수의 홀(H) 및 상기 패턴부(410)의 내부에 열전달물질구조(600)가 형성되어 방열효과 내지 광추출 효율을 더욱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terned pattern portion 410 on one side of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and an insulating layer 500 The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600 is formed in the plurality of holes H surrounded by the inner side and the pattern unit 410 to further enhance heat radiation efficiency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이 때, 상기 패턴화된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의 패턴부(410)의 깊이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의 두께를 기준으로 2/3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부(410)의 깊이가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의 두께를 기준으로 2/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추출을 시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patterned portion 410 of the patterned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is preferably 2/3 or less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If the depth of the pattern portion 410 exceeds 2/3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the pattern portion 410 may interfere with the light extraction.

상기 패턴부(410)의 형태는 스트라이프 형상, 렌즈 형상, 기둥 형상, 뿔 형상, 그리드 형상 등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The shape of the pattern unit 410 may be freely selected from a stripe shape, a lens shape, a columnar shape, a horn shape, and a grid sha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0) 이외의 다른 구성 및 제조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바,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other than the patterned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mit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These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기판
200: 제1 도전형 반도체층
300: 활성층
400: 제2 도전형 반도체층
H: 홀
500: 절연층
600: 열전달물질구조
700: 제2 전극층
800: 제1 전극층
900: 방열구조
100: substrate
200: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300: active layer
400: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H: hole
500: insulating layer
600: Structure of heat transfer material
700: Second electrode layer
800: first electrode layer
900: Heat dissipation structure

Claims (14)

발광 구조체;
상기 발광구조체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상에 형성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상에 형성된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형성된 복수의 홀;
상기 복수의 홀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체층의 일부 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에 의하여 내측면이 감싸여진 복수의 홀의 내부에 형성된 열전달물질구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 형성 영역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층 형성 영역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A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active layer,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body layer;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formed inside the plurality of holes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hole forming regions are located under the first electrode layer forming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의 깊이는 상기 절연층의 두께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pth of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exceeds a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의 폭은 100~10,000nm, 깊이는 50~1,0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holes have a width of 100 to 10,000 nm and a depth of 50 to 1,00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으로부터 상기 활성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oward the act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발광구조체측면 및 상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to surround a side surface and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형성 영역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층 형성 영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hole forming regions are smaller than the first electrode layer forming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smaller than the first electrode forming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의 알루미늄 함량은, 활성층을 구성하는 전체 원소 대비 40원소%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luminum content of the active layer is 40% or more of the total elements constituting the active layer.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상에 형성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상에 형성되며, 어느 일면이 패턴화된 패턴부를 갖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홀;
상기 복수의 홀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에 의하여 내측면이 감싸여진 복수의 홀 및 상기 패턴부의 내부에 형성된 열전달물질구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active layer and having a patterned pattern portion on one side;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active layer to expose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a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A plurality of holes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by the insulating layer, and a heat transfer material structure formed inside the pattern portion;
Emitting elemen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패턴부의 깊이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2/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depth of a pattern portion of the patterned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is 2/3 or less based on a thickness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의 폭은 100~10,000nm, 깊이는 50~1,0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holes have a width of 100 to 10,000 nm and a depth of 50 to 1,000 n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으로부터 상기 활성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oward the active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형성 영역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층 형성 영역과 일치하거나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hole forming regions are equal to or smaller than a first electrode layer forming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의 알루미늄 함량은, 활성층을 구성하는 전체 원소 대비 40원소%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 aluminum content of the active layer is 40% or more of the total elements constituting the active layer.
KR1020140179785A 2014-12-12 2014-12-12 Light emitting device KR201600723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85A KR20160072393A (en) 2014-12-12 2014-12-12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85A KR20160072393A (en) 2014-12-12 2014-12-12 Light emit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393A true KR20160072393A (en) 2016-06-23

Family

ID=5635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785A KR20160072393A (en) 2014-12-12 2014-12-12 Light emit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239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0399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807593B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20090267106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300781B1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current spreading layer with an opening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US10177274B2 (en) Red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ing device
KR101054984B1 (en)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for fabrica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1114047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164087B1 (en) Light emitting device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ereof
KR101206523B1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upper and lower fingers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KR102250523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20160145413A (en) Re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397266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KR102425124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224164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199997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20160072393A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1204430B1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bonding pads formed on recess region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KR102561565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356516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10971648B2 (en) Ultraviolet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KR102336432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142714B1 (e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and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having the same
KR102212793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having the same
KR20160077374A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2376672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