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950A - 블랜더와 전용용기를 구비한 거품커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랜더와 전용용기를 구비한 거품커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950A
KR20160071950A KR1020140179787A KR20140179787A KR20160071950A KR 20160071950 A KR20160071950 A KR 20160071950A KR 1020140179787 A KR1020140179787 A KR 1020140179787A KR 20140179787 A KR20140179787 A KR 20140179787A KR 20160071950 A KR20160071950 A KR 20160071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lender
coffee
roof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664B1 (ko
Inventor
최상민
Original Assignee
최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민 filed Critical 최상민
Priority to KR102014017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6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랜더의 지붕과 이격부재가 연결된 지점 높이에 용기의 직경을 상기 지붕의 직경에 차감한 크기가 3mm 내지 5mm사이로 형성되는 용기를 사용하여 거품커피의 품질과 맛의 최적화를 이루고, 제조 시의 거품량의 균일성, 제조 후의 거품 유지안정화, 거품에 균열이 발생하는 시간 및 맛의 선호도를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와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A blender and mixing vessel for forming coffe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거품커피를 만드는 블랜더 및 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블랜더의 구성 중 지붕과 용기에 소정간격의 유격을 주어 거품커피를 생성하여 거품의 균일성이나 균열발생으로 인한 안정화 및 미관상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와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유통되는 일반적인 아메리카노 커피는 물에 에스프레소를 희석해서 먹는 음료로서, 많은 사람들이 즐기지만, 커피가 가지고 있는 본연의 쓴맛, 신맛이 여과없이 느껴져서 그 맛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아메리카노를 선택하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은 커피분말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기구를 말하는데, 가정용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에서 추출되는 커피원액에는 크레마(crema)가 생기지 않고 커피원액만 흘러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크레마는 커피의 맨 위에 떠있는 거품층을 말하는 것으로, 커피의 신비로운 맛과 향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지만, 아메리카노 커피에서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물에 희석 되어, 크레마의 형태가 잘 형성되지 않아 커피의 맛과 향을 제대로 느낄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액체 또는 고체의 내부나 표면에서, 그 액체 또는 고체가 기체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기포라 하고, 기포가 많이 모여 액체 또는 고체의 박막에 의해 기체가 격리되어 있는 상태를 포말이라 하는데 통상 이러한 기포와 포말을 총칭하여 보통 거품이라 한다.
라떼, 카푸치노, 마끼야또와 같은 음료를 제조할 때 종래 거품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냉장 보관된 우유를 강력한 고온 스팀 분사형태로 거품을 만들고 커피액을 넣는 방법을 주로 택하고 있다.
그러나 거품커피의 경우에는 전용용기에 얼음과 에스프레소를 넣고 인공적으로 흔들거나 블랜더를 이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인력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된다. 따라서 커피 전용 블랜더를 이용하여 오랜 시간 동안 저어주어야 하는데, 거품이 잘 형성되기 위해서는 내용물이 잘 섞일 수 있어야 하고, 블랜딩 중 미세한 공기가 내용물 안에 잘 유입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거품이 심하게 발생하여 용기로부터 넘쳐나거나 쏟아진다면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커피 제조 전문가에 의해 만들지 않고, 일반 가정에서 제조하기엔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고, 원하지 않는 거품의 생성 및 유지력이 현저히 떨어져 실질적으로 풍부한 고품질의 거품을 만들어내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소비자가 커피맛과 거품의 질(커피의 종류 및 용해도 등)을 선택함이 불가능할 것이다.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에서 추출되는 커피에 크레마가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안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블랜더의 지붕과 이격부재가 연결된 지점 높이에 용기의 직경을 상기 지붕의 직경에 차감한 크기가 3mm 내지 5mm사이로 형성되는 용기를 사용하여 거품커피의 품질과 맛의 최적화를 이루고, 제조 시의 거품량의 균일성, 제조 후의 거품 유지안정화, 거품에 균열이 발생하는 시간 및 맛의 선호도를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와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과, 내용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가 반원형으로 상향 돌출되어 배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블레이드수용체 및 상기 블레이드수용체를 상측에서 덮도록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지붕과, 용기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지붕의 외주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이격부재가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랜더; 상기 블랜더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하측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되, 상기 이격부재가 용기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지붕과 이격부재가 연결된 지점 높이에 용기의 직경인 하부직경(D)을 상기 지붕의 직경에 차감한 크기인 유격(G)이 3mm 내지 5mm사이로 형성되는 용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의 높이는 15mm 내지 16mm이고, 상기 블레이드수용체는 용기 바닥에서 6mm 내지 8mm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랜더는, 상기 지붕과 이격부재가 연결된 지점에 3mm 내지 5mm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은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액상커피와 물의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된 내용물을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 블랜더를 상기 용기에 담고 유격(G)을 3mm 내지 5mm로 유지하면서 블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와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거품커피의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무엇보다도 누구나 쉽게 거품커피를 만들 수 있으며, 쓴맛과 신맛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단맛, 고소한 풍미와 부드러운 감칠맛을 극대화하여 커피를 좀 더 즐겁게 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어 발생된 미세한 거품이 포함된 거품커피에는 미세한 거품으로 인해 쓴맛, 신맛 등 1차적인 맛(Primary Coffee Taste)이 줄어들고, 감칠맛, 고소함, 달콤함, 크리미한 텍스쳐 등 2차적인 맛이 느껴지며 음료의 맛에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거품커피용 블랜더가 전용용기에 담겨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거품커피용 블랜더가 전용용기에 담겨진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용기타입별로 거품량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는 내용물이 담겨지고, 블랜더(100)를 수용하는 용기(200)와, 내용물을 분쇄하여 거품을 생성하는 블랜더(100)로 구성된다.
상기 블랜더(100)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배터리(미도식)가 내장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00)의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20)과, 내용물을 분쇄하는 원형의 블레이드수용체(140) 및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를 상측에서 덮는 덮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블랜더(100)의 본체(100)에 내장된 모터의 축이 상기 구동축(120)과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120)이 상기 본체(100)로부터 노출되는 부위에는 내부에 패킹(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배터리 및 모터가 내장되어진 본체(110)의 앞쪽부분이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로의 수밀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120)과 결합되어 상기 모터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의 중앙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블레이드(141)가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배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141)는 돌출된 반원의 직경이 클수록 내용물과의 접촉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블랜딩 효과가 우수하나, 너무 커지게 되면 고속 회전 시 내용물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가 증가하고, 또한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의 지름이 너무 클 경우에도 상기 용기(200)가 좁으면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 및 블레이드(141)의 크기는 적절한 범위로 조정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덮개(130)는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의 상측에서 상기 블레이드(141)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지붕(131)과 상기 용기(200)의 바닥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돌출 형성된 다수의 이격부재(132)가 하단(도면방향)에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붕(131)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난류를 형성하고, 효율적인 블랜딩을 보장하는 동시에 내용물이 용기(20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블레이드(141)에 의한 인체 훼손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용기(200)는 상기 블랜더(1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측(도면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되, 바닥의 직경은 상기 덮개(130)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00)에 블랜딩할 내용물을 넣고 상기 블랜더(100)을 유입한 후 모터에 배터리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용기(200)의 바닥에서 상기 이격부재(132)에 의해 일정 간격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의 회전으로 내용물을 분쇄하여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블랜더(100)가 내용물이 담겨있는 용기(200)에 잠겨 거품을 발생시킬 때 상기 이격부재(132)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가 용기(200) 바닥에서 일정간격 유지된 상태에서 고속회전을 하고,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지붕(131)에 영향을 받아 난류를 형성하여 거품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141)의 회전으로 내용물이 분쇄되어 거품이 발생될 때, 거품의 일부는 다시 상기 지붕(131)의 상방형 볼록한 면으로 유입되는 한편, 일부는 상기 덮개(130)의 외부로 나와 상기 용기(200)의 벽면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거품커피의 거품을 발생하는 블랜더 및 전용용기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상기 용기(200)에 거품커피의 재료인 에스프레소와 물을 혼합하여 넣고, 상기 블랜더(100)에 의해 거품을 생성할 때 아래와 같이 품질과 맛에 최적화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아래 표로 도시하였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서의 효과인 거품커피의 품질과 맛의 최적화를 위하여 1. 제조 시의 거품량의 균일성, 2. 제조 후의 거품 유지안정화, 3. 거품에 균열이 발생하는 시간, 및 4. 맛의 선호도를 도출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00)는 하부직경(D)과 바닥직경(D')으로 구분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바닥직경(D')은 용기(200) 바닥의 직경이며, 상기 하부직경(D)은 상기 블랜더(100)의 이격부재(132)가 용기(200)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지붕(131)과 이격부재(132)가 연결된 지점 높이에 용기(200)의 직경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유격(G)은 상기 지붕(131)의 직경과 용기(200)의 하부직경(D)의 차이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131)의 직경은 5cm로,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는 그 직경이 3.6cm로 용기 바닥에서 6mm 내지 8mm로 이격되어 설치되었고, 상기 이격부재(132)의 높이는 15mm 내지 16mm로 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의 설치높이가 8mm 보다 높을 경우에는 조치상 안정성이 떨어져 용액이 이탈하거나 불균일한 거품을 형성하고, 반대로 설치높이가 6mm미만일 경우는 안전성이 떨어지므로 실용적으로 도입하기가 곤란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의 표 1에 있어서, 용기타입은 A ~ E종류로 A타입은 2mm, B타입은 4mm, C타입은 6mm, D타입은 7mm, E타입은 8mm의 유격(G)을 가지고 있다. 블랜더 타입은 1과 2가 있고, 1과 2타입은 이종제품의 동종 성능을 갖는 각기 다른 블랜더로서 거품 편차의 정도를 보기 위하여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 바리스타의 관능평가에 근거하여 패널1, 2, 3의 선호도 조사를 하여 순위를 반영한 후 합산평균을 구하였다.
표 1에서 거품유지수준의 조사는 거품커피의 제조 후 거품량의 변화를 측정한 것으로 제조 후 1분에서 10분까지의 거품량의 변화를 용기(200)에서의 거품 높이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용기타입 블랜더타입 거품유지수준 조사 최초균열발생시간(분) 안정화시간
(분)
 선호도 조사 
1분 2분 3분 4분 5분 6분 7분 8분 9분 10분 패널
1
패널
2
패널
3
선호합산
1 A 1 15 16 16 15 15 15 15 15 14 14 11 3 2 2 2 2.0
2 B 1 18 20 20 22 20 19 19 19 18 18 10 4 1 3 1 1.7
3 C 1 30 30 30 32 31 29 28 28 27 25 3 4 3 1 3 2.3
4 D 1 20 20 18 18 18 17 16 16 16 15 7 5 4 4 4 4.0
5 E 1 25 22 25 25 25 24 23 22 21 20 8 5 5 5 5 5.0
6 A 2 11 19 19 19 19 18 18 18 18 17 3 5 2 2 1 1.7
7 B 2 17 20 20 20 20 19 19 19 18 18 11 5 1 1 3 1.7
8 C 2 29 36 36 34 33 32 31 31 29 28 2 3 3 3 2 2.7
9 D 2 16 18 18 18 16 16 15 15 15 15 11 4 4 5 4 4.3
10 E 2 19 19 20 19 18 18 17 16 15 15 5 3 5 4 5 4.7
11 A 1 19 22 22 21 21 20 19 19 19 19 2 3 2 1 2 1.7
12 B 1 20 23 23 23 22 21 20 20 20 20 11 3 1 3 3 2.3
13 C 1 24 35 35 34 32 31 29 29 28 28 1 3 3 2 1 2.0
14 D 1 12 14 13 13 13 12 12 11 11 11 11 2 5 5 4 4.7
15 E 1 14 15 15 14 14 13 13 13 13 12 11 3 4 4 5 4.3
16 A 2 10 15 15 16 16 16 15 15 15 14 3 6 3 2 2 2.3
17 B 2 12 18 19 19 19 18 18 18 18 17 11 5 2 1 1 1.3
18 C 2 19 30 35 35 30 30 29 27 26 25 3 4 1 3 3 2.3
19 D 2 11 13 13 12 12 11 11 10 10 10 8 3 4 4 5 4.3
20 E 2 14 15 15 14 13 13 12 11 10 10 8 3 5 5 4 4.7
21 A 1 13 17 18 18 17 17 17 17 17 16 7 4 2 2 3 2.3
22 B 1 15 19 20 20 19 18 18 18 18 17 11 4 1 1 1 1.0
23 C 1 27 35 37 35 34 32 31 30 28 28 3 3 3 4 2 3.0
24 D 1 13 16 16 16 15 15 15 15 15 14 8 4 5 3 5 4.3
25 E 1 15 16 15 15 15 14 14 14 13 12 8 2 4 5 4 4.3
26 A 2 16 17 17 16 16 16 16 15 15 15 4 3 3 4 4 3.7
27 B 2 18 21 20 19 19 19 19 19 18 18 11 3 2 1 1 1.3
28 C 2 25 31 35 32 30 29 27 26 26 25 3 3 1 3 2 2.0
29 D 2 17 18 18 18 17 17 16 16 16 15 2 4 4 5 5 4.7
30 E 2 16 19 20 20 19 19 18 18 17 17 7 4 5 2 3 3.3
상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실시예 표를 근거로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제조 후의 거품량의 균일성
거품량의 균일성은 거품발생량의 편차로 볼 수 있으며, 상기 표의 매분마다 측정한 거품유지수준 조사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는데, 이는 제조 시 항상 동일한 양의 거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편차가 심할 경우 거품량이 너무 모자라거나 또는 너무 많이 생산되어 일관성이 떨어지게 된다.
아래 표 2와 도 4는 용기타입별로 거품량의 변화의 평균값을 매시간별로 나타낸 값이다.
용기
타입
1분 2분 3분 4분 5분 6분 7분 8분 9분 10분
A 14.00 17.67 17.83 17.50 17.33 17.00 16.67 16.50 16.33 15.83
B 16.67 20.17 20.33 20.50 19.83 19.00 18.83 18.83 18.33 18.00
C 25.67 32.83 34.67 33.67 31.67 30.50 29.17 28.50 27.33 26.50
D 14.83 16.50 16.00 15.83 15.17 14.67 14.17 13.83 13.83 13.33
E 17.17 17.67 18.33 17.83 17.33 16.83 16.17 15.67 14.83 14.33
또한 아래 표 3는 용기타입별 최대높이와 최소높이를 나타내며, 또한 최대높이에서 최소높이를 차감한 편차를 보여준다.
 용기타입 최대높이 최소높이 거품량 편차
A 17.83 14.00 3.83
B 20.50 16.67 3.83
C 34.67 25.67 9.00
D 16.50 13.33 3.17
E 18.33 14.33 4.00
편차가 가장 심한 용기타입 C의 경우 거품량의 편차가 심하여 거품커피 제조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 제조 후의 거품 유지안정화
거품의 안정화 시간은 거품커피의 제조 후, 거품량이 최대가 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안정화되는 시간 값의 평균과 편차를 아래 표 4와 같이 각 용기타입별로 도출할 수 있었다.
용기타입 안정화평균 안정화편차
A 4.00 3.00
B 4.00 2.00
C 3.33 1.00
D 3.67 3.00
E 3.33 3.00
안정화 되는 시간의 평균, 즉 거품이 최대치에 이르는 시간의 평균은 각각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안정화 편차에 있어서는 용기타입 B, C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었다.
3. 거품에 균열이 발생하는 시간
최초로 균열이 발생하는 시간은 거피의 미관과 맛에 깊은 관련이 있어, 균열이 발생하는 시간이 길수록, 또한 균열시간의 편차가 작을수록 품질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균열이 발생하는 시간 값의 평균과 편차를 아래 표 5와 같이 각 용기타입별로 도출할 수 있었다.
용기타입 최초균열 균열편차
A 5.00 9.00
B 10.83 1.00
C 2.50 2.00
D 7.83 9.00
E 7.83 6.00
균열이 발생하는 시간 값의 평균과 편차에서는 용기타입 B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용기타입 D, E도 균열이 발생하는 시간은 길었으나 편차는 큰 편임을 알 수 있었다.
4. 맛의 선호도
가장 선호하는 거품커피의 선택에 대한 3명 전문바리스타의 관능평가에 근거하여 아래 표 6에 나타내었고, 용기타입 B가 1위, A와 C가 다음 순위로 채택되었으며, 용기타입 D, E에서는 하위를 차지하여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낮았다.
용기타입 최선호평균(등수)
A 2.28
B 1.56
C 2.39
D 4.39
E 4.39
따라서, 아래의 표 7와 같이 평가결과를 종합해보면,
용기타입 유격(G) 거품균일성 안정화편차 균열발생 최선호
A 약 2mm - X 2
B 약 4mm 1
C 약 6mm X X 2
D 약 7mm - - 4
E 약 8mm - - 4
용기타입C에서는 거품에 균일성에 문제가 있고, 용기타입 A, D, E에서는 거품안정화 편차상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모든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용기타입 B에서 최상의 품질을 얻어낼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에서는 유격(G)이 3mm 내지 5mm사이에서 비교적 안정적이고 맛있는 거품거피를 얻어낼 수 있었다.
즉, 상기 유격(G)이 2mm 미만이거나 6mm 이상에서는 거품의 균일성이나 균열발생으로 인한 안정화 및 미관상에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131)과 이격부재(132)가 연결된 지점에 3mm 내지 5mm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133)가 구비될 수 있다.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은 우선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한 액상커피와 물의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내용물을 용기(200)에 투입하는 단계와, 블랜더(100)를 상기 용기(200)에 담고 유격(G)을 3mm 내지 5mm로 유지하면서 특정시간 블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후 얼음잔에 담아 본 메뉴인 거품커피를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안할 본 제조방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는, 산업적으로 보았을 때, 거품커피의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무엇보다도 누구나 쉽게 거품커피를 만들 수 있도록 함이다. 또한 소비자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쓴맛과 신맛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단맛, 고소한 풍미와 부드러운 감칠맛을 극대화하여 커피를 좀 더 즐겁게 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와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블랜더 110 : 본체
120 : 구동축 130 : 덮개
131 : 지붕 132 : 이격부재
133 : 돌기 140 : 블레이드수용체
141 : 블레이드 200 : 용기

Claims (5)

  1. 모터가 내장된 본체(110)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20)과,
    내용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141)가 반원형으로 상향 돌출되어 배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120)에 결합된 블레이드수용체(140) 및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를 상측에서 덮도록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지붕(131)과, 용기(200)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지붕(131)의 외주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이격부재(132)가 형성된 덮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랜더(100);
    상기 블랜더(1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하측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되, 상기 이격부재(132)가 용기(200)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지붕(131)과 이격부재(132)가 연결된 지점 높이에 용기(200)의 직경인 하부직경(D)을 상기 지붕(131)의 직경에 차감한 크기인 유격(G)이 3mm 내지 5mm사이로 형성되는 용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132)의 높이는 15mm 내지 16mm이고,
    상기 블레이드수용체(140)는 용기 바닥에서 6mm 내지 8mm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랜더(100)는,
    상기 지붕(131)과 이격부재(132)가 연결된 지점에 3mm 내지 5mm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13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
  4.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액상커피와 물의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된 내용물을 용기(200)에 투입하는 단계;
    블랜더(100)를 상기 용기(200)에 담고 유격(G)을 3mm 내지 5mm로 유지하면서 블랜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블랜딩하는 단계는,
    청구항 3의 블랜더(100)를 사용하여 블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커피용 블랜더 및 전용용기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
KR1020140179787A 2014-12-12 2014-12-12 블랜더와 전용용기를 구비한 거품커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 KR101712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87A KR101712664B1 (ko) 2014-12-12 2014-12-12 블랜더와 전용용기를 구비한 거품커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87A KR101712664B1 (ko) 2014-12-12 2014-12-12 블랜더와 전용용기를 구비한 거품커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950A true KR20160071950A (ko) 2016-06-22
KR101712664B1 KR101712664B1 (ko) 2017-03-07

Family

ID=5636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787A KR101712664B1 (ko) 2014-12-12 2014-12-12 블랜더와 전용용기를 구비한 거품커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4347B (zh) * 2017-03-13 2020-09-0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豆浆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532B1 (ko) * 1993-01-19 2001-10-24 마베바 홀딩 아게 제거가능한작동헤드를가진막대형핸드믹서
JP2004097154A (ja) * 2002-09-12 2004-04-02 Tadashi Yuzawa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JP2013542740A (ja) * 2010-11-23 2013-11-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起泡性が改良された製品
WO2014033607A1 (en) * 2012-09-03 2014-03-06 Koninklijke Philips N.V. Beaker for a blender equipped with a blender b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532B1 (ko) * 1993-01-19 2001-10-24 마베바 홀딩 아게 제거가능한작동헤드를가진막대형핸드믹서
JP2004097154A (ja) * 2002-09-12 2004-04-02 Tadashi Yuzawa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JP2013542740A (ja) * 2010-11-23 2013-11-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起泡性が改良された製品
WO2014033607A1 (en) * 2012-09-03 2014-03-06 Koninklijke Philips N.V. Beaker for a blender equipped with a blender 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664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28170A1 (en) Device and method to deliver a fluid to make a single serve brew or treatment
KR101329527B1 (ko) 저압 하에서 거품, 포말 또는 크레마를 준비하기 위한 추출장치
EP1563774B1 (en) Spoon brewing apparatus
US20200297152A1 (en) Flow-optimized pour over coffee brewing system
EP1749462B1 (en)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foam, froth, or crema under low pressure
US8230776B2 (en)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foam, froth or crema under low pressure
US20160227960A1 (en) Dual screen milk frother
KR102273057B1 (ko) 거품 커피 제조 장치
CN103687523A (zh) 用于制备饮料的装置
KR102441639B1 (ko) 흐름-최적화된 위에서 붓는 커피 추출 시스템
ES2436240T3 (es) Accesorio para la preparación de bebidas
KR101712664B1 (ko) 블랜더와 전용용기를 구비한 거품커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품커피의 제조방법
US20230404316A1 (en) Extraction filter basket
WO2009037493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20070028784A1 (en)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foam, froth, or crema under low pressure
Tekulsky Making Your Own Gourmet Coffee Drinks: Espressos, Cappuccinos, Lattes, Mochas, and More!
CN215738425U (zh) 一种手冲咖啡蛋糕滤杯
KR100624218B1 (ko)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US20220133075A1 (en) Accessory for Improving Operation of Espresso Coffee Brewing Machine
Racineux et al. Coffee Isn't Rocket Science: A Quick and Easy Guide to Buying, Brewing, Serving, Roasting, and Tasting Coffee
RU217519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центрата напитка из растворимого и/или натурального кофе, и/или растворимого и/или натурального чая, и/или растворимого и/или натурального какао
JP3177305U (ja) とうもろこし入りソフトクリーム
KR20230159791A (ko) 거품화 시킨 에스프레소 혼합 용액을 우유위에 플로팅하는 커피음료 제조방법
CN116437840A (zh) 利用搅拌力的咖啡饮品冲泡萃取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