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560B1 -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560B1
KR102656560B1 KR1020180014416A KR20180014416A KR102656560B1 KR 102656560 B1 KR102656560 B1 KR 102656560B1 KR 1020180014416 A KR1020180014416 A KR 1020180014416A KR 20180014416 A KR20180014416 A KR 20180014416A KR 102656560 B1 KR102656560 B1 KR 102656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images
image
display
ultra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821A (ko
Inventor
이수명
김정수
신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560B1/ko
Priority to US16/263,713 priority patent/US20190239853A1/en
Priority to CN201910101975.6A priority patent/CN110115597A/zh
Priority to EP19155142.3A priority patent/EP3520701B1/en
Publication of KR2019009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2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 body cavities or body tracts, e.g. by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61Features of the scanning mechanism, e.g. for moving the transducer within the housing of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8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 A61B8/448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the transducer being a phased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61B8/469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for sele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8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Doppler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0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e.g. for generating an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34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dynamic transducer configuration
    • G01S15/8938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dynamic transducer configuration using transducers mounted for mechanical movement in two dimensions
    • G01S15/894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dynamic transducer configuration using transducers mounted for mechanical movement in two dimensions by rotation about a single ax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09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static transducer configuration
    • G01S15/8915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static transducer configuration using a transducer ar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79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디오 신호와 비가청영역의 마커 신호를 외부 사운드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오디오 신호와 비가청영역의 마커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사운드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파를 수신하는 사운드 수신부 및 상기 마커 신호의 송신 시점과 상기 음파의 수신 시점의 차이에 기초하여 지연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송신 시점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프로브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초음파 진단 장치는 대상체의 특정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고, 대상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 등을 무침습으로 얻는 장치를 말한다.
초음파 진단 장치의 경우 X선 진단 장치, X선 CT스캐너(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MRI(Magnetic Resonance Image), 핵의학 진단 장치 등의 다른 영상 진단 장치와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소형이고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진단 장치는 대상체 내부에 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고 방사선에 의해 발생되는 피폭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초음파 진단 장치는 사람의 심장, 복부, 비뇨기 및 산부인과 진단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초음파 진단 장치는 대상체 내부의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해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로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한다.
초음파 프로브는 초음파 프로브 내부의 압전물질이 진동하면서 전기신호와 음향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압전층과, 압전층과 대상체 사이의 음향 임피던스 차이를 감소시켜 압전층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대상체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정합층과, 압전층의 전방으로 진행하는 초음파를 특정 지점에 접속시키는 렌즈와, 초음파가 압전층의 후방으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시키거나 초음파를 반사시켜 영상 왜곡을 방지하는 흡음층 및 압전체와 흠음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 등을 포함한다.
그러고 피검사체의 내부 영상을 취득하려는 경우, 초음파 프로브는 피검사체 내부에 삽입되어 영상을 촬영하는데, 피검사체 내부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초음파 프로브는 움직이지 못하고 초음파 프로브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는 어레이의 각도를 회전시켜 초음파 영상을 취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초음파 프로브의 어레이 각도를 회전키는 방법으로 원하는 영상을 취득하는데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 수동적으로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는 상기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초음파 프로브가 획득한 영상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영상의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고공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진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 듀서를 포함하는 어레이와 상기 어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및 상기 어레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촬영된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어레이를 회전 시켜 실시간으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촬영된 복수의 영상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 회전 범위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제1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 회전 범위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3D 초음파 프로브, 메트릭스 초음파 프로브 또는 프리 핸드(Free Hand) 초음파 프로브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삽입형 초음파 프로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다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 듀서를 포함하는 어레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와 본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어레이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어레이를 회전 시켜 실시간으로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같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촬영된 복수의 영상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같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상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 회전 범위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제1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 회전 범위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3D 초음파 프로브, 메트릭스 초음파 프로브 또는 프리 핸드(Free Hand) 초음파 프로브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삽입형 초음파 프로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는, 초음파 프로브가 획득한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영상을 선택한 경우, 자동적으로 초음파 프로브의 회전 각도가 제어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된 후, 복수의 영상을 취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가 대상체 내부를 촬영한 모습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가 촬영한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가 대상체 내부를 촬영한 모습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가 촬영한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초음파 프로브(100)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3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에 초음파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초음파 프로브(100)와 초음파 프로브(1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초음파 프로브(100)로 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는 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200)는 초음파 진단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100)나 본체(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200)와 초음파 프로브(100)는 케이블(93)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프로브(100)와 본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케이블(93)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93)을 통하여 초음파 프로브(1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본체(2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0)에서 생성된 제어 명령 등 역시 연결 케이블(93)을 통하여 초음파 프로브(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93)의 일 말단에는 커넥터(9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커넥터(94)는 본체(200)의 외장(201)에 마련된 포트(95)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커넥터(94)가 포트(95)에 결합된 경우, 초음파 프로브(100)와 본체(200)는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0)의 일 측면에는 초음파 프로브(100)를 거치시킬 수 있는 프로브 홀더(292)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로브 홀더(292)는 초음파 프로브(100)의 개수만큼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200)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초음파 프로브(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프로브 홀더(292)에 초음파 프로브(100)를 거치시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0)는 초음파 프로브(100)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초음파 프로브(1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체(20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초음파 프로브(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초음파 프로브(100) 및 본체(200) 각각의 내부에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칩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초광대역(UWB; Ultra-Wideband) 및 근거리 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고,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서 인증한 3GPP 계열, 3GPP2 계열 또는 IEEE 계열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본체(200)는 통신부를 통하여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나 병원 내의 다른 의료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260)는 본체(200)에 결합되고 초음파 프로브(100) 및 본체(2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60)는 대상체(99) 내부의 목표 부위(98)에 대한 초음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초음파 영상은 2차원 초음파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초음파 영상, 도플러 영상 일 수 있으며, 초음파 진단 장치(3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양한 초음파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영상은 A-모드(Amplitude mode, A-모드) 영상, B-모드(Brightness Mode; B-Mode) 영상, M-모드(Motion Mode; M-mode) 영상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C(Color)-모드 영상 및 D(Doppler)-모드 영상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A-모드 영상은 에코 초음파 신호에 대응되는 초음파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초음파 영상을 의미하며, B-모드 영상은 에코 초음파 신호에 대응되는 초음파 신호의 크기를 밝기로 나타낸 초음파 영상을 의미하며, M-모드 영상은 특정 위치에서 시간에 따른 대상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초음파 영상을 의미한다. D-모드 영상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대상체를 파형 형태로 나타내는 초음파 영상을 의미하며, 또한, C-모드 영상은 움직이는 대상체를 컬러 스펙트럼 형태로 나타내는 초음파 영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60)는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90)는 키보드, 풋 스위치(Foot switch) 또는 풋 페달(Foot pedal) 방식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보드는 스위치, 키, 조이스틱 및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키보드는 디스플레이(26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60)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60)는 입력부(290)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본체(200)는 디스플레이(260) 및 입력부(29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제 디스플레이(260)는 디스플레이 기능과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 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100)의 외부 및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100)는 헤드부(10), 하우징(20), 제1입력부(30) 및 손잡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00)는 압력에 의하여 팽창하여 어레이(21)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0)는 압력에 의하여 팽창할 수 있는 탄성 재질 일 수 있다.
한편, 헤드부(10)는 하우징(2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0)은 개구를 가지며, 개구에 헤드부(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0)는 개구와 밀착되어 유체의 유출 및 체액의 침습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20)의 일 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어레이(21)의 회전 범위 및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제1 입력부(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20)의 하단에는 초음파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100)는 3D 초음파 프로브, 메트릭스 초음파 프로브 또는 프리 핸드(Free Hand) 초음파 프로브 중 하나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삽입형 초음파 프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초음파 프로브(100) 내부에는 어레이(21), 회전부(22), 지지부재(23), 격벽(24) 및 구동부(25)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어레이(21)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21)는 하나 이상의 트랜드듀서를 기반으로 초음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스듀서는 초음파 프로브(100)에 주로 사용되던 자성체의 자왜효과를 이용하는 자왜 초음파 트랜스듀서(Magnetostrictive Ultrasonic Transducer)나, 압전 물질의 압전 효과를 이용한 압전 초음파 트랜스듀서(Piezoelectric Ultrasonic Transducer)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미세 가공된 수백 또는 수천 개의 박막의 진동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정전용량형 미세가공 초음파 트랜스듀서(Capacitive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 이하 cMUT으로 약칭한다)도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어레이(21)의 트랜스듀서는 메트릭스(matrix), 리니어(linear), 컨벡스(convex), 컨케이브(concave) 등의 형태로 배열되어 초음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어레이(21)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듀서를 기반으로 3차원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도 있다. 아울러, 어레이(21)는 하우징(20)의 지름 보다 더 큰 넓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더 넓은 각도의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거나 더 정교한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회전부(22)는 어레이(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22)는 어레이(210)의 후면에 마련되어 팽창된 헤드부(10)에서 어레이(21)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부(22)의 동작은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22)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및 어레이(21)와 결합되어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되어 어레이(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모터는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스텝핑 모터일 수 있다.
지지부재(23)는 회전부(22)에 결합하여 회전부(22)를 지지하며, 지지부재(23)의 하단은 구동부(25)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25)는 지지부재(24)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키거나, 회전 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4)와 구동부(25)은 기어로 결합되어 있고, 구동부(25)은 모터의 동력을 기반으로 지지부재(24)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키거나, 회전 운동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하나의 구동부(25)가 지지부재(24)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부재(24)의 전전 또는 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5)와 지지부재(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25)는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4) 내부에는 어레이(21) 또는 회전부(22)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도선, 어레이(21) 또는 회전부(22)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선 등과 같이 초음파 프로브(100)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도 4는 초음파 프로브(100)가 대상체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초음파 프로브(100)가 대상체에 삽입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다른 초음파 프로브(100)는 피검사체에 삽입된 이후 어레이(21)가 회전하면서 피검사체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프로브(100)는 인체의 체강, 항문, 질 등으로 삽입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0)는 팽창이 가능한 헤드부(10)와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0)의 내부에는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어레이(2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어레이(21)의 넓이는 초음파 프로브(100)의 하우징 내부의 지름 보다 더 클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0)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되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어레이(21)가 회전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0)는 하우징(20)의 지름 보다 더 넓은 어레이(21)를 이용하여 더 정교하거나 더 넓은 시야의 초음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어레이(21)는 대상체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여러 방향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21)가 ① 방향 내지 ⑪ 방향으로 위치하면서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① 방향으로 촬영을 하는 경우 각도 α 범위 내에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어레이(21)가 ⑪ 방향으로 촬영을 하는 경우 각도 β 범위 내에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어레이(21)가 회전하는 범위를 ① 방향에서 ⑪ 방향으로 한정하여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100)는 더 넓은 범위의 영상을 취득할 수도 있으며, 한 방향에서 촬영되는 각도의 범위 또한 α와 β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300)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초음파 프로브(100)는 초음파를 생성하거나 또는 초음파를 수신하기 위하여 초음파 송수신부(110), 초음파 송수신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초음파 송수신부(11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초음파 소자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송수신부(110)는 초음파를 생성하거나, 또는 초음파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초음파 트랜스듀서(Ultrasonic Transduc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초음파 송신부(110a) 및 초음파 수신부(11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초음파 송신부(110a)는 제1 프로세서(130) 또는 제2 프로세서(220)에서 전달되는 펄스 신호에 따라서 펄스 신호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주파수의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초음파는 대상체(99)의 목표 부위(98)에 조사될 수 있다.
초음파 수신부(110b)는 대상체(99)의 목표 부위(98)에서 반사되거나 또는 목표 부위(98)에서 레이저 등에 따라 발생한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초음파 수신부(110b)는 복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각각의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므로, 초음파 수신부(110b)는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송수신부(110)는 음향 흡음부(120)의 일 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음향 흡음부(120)에는 각각의 초음파 송수신부(110)에 대응하는 제1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연결부(121)는 음향 흡음부(120)를 관통하여 음향 흡음부(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연결부(121)는 음향 흡음부(120)의 일 면에서 타 면까지 관통하며 설치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30)는 초음파 송수신부(110)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초음파 송수신부(110)에서 전달된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3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1연결부(121)를 통해 초음파 송수신부(110), 일례로 초음파 송신부(110a)로 전달될 수 있다. 초음파 송신부(110a)는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130)는 펄서(131), 증폭기(13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33) 및 빔 포머(1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서(131)는 초음파 송수신부(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소정 주파수의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압을 초음파 송수신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초음파 송수신부(110)는 펄서(131)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진동하여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초음파 송수신부(11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의 주파수 및 강도는 펄서(131)에서 발생된 전압의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펄서(131)에서 출력된 전압은 초음파 송수신부(110)에 일정한 시차를 두고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음파 송수신부(110)에서 발생된 초음파는 목표 부위(98)에서 집속되거나, 소정의 방향으로 조향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펄서(131)는 제2프로세서(221)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프로세서(130)는 펄서(131)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증폭기(132, AMP, Amplifier)는 초음파 송수신부(110)의 초음파 수신부(110b)에서 출력되는 초음파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증폭기(132)는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초음파 송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를 서로 상이하게 증폭시킴으로써 복수 채널의 초음파 신호 사이의 강약 차를 보상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32, ADC, Analog-digital convertor)는 증폭된 초음파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32)는 아날로그 신호인 초음파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률에 따라 샘플링을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빔 포머(134, B.F, Beamformer)는 복수 채널로 입력되는 초음파 신호를 집속시킬 수 있다. 빔포머(134)는 초음파 송수신부(110), 증폭부(132) 또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33)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집속하여 빔포밍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빔포머(134)는 복수 채널의 신호의 전자적 빔 스캐닝, 조향, 집속, 어포다이징 및 구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프로브(100)가 무선 초음파 프로브인 경우 초음파 프로브(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본체(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생성부(210), 영상 생성부(230), 볼륨 데이터 생성부(240), 저장부(250), 디스플레이(260), 제2 입력부(27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210)는 빔 포밍된 신호에 대해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부(210)는 필터링 프로세스, 검출 프로세스 및 압축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필터링 프로세스는 빔 포밍된 신호에 필터를 적용하여 특정 대역폭의 신호 외의 다른 신호는 제거하는 프로세스이다. 필터링 프로세스는 기본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고조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조파 영상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프로세스는 초음파 신호의 전압을 무선 주파수 형태에서 비디오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이다. 압축 프로세스는 초음파 신호 사이의 진폭 차를 감소시키는 프로세스이다. 신호 생성부(210)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영상 생성부(230)는 빔 포밍된 신호 또는 신호 생성부(210)에서 처리된 신호를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형태의 초음파 영상으로 변환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에 대한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생성부(230)는 주사 변환(Scan Conversion)을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초음파 영상은 A 모드, B 모드, M 모드, 도플러 모드 또는 3D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영상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도플러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생성부(230)는 생성된 초음파 영상을 보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생성부(230)는 사용자가 초음파 영상 내의 조직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초음파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의 명도, 휘도, 선예도(sharpness), 대조도 또는 색상 등을 보정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영상 생성부(230)는 초음파 영상 내의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화소 보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영상 생성부(230)는 생성 또는 보정된 초음파 영상을 저장부(25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생성 또는 보정된 초음파 영상을 볼륨 데이터 생성부(240)로 전달하여 초음파 볼륨 데이터가 획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볼륨 영상 생성부(240)는 영상 생성부(230)에서 생성 또는 보정된 이차원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삼차원 부피를 나타내는 초음파 볼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신호 생성부(210), 영상 생성부(230), 볼륨 데이터 생성부(24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그래픽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 또는 그래픽 처리 장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이와 관련된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제어부(220)의 기능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초음파 영상 및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반도체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자기 테이프 저장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본체(200)에 결합되고 초음파 프로브(100) 및 본체(2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60)는 대상체(99) 내부의 목표 부위(98)에 대한 초음파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어레이(21)가 촬영한 복수의 영상 및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입력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초음파 프로브(100) 및 초음파 프로브 본체(200)의 작동에 관한 각종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입력부(30)는 사용자로부터 어레이(21)의 회전 범위 및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가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60)가 제2 입력부(27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초음파 진단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조사될 초음파의 주파수에 따라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생성한 제어 명령을 제1 프로세서(130)의 펄서(131)로 전달할 수 있으며, 펄서(131)는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전압을 초음파 소자부(110)에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 소자부(110)는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생성하여 대상체(99)의 목표 부위(98)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220)는 제2 프로세서(221) 및 제2 프로세서(221)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롬(ROM)이나 램(RAM)과 같은 저장 장치(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21)는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어레이(21)의 회전 각도에 따라 촬영된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도록 어레이(2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초음파 프로브(100)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된 경우, 어레이(21)를 회전시켜 대상체 내부의 여러 방향에 대한 초음파 영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된 복수의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상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특정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도록 어레이(21)의 회전 각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제어부(2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100)가 대상체 내부를 촬영한 모습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3D 프로브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된 경우 촬영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촬영한 영상을 2차원 영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100)가 촬영한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디스플레이(29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초음파 프로브(100)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되면, 도 7a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어레이(21)를 ① 방향에서 ⑥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대상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어레이(21)가 ① 방향에서 ⑥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각도 X의 범위 내에서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21)가 ① 방향을 가리키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알파벳 A가 중심에 있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어레이(21)가 ④ 방향을 가리키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알파벳 C가 중심에 있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어레이(21)가 ① 방향에서 ⑥ 방향으로 각도가 변하면서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방법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순서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순서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같이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복수의 영상은 어레이(21)의 회전 각도에 다라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어 표시되거나,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어레이(21)의 회전이 모두 완료된 후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복수의 영상의 표시 방법 및 표시되는 순서는 사용자로부터 제1 입력부(30) 또는 제2 입력부(290)를 통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260)에 표시한 후, 복수의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상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영상과 선택된 특정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함께 표시되도록 어레이(21)의 회전 각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가 알파벳 C가 중심에 있는 ④ 방향의 영상을 보기 위해 ④ 방향의 영상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220)는 어레이(21)를 ④ 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60)에는 ④ 방향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선택된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영상을 자세히 볼 수 있도록 선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에서 선택된 영상과 선택되지 않은 영상을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영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복수의 영상이 표시된 화면에서 특정 영상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화면이 선택된 영상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영상과 선택된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9의 (a) 화면과 (b)화면이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100)가 대상체 내부를 촬영한 모습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100)가 촬영한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초음파 프로브(100)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되면, 제어부(220)는 어레이(21)를 ① 방향에서 ⑪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어레이(21)가 ① 방향에서 ⑪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각도 X의 범위 내에서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21)가 ① 방향을 가리키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알파벳 A가 중심에 있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⑨ 방향을 가리키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알파벳 D가 중심에 있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어레이(21)가 ① 방향에서 ⑪ 방향으로 각도가 변하면서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방법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순서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순서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같이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복수의 영상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어 표시되거나, 어레이(21)의 회전이 모두 완료된 후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복수의 영상의 표시 방법 및 표시되는 순서는 사용자로부터 제1 입력부(30) 또는 제2 입력부(290)를 통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한 후, 복수의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상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특정 영상이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도록 어레이(21)의 회전 각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가 알파벳 A가 중심에 있는 ① 방향의 영상을 보기 위해 ① 방향의 영상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220)는 어레이(21)를 ① 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60)에는 ① 방향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가 알파벳 A가 중심에 있는 ① 방향의 영상과 알파벳 D와 E가 중심에 있는 ⑩ 방향의 영상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220)는 어레이(21)를 ① 방향과 ⑩ 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60)에는 ① 방향과 ⑩ 방향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복수의 영상이 표시된 화면에서 특정 영상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는 화면이 선택된 영상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영상과 선택된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1의 (a) 화면과 (b)화면이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3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어레이(21)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범위를 수신할 수 있다. (S110)
회전 범위는 어레이(21)가 촬영할 수 있는 전체 회전 범위를 의미하며, 회전 각도는 하나의 영상에 촬영되는 어레리(21)의 회전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범위를 180도로 설정하면, 어레이(21)는 총 180도 범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회전 각도를 30도로 설정하면 6개(=180/30)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영상에는 총 30도 범위 내에서의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0)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되면, 어레이(21)는 대상체 내부를 촬영하여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S120)
구체적으로, 어레이(21)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회전 범위 및 회전 각도를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대상체 내부를 촬영하였으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할 수 있다. (S130)
구체적으로, 복수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하거나, 촬영이 모두 완료된 후,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선택 받고, 선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이 디스플레이(280)에 표시되도록 어레이(2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일 실시예에 다른 초음파 진단 장치(100)의 구성 및 제어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초음파 프로브의 어레이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어레이(21)가 취득한 복수의 영상 중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영상을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어레이(21)의 각도가 회전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방향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 / 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헤드부
21: 어레이
22: 회전부
100: 초음파 프로브
200: 초음파 본체
220: 제어부
260: 디스플레이
300: 초음파 진단 장치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 듀서를 포함하는 어레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어레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어레이의 회전 범위 및 회전 각도를 설정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초음파 프로브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회전 범위와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어레이를 회전시켜 복수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을 취득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회전 각도로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을 상기 복수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의 회전 범위는 상기 어레이가 촬영할 수 있는 전체 회전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는 상기 복수의 회전 각도 사이의 간격을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구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7.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 듀서를 포함하는 어레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어레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촬영된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 회전 범위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제1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3D 초음파 프로브, 메트릭스 초음파 프로브 또는 프리 핸드(Free Hand) 초음파 프로브 중 하나인 초음파 진단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삽입형 초음파 프로브인 초음파 진단 장치.
  11.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 듀서를 포함하는 어레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및 본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어레이의 회전 범위 및 회전 각도를 설정 받는 단계;
    상기 초음파 프로브가 대상체 내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회전 범위와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어레이를 회전시켜 복수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회전 각도로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을 상기 복수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의 회전 범위는 상기 어레이가 촬영할 수 있는 전체 회전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는 상기 복수의 회전 각도 사이의 간격을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상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 듀서를 포함하는 어레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및 본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어레이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어레이의 회전 각도, 회전 범위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제1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
  18. 삭제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3D 초음파 프로브, 메트릭스 초음파 프로브 또는 프리 핸드(Free Hand) 초음파 프로브 중 하나인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삽입형 초음파 프로브인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0014416A 2018-02-06 2018-02-06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6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16A KR102656560B1 (ko) 2018-02-06 2018-02-06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263,713 US20190239853A1 (en) 2018-02-06 2019-01-31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10101975.6A CN110115597A (zh) 2018-02-06 2019-02-01 超声诊断设备及其控制方法
EP19155142.3A EP3520701B1 (en) 2018-02-06 2019-02-01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16A KR102656560B1 (ko) 2018-02-06 2018-02-06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21A KR20190094821A (ko) 2019-08-14
KR102656560B1 true KR102656560B1 (ko) 2024-04-12

Family

ID=6527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416A KR102656560B1 (ko) 2018-02-06 2018-02-06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239853A1 (ko)
EP (1) EP3520701B1 (ko)
KR (1) KR102656560B1 (ko)
CN (1) CN1101155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1412A (zh) * 2021-06-09 2021-09-21 上海天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雪蟾软坚柔肝片临床试验b超检测远程传输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4332A (ja) 2001-07-16 2003-01-28 Aloka Co Ltd 超音波診断装置
JP2004209277A (ja) 2004-03-24 2004-07-29 Olympus Corp 超音波画像診断装置
US20090187104A1 (en) 2008-01-23 2009-07-23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n ultrasound image
JP2010194259A (ja) * 2009-02-27 2010-09-09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6501697A (ja) 2013-01-04 2016-01-21 マフィ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uffin Incorporated 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方向制御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613B2 (ja) * 1996-05-22 2001-03-26 テルモ株式会社 超音波イメージング・カテーテル
WO2004028375A1 (ja) * 2002-09-27 2004-04-08 Olympus Corporation 超音波診断装置
EP1659950A1 (en) * 2003-08-20 2006-05-31 Hansen Medical, Inc. System and method for 3-d imaging
US8317711B2 (en) * 2007-06-16 2012-11-27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Oscillating phased-array ultrasound imaging catheter system
KR102171257B1 (ko) * 2013-09-05 2020-10-2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KR102437475B1 (ko) * 2014-12-05 2022-08-30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4332A (ja) 2001-07-16 2003-01-28 Aloka Co Ltd 超音波診断装置
JP2004209277A (ja) 2004-03-24 2004-07-29 Olympus Corp 超音波画像診断装置
US20090187104A1 (en) 2008-01-23 2009-07-23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n ultrasound image
JP2010194259A (ja) * 2009-02-27 2010-09-09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6501697A (ja) 2013-01-04 2016-01-21 マフィ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uffin Incorporated 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方向制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9853A1 (en) 2019-08-08
CN110115597A (zh) 2019-08-13
EP3520701A1 (en) 2019-08-07
KR20190094821A (ko) 2019-08-14
EP3520701B1 (en)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618B2 (en) Ultrasound-imaging systems and methods for a user-guided three-dimensional volume-scan sequence
CN104706378B (zh) 超声诊断设备及其控制方法
JP6274421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EP3017767B1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2055355A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14087698A (ja) プローブ
US20230082716A1 (en) Ultrasonic pro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80027099A (ko) 초음파 프로브, 초음파 프로브의 제어 방법 및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 장치
US10980517B2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for estimating position of prob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31789B1 (ko)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56560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5342194A (ja) 超音波診断装置
US20210177381A1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51042A1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JP4599208B2 (ja) 超音波診断装置
KR20180041507A (ko) 초음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3219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bi-plane imaging
US11555906B2 (en) Ultrasonic probe
KR20200108642A (ko) 초음파 프로브 및 그 제조 방법
US20190029640A1 (en) Method for performing beamforming and beamformer
JP2018175715A (ja) 超音波診断装置、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9103801A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パルス繰り返し周波数制御プログラム
JP2003135460A (ja) 超音波送信方法、超音波送信装置、超音波撮像方法及び超音波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