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086A -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086A
KR20160072086A KR1020160072511A KR20160072511A KR20160072086A KR 20160072086 A KR20160072086 A KR 20160072086A KR 1020160072511 A KR1020160072511 A KR 1020160072511A KR 20160072511 A KR20160072511 A KR 20160072511A KR 20160072086 A KR20160072086 A KR 20160072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adhesive
fabric
hot
solid
fabric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725B1 (ko
Inventor
석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ublication of KR20160072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 D04H1/6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at spaced points or lo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06M17/08Polyamides polyi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06M17/10Polyurethanes polyurea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물 기재; 상기 직물 기재에 형성된 고상(固相)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 및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에 접착되어 있고,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Breathable and Waterproof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습방수 원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상(固相)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직물기재와 나노 섬유 웹을 부착하여 구성하는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과 레저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어 기능성 소재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투습방수기능을 갖춘 소재는 고급화 및 웰빙 붐을 타고 투습기능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투습방수 원단은 땀을 배출해주고, 비를 막아주는 투습방수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으로, 등산복, 야외 외출복, 침낭 등의 등산 및 일상생활의 아웃도어용으로 적용되고, 그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투습방수 원단은 물은 침투하지 못하게 하면서 몸에서 나는 땀은 수증기로 되어 바깥으로 배출시킴으로서 쾌적성을 부여하게 되어, 투습방수 원단으로 만들어진 의류는 착용감이 우수하다.
방수 소재는 PTFE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PU 라미네이션 등 3가지 소재로 분류되고, 고어텍스는 PTFE 필름으로 현재 전세계 투습방수 시장을 리드하고 있으나, 현존 투습방수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 개발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6679호에는 평균직경이 1,000㎚ 이하인 폴리우레탄 나노 섬유들로 구성되고, 폴리우레탄 나노 섬유 중 일부가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나노 섬유인 폴리우레탄 나노 섬유 웹을, 액상 접착제가 스프레이(Spray)된 원단과 열압착하여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단은, 상온에서 폴리우레탄 나노 섬유 웹의 수축율을 낮춰 원단과의 접착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액상 접착제를 스프레이함으로써, 원단에서 액상 접착제의 불균일한 도포 분포를 갖게되어 투습 효율이 균일하지 못하고, 액상 접착제가 원단에 스며들게 되어 투습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투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습방수 원단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이용하여 직물 기재와 나노 섬유 웹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투습 기능을 수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 및 방법적인 특징을 도출하여 발명함으로써, 투습방수 원단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원단을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보다 경제적이고, 활용 가능하고 경쟁력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6679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이용하여 직물 기재와 나노 섬유 웹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화된 나노 섬유 웹을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으로 직물 기재에 접착시켜, 원단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습 기능을 수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투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물 기재와 나노 섬유 웹을 접착시키는 접착제를 고체 상태의 패턴으로 형성하여 친환경적인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투습방수 원단의 황변, 오염, 표백이나 뒤틀림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직물 기재; 상기 직물 기재에 형성된 고상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 및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에 접착되어 있고,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을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직물 기재; 상기 직물 기재에 형성된 고상(固相)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에 접착되어 있고,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 상기 나노 섬유 웹에 친수성 PU를 박막 코팅하여 형성한 탑코팅층; 및 상기 탑코팅층에 인쇄된 인쇄패턴층;을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직물 기재에 고상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이용하여,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을 상기 직물 기재에 열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직물 기재에 고상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이용하여,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을 상기 직물 기재에 열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 섬유 웹에 친수성 PU를 박막코팅하여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직물 기재에 핫멜트 접착제를 고체 상태의 패턴 형상으로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으로 직물 기재에 나노 섬유 웹을 열 접착하여 투습방수 원단을 구현함으로써, 직물 기재와 나노 섬유 웹의 접착된 면적을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투습 기능을 수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투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중량의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경량화된 나노 섬유 웹을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으로 직물 기재에 접착시켜, 원단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패턴 형상의 고상 핫멜트 접착제로 직물 기재와 나노 섬유 웹을 접착시킴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며 통기성을 우수하게 하고, 무공해, 무독성, 솔벤트 성분이 없는 친환경적인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투습방수 원단의 황변, 오염, 표백이나 뒤틀림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직물 기재와 나노 섬유 웹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직물 기재에 코팅된 고상 핫멜트(Hot melt)형 접착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일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직물 기재에 코팅된 고상 핫멜트 접착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고상 핫멜트 접착제가 코팅된 직물 기재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직물 기재에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나노 섬유 웹을 제조하기 위한 전기방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나노 섬유 웹에 접착제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직물 기재에 코팅된 고상(固相)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일부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직물 기재에 코팅된 고상 핫멜트 접착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고상 핫멜트 접착제가 코팅된 직물 기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a와 도 1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은 페브릭(fabric)과 같은 직물 기재(100)에 고상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110)을 형성한다(도 1a). 그 후,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200)을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을 이용하여, 직물 기재(100)에 열 접착한다(도 1b)
여기서,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기재(100)에 상호 이격되어 있는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로 이루어진 도트형 패턴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상 핫멜트 접착제를 직물 기재(100)에 패턴 형상으로 코팅한 후 냉각시키면,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으로 직물 기재에 나노 섬유 웹을 열 접착함으로써, 직물 기재와 나노 섬유 웹의 국부적인 영역에만 접착용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이 위치되어 직물 기재와 나노 섬유 웹의 접착된 면적을 감소시켜 투습 기능을 수행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투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직물 기재에 액상 접착제를 스프레이한 후, 나노 섬유 웹을 열롤로 가열 및 압착하여 접착시키는 경우, 스프레이된 액상 접착제의 분포도가 불균일하고, 국부적인 영역에 집중적으로 액상 접착제가 도포되어, 원단의 특정 영역이 투습 효율이 저하되는 등 투습 효율이 균일하지 못하고, 스프레이된 액상 접착제가 직물 기재 대부분 영역에 스며들어, 투습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고상 핫멜트 접착제는 열가소성으로 우레탄(urethane)계, 폴리아미드(polyamide)계,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E.V.A.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P.V.C.계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노 섬유 웹(200)은 고분자물질과 용매가 혼합된 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 섬유를 만들고, 이 나노 섬유를 적층시켜 형성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기 방사 방법은 일반적인 전기방사(electrospinning),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원심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물질은 전기방사가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친수성 고분자와 소수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고분자물질로는 전기방사를 위해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고, 전기방사에 의해 나노 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풀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시메틸렌-올리 고-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고분자물질로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디페녹시포스파젠, 폴리{비스[2-(2-메톡시에톡시)포스파젠]} 같은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이 있다.
상기 고분자물질 중에서 PAN,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스테르 설폰(PES: Polyester Sulfone), 폴리스티렌(PS)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을 혼합하거나, PVdF와 PES, PVdF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고분자는 전기방사가 가능한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고분자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방사용액 제조시에 고분자물질은 5~22.5중량%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분자 물질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의 경우 섬유상의 형성이 곤란하며, 방사(spinning)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분사(Spray)가 되어서 섬유가 아닌 파티클(particle)이 형성되거나 방사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비드(bead)가 많이 형성되며, 용매의 휘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웹의 캘린더 공정시 나노 섬유 웹이 녹아서 기공(pore)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고분자 물질의 함량이 22.5중량% 초과할 경우 점도가 상승하여 용액 표면에서 고화가 일어나 장시간 방사가 곤란하며, 섬유직경이 증가하여 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섬유상을 만들 수 없다.
방사용액을 준비하기 위하여 고분자 물질과 혼합되는 용매는 단성분계 용매, 예를 들면,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dimethylformamide)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2성분계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는 비등점(BP: boiling point)이 높은 것과 낮은 것을 혼합한 2성분계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계 혼합용매는 고비등점 용매와 저비등점 용매를 중량비로 7:3 내지 9:1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비등점 용매가 7 미만이 되는 경우 고분자가 완전 용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9를 초과하는 경우 저비등점 용매가 너무 적어 방사된 섬유로부터 용매의 휘발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웹(web)의 형성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만약, 비등점이 높은 용매(solvent)만 사용하는 경우 방사(spinning)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분사(Spray)가 되어서 섬유가 아닌 파티클(particle)이 형성되거나 방사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비드(bead)가 많이 형성되며, 용매의 휘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웹의 라미네이션 공정시에 부분적으로 용융이 일어나 기공(pore)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등점이 낮은 용매만 사용시에는 용매의 휘발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방사노즐의 니들(needle)에 잔 섬유(fiber)들이 많이 생성되어 방사 트러블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물질이 각각 PES와 PVdF인 경우 2성분계 혼합용매는 예를 들어, 고비등점 용매로서 DMAc(N,N-Dimethylacetoamide: BP-165℃)와 저비등점 용매로서 아세톤(acetone: BP-56℃)을 중량비로 9:1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고분자 물질이 각각 PEI와 PVdF인 경우 NMP(N-methylpyrrolidone: BP-202~204℃)와 THF(Terahydrofuran: BP-67℃)을 중량비로 9:1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2성분계 혼합용매와 전체 고분자 물질 사이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약 8:2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분자 물질과 용매를 혼합한 방사용액을 멀티-홀 방사팩을 이용하여 전기방사한 후, 다층으로 형성된 나노 섬유 웹을 얻고 열 압착 공정 예를 들면, 캘린더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캘린더링은 고온 고압으로 대략 70~190℃로 수행하여 나노 섬유 웹의 기공사이즈가 0.8㎛ 이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 섬유 웹을 형성할 때, 나노 섬유의 축적량을 5gsm 내지10gsm, 특히 2.5 레이어에서는 5gsm 미만, 바람직하게는 2gsm 내지 3gsm 범위로 설정하여 저중량의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경량화된 나노 섬유 웹을 형성하고, 경량화된 나노 섬유 웹을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으로 직물 기재에 접착시킴으로써, 투습방수 원단의 중량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핫멜트 접착제 패턴이 직물 기재(100)에 코팅된 후, 후술된 히팅 터널(heating tunnel)을 통과하면서 인가된 열에 의해 직물 기재(100)에 접한 핫멜트 접착제 패턴 영역(110a)이 융해되어 직물 기재(100)에 스며들게 된다. 그 다음, 히팅 터널을 통과시킨 후 핫멜트 접착제를 냉각시키면, 핫멜트 접착제 패턴은 고체 상태가 되고, 직물 기재(100)에 접한 핫멜트 접착제 패턴 영역(110a)은 직물 기재(100)의 내측에 침투되어 있어,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과 직물 기재(100)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체 상태의 핫멜트 접착제가 마이크로 도트 형태로 직물 기재에 도포되어 있어, 나노 섬유 웹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색, 무미, 무취의 열가소성의 핫멜트 접착제를 적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통기성을 우수하게 하고, 무공해, 무독성, 솔벤트 성분이 없는 친환경적인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패턴 형상의 고상 핫멜트 접착제로 직물 기재와 나노 섬유 웹을 접착시킴으로써, 황변, 오염, 표백이나 뒤틀림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직물 기재에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직물 기재에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히팅롤(310,311), 코팅롤(320), 공급 노즐(330), 히팅 터널(350), 냉각롤(361,362), 가이드롤(371,372,373,374), 권취롤(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히팅롤(310,311)은 코팅롤(320)에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의 코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핫멜트 접착제가 코팅되기 전(前)에 직물 기재(100)의 온도를 높인다.
코팅롤(320)에는 롤면에 상호 이격되어 있는 그라비아 코팅용 홀(미도시)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이 그라비아 코팅용 홀에는 공급 노즐(330)에서 분사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때, 코팅롤(320)에 직물 기재(100)가 롤링되면, 그라비아 코팅용 홀에 안착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는 직물 기재(100)에 전사되어 코팅된다. 코팅롤(320)도 소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의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의 크기는 1㎛ - 100㎛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20㎛ - 30㎛이다. 그리고,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가 그라비아 코팅용 홀에 잘 안착될 수 있도록, 그라비아 코팅용 홀의 크기는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의 크기보다 크게 설계한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는 그라비아 코팅용 홀과 일대일 대응하여 그라비아 코팅용 홀에 안착되어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히팅 터널(350)은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와 직물 기재(100)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가 코팅된 직물 기재(100)를 통과시킨다.
냉각롤(361,362)은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홀에 냉각수를 흐르게 하여, 냉각롤(361,362)에 직물 기재(100)가 롤링될 때, 직물 기재(100)에 코팅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가 냉각되어 고체 상태가 되도록 한다.
가이드롤(371,372,373,374)은 직물 기재(100)가 평탄화되도록 가이드하고, 권취롤(380)에서 직물 기재(100)는 권취된다.
따라서, 직물 기재에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직물 기재(100)는 히팅롤(310,311)에 공급된다. 직물 기재(100)는 히팅롤(310,311)에서 가열된 후, 코팅롤(320)에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가 패턴 형상으로 직물 기재(100)에 코팅된다. 이때, 코팅롤(320)에는 그라비아 코팅용 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이 그라비아 코팅용 홀에는 공급 노즐(330)에서 분사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가 삽입된다.
이때, 코팅롤(320)로 직물 기재(100)가 공급되고, 그라비아 코팅 홀에 삽입되어 있는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는 코팅롤(320)이 롤링되면서 직물 기재(100)에 전사되어 코팅된다. 이어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가 코팅된 직물 기재(100)를 히팅 터널(350)에 통과시켜, 직물 기재(100)에 접착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의 접착 강도를 증가시킨다. 그 다음, 히팅 터널(350)을 통과한 직물 기재(100)를 냉각롤(361,362)에 롤링시켜, 상기 히팅 터널(350)을 통과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를 냉각시킴으로, 고체 상태로 변화시킨다. 즉, 냉각롤(361,362)에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는 냉각되어 고체 상태가 되어, 직물 기재(100)에는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후, 직물 기재(100)는 가이드롤(371,372,373,374)을 거쳐 권취롤(380)에서 권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나노 섬유 웹을 제조하기 위한 전기방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방사 장치는 고분자 물질과 용매가 혼합된 방사 용액이 저장되는 믹싱 탱크(Mixing Tank)(10)와, 고전압 발생기가 연결되고 믹싱 탱크(10)와 연결되어 나노 섬유 웹(70)을 형성하는 다수의 방사노즐(21,22,23)과, 다수의 방사노즐(21,22,23)의 하측에 배치되어 나노 섬유 웹(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콜렉터(50)를 포함한다.
믹싱 탱크(10)에는 방사 용액을 균일하게 섞어주고 방사 용액이 일정 점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공압을 이용한 믹싱 모터(12)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교반기(11)가 내장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방사노즐(21,22,23)마다 에어 분사시켜 나노 섬유를 에어가 포집하고 축적시킴으로써, 강성이 높은 나노 섬유 웹을 제조할 수 있고, 나노 섬유가 날아다니면서 발생할 수 있는 방사 트러블을 감소시킨다.
콜렉터(50)와 다수의 방사노즐(21,22,23) 사이에는 90~120Kv의 고전압 정전기력이 인가됨에 따라 나노 섬유(30)가 방사되어 콜렉터에 나노 섬유(30)가 포집되어 나노 섬유 웹(70)을 형성한다. 콜렉터(50)는 트랜스퍼 시트(미도시) 상부에 나노 섬유 웹(70)이 형성되도록 트랜스퍼 시트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콜렉터(50)의 전방에는 종이 트랜스퍼 시트가 감겨진 트랜스퍼 시트 롤(미도시)이 배치되어 콜렉터(50)의 상면으로 트랜스퍼 시트를 공급해준다. 그리고, 콜렉터(50)의 후방에는 나노 섬유 웹(70)을 가압(캘린더링)하여 표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가압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트랜스퍼 시트를 사용하여 나노 섬유를 방사함으로써, 다공성 나노 섬유 웹에 함유된 잔류 용제(solvent)를 흡수함으로써 나노 섬유가 잔류용제에 의해 다시 녹는 현상을 막아주고 또한 잔류용제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랜스퍼 시트는 예를 들어, 종이, 또는 혼합방사용액의 방사시에 이에 포함된 용매에 의해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부직포, PE, PP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나노 섬유 웹 자체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인장강도가 낮아서 높은 이송속도를 가지고 이송되면서 건조 공정, 캘린더링 공정 및 권선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어렵다.
더욱이, 다공성 나노 섬유 웹을 제조한 후, 직물 기재와의 열 접합 공정을 높은 이송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실행되기 어려우나 상기한 트랜스퍼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충분한 인장강도를 제공함에 따라 공정처리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나노 섬유 웹과 직물 기재를 열 접착하기 전에 트랜시퍼 시트를 제거한다.
또한, 다공성 나노 섬유 웹만을 사용하는 경우 정전기로 인하여 타 물체에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나 트랜스퍼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시트는 직물 기재와의 열 접합 공정을 거친 후, 박리되어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중량의 다공성 나노 섬유 웹을 직물 기재와 열 접합시킴으로써, 원단의 투습방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된 원단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며,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나노 섬유 웹에 접착제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은 직물 기재(100)에 수용성 아크릴층(105)을 형성하고(도 7a), 그 수용성 아크릴층(105)에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을 형성한다(도 7b). 이어서,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200)을 직물 기재(100)에 열 접착한다(도 7c)
이와 같은 수용성 아크릴층(105)은 직물 기재(100)의 일면 전체 또는 일부 에 형성할 수 있으며, 직물 기재(100)의 일면 일부에 수용성 아크릴층(105)을 형성하는 경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과 동일한 패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용성 아크릴층(105)의 패턴 크기는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 보다 크게 형성하여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이 직물 기재(100)에 접착되지 않고, 수용성 아크릴층(105)의 패턴에 접착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에서는,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과 직물 기재(100) 사이에 수용성 아크릴층(105)이 개재된 것으로, 수용성 아크릴층(105)은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 및 직물 기재(100)와의 접착 강도가 높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은 나노 섬유 웹(200)에 나노 섬유형 접착제를 전기 방사하거나, 또는 나노 비드형 접착제를 전기 분사하여, 나노 섬유 웹(200)과 직물 기재(100) 사이에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과 나노 섬유형 접착제, 또는 나노 비드형 접착제(120)를 개재하여 열 접착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나노 섬유형 접착제, 또는 나노 비드형 접착제(120)는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 사이, 즉,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이 존재하지 않는 나노 섬유 웹(200)과 직물 기재(100) 사이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 기재(100)에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을 형성하는 공정과 나노 섬유 웹(200)에 나노 섬유형 접착제, 또는 나노 비드형 접착제(120)를 형성하는 공정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러한 개별 공정에 의해 나노 섬유형 접착제, 또는 나노 비드형 접착제(120)는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과 중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 및 용매를 혼합한 방사 용액 또는 분사 용액을 제조하고, 전술된 도 6의 전기 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도 9a와 같은 분사 노즐(25)로 분사 용액을 분사하여 나노 비드형 접착제(121)를 나노 섬유 웹(200)에 접착시키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 노즐(26)로 방사 용액을 분사하여 나노 섬유형 접착제(122)를 나노 섬유 웹(200)에 접착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와 러버(rubber)계 접착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나노 섬유 웹(200)과 직물 기재(100)가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에 의해 접착될 때, 나노 섬유형 접착제, 또는 나노 비드형 접착제는 나노 섬유 웹(200)과 직물 기재(100) 사이에 개재되어 접착됨으로써, 나노 섬유 웹(200)과 직물 기재(100)의 접착 강도는 향상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은 직물기재(100),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110), 나노 섬유 웹(200), 탑코팅층(250)과 인쇄패턴층(2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의 2.5 레이어 원단을 제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은 먼저, 제1실시예에서 제조된 도 1b의 투습방수 원단의 나노 섬유 웹(200)에 탑코팅층(250)을 형성한다. 탑코팅층(250)은 친수성 PU를 필름 형태로 부착하거나 박막코팅을 하여 형성하는 것이며, 두께는 5㎛-10㎛이며, 이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이유는 후속공정에서 최상층의 인쇄패턴이 잘 인쇄되도록(잘 올라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나노 섬유 웹을 5gsm, 바람직하게는 2gsm-3gsm 중량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후, 탑코팅층(250)에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법으로 인쇄패턴층(270)을 형성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으로 직물 기재에 나노 섬유 웹을 열 접착하여 투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습방수 원단을 제공한다.
100:직물 기재 105:수용성 아크릴롤
110: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 200:나노 섬유 웹
310,311:히팅롤 320:코팅롤
330:공급 노즐 350:히팅 터널
361,362:냉각롤 371,372,373,374:가이드롤
380:권취롤

Claims (22)

  1. 직물 기재;
    상기 직물 기재에 형성된 고상(固相)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 및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에 접착되어 있고,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을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은, 상호 이격되어 있는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로 이루어진 도트형 패턴인 투습방수 원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의 크기는 1㎛ - 100㎛인 투습방수 원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는, 우레탄(urethane)계, 폴리아미드(Polyamide)계,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E.V.A.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P.V.C.계 중 하나인 투습방수 원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기재에 접한 핫멜트 접착제 패턴 영역은, 상기 직물 기재의 내측에 침투되어 있는 투습방수 원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기재와 상기 나노 섬유 웹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상기 직물 기재와 상기 나노 섬유 웹을 접착하는 나노 비드형 접착제 또는 나노 섬유형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비드형 접착제 또는 나노 섬유형 접착제는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상기 나노 섬유 웹과 상기 직물 기재 사이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 투습방수 원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기재와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 사이에 개재된 수용성 아크릴층을 더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의 축적량은 5gsm 미만인 투습방수 원단.
  10. 직물 기재;
    상기 직물 기재에 형성된 고상(固相)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에 접착되어 있고,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
    상기 나노 섬유 웹에 친수성 PU를 박막 코팅하여 형성한 탑코팅층; 및
    상기 탑코팅층에 인쇄된 인쇄패턴층;을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은, 상호 이격되어 있는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로 이루어진 도트형 패턴인 투습방수 원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의 크기는 1㎛ - 100㎛인 투습방수 원단.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는, 우레탄(urethane)계, 폴리아미드(Polyamide)계,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E.V.A.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P.V.C.계 중 하나인 투습방수 원단.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기재에 접한 핫멜트 접착제 패턴 영역은, 상기 직물 기재의 내측에 침투되어 있는 투습방수 원단.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의 축적량은 5gsm 미만인 투습방수 원단.
  16. 직물 기재에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이용하여,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을 상기 직물 기재에 열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기재에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직물 기재에 수용성 아크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은 상기 수용성 아크릴층에 형성하는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웹에는 전기 방사된 나노 섬유형 접착제, 또는 전기 분사된 나노 비드형 접착제가 접착되어 있고,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나노 섬유 웹을 상기 직물 기재에 열 접착할 때, 상기 나노 섬유형 접착제, 또는 나노 비드형 접착제가 상기 나노 섬유 웹과 상기 직물 기재에 접착되는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기재에 고상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직물 기재를 히팅롤에 공급하여 가열시키는 단계;
    롤면에 그라비아 코팅용 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이 그라비아 코팅용 홀에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가 안착되어 있는 코팅롤에, 상기 가열된 직물 기재를 롤링하여 상기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를 패턴 형상으로 상기 직물 기재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가 코팅된 직물 기재를 히팅 터널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히팅 터널을 통과한 직물 기재를 냉각롤에 롤링시켜, 상기 히팅 터널을 통과한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를 고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 파우더의 크기는 1㎛ - 100㎛인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웹은 트랜시퍼 시트에 직접 나노 섬유가 전기 방사되어 형성하며, 상기 나노 섬유 웹과 상기 직물 기재를 열 접착하기 전에 상기 트랜시퍼 시트를 제거하는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
  22. 직물 기재에 고상 핫멜트(Hot melt)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상 핫멜트 접착제 패턴을 이용하여,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에 의해 축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는 나노 섬유 웹을 상기 직물 기재에 열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 섬유 웹에 친수성 PU를 박막코팅하여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

KR1020160072511A 2013-08-19 2016-06-10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09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861 2013-08-19
KR1020130097861 2013-08-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489A Division KR101631252B1 (ko) 2013-08-19 2014-07-23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086A true KR20160072086A (ko) 2016-06-22
KR102109725B1 KR102109725B1 (ko) 2020-05-12

Family

ID=525795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489A KR101631252B1 (ko) 2013-08-19 2014-07-23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60072511A KR102109725B1 (ko) 2013-08-19 2016-06-10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489A KR101631252B1 (ko) 2013-08-19 2014-07-23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6312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467B1 (ko) * 2019-01-24 2020-02-19 (주)브리즈텍스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다층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20091349A1 (ko)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실론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WO2020141866A3 (ko) * 2019-01-03 2020-08-27 주식회사 브리즈텍스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다층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600B1 (ko) * 2015-10-14 2016-07-07 노아이엔지 주식회사 방수시트 제조장치
KR20200123981A (ko) 2019-04-23 2020-11-02 다이텍연구원 박리강도를 향상시킨 투습방수환편물
KR102031190B1 (ko) * 2019-05-02 2019-10-11 최용덕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
KR102630709B1 (ko) * 2023-05-23 2024-01-29 윤진우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644A (ko) * 2008-01-18 2009-07-2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012777A (ja) * 2008-06-03 2010-01-21 Seiren Co Ltd 透湿性防水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27338A (ko) * 2008-09-02 2010-03-11 파인텍스테크놀로지글로벌리미티드 전기방사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20110002321A (ko) * 2009-07-01 2011-01-07 (주)에프티이앤이 수성 폴리우레탄 접착액을 이용한 기능성 원단의 라미네이팅 방법
KR101106679B1 (ko) 2008-06-12 2012-01-18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폴리우레탄 나노섬유 웹 및 이를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2812B2 (en) 2006-05-23 2014-07-22 Bha Altair, Llc Waterproof breathable garment with tape-free sea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644A (ko) * 2008-01-18 2009-07-2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012777A (ja) * 2008-06-03 2010-01-21 Seiren Co Ltd 透湿性防水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06679B1 (ko) 2008-06-12 2012-01-18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폴리우레탄 나노섬유 웹 및 이를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
KR20100027338A (ko) * 2008-09-02 2010-03-11 파인텍스테크놀로지글로벌리미티드 전기방사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20110002321A (ko) * 2009-07-01 2011-01-07 (주)에프티이앤이 수성 폴리우레탄 접착액을 이용한 기능성 원단의 라미네이팅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349A1 (ko)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실론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WO2020141866A3 (ko) * 2019-01-03 2020-08-27 주식회사 브리즈텍스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다층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11135809B2 (en) 2019-01-03 2021-10-05 Bristex Co., Ltd. Thermally-bondable multi-layered composite film for manufacturing outdoor cloth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822074A4 (en) * 2019-01-03 2021-10-13 Bristex Co., Ltd. THERMO-ADHESIVE MULTI-LAYER COMPOSITE FILM FOR THE MANUFACTURE OF OUTERWEAR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US11498312B2 (en) 2019-01-03 2022-11-15 Bristex Co., Ltd Thermally-bondable multi-layered composite film for manufacturing outdoor cloth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79467B1 (ko) * 2019-01-24 2020-02-19 (주)브리즈텍스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다층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725B1 (ko) 2020-05-12
KR20150020991A (ko) 2015-02-27
KR101631252B1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252B1 (ko)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562267B2 (en) Waterproof and moisture permeabl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028940B2 (ja) 透湿防水生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132004B2 (en) Waterproof sound-permitting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waterproof sound-permitting sheet
JP7189275B2 (ja) 美容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09727B1 (ko)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방법
JP6182553B2 (ja) 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11284B1 (ko) 전도성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213567B1 (ko) 접합용 나노섬유층과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448912B1 (ko) 무광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8097A (ko)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KR101646710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8984A (ko)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08293A (ko) 접착강도를 향상시킨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19222B1 (ko)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5026068A1 (ko)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30085638A (ko) 멜트블로운 섬유 및 나노 섬유가 랜덤하게 혼합된 단일층의 하이브리드 흡음패드를 포함하는 가청주파수 대역의 노이즈 저감용 흡음재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흡음재
KR101450217B1 (ko) 전기방사 장치
CN111051591B (zh) 防水性透气片材及其制造方法
KR101077273B1 (ko)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KR101599739B1 (ko) 전기방사용 이형지 및 이를 이용한 나노웹
KR20090128106A (ko)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KR20120071639A (ko) 부직포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장치
KR20090129039A (ko) 투습방수원단
KR101319541B1 (ko)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