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217A -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217A
KR20160071217A KR1020140178683A KR20140178683A KR20160071217A KR 20160071217 A KR20160071217 A KR 20160071217A KR 1020140178683 A KR1020140178683 A KR 1020140178683A KR 20140178683 A KR20140178683 A KR 20140178683A KR 20160071217 A KR20160071217 A KR 20160071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rag operation
icon
acceptance
bel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569B1 (ko
Inventor
유수근
이동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우치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우치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우치그램
Priority to KR102014017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569B1/ko
Priority to PCT/KR2015/000144 priority patent/WO2016093418A1/ko
Publication of KR2016007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소유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전화가 오더라도 소유자 외에는 전화를 수신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통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정해놓은 통화수락조작과 일치하는 드래그 조작을 착신화면에서 입력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유자외에는 전화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하여 통화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Calling}
본 발명은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오면 착신 화면에서 미리 설정해 놓은 방향 또는 미리 설정해놓은 영역으로 통화연결 아이콘을 드래그로 이동시켜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소유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전화가 착신 되었을 때, 다른 사람이 수신할 수 없도록 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 등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성이 부여된 통신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단말기 중 최근 기술의 결과물로는 스마트폰을 들 수 있는데, 스마트폰은 프로그램 구동 및 데이터 통신, PC 연동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고기능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시킨 복합형 무선통신기기로서, 휴대전화의 기능에 PDA 기능을 추가한 것이 일반적인데, 음성통신은 물론 PC 연동, 개인정보관리, 무선 인터넷 등이 가능하여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최근 기술 정보 및 각종 사생활 정보의 유출로 인한 경제적 또는 사회적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사생활 보호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소유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전화가 착신되면 누구라도 통화 아이콘을 조작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어 사생활이 의도치 않게 공개되는 통화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소유자외의 사람은 통화를 하지 못하도록 하여 통화 보안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유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전화가 착신되더라도 소유자 외에는 전화를 수신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은, 제2아이콘과 제1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연결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드래그 조작과 미리 설정된 통화수락조작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드래그 조작과 상기 통화수락조작이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통화수락조합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수락조합 설정 단계는, 통화연결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수락조합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제1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을 통화수락조작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제1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확인을 위하여 복수 회 제2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1 드래그 조작과 상기 제2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제2 드래그 조작을 재입력받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제1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확인을 위하여 복수 회 제2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1 드래그 조작과 상기 제2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제2 드래그 조작을 재입력받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수신번호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작과 상기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수신번호가 속하는 그룹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작과 상기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상연락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연락처에서 착신될 경우, 상기 비교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전화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연락처에 대응되는 일반통화모드 또는 보안통화해제모드와 같은 착신모드를 미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반통화모드는, 통화연결아이콘과 통화종료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되고, 통화연결아이콘을 통화종료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 하여 전화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통화해제모드는,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또는 방향 또는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반통화모드 전환암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환암호를 입력하여 일반통화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아이콘은, 2개 이상으로 분할된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아이콘은, 상기 분할된 영역들을 구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의 외부 영역을 종료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수신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제3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과 상기 제3 드래그 조작의 제1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3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제4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2 시작영역과 상기 제4 드래그 조작의 제2 방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3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과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4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2 종료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보안통화장치는,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제2아이콘과 제1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 입력을 받는 입력부와 상기 드래그 조작과 미리 설정된 통화수락조작을 비교하여, 상기 드래그 조작이 상기 통화수락조작과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수락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통화수락조작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통화수락조작의 설정화면을 출력하는 설정화면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통화수락조작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부는, 비상연락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상연락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연락처에서 착신되는 통화의 경우 보안통화기능을 해제하여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또는 방향 또는 종료점의 위치와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해제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처리부는, 일반통화모드 전환 암호를 저장하여 상기 전환 암호가 입력되면 일반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통화수신을 거절하는 거절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절처리부는,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의 외부 영역에 속하면 통화를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락처리부는, 수신번호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작과 상기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락처리부는, 수신번호가 속하는 연락처 그룹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작과 상기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과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제1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2 시작영역과 상기 제2 드래그 조작의 제2 방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과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2 종료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는 착신화면에서 미리 설정해놓은 방향으로 통화 아이콘을 이동시켜서 통화 연결을 하도록 하여 소유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전화가 오더라도 소유자 외에는 전화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하여 통화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통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수락 조합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연락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수락조합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연결 방법에서 통화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연결 방법에서 통화를 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통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장치(110)가 내장된 이동단말(130_n), 네트워크(150) 및 서비스서버(170)를 포함한다.
이하, 위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보안통화장치(110)는 통신부(111), 입력부(113) 및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통신부(111)는 이동단말(130_n)과 이동단말기지국(미도시) 또는 서비스서버(170) 사이에 위치한 네트워크(13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1)는 이동단말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부, 근거리통신부 및 무선인터넷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무선신호는, 음성 호신호, 화상통화 호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부는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는 근거리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에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113)는 상기 통신부(111) 또는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15)로 전달하여 제어부(115)에서 보안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5)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5)는 수락처리부(210), 설정부(230), 해제처리부(250) 및 거절처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락처리부(210)는 전화가 착신되었을 때 착신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드래그 조작과 설정부(230)의 저장부(231)에 미리 저장된 전화를 수신하기 위한 드래그 조작의 조합(이하 ‘통화수락조작’이라 함)을 비교하여 전화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통화수락조작은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과 드래그 조작의 방향을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Level 1). 이 경우, 착신화면에서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된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영역 및 방향과 일치되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고, 일치하지 않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재차 드래그 조작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드래그 조작을 복수회 입력받아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Level 3). 예를 들어, 2회에 걸쳐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는 통화수락조작은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 제1 드래그 조작의 제1 방향,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2 시작영역 및 제2 드래그 조작의 제2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화면에서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된 드래그 조작의 제1 시작영역 및 제1 방향과 일치되는 제1 드래그 조작이 입력된 후 제2 시작영역 및 제2 방향과 일치되는 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고, 제1(제2) 시작영역 및 제1(제2)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제1(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재차 드래그 조작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통화수락조작은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 드래그 조작의 방향 및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Level 2). 이 경우, 착신화면에서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된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영역, 방향 및 종료점 영역과 일치되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고, 일치하지 않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재차 드래그 조작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드래그 조작을 복수회 입력받아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Level 4). 예를 들어, 2회에 걸쳐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는 통화수락조작은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 제1 드래그 조작의 제1 방향,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2 시작영역, 제2 드래그 조작의 제2 방향 및 제2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2 종료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화면에서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된 드래그 조작의 제1 시작영역, 제1 방향 및 제1 종료영역과 일치되는 제1 드래그 조작이 입력된 후 제2 시작영역, 제2 방향 및 제2 종료영역과 일치되는 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고, 제1(제2) 시작영역, 제1(제2) 방향 및 제1(2) 종료영역과 일치하지 않는 제1(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재차 드래그 조작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설정부(230)는 저장부(231), 설정화면표시부(233) 및 비상연락설정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1)는 미리 설정된 통화수락조작 및 허용횟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허용횟수는 사용자로부터 유효한 드래그 조작 세트를 입력받는 횟수를 의미하며, 허용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통화수락조작과 일치하는 드래그 조작 세트가 입력되지 않으면 거절처리부(270)에서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설정화면표시부(233)는 통화수락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이동단말(170_n)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설정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통화수락조작은 저장부(231)에 저장된다. 이러한 통화수락조작은 최소한 한 번의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영역 및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최소한 한 번의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영역, 방향 및 종료점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통화수락조작은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연락처에 대해서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개별 연락처 또는 개별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개별 연락처란 주소록에 저장된 각각의 번호(철수, 영희 등)을 의미하고, 개별 연락처그룹이란 일정 기준으로 묶여진 주소록의 모임(가족, 친구 등)을 의미한다.
개별 연락처 또는 개별 연락처그룹 별로 통화수락조작을 설정할 때에는 저장부(231)에 연락처 또는 연락처그룹과 이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작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비상연락설정부(235)는 모든 사람이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비상연락처 정보를 저장한다.
해제처리부(250)는 비상연락실행부(251) 및 전환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연락실행부(251)는 비상연락설정부(235)에 저장되어 있는 비상연락처에서 전화가 착신될 경우 보안통화기능을 해제하거나 일반통화 착신화면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보안통화기능을 해제할 경우에는 터치 조작의 위치 또는 드래그 조작의 방향 또는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었을 때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통화착신화면에서는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통화연결아이콘을 드래그 하여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통화연결아이콘을 통화종료 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전화를 수신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안통화기능 해제 또는 일반통화착신화면 표시의 선택 여부를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착신모드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비상연락처 정보가 함께 비상연락설정부(235)에 저장될 수 있다.
전환부(253)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일반통화전환 암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원격 접속으로 일반통화전환 암호가 입력되면 일반통화착신화면이 표시되도록 착신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거절처리부(270)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통화를 거절하는 기능을 한다.
저장부(231)에 저장된 허용횟수가 초과할때까지 미리 설정된 통화수락조작과 일치하지 않는 드래그 조작 세트가 입력될 경우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허용횟수는 의도치 않은 통화 거절을 방지하고, 소유자 외의 사용자가 통화 수락 시도를 하는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3회에서 5회가 바람직하다.
또한, 착신화면에서 제2아이콘 및 제1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고 통화 연결 아이콘 외부 영역을 종료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이하 ‘통화거절조작’이라 함)이 입력되면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수락조합의 설정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설정방법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통화수락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연락처 또는 연락처 그룹이 선택된 후(S310) 개별설정을 시작한다(S320). 여기에서 연락처(철수, 영희 등)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개별 번호를 의미하고, 연락처그룹(가족, 친구, 동료 등)이란 일정 기준으로 묶여진 연락처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또한, 모든 연락처 또는 연락처 그룹에 대하여 동일한 통화수락조작을 설정할 때에는 상기 S310 단계를 생략하고, S320 단계에서 전체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에, 보안레벨을 선택한다(S330). 보안레벨로는 Level 1 에서 Level 4 까지 선택할 수 있다. Level 1 및 Level 2 는 드래그 조작을 1회 입력받아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하는 것이고, Level 3 및 Level 4 는 드래그 조작을 복수 회 입력받아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Level 1 및 Level 3은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 및 드래그 조작의 방향을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하는 것이고, Level 2 및 Level 4는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 드래그 조작의 방향 및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영역을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보안레벨을 선택한 후, 설정화면표시부(233)는 통화수락조작 설정화면을 이동단말(170_n)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S340). 이 때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영역 및 종료점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하기 위한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아(S350) 저장부(231)에 상기 드래그 조작을 통화수락조작으로 저장한다(S380).
그리고 통화수락조작의 확인을 위하여 복수 회 드래그 조작을 재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S350 단계 이후,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조작을 재차 입력받아(S360), S350 단계에서 입력받은 드래그 조작과 S360 단계에서 입력받은 드래그 조작을 비교한 후(S370), 서로 일치하면 S350 단계 및 S360 단계에서 입력받은 드래그 조작을 통화수락조작으로 저장하고(S380), 일치하지 않으면 S360 단계의 드래그 조작을 재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1)에 통화수락조작을 저장할 때, S310 단계에서 설정된 연락처 또는 연락처 그룹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의 고장 및 분실을 대비하여 통화수락조작 및 이에 대응되는 연락처 또는 연락처 그룹을 서비스서버(170)에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연락처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을 분실했을 경우에 보안통화 기능을 해제하여 모든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 분실 시 분실된 이동단말에 연락을 취하기 위한 비상연락처를 주소록에서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다(S410). 이 때, 비상연락처는 한 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에, 비상연락처에서 수신된 전화의 착신모드를 선택한다(S420). 착신모드로는 일반통화 모드와 보안통화 해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통화 모드를 선택하면, 일반적인 통화 착신 화면이 표시되고 통화아이콘을 옆으로 드래그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보안통화 해제 모드를 선택하면, 터치 조작의 위치 또는 드래그 조작의 방향 또는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비상연락처와 착신모드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면, 비상연락처와 비상연락처에 대응되는 착신모드를 비상연락설정부(235)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S43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 도 5 a는 보안통화기능이 실행되기 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 b는 보안통화기능이 실행된 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신호가 착신되면, 착신번호와 비상연락 설정부(237)에 등록된 비상연락처를 대조한다(S510). 대조한 결과 착신번호가 등록된 비상연락처와 일치하면, 해제처리부(250)의 비상연락실행부(251)에 등록된 착신모드가 일반통화모드인지 보안통화 기능 해제 모드인지 확인하여(S511), 일반통화모드일 경우에는 일반 통화 화면을 출력하고(S521), 보안통화 기능 해제 모드일 경우에는 보안통화 기능을 해제(S512)하고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또는 드래그 조작의 방향 또는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S513) 통화가 연결되어 전화를 수신하게 된다(S560). 착신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상연락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설정부(230)의 저장부(231)에서 보안통화 기능이 전체 설정인지 확인하고(S515), 전체 설정이 아닌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설정된 번호인지 다시 확인한다(S520). 개별적으로 설정된 번호도 아닐 때에는 일반 통화 화면을 표시하고(S521), 통화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보안통화 기능이 전체 연락처에 대해 설정되었거나, 착신 번호가 개별적으로 설정된 연락처나 연락처그룹에 속해있는 경우 수락처리부(213)에서 보안통화 기능이 실행된다(S525).
보안통화기능이 실행된 후의 동작은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b를 참조하면, 보안통화 기능이 실행된 후 제2아이콘과 제1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아이콘이 착신화면 상에서 출력된다(S530).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S535), 통화거절조작인지 확인하여(S540), 통화거절조작일 경우에는 통화를 거절한다(S541). 통화거절조작이 아닐 경우 입력받은 드래그 조작과 저장부(231)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수락조작을 비교하여(S545),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드래그 조작 입력 횟수가 허용횟수를 초과하는지 체크한다(S550). 허용횟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통화를 거절하고(S541), 허용횟수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드래그 조작을 재차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받은 드래그 조작과 통화수락조작이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여 통화가 연결된다(S56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수락조합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 도 6a 는 Level 1 통화수락조합, 도 6b는 Level 2 통화수락조합, 도 6c는 Level 3 통화수락조합, 도 6d는 Level 4 통화수락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화연결아이콘(CI)은 제2아이콘(FI) 와 제1아이콘(RI)을 포함한다.
제1아이콘(RI)은 통화수락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드래그 조작의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영역의 개수는 도면에 12개로 도시하였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또한, 분할영역을 분리하여 식별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추가로 더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영역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a 에 도시된 Level 1 통화수락조작은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SP) 및 드래그 조작의 방향(FD 또는 RD) 의 두 요소를 포함한다.
도 6b 에 도시된 Level 2 통화수락조작은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SP), 드래그 조작의 방향(FD 또는 RD) 및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영역(EP)의 세 요소를 포함한다.
도 6c 에 도시된 Level 3 통화수락조작은 Level 1 통화수락조작을 반복 조작하는 것으로 반복횟수가 a 일 때 2a 개의 요소를 포함한다. 도 6c 에 도시된 예는 a가 2일때로, 이 경우 Level 3 통화수락조작은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SP1), 제1 드래그 조작의 방향(FD 또는 RD),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SP2) 및 제2 드래그 조작의 방향(FD 또는 RD)의 4개의 요소를 포함한다.
도 6d 에 도시된 Level 4 통화수락조작은 Level 2 통화수락조작을 반복 조작하는 것으로 반복횟수가 b 일 때 3b 개의 요소를 포함한다. 도 6d 에 도시된 예는 b가 2일때로, 이 경우 Level 4 통화수락조작은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SP1), 제1 드래그 조작의 방향(FD 또는 RD),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영역(EP1),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SP2), 제2 드래그 조작의 방향(FD 또는 RD) 및 제2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영역(EP2)의 6개의 요소를 포함한다.
하기의 표 1은 보안통화 레벨에 따른 경우의 수를 정리한 결과로, Level 3 및 Level 4 의 반복조작횟수는 2인 경우이다.
보안통화레벨 경우의 수
Level 1 12X2 = 24
Level 2 12X2X12 = 288
Level 3 (12X2)X(12X2) = 576
Level 4 (12X2X12)X(12X2X12) = 82,944
상기 표에서 보안통화레벨이 올라갈수록 경우의 수가 증가하여 보안 기능이 강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12개의 영역만으로 Level 4 통화수락조작으로 설정할 경우 경우의 수가 8만개가 넘게 나타나 보안 기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에서 통화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 도 7a 는 Level 1 통화수락조작, 도 7b는 Level 2 통화수락조작, 도 7c는 Level 3 통화수락조작, 도 7d 는 Level 4 통화수락 조작의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vel 1 은 시작영역(P1) 및 방향(FD)을 가지는 드래그 조작을 입력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고, Level 2 는 시작영역(P1), 방향(FD) 및 종료영역(P3)을 가지는 드래그 조작을 입력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Level 3은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영역(P1), 제1 드래그 조작의 방향(FD),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영역(P9) 및 제2 드래그 조작의 방향(RD)인 제1, 제2 드래그 조작을 입력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Level 4는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영역(P1), 제1 드래그 조작의 방향(FD),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영역(P3),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영역(P9), 제2 드래그 조작의 방향(RD) 및 제2 드래그 조작의 종료영역(P6)인 제1, 제2 드래그 조작을 입력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Level 3 및 Level 4 는 2회의 드래그 조작을 입력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드래그 조작 입력 횟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에서 통화를 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 도 8a 는 제2아이콘(FI)을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을 입력하여 통화를 거절하는 방법이고, 도 8b는 제1아이콘(RI)을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을 입력하여 통화를 거절하는 방법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아이콘(FI) 또는 제1아이콘(RI)을 시작점으로 하여 통화연결아이콘(CI)의 외부 영역을 종료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거절처리부(270)에서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이 속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110 : 보안통화장치 111 : 통신부
113 : 입력부 115 : 제어부
130_n : 이동단말 150 : 네트워크
170 : 서비스 서버 210 : 수락처리부
230 : 설정부 231 : 저장부
233 : 설정화면표시부 235 : 비상연락설정부
250 : 해제처리부 251 : 비상연락실행부
253 : 전환부 270 : 거절처리부

Claims (33)

  1. 제1아이콘과 제2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연결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조작과 미리 설정된 통화수락조작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조작과 상기 통화수락조작이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통화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통화수락조합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수락조합 설정 단계는,
    통화연결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수락조합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제1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을 통화수락조작으로 저장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제1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확인을 위하여 복수 회 제2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드래그 조작과 상기 제2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제2 드래그 조작을 재입력받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수신번호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작과 상기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수신번호가 속하는 그룹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작과 상기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비상연락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연락처에서 착신될 경우, 상기 비교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전화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상연락처에 대응되는 일반통화모드 또는 보안통화해제모드와 같은 착신모드를 미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일반통화모드는,
    통화연결아이콘과 통화종료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되고, 통화연결아이콘을 통화종료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 하여 전화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통화해제모드는,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또는 방향 또는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반통화모드 전환암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환암호를 입력하여 일반통화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콘은,
    2개 이상으로 분할된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콘은,
    상기 분할된 영역들을 구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의 외부 영역을 종료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수신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제3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 및
    상기 제3 드래그 조작의 제1 방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3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제4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2 시작영역; 및
    상기 제4 드래그 조작의 제2 방향;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3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4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2 종료영역;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21.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
    제1아이콘과 제2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 입력을 받는 입력부; 및
    상기 드래그 조작과 미리 설정된 통화수락조작을 비교하여, 상기 드래그 조작이 상기 통화수락조작과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수락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보안통화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수락조작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통화수락조작의 설정화면을 출력하는 설정화면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통화수락조작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비상연락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상연락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연락처에서 착신되는 통화의 경우 보안통화기능을 해제하여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또는 방향 또는 종료점의 위치와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해제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해제처리부는,
    일반통화모드 전환 암호를 저장하여 상기 전환 암호가 입력되면 일반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수신을 거절하는 거절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절처리부는,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의 외부 영역에 속하면 통화를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수락처리부는,
    수신번호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작과 상기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8.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수락처리부는,
    수신번호가 속하는 연락처 그룹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작과 상기 드래그 조작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30.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 및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제1 방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32.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2 시작영역; 및
    상기 제2 드래그 조작의 제2 방향;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작은,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2 종료영역;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KR1020140178683A 2014-12-11 2014-12-11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661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683A KR101661569B1 (ko) 2014-12-11 2014-12-11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PCT/KR2015/000144 WO2016093418A1 (ko) 2014-12-11 2015-01-07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683A KR101661569B1 (ko) 2014-12-11 2014-12-11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300A Division KR101736236B1 (ko) 2016-07-22 2016-07-22 보안 통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217A true KR20160071217A (ko) 2016-06-21
KR101661569B1 KR101661569B1 (ko) 2016-10-24

Family

ID=5610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683A KR101661569B1 (ko) 2014-12-11 2014-12-11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1569B1 (ko)
WO (1) WO201609341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644A (ja) * 1999-07-16 2001-02-09 Nec Corp パスワードによる着信者指定サービス方式および方法
KR100787023B1 (ko) * 2001-07-12 2007-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방법
KR20080079333A (ko) * 2005-12-23 2008-08-29 애플 인크. 해제 이미지 상에서의 제스처 수행에 의한 장치 해제
KR20130055877A (ko) * 2011-11-21 2013-05-29 (주)네오위즈게임즈 인증 처리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644A (ja) * 1999-07-16 2001-02-09 Nec Corp パスワードによる着信者指定サービス方式および方法
KR100787023B1 (ko) * 2001-07-12 2007-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방법
KR20080079333A (ko) * 2005-12-23 2008-08-29 애플 인크. 해제 이미지 상에서의 제스처 수행에 의한 장치 해제
KR20130055877A (ko) * 2011-11-21 2013-05-29 (주)네오위즈게임즈 인증 처리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3418A1 (ko) 2016-06-16
KR101661569B1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064B2 (en) Device pairing
US96416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all answer
KR10173035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터 연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012899B2 (en) Controlling a delivery of voice communications over a cellular data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based on user's profile
KR101756455B1 (ko) 통화 제어 장치, 통화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
CN104202462B (zh) 通信控制方法和系统
KR101736236B1 (ko) 보안 통화 장치
KR101661569B1 (ko)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638023B1 (ko)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637437B1 (ko)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CN102790789A (zh) 搜索联系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656409B1 (ko)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EP2547060B1 (en)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o provide enhanced teleconference features and related method
KR101885755B1 (ko) 보안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637420B1 (ko)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732129B1 (ko) 보안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646231B1 (ko) 보안통화연결방법 및 장치
KR101687564B1 (ko) 네트워크 단말이 특정 네트워크 그룹에 접속하게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076035B (zh) 具有匿名功能的交友方法
KR101809462B1 (ko)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식별표시 서비스시스템
US20080125100A1 (en) Mobile device outbound personality portability
KR101429855B1 (ko) 통신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210026491A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CN102883307A (zh) 查找目标用户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