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932A -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932A
KR20160071932A KR1020140179739A KR20140179739A KR20160071932A KR 20160071932 A KR20160071932 A KR 20160071932A KR 1020140179739 A KR1020140179739 A KR 1020140179739A KR 20140179739 A KR20140179739 A KR 20140179739A KR 20160071932 A KR20160071932 A KR 20160071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keyboard
operation menu
menu
display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선모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932A/ko
Priority to EP15172681.7A priority patent/EP3032444A1/en
Priority to US14/799,448 priority patent/US20160170637A1/en
Priority to CN201510472260.3A priority patent/CN105686798A/zh
Publication of KR2016007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화상 촬영 장치 및 상기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상 촬영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메뉴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 및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조작 메뉴 대신에 가상 키보드 및 상기 조작 메뉴와 관련된 보조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An image capturing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촬영 장치는 가시광선, 적외선, 초음파, 방사선 또는 핵자기 공명 현상에 의해 유도되는 프리 인덕션 디케이(FID; Free Induction Decay)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내외부의 화상을 획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화상 촬영 장치로는 카메라, 초음파 촬영 장치, 방사선 화상 장치 및 자기 공명 화상 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초음파 촬영 장치(ultrasonic imaging apparatus)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사체 내부, 예를 들어 인체 내부의 각종 조직이나 구조의 초음파 화상을 획득하는 장치이다. 초음파 촬영 장치는 피사체에서 반사되거나 또는 레이저의 입사에 따라 피사체에서 발생한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초음파에 상응하는 초음파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화상은 연부 조직의 단층 화상이나 혈류에 관한 화상과 같은 피사체의 단층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촬영 장치는 다른 화상 촬영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형이고, 저렴하면서도, 실시간으로 화상 촬영이나 삼차원 화상 촬영이 가능하고, 또한 방사선 등에 의한 피폭의 위험이 없기 때문에, 의료 분야나 비 파괴 검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가 조작 메뉴 위에 중첩되어 표시됨으로써 조작 메뉴가 가상 키보드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 메뉴를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는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화상 촬영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메뉴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 및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조작 메뉴 대신에 가상 키보드 및 상기 조작 메뉴와 관련된 보조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키보드가 상기 조작 메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폐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메뉴는 상기 가상 키보드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되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가상 키보드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따.
상기 보조 메뉴는 상기 조작 메뉴에 포함된 기능 또는 명령의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메뉴는 상기 조작 메뉴의 기능 또는 명령 중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 또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메뉴는 상기 조작 메뉴의 기능 또는 명령 중 조작 당시 상기 본체부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 또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면, 상기 본체부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키보드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호출될 수 있다.
화상 촬영 장치는 상기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터치 조작에 따라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가시 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캠코더, 초음파 촬영 장치, 디지털 방사선 화상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유방 촬영 장치(Mammography) 및 자기 공명 화상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메뉴 및 상기 보조 메뉴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 촬영 장치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가 획득한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본체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조작 메뉴 대신에 가상 키보드 및 상기 조작 메뉴와 관련된 보조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키보드는 상기 조작 메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조작 메뉴 대신에 가상 키보드 및 상기 조작 메뉴와 관련된 보조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키보드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되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가상 키보드와 중첩하여 상기 보조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상기 보조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상기 보조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메뉴에 포함된 기능 또는 명령의 전부를 상기 보조 메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상기 보조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메뉴의 기능 또는 명령 중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 또는 명령을 상기 보조 메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상기 보조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메뉴의 기능 또는 명령 중 조작 당시 상기 본체부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 또는 명령을 상기 보조 메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조작 메뉴 대신에 가상 키보드 및 상기 조작 메뉴와 관련된 보조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부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는 단계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상기 가상 키보드를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터치 조작에 따라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가시 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캠코더, 초음파 촬영 장치, 디지털 방사선 화상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유방 촬영 장치 또는 자기 공명 화상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화상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촬영 장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표시부가 상기 본체부가 획득한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메뉴 및 상기 보조 메뉴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가상 키보드가 조작 메뉴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에 가려져 표시되지 않는 조작 메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조작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가상 키보드를 표시 화면 상에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 외의 다른 조작 메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면서도 각각의 조작 메뉴에 할당된 다양한 기능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메뉴 또는 현재의 동작과 연계하여 자주 사용되는 메뉴를 용이하게 선택 및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가상 키보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신속하게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화상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조작 메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가상 키보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가상 키보드와 함께 표시되는 보조 메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보조 메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보조 메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보조 메뉴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간 정보 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가상 키보드의 호출에 따라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가상 키보드의 호출에 따라 가상 키보드 및 보조 메뉴가 표시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가상 키보드가 호출된 경우 화상 촬영 장치의 표시 화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가상 키보드가 호출된 경우 화상 촬영 장치의 표시 화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초음파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초음파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초음파 프로브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빔 포밍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초음파 촬영 장치의 입력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화상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초음파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화상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제1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화상 촬영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0)와, 화상을 획득하는 본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와 본체부(13)는 케이블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무선 통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의 송수신은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표시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화상(20, 3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은 2차원 또는 3차원 스크린 상에 표시 가능한 시각 정보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는 복수의 표시부, 즉 제1 표시부(11) 및 제2 표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 및 제2 표시부(12)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표시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1)는 표시부(10) 또는 본체부(13)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가상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 메뉴 화면(20)나 가상 키보드 화면(30)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표시부(11)를 이용하여 표시부(10) 또는 본체부(13)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2 표시부(12)는 본체부(13)에서 획득된 초음파 화상이나 방사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 및 제2 표시부(12)는 각각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11) 및 제2 표시부(12)는 음극 선관(CRT; Cathode Ray Tub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ing Panel),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 (Quantum Dot LED)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잉크 등을 채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제1 표시부(11) 및 제2 표시부(12)는 서로 동종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고, 이종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제1 표시부(11) 및 제2 표시부(12)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것일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은 표면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시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은 물리적인 압력에 따라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감압식 터치 스크린, 터치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 및 적외선의 차단 여부에 따라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적외선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채용한 것일 수 있다.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터치 스크린이 제1 표시부(11) 및 제2 표시부(12) 중 적어도 하나에 채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1 표시부(1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표시부(11)는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작 메뉴 화면(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는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조건이 성취되면, 조작 메뉴 화면(20) 대신에 가상 키보드 화면(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1)는 사용자가 조작 메뉴 호출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다른 조건이 성취되면, 가상 키보드 화면(30) 대신에 조작 메뉴 화면(20)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조작 메뉴 화면(20)은 화상 촬영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메뉴(도 3의 24)가 표시되는 화면이고, 가상 키보드 화면(30)은 가상 키보드(도 4의 31)가 전부 또는 일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조작 메뉴 및 가상 키보드에 대해선 후술한다.
도 3은 조작 메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작 메뉴 화면(20)은 본체부(13)의 제어와 관련된 조작 메뉴(24)를 표시할 수 있다. 조작 메뉴(24)는 사용자가 표시부(10) 또는 본체부(13)를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명령들에 대한 리스트를 의미한다.
조작 메뉴(24)는, 사용자가 제공되는 기능 또는 상기 기능과 관련된 명령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의 기능이나 명령에 대응하는 선택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 또는 이와 관련된 명령은 본체부(13)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3)가 초음파 촬영 장치라면, 조작 메뉴(24)의 기능은 초음파 프로브의 초음파 조사 명령, 초음파 촬영 장치에 대한 환자의 정보 입력, 입력되는 정보의 결정 및 선택 또는 초음파 화상의 모드 등의 선택 등 초음파 촬영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이나 또는 이와 관련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메뉴(24)의 선택지는 기호, 문자, 숫자 및 각종 도형을 포함하는 화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호, 문자, 숫자 및 화상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제공되는 기능이나 명령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로 기능하는 소정의 화상으로 나타낼(representation) 수 있다. 이하 조작 메뉴의 기능 또는 명령을 나타내는 소정의 화상을 가이드 화상이라 정의한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화상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의미한다.
가이드 화상은 문자, 기호, 숫자 및 각종 도형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 화상은, 예를 들어, 아이콘 등의 가상 버튼, 스크롤 바(scroll bar) 또는 트랙 바(track bar) 등과 같은 다앙한 종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화상은 휠, 조그나 노브 등과 같은 물리적 입력 장치를 화상으로 구현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화상의 형상은 화상 촬영 장치를 개발하는 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이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화상에 포커스 또는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이드 화상을 터치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커스 또는 커서가 위치하거나 터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가이드 화상에 할당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 또는 명령이 화상 촬영 장치(1)에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 메뉴(24)는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3)가 초음파 촬영 장치인 경우에 있어서, 피사체 내부에 초음파가 조사되면 조사된 초음파는 서로 상이한 깊이를 갖는 여러 목표 부위에서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초음파는 초음파 영상 장치의 프로브에 마련된 초음파 소자, 일례로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가 반사된 목표 부위의 깊이에 따라 반사된 초음파는 서로 상이하게 감쇠될 수 있고, 이는 반사된 초음파 사이의 진폭의 차이를 야기할 수 있다. 시간 이득 보상(TGC; Time Gain Compensation)이란 이와 같이 여러 목표 부위의 깊이에 따른 반사된 초음파의 진폭 차이를 동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절바(25a, bar) 및 조절바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동체(25b)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조절바(25a) 및 이동체(25b)는 소정의 도형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 상에 이동체(25b)가 표시된 부분을 터치하여 조작하거나 또는 이동체(25b)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킨 후 이동체(25b)를 드래깅(dragging)함으로써 이동체(25b)를 조절바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 이득 보상이 조절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25)가 조절바(25a) 및 이동체(25b)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25)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25)는 시간 이득 보상과 관련된 각종 값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를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조작 메뉴 화면(20)은 복수의 구역(21 내지 2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조작 메뉴는 서로 계층적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 메뉴 화면(20)의 각각의 구역(21 내지 23)은 각각의 계층에 대응하는 조작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역은 상위 계층 표시 구역(21) 및 하위 계층 표시 구역(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위 계층 표시 구역(21)은 상위 계층의 메뉴를 표시하고, 하위 계층 표시 구역(22)은 상위 계층의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 계층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위 계층 표시 구역(21)는 본체부(13)의 제어와 관련된 상대적으로 상위의 조작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의 조작 메뉴는 본체의 의해 구동 가능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등을 선택 또는 변경하기 위해 이용되는 조작 메뉴 또는 본체의 각 부품, 일례로 초음파 프로브 등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메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위 계층 표시 구역(21)에 표시될 조작 메뉴는 화상 촬영 장치의 특성이나 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하위 계층 표시 구역(22)은 선택된 상위의 조작 메뉴에 부속되는 하위 조작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상위의 조작 메뉴 중 초음파 프로브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메뉴를 선택한 경우, 하위 계층 표시 구역(22)에는 초음파 프로브의 조작에 필요한 각종 메뉴, 방사되는 초음파의 주파수 변경, 빔 포밍 시 적용되는 가중치의 결정 또는 A모드, M모드 또는 C 모드 등 표시 모드의 전환 등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하위 계층 표시 구역(22)에 표시되는 조작 메뉴는 선택된 상위 조작 메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하위 계층 표시 구역(22)에 표시되는 조작 메뉴 역시, 화상 촬영 장치의 특성이나 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 메뉴 화면(20)은 설정 표시 구역(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 표시 구역(23)은 현재 본체부(13)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3)의 동작 환경 등과 같은 각종 설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위 계층 표시 구역(21), 하위 계층 표시 구역(22) 및 설정 표시 구역(23)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상 키보드를 호출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가상 키보드 호출 가이드 화상(29)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나 물리 버튼 등과 같은 입력부(17)를 조작하여, 포커스나 커서를 가상 키보드 호출 가이드 화상(29)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상 키보드 호출 가이드 화상(29)을 터치하여 조작함으로써, 화상 촬영 장치(1)에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에 따라서 화상 촬영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 화면(30)을 제1 표시부(11)에 표시함으로써, 가상 키보드(도 4의 31)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상 키보드 호출 가이드 화상(29)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별도로 마련된 소정의 물리 버튼을 조작하여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을 화상 촬영 장치(1)에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 화면(2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레이어(layer) 상에 다양한 문자, 기호 또는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레이어란 문자, 기호 또는 화상이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삽입 또는 배치될 수 있는, 가상의 2차원 평면을 의미한다. 하나의 화면은 하나의 레이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레이어가 중첩되거나 나란히 배열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레이어는 화상 등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면 모두 투명할 수도 있다.
도 4는 가상 키보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상 키보드 화면(30)은 가상 키보드(31)가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가상 키보드 화면(3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레이어의 조합으로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가상 키보드 화면(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31) 및 보조 메뉴(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상 키보드 화면(30)은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상 키보드 화면(30)의 가상 키보드(31), 보조 메뉴(40) 및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되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의 좌측 상단에는 보조 메뉴(40)가 배치되어 표시되고, 우측 상단에는 실시간 정보 표시부(50)가 배치되어 표시되며, 보조 메뉴(40) 및 표시창(50)의 하단에 가상 키보드(31)가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가상 키보드 화면(30)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31), 보조 메뉴(40) 및 표시창(50)에 대해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 화면(30)에는 가상 키보드(31)가 표시될 수 있다. 가상 키보드(31)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이 배열되어 있는 화상을 의미한다. 가상 키보드(3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리 키보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31)는 물리적 키보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상 키보드(31)가 제1 표시부(11)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31)의 각각의 키에 포커스 또는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각각의 키에 터치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문자, 숫자, 기호를 입력하거나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31)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할당된 복수의 가상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는 알파벳, 한글, 가타카나 또는 아라비아 문자 등 자판으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각각의 키를 선택하면 각각의 키에 할당된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화상 촬영 장치(1)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31)는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능키는 예를 들어 엔터 키 또는 방향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소정의 명령, 일례로 엔터 키에 할당된 명령이나 방향키에 할당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가상 키보드(31)의 각 키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쿼티(Qwerty) 키보드를 가상적으로 구현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상 키보드(31)는 드보락(Dvorak) 키보드를 가상적으로 구현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가상 키보드(31)는 천지인 자판으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가상 키보드(31)는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자판 배열 방식에 따라 구현된 것일 수 있다.
가상 키보드(31)의 각 키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상 키보드(31)의 각 키는 물리 키보드의 각 키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상 키보드(31)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에서 시스템 설계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31)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31)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31)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표시부(11)가 가상 키보드 화면(30)을 표시하는 경우, 가상 키보드(31)는 상술한 조작 메뉴의 전부 또는 일부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상 키보드 화면(30)이 표시되는 경우, 제1 표시부(11)는 상술한 조작 메뉴 화면(20)의 전부를 전혀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고, 조작 메뉴 화면(20)의 일부분만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보조 메뉴(40)는 조작 메뉴 화면(40)가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표시 불가능할 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에 대한 리스트를 의미한다. 보조 메뉴가 조작 메뉴와 관련되었다는 의미는 보조 메뉴의 기능이 조작 메뉴로 제공되는 기능들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보조 메뉴로 제공되는 기능이 조작 메뉴로 제공되는 기능과 동일하거나, 또는 조작 메뉴로 제공되는 기능의 일부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조 메뉴(40) 역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기능하는 가이드 화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각각의 가이드 화상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령이나 기능이 할당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화상에 포커스 또는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이드 화상을 터치하여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화상을 선택함으로써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령을 화상 촬영 장치(1)에 입력하거나 또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보조 메뉴(40)의 가이드 화상은 가상 키보드나 다른 표시되는 요소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구분선과 같은 화상 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메뉴(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31)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메뉴(40)는 가상 키보드(31)를 차폐(blocking)하지 않을 수 있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보조 메뉴(40)는 가상 키보드(31)보다 더 작은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 메뉴(40)를 이용하여 조작 메뉴 화면(20)에 표시되는 조작 메뉴의 기능 전부를 선택할 수도 있고, 조작 메뉴의 일부의 기능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 보조 메뉴(40)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가상 키보드와 함께 표시되는 보조 메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메뉴(40)는 조작 메뉴 화면(20)의 명령 또는 기능과 동일한 기능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메뉴(40)는 조작 메뉴 화면(20)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메뉴(40)는 조작 메뉴 화면(20)과 동일하게 상위 계층 표시 구역(40a), 하위 계층 표시 구역(40b) 및 설정 표시 구역(40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위 계층 표시 구역(40a)에는 본체부(13)의 제어와 관련된 상대적으로 상위의 조작 메뉴가 표시되고, 하위 계층 표시 구역(40b)에는 선택된 상위의 조작 메뉴에 부속되는 하위 조작 메뉴가 표시되며, 설정 표시 구역(40c)에는 본체부(13)에 대한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메뉴(40)는 조작 메뉴 화면(20)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메뉴(40)는 조작 메뉴 화면(20)에 표시된 조작 메뉴(24)와 동일하게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40d)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40d)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절바 및 이동체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25)는 시간 이득 보상과 관련된 각종 값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를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메뉴(40)는 가상 키보드(31)가 화면 상에서 사라지기 위한 가상 키보드 제거 버튼(40e)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가상 키보드 제거 버튼(40e)이 조작되면 상술한 가상 키보드(31)는 화면 상에서 사라지게 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 제거 버튼(40e)을 터치하거나, 가상 키보드 제거 버튼(40e)에 커서를 위치시키거나, 또는 가상 키보드 제거 버튼(40e)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물리 버튼을 조작하는 등의 조작을 더 수행함으로써 가상 키보드 제거 버튼(40e)을 조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조작 메뉴 화면(20)의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 가이드 화상과, 보조 메뉴(40)의 동일한 기능이 할당된 가이드 화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이는 조작 메뉴 화면(20)를 단순 축소하였을 경우, 해상도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가이드 화상이 왜곡되어 시인성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보조 메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보조 메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보조 메뉴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조 메뉴(41 내지 43)는 조작 메뉴의 여러 기능 중 일부의 기능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메뉴(41)의 기능은 조작 메뉴의 여러 기능 중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나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선택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메뉴(41 내지 43)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가이드 화상(41a 내지 43)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보조 메뉴(41 내지 43)가 조작 메뉴의 여러 기능 중 일부의 기능들로 이루어진 경우, 각 기능에 대응하는 가이드 화상(41a 내지 43a)은 조작 메뉴 화면(20)의 상응하는 가이드 화상과 동일하게 디자인된 것일 수도 있고, 상이하게 디자인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보조 메뉴(41 내지 43)가 조작 메뉴의 여러 기능 중 일부의 기능들로 이루어지면, 화면에 표시되어야 할 기능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각 기능에 대응하는 가이드 화상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디자인될 수 있다.
보조 메뉴(41, 42)는 가상 키보드가 호출될 당시에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가 호출될 당시에 화상 촬영 장치(1)의 화상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화상 촬영 애플리케이션이 수행되고 있다면, 보조 메뉴(41)는 화상 촬영과 관련된 각종 기능들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 메뉴(41)는 조작 메뉴 화면(20)의 하위 계층 표시 구역(20b)에 표시되는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가 호출될 때 화상 촬영 장치(1)에 환자의 이름이나 주민 번호와 같이 피검자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피검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수행되고 있다면, 보조 메뉴(42)는 식별 번호, 성, 이름, 나이, 성별, 키, 몸무게, 생년월일, 체표면적(BSA; Body Surface Area) 및 심박수(HR; Heart Rate) 등과 같이 피검자의 데이터의 입력과 관련된 기능들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보조 메뉴(43)는 조작 메뉴의 복수의 기능 중에서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거나, 또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능만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메뉴(43)는, 조작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기간동안 사용자가 선택한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일정 개수의 기능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메뉴(43a)는 가상 키보드가 호출될 당시에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높은 기능들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메뉴(43)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가상 키보드가 호출된 경우에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들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검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었을 때, 사용자가 피검자의 데이터 입력과 관련된 기능 중에서 생년월일, 나이, 성별, 몸무게, 체표면적 및 심박수의 입력 기능을 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메뉴(43a)는 주로 사용되는 생년월일, 나이, 성별, 몸무게, 체표면적 및 심박수의 입력 기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메뉴(43)가 포함하는 기능들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조 메뉴(43)를 이루는 기능의 개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보조 메뉴(41, 42)를 이루는 기능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보조 메뉴(40)는 가상 키보드(31)와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이한 레이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 메뉴(40) 역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레이어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실시간 정보 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는 가상 키보드(31) 및 보조 메뉴(40)가 표시되지 않은 구역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는 화상 촬영 장치(1)가 동작하는 도중에 실시간으로 획득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획득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획득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실시간 정보 표시부(5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숫자 또는 기호나,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이 표시되기 위한 표시창(50a)이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는 도중에 바디 마커(body marker)에 상응하는 가이드 화상을 선택하여 바디 마커를 입력한다면, 실시간 정보 표시부(50)의 표시창(50a)은 입력되는 바디 마커를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디 마커의 조절을 실시간으로 더욱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는 명령 입력부(50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 입력부(50b)는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를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실시간 정보 표시부(50)의 표시창(50a)에 표시되는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이외에 실시간 정보 표시부(50)와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가이드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는 가상 키보드(31) 또는 보조 메뉴(40)와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이한 레이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레이어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1a 내지 도 12c를 이용하여 가상 키보드의 호출에 따라 가상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와 보조 메뉴가 표시되는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2c에서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구역은 제1 표시부(11)가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의미한다. 굵은 선의 외부 구역은 화면상으로는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가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1a 내지 도 12c에서는 표시 화면이 아닌 부분까지 함께 도시하였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가상 키보드의 호출에 따라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표시부(11)는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는 조작 메뉴 화면(20)만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메뉴 화면(20)의 조작 메뉴를 이용하여 화상 촬영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이 입력되면,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 화면(2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술한 가상 키보드 호출 가이드 화상(29)을 이용하여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또한 별도로 마련된 입력 수단, 일례로 물리 버튼을 조작하여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가상 키보드 화면(20)이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촬영 장치(1)를 조작함에 있어서,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할 상황이 된 경우, 화상 촬영 장치(1)는 자동적으로 가상 키보드를 호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부(11)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31) 및 보조 메뉴(40)가 제1 표시부(11)의 화면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조작 메뉴 화면(20)를 가상 키보드 화면(30)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31)와 보조 메뉴(40)는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31)와 보조 메뉴(40)는 동일하게 화면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조작 메뉴 화면(20)에 대응하는 레이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 화면(30)과 보조 메뉴(40)는 예정된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 화면(30) 및 보조 메뉴(40)는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하여 조작 메뉴 화면(2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한 위치는 화면의 상부 말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도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31) 및 보조 메뉴(40)와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보조 메뉴(40)는 사용자의 보조 메뉴 호출 명령과 같은 별도의 명령에 따라 호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조 메뉴(40)는 가상 키보드(31)가 호출될 때 호출되지 않고, 별도의 명령에 따라 가상 키보드(31)가 호출되기 전 또는 가상 키보드(31)가 호출된 후에 호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작 메뉴 화면(20) 또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에는 보조 메뉴(40)를 호출하기 위한 가이드 화상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가상 키보드의 호출에 따라 가상 키보드 및 보조 메뉴가 표시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메뉴 화면(20)만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이 입력되면, 가상 키보드(31)는 화면의 상 방향으로 이동하고, 보조 메뉴(40)는 가상 키보드(31)와는 반대로 화면의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상 키보드 화면(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메뉴(40)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의 일부분, 일례로 가상 키보드(31)의 좌측 상단이나 우측 상단에서 정지할 수 있다. 실시간 정보 표시부(50) 역시 보조 메뉴(40)와 동일하게 이동하면서 가상 키보드 화면(30)의 좌측 상단이나 우측 상단에서 정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보조 메뉴(4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보조 메뉴 호출 명령과 같은 별도의 명령에 따라 호출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상 조작 메뉴 화면(20)를 화면 상에 표시하던 제1 표시부(11)가 조작 메뉴 화면(20) 대신에 가상 키보드 화면(30)을 표시하는 다양한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조작 메뉴 화면(20) 대신에 가상 키보드 화면(30)을 표시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31)는 화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보조 메뉴(40)는 가상 키보드(31)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게 화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상 키보드 화면(30)이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보조 메뉴(40)가 가상 키보드(31)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화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31) 및 보조 메뉴(40)는 디졸브(dissolve) 등과 같은 화면 전환 기법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가상 키보드(31) 및 보조 메뉴(40)는 별도의 화면 전환 기법 없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1 표시부(11)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가상 키보드 화면(30) 대신에 조작 메뉴 화면(20)이 제1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정의된 설정은 일정한 시간의 경과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 화면(30)는 도 11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것과 반대의 방법으로 화면 상에서 표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31) 및 보조 메뉴(40)는 화면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점차로 조작 메뉴 화면(20)를 화면 상에 노출시키고, 최종적으로 화면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가상 키보드 화면(30)에 가상 키보드(31), 보조 메뉴(40) 및 실시간 정보 표시부(50)의 배치에 관한 또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가상 키보드가 호출된 경우 화상 촬영 장치의 표시 화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가상 키보드가 호출된 경우 화상 촬영 장치의 표시 화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 화면(30)의 좌측 상단에는 보조 메뉴(40a)가 배치되어 표시되고, 좌측 하단에는 표시창(50a)이 배치되어 표시되며, 보조 메뉴(40a) 및 표시창(50a)의 우측에는 가상 키보드(31a)가 배치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상 키보드(31a)는 화면의 우측에서 나타나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13에 도시된 위치에서 정지하고, 보조 메뉴(40) 및 실시간 정보 표시부(50)는 가상 키보드(31a)와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3에 도시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메뉴(40b)가 가상 키보드(31b) 위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보조 메뉴(40b)가 가상 키보드(31b)의 일부를 차폐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 메뉴(40b)는 사용자가 입력한 보조 메뉴 호출 명령에 따라서 가상 키보드(41b)에 중첩되어 표시되고, 가상 키보드(31b) 조작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화면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의된 설정은 일정한 시간의 경과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보조 메뉴(40b)는 화면에 표시되거나 또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제1 표시부(1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1 표시부(1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은 제2 표시부(12)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표시부(12)는 제1 표시부(11)와 동일하게 조작 메뉴, 가상 키보드 또는 보조 메뉴 등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표시부(11)와 제2 표시부(12)는 각각 서로 상이한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11)는 조작 메뉴의 기능 중 일부를 표시하고, 제2 표시부는 조작 메뉴의 기능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2)는 화상 촬영 장치(1)에서 제공되는 초음파 화상이나 방사선 화상과 같은 각종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11)가 조작 메뉴 또는 가상 키보드(31)를 표시하는 경우, 제2 표시부(12)는 제1 표시부(11)에 표시되기 어려운 초음파 화상이나 방사선 화상과 같은 각종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표시부(11)에 표시된 조작 메뉴나 가상 키보드(31)를 이용하여 화상 촬영 장치(1)를 조작하면서 동시에 화상 촬영 장치(1)에서 제공되는 화상을 시청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화상 촬영 장치(1)의 본체부(13)는 제어부(14), 화상 촬영부(15) 및 제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화상 촬영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는 입력부(17)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시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제1 표시부(11)에 표시될 화상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제1 표시부(11)에 전달함으로써 제1 표시부(11)가 결정 결과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는 제1 표시부(11)를 제어하여 제1 표시부(11)가 조작 메뉴 화면(20) 또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서 가상 키보드(20)가 제1 표시부(1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제1 표시부(11)에 표시될 보조 메뉴(40a)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 결과에 따라서 보조 메뉴(40)가 제1 표시부(1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화상 촬영 장치(1)의 각종 부품을 내장한 외장 하우징의 내부 또는 화상 촬영 장치(1)와 연결된 별도의 워크 스테이션에 마련된 중앙 처리 장치 또는 그래픽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화상 촬영부(15)는 피사체에 대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화상 촬영부(15)는 가시광선, 적외선, 초음파, 방사선 또는 프리 인덕션 디케이 신호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화상을 획득하거나 또는 획득한 화상을 보정할 수 있다. 화상 촬영부(15)가 화상을 획득하는 방법에 따라서 본체부(13)는 가시 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캠코더, 초음파 촬영 장치, 디지털 방사선 화상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유방 촬영 장치(Mammography) 및 자기 공명 화상 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화상 촬영부(15)에서 획득된 화상은 제2 표시부(12)에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16)는 제어부(14)의 기능 처리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관련 정보, 또는 제1 표시부(11)나 제2 표시부(12)에 표시될 화상 및 화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는 조작 메뉴 화면(20), 및 가상 키보드 화면의 표시를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는 조작 메뉴 화면(20)에 상응하는 레이어 및 가상 키보드에 대응하는 레이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는 필요에 따라 실시간 정보 표시부(50) 및 이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는 반도체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자기 테이프 저장 장치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화상 촬영 장치(1)는 입력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7)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촬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7)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입력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14)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7)는 화상 촬영 장치(1)의 본체부(13)에 직접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본체부(13)와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입력부(17)가 본체부(13)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 입력부(17)는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본체부(1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본체부(1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입력부(17)는 예를 들어 마우스, 물리 키보드, 물리 버튼,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드,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입력부(17)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입력부(17)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4)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입력부(17)는 생략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7)를 이용하여 제1 표시부(11)에 표시될 레이어화면(20 내지 40)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7)의 버튼 등을 조작하여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14)는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을 출력함으로써 제1 표시부(11)에 가상 키보드 화면(20)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17)를 이용하여 조작 메뉴 화면(20) 및 보조 메뉴(40)의 가이드 화상을 선택하거나, 또는 가상 키보드 화면(30)에 마련된 가상 키보드(31)의 가상 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우스나 트랙볼을 조작하여 조작 메뉴 화면(20) 상의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화상에 커서를 이동시킨 후, 별도의 물리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화상에 상응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화상 촬영 장치(1)는 선택된 기능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화상 촬영 장치가 적용된 일례인 초음파 촬영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초음파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초음파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초음파 촬영 장치(2)는 피사체(99) 내부의 타겟(98)에서 방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프로브(100)와, 초음파 프로브(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화상을 생성하거나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내부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사체(99)는 초음파에 의해 내부가 촬영되는 대상으로, 인체, 태아, 동물, 기계나 장비 등의 물체 또는 지표면 등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대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타겟(98)은 피사체(99) 내부의 물질 또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98)에서는 외부에서 조사된 초음파가 반사되거나, 또는 입사된 레이저에 의해 초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초음파 프로브(100)와 본체(200)는 연결 케이블(93)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초음파 프로브(1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본체(200)로 전달하거나 또는 본체(20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초음파 프로브(100)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 케이블(93)의 일 말단에는 본체(200)의 외장(201)에 형성된 포트(95)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커넥터(94)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케이블(93)의 타 말단에는 초음파 프로브(100)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초음파 프로브(100)와 연결 케이블(93)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케이블(93)의 타 말단에는 초음파 프로브(100)에 설치된 포트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초음파 프로브(100)와 본체(2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초음파 프로브(1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본체(200)로 전달하거나 또는 본체(20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초음파 프로브(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 프로브(100) 내부 및 본체(200) 내부 각각에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칩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초광대역(UWB; Ultra Wideband) 및 근거리 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고,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서 인증한 3GPP 계열, 3GPP2 계열 또는 IEEE 계열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초음파 프로브(100)는 피사체(99) 내부의 타겟(98)에서 발생한 초음파(e)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초음파 프로브(100)는 초음파(u)를 생성하고, 생성한 초음파(u)를 피사체(99) 내부의 타겟(98)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초음파 프로브(100)는 초음파(e)를 수신하고 수신한 초음파(e)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인 초음파 신호(s)를 출력할 수 있는 초음파 소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소자(110)는 초음파(u)를 생성하여 타겟(98)에 조사할 수도 있다. 초음파 소자(110)는 초음파 프로브(100)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초음파 소자(110)는 송신 소자(111) 및 수신 소자(11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소자(111)는 펄서(213)에서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진동하여 상응하는 주파수의 초음파(u)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신 소자(112)는 타겟(98)에서 전달되는 초음파(e)의 주파수에 따라 진동하면서 상응하는 주파수의 초음파 신호(s)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초음파 소자(110)는 초음파의 송신 및 수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송수신 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초음파 프로브(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초음파 프로브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초음파 프로브(100)는 음향 렌즈(acoustic lens, 113), 음향 정합층(114), 초음파 소자(110), 초음파 소자 지지체(115), 초음파 프로브 프로세서(116), 도선(117) 및 이들을 내장하는 초음파 프로브 하우징(118)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렌즈(113)는 음향 렌즈(113)를 통과하는 초음파(u)를 집속하거나 또는 발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 렌즈(113)는 음향 렌즈(113)를 통과하는 초음파(u)를 굴절시켜 초음파(u)가 타겟(3)에 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음향 렌즈는 초음파(u)를 집속 또는 발산시키기 위하여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음향 렌즈는 유리나 합성 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음향 정합층(114)은 초음파 소자(110)에서 발생한 초음파의 직진성, 파형의 특성 및 강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다른 매질에서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정합층(114)은 음향 렌즈(113)와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음향 정합층(114)은 메탈 파우더, 세라믹 파우더 또는 실리콘 웨이퍼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초음파 소자(110)는 소정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를 동일한 주파수의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여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펄서(213)에서 생성된 전압이 초음파 소자(110)에 인가되면, 초음파 소자(110)의 압전 진동자나 박막 등이 진동하고, 압전 진동자나 박막의 진동에 따라 초음파 소자(110)에서 초음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초음파 소자(110)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초음파 소자(110)에 의해 생성된 초음파는 피사체(99) 내부의 타겟(98)에서 집속될 수 있다. 초음파는 하나의 타겟(98)에서 집속될 수도 있고(single focussing), 복수의 타겟(98)에서 집속될 수도 있다(multi-focussing).
또한 초음파 소자(110)는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초음파에 따라서 수신한 초음파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진동하면서 초음파 신호(s)를 출력할 수 있다. 하나의 초음파 소자(110)가 한 개의 채널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초음파 소자(110)는 복수 채널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초음파 신호(s)는 증폭부(220)나 빔포머(230)로 전달될 수 있다.
초음파 소자(110)는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압전 물질의 압전 효과를 이용하는 압전 초음파 트랜스듀서(Piezoelectric Ultrasonic Transducer), 자성체의 자왜 효과를 이용하는 자왜 초음파 트랜스듀서(Magnetostrictive Ultrasonic Transducer) 또는 미세 가공된 수백 또는 수천 개의 박막의 진동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미세가공 초음파 트랜스듀서(cMUT, Capacitive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초음파 소자(11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초음파를 생성하거나 또는 초음파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여타 다양한 종류의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초음파 소자(110)는 초음파 소자 지지체(115)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소자 지지체(115)의 전면은 피사체(99) 방향의 면을 의미한다. 초음파 소자(110)는 초음파 소자 지지체(215)에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차원 어레이 초음파 프로브의 경우 초음파 소자(110)는 초음파 소자 지지체(115)에 일렬로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이차원 어레이 초음파 프로브의 경우 초음파 소자(110)는 초음파 소자 지지체(115)에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다.
초음파 소자 지지체(115)는 초음파 소자(110)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초음파 소자(110)에서 발생한 초음파 중 피사체(99)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조사되는 초음파를 흡수하거나 또는 초음파 소자(110)의 동작 중 발생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초음파 소자 지지체(115)는 초음파를 흡수하는 흡음 물질 및 열의 방출을 돕는 열 전달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흡음 물질은 에폭시(epoxy) 수지 또는 하프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열 전달 물질은 흑연, 텅스턴, 텅스턴 산화물, 실리콘,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소자 지지체(115)의 배면이나 측면에는 초음파 프로브 프로세서가 설치된 기판(116)이 마련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 프로세서는 초음파 신호(s)에 대한 각종 신호 처리를 수행하거나, 초음파 프로브(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판(116)에는 케이블(93)에서 연장된 도선(117)이 결합될 수 있다.
외장 하우징(118)은 각종 부품을 내장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하우징(118)은 피사체(99) 또는 타겟(98)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 하우징(118)은 복부 초음파 촬영 장치, 질 초음파 촬영 장치, 항문 초음파 촬영 장치 또는 신장 초음파 촬영 장치 등 각각의 초음파 촬영 장치마다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초음파 프로브(100)의 외장 하우징(118)의 외면을 파지하고, 초음파 소자(111)가 설치된 면을 피사체(99) 방향으로 향함으로써 초음파 프로브(100)가 피사체(99) 내부의 타겟(98)으로 초음파(u)를 방사하거나, 또는 타겟(98)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반사되는 초음파(e)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체(200)는 제어부(210), 펄서(213), 증폭부(22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21), 빔포머(230), 신호처리부(222), 영상처리부(240), 볼륨 데이터 생성부(243) 및 저장 장치(2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는 초음파 프로브(100)에 마련될 수도 있고, 본체(2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별도의 워크스테이션(미도시)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210), 펄서(213), 증폭부(22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21), 빔포머(230), 신호처리부(222), 영상처리부(240) 및 볼륨 데이터 생성부(243)는 초음파 프로브(100), 본체(200), 또는 워크스테이션에 마련된 프로세서, 일례로 중앙처리장치 및 그래픽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 및 그래픽 처리 장치는 각종 반도체 칩 및 반도체 칩이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초음파 촬영 장치(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펄서(213)를 제어하여 초음파 프로브(100)의 초음파 조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조사될 초음파의 주파수에 따라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한 제어 신호를 펄서(213)에 전달할 수 있다. 펄서(213)에 전달되는 제어 신호는 송신 소자(111)에 인가될 전압의 주파수 또는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제1 표시부(26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제1 표시부(260)가 조작 메뉴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조작 메뉴를 제공할지, 또는 가상 키보드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가상 키보드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10)는 프로세서(211), 램 또는 롬(RAM 또는 ROM, 2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초음파 촬영 장치(2)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을 수행하고, 초음파 프로브(100) 및 본체(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각종 연산 수행 및 제어를 위하여 일정한 알고리즘으로 프로그래밍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그 부속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램 또는 롬(212)은 프로세서(211)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일시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입력부(252)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제1 표시부(260)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프로세서(211)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펄서(213)는 초음파 프로브(100)의 초음파 소자(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소자(110)는 펄서(213)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진동하여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초음파 소자(11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의 주파수 및 강도는 펄서(213)에서 발생된 전압의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펄서(213)에서 출력된 전압은 초음파 소자(110)에 일정한 시차를 두고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음파 소자(110)에서 발생된 초음파는 소정의 위치에서 집속되거나, 또는 소정의 방향으로 조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 소자(110)는 피사체(99) 내부의 타겟(98)으로 초음파를 조사하고, 타겟(98)에서는 조사된 초음파(u)를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된 초음파(e)는 복수의 초음파 소자(1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수신한 초음파(e)에 따라 초음파 소자(110)는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s)를 출력할 수 있으며,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s)는 증폭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증폭부(220)는 초음파 소자(110)에서 출력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채널의 초음파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증폭부(220)의 게인은 시스템 설계자 또는 빔 포밍 장치의 사용자 등에 의해 임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증폭부(220)는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초음파 소자(110)에서 출력되는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를 서로 상이하게 증폭시킴으로써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 사이의 강약 차를 보상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21)는 초음파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빔포머(230)로 전달할 수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21)는 아날로그 신호인 초음파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률에 따라 샘플링을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빔 포머(230)는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s)를 집속시킬 수 있다. 빔포머(230)는 초음파 소자(110), 증폭부(220) 또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21)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집속하여 빔포밍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빔포머(230)는 복수 채널의 신호의 전자적 빔 스캐닝, 조향, 집속, 어포다이징 및 구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빔 포밍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빔포머(23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차보정부(231) 및 수신단 집속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시차보정부(231)는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 사이의 시차를 보정할 수 있다. 복수의 초음파 소자(110)에서 출력되는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s)는 타겟(98)과 각각의 초음파 소자(110) 사이의 거리나 초음파 소자(110)의 특성에 따라 서로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시차보정부(231)는 복수 채널의 신호 중 일부 신호의 전달을 지연시켜 복수 채널의 신호 사이의 시차를 보정할 수 있다. 수신단 집속부(232)는 시차보정부(231)에서 시차 보정된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를 합성하여 빔 포밍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신단 집속부(231)는 소정의 가중치를 각 채널의 초음파 신호에 적용하여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 소정의 가중치는 초음파 신호와 무관하게 결정된 것일 수도 있고, 초음파 신호에 따라 결정된 것일 수도 있다. 빔 포밍된 신호는 신호 처리부(2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증폭부(22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21) 및 빔포머(230)는 초음파 프로브(100)에 마련된 반도체 칩 등에 의해 구현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222)는 빔 포밍된 신호에 대해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222)는 필터링 프로세스, 검출 프로세스 및 압축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필터링 프로세스는 빔 포밍된 신호에 필터를 적용하여 특정 대역폭의 신호 외의 다른 신호는 제거하는 프로세스이다. 필터링 프로세스는 기본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고조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조파 영상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프로세스는 초음파 신호의 전압을 무선 주파수 형태에서 비디오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이다. 압축 프로세스는 초음파 신호 사이의 진폭 차를 감소시키는 프로세스이다. 신호 처리부(222)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40)는 빔 포밍된 신호 또는 신호 처리부(222)에서 처리된 신호를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형태의 초음파 화상으로 변환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에 대한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4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생성부(241) 및 포스트 프로세싱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생성부(241)는 주사 변환(scan conversion)을 이용하여 초음파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초음파 화상은 A 모드, B 모드 또는 M 모드의 초음파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A 모드의 초음파 화상은 타겟(98)과 초음파 프로브(100) 사이의 거리 또는 시간을 기초로 반사의 강도를 진폭으로 영상화한 초음파 화상을 의미한다. B 모드의 초음파 화상은 초음파의 강도를 밝기를 이용하여 표현한 초음파 화상을 의미한다. M 모드의 초음파 화상은 피사체의 동작의 변화 정도를 영상화 초음파 화상을 의미한다. 초음파 화상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도플러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 프로세싱부(242)는 생성된 초음파 화상을 보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스트 프로세싱부(242)는 사용자가 초음파 화상 내의 조직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초음파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의 명도, 휘도, 선예도(sharpness), 대조도 또는 색상 등을 보정할 수도 있다. 포스트 프로세싱부(241)는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화소 보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240)는 생성 또는 보정된 초음파 화상을 저장 장치(244)에 전달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출력부(250)의 제2 표시부(27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240)는 생성 또는 보정된 초음파 화상을 볼륨 데이터 생성부(243)로 전달하여 초음파 볼륨 데이터가 획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볼륨 데이터 생성부(243)는 영상 처리부(240)에서 생성 또는 보정된 이차원 초음파 화상을 이용하여 삼차원 부피를 나타내는 초음파 볼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8는 초음파 촬영 장치의 입력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출력부(250)는 초음파 촬영 장치(2)의 제어에 필요한 조작 메뉴나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260) 및 초음파 화상 또는 초음파 볼륨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표시부(260) 및 제2 표시부(270)는 서로 이격되어 본체(2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260)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260)는 입력부(252)를 이루는 입력 장치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표시부(270)는 사용자가 초음파 화상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부(270)는 본체(200)의 외장 프레임(201)에서 연장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지 프레임(202, 203)을 이용하여 제1 표시부(260)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260)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표시부(260)에 표시된 가이드 화상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초음파 촬영 장치(2)에 입력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70)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한 것일 수도 있고, 채용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제1 표시부(260) 및 제2 표시부(270)는 음극 선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발광 다이오드, 액정 디스플레이, 양자점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잉크 등을 채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제1 표시부(260)는 초음파 촬영 장치(2)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메뉴 화면, 및 가상 키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260)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조작 메뉴 화면만을 표시하고,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이 입력부(252) 또는 제1 표시부(260)를 통해 입력된 경우, 가상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키보드는 조작 메뉴 화면에 중첩되어 표시됨으로써 조작 메뉴 화면에 표시되는 각종 가이드 화상을 차폐하게 될 수 있다.
제1 표시부(260)는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경우, 보조 메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조작 메뉴 화면의 조작 메뉴가 차폐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보조 메뉴의 보조 메뉴를 이용하여 필용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를 호출하여 조작 메뉴를 조작하기 어려운 상태에서도 보조 메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초음파 촬영 장치(2)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조작 메뉴 화면, 가상 키보드, 보조 메뉴 및 실시간 정보 표시부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출력부(250)는 실시예에 따라서 기타 출력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출력부(251)는 제1 표시부(260) 및 제2 표시부(270) 외에 초음파 촬영 장치(2)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사운드나 빛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기타 출력부(250)는 스피커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의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5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2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초음파 촬영 장치(2)의 각 부품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 촬영 장치(2)는 사용자로부터 초음파 촬영 장치(2)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252)는 예를 들어 마우스, 물리 키보드, 물리 버튼, 트랙볼, 터치 패드,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252)는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252)는 조작 메뉴의 가이드 화상, 가상 키보드의 각각의 키 선택 또는 보조 메뉴의 가이드 화상을 선택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화상 촬영 장치(1)가 적용된 일례로 초음파 촬영 장치(2)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화상 촬영 장치(1)는 초음파 촬영 장치(2)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화상 촬영 장치(1)는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 가능한 다양한 장치, 일례로 가시 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캠코더, 디지털 방사선 화상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유방 촬영 장치 또는 자기 공명 화상 장치 등에도 동일하거나 또는 일부 변형을 거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화상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화상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먼저 화상 촬영 장치의 구동할 수 있다(s300). 화상 촬영 장치가 구동되면, 사용자의 조작이나 미리 화상 촬영 장치에 프로그래밍된 바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화상 촬영 장치의 각종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화상 촬영 장치의 구동과 동시에 구동될 수도 있고, 또는 화상 촬영 장치가 구동된 후에 구동될 수도 있다.
화상 촬영 장치가 구동하면 화상 촬영 장치에 마련되고 화상을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부는 조작 메뉴 화면을 이용하여 조작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s310). 조작 메뉴는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작 버튼이나 트랙바 등과 같은 가이드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부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라면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된 가이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조작 메뉴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표시부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자는 마우스나 트랙볼과 같은 별도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가이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조작 메뉴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을 선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화상 촬영 장치는 가상 키보드를 호출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메뉴 중 가상 키보드 호출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화상을 터치하거나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화상 촬영 장치는 가상 키보드를 호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나 숫자를 입력할 상황이 되면, 화상 촬영 장치는 자동으로 가상 키보드를 호출할 수도 있다.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면, 가상 키보드가 화면에 표시되기 전 또는 가상 키보드가 화면에 표시된 후에 가상 키보드와 더불어 제1 표시부에 표시될 보조 메뉴가 결정될 수 있다(s330). 보조 메뉴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조 메뉴는 조작 메뉴와 관련된 메뉴로, 조작 메뉴의 기능의 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조작 메뉴의 일부를 포함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에 표시될 보조 메뉴는 조작 메뉴의 각종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보조 메뉴일 수도 있고, 현재 화상 촬영 장치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결정된 보조 메뉴일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은 가상 키보드를 호출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메뉴가 결정되면, 가상 키보드가 조작 메뉴에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s340). 가상 키보드는 조작 메뉴의 전부를 차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메뉴 화면에 형성된 조작 메뉴를 볼 수 없게 될 수 있다. 가상 키보드와 더불어 보조 메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상 키보드와 더불어 실시간 정보 표시부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어 가상 키보드가 제1 표시부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s350). 아울러 사용자는 조작 메뉴를 볼 수 없는 상황에서도 보조 메뉴에 표시된 보조 메뉴를 이용하여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가상 키보드 및 보조 메뉴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시간의 경과와 같은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화면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키보드 대신에 조작 메뉴가 제1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조 메뉴만이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초음파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초음파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초음파 촬영 장치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표시부, 즉 제1 표시부(260) 및 제2 표시부(270)가 마련된 초음파 촬영 장치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초음파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초음파 촬영 장치가 구동을 개시하고, 초음파 촬영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s400).
초음파 촬영 장치의 구동에 따라 제1 표시부에는 조작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s410). 조작 메뉴는 조작 메뉴 화면에 마련되고, 제1 표시부는 조작 메뉴 화면을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조작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조작 메뉴는 상술한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초음파 촬영 장치는 가상 키보드를 호출할 수 있다(s420).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면 가상 키보드와 더불어 제1 표시부에 표시될 보조 메뉴가 결정될 수 있다(s430).
보조 메뉴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메뉴는 조작 메뉴의 기능의 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조작 메뉴의 일부를 포함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보조 메뉴가 조작 메뉴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메뉴는 조작 메뉴의 복수의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고, 현재 화상 촬영 장치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메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메뉴가 결정되면, 가상 키보드가 조작 메뉴에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s440). 아울러 가상 키보드와 더불어 보조 메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상 키보드와 더불어 실시간 정보 표시부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초음파 촬영 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s450).
가상 키보드 및 보조 메뉴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화면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키보드 및 보조 메뉴 대신에 조작 메뉴가 제1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1: 화상 촬영 장치 2: 초음파 촬영 장치
10: 표시부 11: 제1 표시부
12: 제2 표시부 13: 본체부
14: 제어부 15: 화상촬영부
16: 저장부 17: 입력부
20: 조작 메뉴 화면 30: 가상 키보드
40: 보조 메뉴 50: 실시간 정보 표시부
100: 초음파 프로브 200: 초음파 촬영 장치의 본체
260: 제1 표시부 270: 제2 표시부

Claims (26)

  1.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메뉴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 및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조작 메뉴 대신에 가상 키보드 및 상기 조작 메뉴와 관련된 보조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키보드가 상기 조작 메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폐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메뉴는 상기 가상 키보드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되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가상 키보드와 중첩되어 표시되는 화상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메뉴는 상기 조작 메뉴에 포함된 기능 또는 명령의 전부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메뉴는 상기 조작 메뉴의 기능 또는 명령 중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메뉴는 상기 조작 메뉴의 기능 또는 명령 중 조작 당시 상기 본체부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면, 상기 본체부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촬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호출되는 화상 촬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 호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조작에 따라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가시 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캠코더, 초음파 촬영 장치, 디지털 방사선 화상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유방 촬영 장치(Mammography) 및 자기 공명 화상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메뉴 및 상기 보조 메뉴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가 획득한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
  14. 본체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본체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조작 메뉴 대신에 가상 키보드 및 상기 조작 메뉴와 관련된 보조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는 상기 조작 메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폐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조작 메뉴 대신에 가상 키보드 및 상기 조작 메뉴와 관련된 보조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키보드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되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가상 키보드와 중첩하여 상기 보조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상기 보조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상기 보조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메뉴에 포함된 기능 또는 상기 기능과 관련된 명령의 전부를 상기 보조 메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상기 보조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메뉴의 기능 또는 명령 중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 또는 명령을 상기 보조 메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상기 보조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메뉴의 기능 또는 명령 중 조작 당시 상기 본체부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 또는 명령을 상기 보조 메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조작 메뉴 대신에 가상 키보드 및 상기 조작 메뉴와 관련된 보조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부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호출되는 단계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상기 가상 키보드를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조작에 따라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가시 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캠코더, 초음파 촬영 장치, 디지털 방사선 화상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유방 촬영 장치 또는 자기 공명 화상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화상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촬영 장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부가 상기 본체부가 획득한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메뉴 및 상기 보조 메뉴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간 이득 보상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79739A 2014-12-12 2014-12-12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71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39A KR20160071932A (ko) 2014-12-12 2014-12-12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EP15172681.7A EP3032444A1 (en) 2014-12-12 2015-06-18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799,448 US20160170637A1 (en) 2014-12-12 2015-07-14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510472260.3A CN105686798A (zh) 2014-12-12 2015-08-04 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39A KR20160071932A (ko) 2014-12-12 2014-12-12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932A true KR20160071932A (ko) 2016-06-22

Family

ID=5349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739A KR20160071932A (ko) 2014-12-12 2014-12-12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70637A1 (ko)
EP (1) EP3032444A1 (ko)
KR (1) KR20160071932A (ko)
CN (1) CN1056867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579B1 (ko) * 2014-01-06 2020-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스듀서 지지체, 초음파 프로브 장치 및 초음파 영상 장치
CN109069104B (zh) * 2017-02-08 2021-04-27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超声医学检测设备及成像控制方法、成像系统、控制器
JP6496345B2 (ja) * 2017-04-13 2019-04-0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CN110215229A (zh) * 2019-06-11 2019-09-10 山东科技大学 一种医学诊断用的便携式成像设备和成像系统
CN111182345B (zh) * 2019-12-20 2022-10-25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控件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TWI837757B (zh) * 2022-08-04 2024-04-01 宏碁股份有限公司 配置虛擬按鍵的系統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8212B1 (en) * 1997-04-19 2002-10-22 Adalberto Vara User control interface for an ultrasound processor
KR101070943B1 (ko) * 2008-07-10 2011-10-0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화상키보드를 포함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그의 화상키보드제어 방법
CN202142005U (zh) * 2009-07-22 2012-02-08 罗技欧洲公司 用于远程、虚拟屏幕输入的系统
US20130111391A1 (en) * 2011-11-01 2013-05-02 Microsoft Corporation Adjusting content to avoid occlusion by a virtual input panel
KR101368751B1 (ko) * 2012-02-22 2014-03-03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영상 진단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및 영상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를 위한 영상 진단 장치
US20130281854A1 (en) * 2012-04-24 2013-10-24 General Electric Company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data relating to a cardiac medical condition
CN103632512A (zh) * 2012-08-30 2014-03-12 西安信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居家养老系统的界面启动方法
US9301733B2 (en) * 2012-12-31 2016-04-0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sound image rendering
US10226230B2 (en) * 2013-06-10 2019-03-12 B-K Medical Aps Ultrasound imaging system image identification an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0637A1 (en) 2016-06-16
CN105686798A (zh) 2016-06-22
EP3032444A1 (en)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1932A (ko)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8727984B2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JP6608126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6334992B2 (ja) 可搬型超音波診断装置
JP6125256B2 (ja) 超音波診断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4161444A (ja) 超音波診断装置、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9095376A1 (zh) 超声造影成像方法及超声成像系统
CN107440720A (zh) 超声波诊断装置以及图像数据的校正方法
US10039524B2 (en) Medical image diagnostic apparatus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KR20160068470A (ko) 초음파 영상 제공 장치 및 초음파 영상 제공 방법
KR102656560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488745B (zh) 用于超声工作站的便携式超声接口
US10018598B2 (en)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53813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1241634A1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US20190388061A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displaying shear wave data for object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6325257B2 (ja) 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診断装置
EP3031397B1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JP6744443B2 (ja) 超音波画像診断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06288A1 (en) Ultrasonic probe,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735150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7399621B2 (ja) 超音波診断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80168542A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7144184B2 (ja) 超音波診断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630764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를 기록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