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361A - 소비활동과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금기금의 적립방법 - Google Patents

소비활동과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금기금의 적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361A
KR20160071361A KR1020160073016A KR20160073016A KR20160071361A KR 20160071361 A KR20160071361 A KR 20160071361A KR 1020160073016 A KR1020160073016 A KR 1020160073016A KR 20160073016 A KR20160073016 A KR 20160073016A KR 20160071361 A KR20160071361 A KR 2016007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sion
fund
advertisemen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산
Original Assignee
김병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산 filed Critical 김병산
Priority to KR102016007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361A/ko
Publication of KR2016007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자의 소비행위와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기금적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금 시스템은, 회원단말; 회원TV; 상기 회원단말 또는 상기 회원TV로 광고컨텐츠 또는 광고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광고서버; 상기 회원단말, 상기 회원TV, 및 상기 광고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회원단말, 상기 회원TV, 또는 상기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수신정보를 이용하여 기금적립액을 산출하고 상기 광고서버 또는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에 대해 연금사업자계좌로 기금을 이체해 줄 것을 요청하는 기금적립부를 포함하는 연금사업자서버; 상기 연금사업자서버와 연동하며, 회원의 소득규모, 재산규모 또는 신용등급에 따라 상기 기금적립율을 차등화하여 저장하거나, 가맹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기금납부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금제도는 TV, 컴퓨터, 이동통신단말에서 광고를 보는 것만으로도 연금기금을 적립할 수 있으므로 실질 연금수령액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인 회원이 광고시청뿐만 아니라 평소의 소비활동을 통해 연금기금을 적립하는 방식이므로 연금보험료의 납부 부담이 없고 전 국민 누구나 가입할 수 있고 혜택을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비활동과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금기금의 적립방법{Pension system based on consuming activity and advertisement view and pension fund accumul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금시스템과 기금적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소비자인 회원이 가맹점으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지불하는 대금의 일부를 기금으로 적립하여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회원에게 연금을 지급하는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기금 적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금제도는 근로자 또는 국민이 소정의 금액을 일정기간 동안 납부하고 노령, 장애, 퇴직, 사망 등의 보험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연금을 지급하는 사회보험제도의 일종이다.
이러한 연금제도는 운영주체에 따라 공적연금, 사적연금, 개인연금 등으로 구분된다. 공적연금은 국가 또는 법률로 정한 특수법인이 운영주체이며 대한민국에는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등이 있다,
사적연금은 공적연금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것으로서 기업연금과 협약연금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개인연금은 생명보험회사 등 금융기관이 계약자를 모집하여 운용하는 연금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연금제도는 가입자가 정기적으로 납부하는 보험료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것이어서 소득이 없거나 재정적으로 여유가 없는 사람은 가입과 유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국민연금의 경우에는 장기간 소득이 없는 경우에 보험료 납입을 유예시켜주는 제도가 운영되기는 하지만, 보험료 납입액이 적으면 연금수령액도 그에 따라 적어지므로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생활의 실질적인 안정을 기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국민연금은 현재의 시스템을 유지할 경우 수십 년 내에 기금이 고갈될 것이라는 것이 많은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고, 기금고갈을 막기 위해서 연금지급액을 줄이거나 보험료를 인상하더라도 가입자의 부담은 크게 늘고 혜택은 줄어드는 불합리한 사태를 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로 인해 최근 들어 기존의 연금제도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연금제도나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9712호는 온, 오프라인의 상거래에 의해 업체별로 적립된 포인트를 통합하여 현금으로 환전한 후 환전한 금액으로 연금상품에 가입할 수 있는 연금적립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의 연금적립방법은 특정 보험회사와 계약한 후 포인트 환전액을 보험료로 납부하는 방식이므로 포인트 환전액이 보험료에 미치지 못하면 부족분을 가입자가 현금으로 납부해야 한다. 따라서 소비지출이 없어 적립 포인트가 없는 때에는 보험료를 모두 현금으로 납부해야 하므로 기존의 개인연금과 큰 차이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9712호(2013.11.0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비자가 보험료를 직접적으로 납부하지 않고도 기금을 적립하고 이를 연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금 적립 방법을 다양화하여 소득규모가 적은 소비자들도 안정적으로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회원단말; 회원TV; 상기 회원단말 또는 상기 회원TV로 광고컨텐츠 또는 광고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광고서버; 상기 회원단말, 상기 회원TV, 및 상기 광고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회원단말, 상기 회원TV, 또는 상기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수신정보를 이용하여 기금적립액을 산출하고 상기 광고서버 또는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에 대해 연금사업자계좌로 기금을 이체해 줄 것을 요청하는 기금적립부를 포함하는 연금사업자서버; 상기 연금사업자서버와 연동하며, 회원의 소득규모, 재산규모 또는 신용등급에 따라 상기 기금적립율을 차등화하여 저장하거나, 가맹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기금납부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연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연급사업자서버가 연금기금을 납부할 광고사, 연금기금을 적립할 회원, 회원의 기금적립액 정보, 및 광고별 기금적립율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광고서버로부터 광고컨텐츠에 대한 회원단말에서의 뷰 시간 또는 뷰 회수를 포함하는 광고 뷰(view) 정보를 수신하거나, 회원TV 로부터 광고시청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상기 광고 뷰 정보 또는 상기 광고시청정보를 이용하여 기금적립액을 산출하는 적립액 결정단계;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상기 광고서버에 대해 연금사업자계좌로 상기 기금적립액을 이체해 줄 것을 요청하는 이체요청단계; 상기 기금적립액이 이체되면,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회원의 상기 기금적립액 정보를 갱신하는 정보갱신단계를 포함하는 연금기금의 적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소비자의 소비행위를 기반으로 연금기금을 적립하는 연금시스템에 있어서, 회원단말; 가맹점에 설치된 가맹점단말; 상기 가맹점단말에서 인식한 지불카드의 결제승인절차를 수행하는 결제서버; 상기 가맹점의 사업주가 거래하는 은행에 구비된 가맹점거래은행서버; 상기 회원단말로 광고컨텐츠를 전송하거나 광고 웹페이지를 전송하는 광고서버; 상기 회원단말, 상기 가맹점단말, 상기 결제서버, 상기 가맹점거래은행서버, 및 상기 광고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수신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의 기금적립율 또는 가맹점의 기금납부율에 따라 기금적립액을 산출하고 상기 결제서버 또는 상기 가맹점거래은행서버에 대해 연금사업자계좌로 기금을 이체해줄 것을 요청하거나, 상기 회원단말 또는 상기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수신정보를 이용하여 기금적립액을 산출하고 상기 광고서버 또는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에 대해 연금사업자계좌로 기금을 이체해 줄 것을 요청하는 기금적립부를 포함하는 연금사업자서버; 상기 연금사업자서버와 연동하며, 회원의 소득규모, 재산규모 또는 신용등급에 따라 상기 기금적립율을 차등화하여 저장하거나, 가맹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기금납부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연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연급사업자서버가 연금기금을 납부할 가맹점의 정보, 연금기금을 적립할 회원의 정보, 회원의 기금적립액 정보, 및 회원의 기금적립율 또는 가맹점의 기금납부율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기금적립율은 회원의 소득규모, 재산규모 또는 신용등급에 따라 차등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기금납부율은 상기 가맹점의 선택에 따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지불카드의 결제승인을 처리하는 결제서버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거나, 가맹점단말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결제정보 수신단계;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상기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금적립율 또는 상기 기금납부율에 따라 기금적립액을 산출하는 적립액 결정단계;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결제서버에 대해 연금사업자계좌로 상기 기금적립액을 이체해 줄 것을 요청하고,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상기 결제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가맹점거래은행서버에 대해 연금사업자계좌로 상기 기금적립액을 이체해 줄 것을 요청하는 이체요청단계; 상기 기금적립액이 이체되면,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회원의 상기 기금적립액 정보를 갱신하는 정보갱신단계를 포함하는 연금기금의 적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금제도는 TV, 컴퓨터, 이동통신단말에서 광고를 보는 것만으로도 연금기금을 적립할 수 있으므로 실질 연금수령액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인 회원이 광고시청뿐만 아니라 평소의 소비활동을 통해 연금기금을 적립하는 방식이므로 연금보험료의 납부 부담이 없고 전 국민 누구나 가입할 수 있고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금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금사업자서버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금기금 적립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금기금 적립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금기금 적립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금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7은 광고서버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금사업자서버의 개략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금기금 적립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금기금 적립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1.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금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맹점단말(10), 회원단말(20), 통신망(30), 연금사업자서버(40), 결제서버(50), 가맹점거래은행서버(60) 등을 포함한다.
가맹점단말(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금사업의 주체인 연금사업자와 가맹계약을 맺은 업체에 구비된 단말로서, 결제대금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카드단말기 또는 포스(POS)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단말기 또는 포스단말기와 연동하는 이동통신단말 또는 컴퓨터단말일 수도 있다.
가맹점의 대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대금을 받고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나 사람은 누구든지 연금사업자와 가맹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회원단말(20)은 가맹점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소비자인 회원의 단말로서, 이동통신단말 또는 컴퓨터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망(30)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 전용망, 이동통신망, 공중전화망(PSTN) 등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된다.
연금사업자서버(40)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금사업을 운영하는 연금사업자의 서버로서, 통신망(30)을 통해 가맹점단말(10), 회원단말(20), 결제서버(50), 가맹점거래은행서버(60) 등과 통신한다.
연금사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금시스템을 관리하고 기금을 적립하며, 적립된 기금을 운용하고, 적립된 기금을 기반으로 일정 조건에 달하는 회원에게 연금을 지급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금사업은 공공성이 크기 때문에 국가기관이나 공공단체가 연금사업자가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제서버(50)는 은행 또는 신용카드사의 서버로서,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등의 각종 지불카드(payment card)에 대한 결제승인을 수행하는 서버이며, 회원의 지불카드 사용내역을 연금사업자서버(40)로 전송하고, 연금사업자서버(40)의 요청에 따라 구매 회원에 대한 적립금을 연금사업자계좌로 이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지불카드 발행사(은행, 신용카드사)를 대신하여 결제대행사가 가맹점에게 결제대금을 지급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결제대행사의 지불게이트(Payment Gateway, P/G)도 본 명세서의 결제서버(5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연금사업자가 금융감독원 등의 허가를 받아 연금적립식 지불카드를 발행할 경우에는 연금사업자가 결제서버(50)를 설치할 수도 있다.
가맹점거래은행서버(60)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사업주가 거래하는 은행의 서버로서, 고객이 현금으로 대금을 지불한 경우에 연금사업자서버(40)의 요청에 따라 구매 회원에 대한 적립금을 연금사업자계좌로 이체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금시스템을 운영하는 연금사업자서버(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원관리부(41), 가맹점관리부(42), 기금적립부(43), 연금운용부(44)를 포함하며, 회원DB(47), 가맹점DB(48) 등과 연동한다.
회원관리부(41)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금사업의 혜택을 받고자 하는 회원의 가입, 탈퇴, 정보수정,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회원 가입희망자의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단말로 회원가입용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수신한 정보(성명, 주소, 주민번호, 전화번호, 계좌번호 등)를 이용하여 본인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수신한 정보를 회원DB(47)에 저장하며, 결제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결제정보에 포함된 구매자정보를 이용하여 등록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가맹점관리부(42)는 가맹점의 가입, 탈퇴, 정보수정,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가맹점 가입희망자의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단말로 가입용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수신한 정보(업체명, 주소, 사업주명, 주민번호, 거래계좌 등)를 이용하여 가맹점주의 본인여부를 확인하고 수신한 정보를 가맹점DB(48)에 저장하며, 결제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결제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이용하여 등록가맹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회원가입절차 또는 가맹점가입절차는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해당 정보들은 회원DB(47)와 가맹점DB(48)에 저장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기금적립부(43)는 결제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결제서버(50)로부터 수신한 회원정보, 가맹점정보, 결제대금정보 등의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기준에 따라 기금적립액을 산출한다.
기금적립액은 결제대금에 대해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결정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모든 결제대금에 대해 일정한 비율을 연금기금으로 적립하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가맹점을 기준으로 차등화된 비율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즉, 가맹점에 대해 결제대금 대비 기금납부율을 차등화시키는 것인데, 가맹점의 경우에는 기금납부율이 높으면 고객유치효과를 높일 수는 있으나 가맹점의 부담이 늘어나는 단점도 있으므로 가맹점이 기금납부율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회원을 기준으로 차등화된 비율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일 예로 회원의 소득규모, 재산규모 등을 감안하여 소득규모 또는 재산규모가 낮을수록 더 높은 적립율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금은 국민 누구나 가입할 수 있어 사회보장적인 측면이 강하므로 회원의 소득규모에 따라 적립비율을 차등화하면 소비지출이 적은 저소득층 회원들이 기초생활 및 노후생활의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회원의 신용등급에 따라 결제금액 대비 연금적립율을 차등화할 수도 있다. 즉, 신용등급이 높은 회원일수록 더 높은 적립율을 적용함으로써 건전하고 책임 있는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다만, 회원별로 차등화된 비율이 적용될 경우 가맹점주 입장에서는 기금납부율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가맹점계약시에 이러한 점에 대한 계약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기금적립부(43)는 전술한 기준을 적용하여 기금적립액을 산출하고, 결제서버(50)로 산출된 적립액을 이체해 줄 것을 요청하며, 회원별 기금적립액 정보를 저장한다. 가맹점별 기금납부액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연금운용부(44)는 연금지급조건에 해당하는 회원에게 연금을 지급하는 역할을 한다. 연금지급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연령, 장애등급 등을 기준으로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수급자 사망시 유족연금을 지급할 수도 있다.
회원DB(47)는 각 회원별로 인적사항, 연금수령계좌, 결제금액 대비 기금적립율, 기금적립액, 연금수령액, 연금수령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연금사업자와 특약을 맺은 경우에는 특약정보도 저장한다.
가맹점DB(48)는 각 가맹점별로 가맹점정보, 사업자정보, 거래은행정보, 결제금액 대비 기금납부율, 기금납부액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연금사업자와 특약을 맺은 경우에는 특약정보도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금시스템을 이용한 기금 적립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원이 지불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와 현금을 지불하는 경우를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회원이 지불카드를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금에 가입한 회원이 연금사업자와 가맹점 계약을 맺은 가맹점을 직접 방문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지불카드를 제시하면, 가맹점 관리자는 카드단말기, 포스단말기 등의 가맹점단말기(10)에 지불카드를 인식시키고 결제금액을 입력한다. (ST11)
가맹점단말기(10)는 해당 정보를 결제서버(5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고, 결제서버(50)는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회원의 신용정보를 조회하여 승인여부를 판단한다.
결제서버(50)가 결제를 승인하면 승인정보를 가맹점단말기(10)로 전송하고, 가맹점 관리자는 카드전표를 발급하여 회원에게 제공함으로써 거래가 완료된다. (ST12, ST13)
이어서 결제서버(50)는 해당 결제정보를 연금사업자서버(40)로 전송하며, 연금사업자서버(40)는 회원관리부(41)와 가맹점관리부(42)를 통해 해당 결제정보에 포함된 회원과 가맹점의 등록여부를 확인한다. (ST14, ST15)
확인결과 둘 중 하나라도 등록된 가맹점 또는 회원이 아니면 연금적립절차를 종료하고, 모두 등록된 상태이면 기금적립부(43)는 결제금액으로부터 기금적립액을 연산한다. 이때 회원의 소득규모 또는 재산규모에 따라 차등화된 적립율이 적용될 수도 있고 가맹점이 선택한 기금납부율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ST16)
연금사업자서버(40)는 전술한 과정을 거쳐 산출된 기금을 이체해 줄 것을 결제서버(50)로 요청하며, 결제서버(50)는 요청된 기금을 연금사업자 계좌로 이체한다. (ST17, ST18)
이어서 결제서버(50)가 이체정보를 연금사업자서버(40)로 전송하면, 연금사업자서버(40)는 회원DB(47)와 가맹점DB(48)에 저장된 해당 회원의 기금적립액 정보와 해당 가맹점의 기금납부액 정보를 갱신한다. (ST19, ST20)
이러한 방식으로 적립된 기금은 연금수령조건(연령, 장애 등)을 갖춘 회원에게 설정된 조건에 따라 지급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통해 구매하는 경우도 많은데, 도 4는 이러한 경우의 기금적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온라인 거래는 컴퓨터 또는 이통통신단말과 같은 회원단말(20)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회원단말(20)에 지불카드 정보가 입력되거나 저장되고(ST11'), 회원단말(20)이 지불카드 정보와 금액정보를 결제서버(50)로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하고(ST12'), 결제서버(50)가 회원단말(20)로 거래승인신호를 전송(ST13')하는 점에서 도 3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
결제승인 이후에 결제서버(50)가 연금사업자서버(40)로 결제정보를 전송하고, 결제대금을 기준으로 기금적립금이 이체되는 과정은 전술한 도 3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오프라인 거래에서 회원이 지불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현금을 지불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회원정보, 가맹점정보 및 결제금액 정보가 연금사업자서버(40)로 전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맹점단말(10)에 결제금액을 입력하는 것 이외에 현금영수증카드를 가맹점단말(10)에 인식시키거나 전화번호 등의 회원식별정보를 가맹점단말(10)에 입력해야 한다. 연금사업자가 발급한 회원카드를 가맹점단말(10)에 인식시킬 수도 있다. (ST31)
이 경우에는 지불카드를 사용할 때와 같은 결제승인 절차가 필요 없으므로 가맹점단말(10)은 입력된 결제금액정보와 가맹점 및 회원정보를 연금사업자서버(40)로 직접 전송한다. (ST32)
연금사업자서버(40)는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등록회원 및 등록가맹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된 회원 및 가맹점인 경우에는 설정된 기준에 따라 기금적립액을 산출한다. 기금적립액 산출을 위해서는 전술한 방법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ST33, ST34)
이어서 연금사업자서버(40)는 산출된 기금을 이체해 줄 것을 가맹점거래은행서버(60)로 요청하며, 가맹점거래은행서버(60)는 요청된 기금을 연금사업자 계좌로 이체한다. (ST35, ST36)
이어서 가맹점거래은행서버(60)가 이체정보를 연금사업자서버(40)로 전송하면, 연금사업자서버(40)는 회원DB(47)와 가맹점DB(48)에 저장된 해당 회원의 기금적립액 정보와 해당 가맹점의 기금납부액 정보를 갱신한다. (ST37, ST38)
2. 제2실시예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소비자인 회원이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에 대해 소정 비율로 연금기금을 적립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지출규모가 적은 저소득층이나 소득이 없는 사람들은 기금적립액이 적어 실질적인 혜택을 받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결제대금을 기준으로 하는 기금적립과 병행하여 추가적인 기금적립이 필요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온라인 광고 또는 TV광고를 이용하여 연금기금을 추가로 적립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금 시스템은 도 6의 개략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맹점단말(10), 회원단말(20), 통신망(30), 연금사업자서버(40), 결제서버(50), 가맹점거래은행서버(60) 등을 포함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고서버(70),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80)를 포함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광고서버(70)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업체, 광고대행사, 포털사이트업체, 이동통신사업자 등(이하 '광고사'라 한다)이 운영하는 것으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고컨테츠를 회원단말(20)로 전송하는 광고컨텐츠 제공서버(72)와 광고뷰 확인수단(74)을 구비한다.
광고컨텐츠 제공서버(72)는 회원단말(20)로 광고컨텐츠를 푸시(push)하거나, 회원단말(20)로 양방향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회원이 수신을 허락한 경우에 광고컨텐츠를 전송하거나, 광고컨텐츠를 볼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전송한다.
광고뷰 확인수단(74)은 회원의 광고 뷰(view) 여부, 뷰 시간, 뷰 회수 등을 확인 및 집계하는 역할을 하며, 도 7에 나타내 바와 같이 광고서버(7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리서치기관이나 포털사이트업체로부터 광고뷰 관련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80)는 광고기금을 지불할 사업체, 광고대행사, 포털사이트업체, 이동통신사업자 등이 거래하는 은행의 서버이다. 거래은행은 광고계약시 결정하여 광고사DB(49)에 저장해 두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서는 연금사업자서버(40)가 회원관리부(41), 가맹점관리부(42), 기금적립부(43), 연금운용부(44) 뿐만 아니라 광고사관리부(45)를 포함한다.
광고사관리부(45)는 광고사의 가입, 탈퇴, 정보수정,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광고사의 서버 또는 광고사 가입희망자의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단말로 가입용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수신한 정보(업체명, 주소, 사업주명, 주민번호, 거래계좌 등)를 이용하여 광고사의 본인여부를 확인하고 수신한 정보를 광고사DB(49)에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금시스템을 이용한 기금 적립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원이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광고를 보는 경우와 TV시청 중에 광고를 보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회원이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회원단말(20)을 통해 광고를 수신하는 경우의 기금적립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광고서버(70)는 연금사업자서버(40)로부터 회원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해야 한다. 수신할 회원정보에는 회원의 전화번호, 메일주소, SNS계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 IP주소가 포함될 수도 있다. (ST51)
이어서 광고서버(70)는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단말과 같은 회원단말(20)로 광고수신 동의를 요청하고, 회원단말(20)로부터 동의신호를 수신하면, 회원단말(20)로 광고컨텐츠를 전송하거나, 광고컨테츠를 볼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전송한다. (ST52, ST53, ST54)
회원단말(20)에서는 수신한 광고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수신한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광고컨텐츠를 수신한다. (ST55),
이어서 광고서버(70)는 연금사업자서버(40)로 광고수신 관련정보를 전송하며, 광고수신 관련정보에는 광고컨텐츠 또는 웹페이지를 수신한 회원정보가 포함된다. (ST56)
연금사업자서버(40)의 기금적립부(43)는 광고서버(7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기금적립액을 산출한다. 광고컨텐츠별로 기금적립비율이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광고사DB(49)에 광고컨텐츠별 기금적립비율을 미리 저장해 두어야 함은 물론이다. (ST57)
이이서 연금사업자서버(40)는 산출된 기금을 이체해 줄 것을 광고서버(70)로 요청한다. 광고서버(70)에 기금이체를 요청하지 않고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80)로 직접 기금이체를 요청할 수도 있다. (ST58)
광고서버(70) 또는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80)는 요청된 기금을 연금사업자 계좌로 이체하고, 이체정보를 연금사업자서버(40)로 전송한다. (ST59, ST60)
연금사업자서버(40)는 회원DB(47)에 저장된 해당 회원의 기금적립액 정보와 해당 광고사의 기금납부액 정보를 갱신한다. (ST61)
도 10은 회원이 회원TV(22)에서 광고를 시청하는 경우의 기금적립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의 회원TV(22)는 광고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관련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TV인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회원TV(22)에서 TV방송광고가 방송되면(ST71), 회원TV(22)는 광고시청정보를 연금사업자서버(40)로 전송한다. 광고시청정보는 회원정보, 방영된 TV광고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회원TV(22)가 직접 연금사업자단말(40)로 광고시청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광고서버(70)가 회원TV(22)로부터 광고시청정보를 수신하여 연금사업자서버(4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연금사업자서버(40)의 통신부하를 줄일 수 있다. (ST72)
연금사업자서버(40)의 기금적립부(43)는 회원TV(22) 또는 광고서버(70)로부터 수신한 광고시청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기금적립액을 산출한다. TV광고별로 기금적립비율이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광고사DB(49)에 광고별 기금적립비율을 미리 저장해 두어야 함은 물론이다. (ST73)
이어서 연금사업자서버(40)는 산출된 기금을 이체해 줄 것을 광고서버(70)로 요청한다. 광고서버(70)에 기금이체를 요청하지 않고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80)로 직접 기금이체를 요청할 수도 있다. (ST74)
광고서버(70) 또는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80)는 요청된 기금을 연금사업자 계좌로 이체하고, 이체정보를 연금사업자서버(40)로 전송한다. (ST75, ST76),
연금사업자서버(40)는 회원DB(47)에 저장된 해당 회원의 기금적립액 정보와 해당 광고사의 기금납부액 정보를 갱신한다. (ST77)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 가맹점단말 20: 회원단말
30: 통신망 40: 연금사업자서버
41: 회원관리부 42: 가맹점관리부
43: 기금적립부 44: 연금운용부
45: 광고사관리부 47: 회원DB
48: 가맹점DB 49: 광고사DB
50: 결제서버 60: 가맹점거래은행서버
70: 광고서버 80: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

Claims (2)

  1. 회원단말;
    회원TV;
    상기 회원단말 또는 상기 회원TV로 광고컨텐츠 또는 광고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광고서버;
    상기 회원단말, 상기 회원TV, 및 상기 광고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회원단말, 상기 회원TV, 또는 상기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수신정보를 이용하여 기금적립액을 산출하고 상기 광고서버 또는 광고기금이체은행서버에 대해 연금사업자계좌로 기금을 이체해 줄 것을 요청하는 기금적립부를 포함하는 연금사업자서버;
    상기 연금사업자서버와 연동하며, 회원의 소득규모, 재산규모 또는 신용등급에 따라 상기 기금적립율을 차등화하여 저장하거나, 가맹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기금납부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연금 시스템
  2. 연급사업자서버가 연금기금을 납부할 광고사, 연금기금을 적립할 회원, 회원의 기금적립액 정보, 및 광고별 기금적립율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광고서버로부터 광고컨텐츠에 대한 회원단말에서의 뷰 시간 또는 뷰 회수를 포함하는 광고 뷰(view) 정보를 수신하거나, 회원TV 로부터 광고시청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상기 광고 뷰 정보 또는 상기 광고시청정보를 이용하여 기금적립액을 산출하는 적립액 결정단계;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상기 광고서버에 대해 연금사업자계좌로 상기 기금적립액을 이체해 줄 것을 요청하는 이체요청단계;
    상기 기금적립액이 이체되면, 상기 연급사업자서버가 회원의 상기 기금적립액 정보를 갱신하는 정보갱신단계
    를 포함하는 연금기금의 적립방법
KR1020160073016A 2016-06-13 2016-06-13 소비활동과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금기금의 적립방법 KR20160071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16A KR20160071361A (ko) 2016-06-13 2016-06-13 소비활동과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금기금의 적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16A KR20160071361A (ko) 2016-06-13 2016-06-13 소비활동과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금기금의 적립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886A Division KR20150074788A (ko) 2013-12-24 2013-12-24 소비활동과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금기금의 적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361A true KR20160071361A (ko) 2016-06-21

Family

ID=5635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016A KR20160071361A (ko) 2016-06-13 2016-06-13 소비활동과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금기금의 적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13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712A (ko) 2012-04-24 2013-11-01 박승환 적립식 포인트를 이용한 연금적립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712A (ko) 2012-04-24 2013-11-01 박승환 적립식 포인트를 이용한 연금적립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29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icropayments in a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US76764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emulating a private label over an open network
US73180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benefit recognition, acquisition, value exchange, and transaction settlement system using multivariable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US20050021363A1 (en) Debit card per-transaction charitable contribution
JP4122292B2 (ja) 有価証券リース取引サーバ
JP5844833B2 (ja) 交換差による取引に係る交換取引サーバ
KR102325019B1 (ko) 신용공여 기반의 신용 거래 방법 및 신용 거래 장치
JP2014029741A5 (ko)
KR20000064226A (ko) 마일리지 포인트 뱅킹시스템 및 뱅킹방법과 이것을 응용한포인트 뱅킹방법
KR20150074788A (ko) 소비활동과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금기금의 적립방법
JP5319661B2 (ja) 金融取引方法
US20150213520A1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sset conformation and/or valuation for a customer making a purchase
JP3872474B2 (ja) 預金債務交換取引サーバ
KR20180104989A (ko) 가상 화폐의 통합 관리 시스템, 국내 관리 시스템 및 그의 통합 관리 방법
KR20160071361A (ko) 소비활동과 광고 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금기금의 적립방법
JP2014053037A (ja) 商品に係るリース取引サーバ、リース取引システム及びリース取引支援方法
US20070094116A1 (en) Methods for facilitating political campaign contributions through links to independent financial transactions
KR20190016789A (ko) 신용공여 기반의 전자상거래 중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122309B2 (ja) 有価証券リース取引サーバ
KR20180124330A (ko) 신용공여 기반의 전자상거래 방법 및 그 중계장치
JP3996616B2 (ja) 商品交換取引サーバ、商品交換取引プログラム及び商品交換取引支援方法
KR102050302B1 (ko) 예약구매 조건부 자동 금리변동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170119177A (ko) 잔돈적립 서버 및 잔돈적립 프로그램
Schneider et al. The future of finance
KR20150123680A (ko) 상생 결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