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437B1 -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437B1
KR101637437B1 KR1020140194114A KR20140194114A KR101637437B1 KR 101637437 B1 KR101637437 B1 KR 101637437B1 KR 1020140194114 A KR1020140194114 A KR 1020140194114A KR 20140194114 A KR20140194114 A KR 20140194114A KR 101637437 B1 KR101637437 B1 KR 101637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rag operation
combination
acceptan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812A (ko
Inventor
이동채
유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우치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우치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우치그램
Priority to KR102014019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437B1/ko
Priority to PCT/KR2015/000146 priority patent/WO2016108320A1/ko
Publication of KR2016008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Abstract

소유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전화가 오더라도 소유자 외에는 전화를 수신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통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정해놓은 통화수락조합과 일치하는 드래그조작 조합을 착신화면에서 입력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유자외에는 전화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하여 통화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Calling}
본 발명은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오면 착신 화면에서 미리 설정해 놓은 방향 및 미리 설정해놓은 영역으로 드래그 조작을 입력하여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소유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전화가 착신 되었을 때, 다른 사람이 수신할 수 없도록 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 등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성이 부여된 통신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단말기 중 최근 기술의 결과물로는 스마트폰을 들 수 있는데, 스마트폰은 프로그램 구동 및 데이터 통신, PC 연동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고기능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시킨 복합형 무선통신기기로서, 휴대전화의 기능에 PDA 기능을 추가한 것이 일반적인데, 음성통신은 물론 PC 연동, 개인정보관리, 무선 인터넷 등이 가능하여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최근 기술 정보 및 각종 사생활 정보의 유출로 인한 경제적 또는 사회적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사생활 보호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소유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전화가 착신되면 누구라도 통화 아이콘을 조작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어 사생활이 의도치 않게 공개되는 통화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소유자외의 사람은 통화를 하지 못하도록 하여 통화 보안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유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전화가 착신되더라도 소유자 외에는 전화를 수신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은, 전화 수신 시 통화연결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와 드래그조작 조합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과 미리 설정된 통화수락조합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과 상기 통화수락조합이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통화수락조합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수락조합 설정 단계는, 통화연결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수락조합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제1 드래그조작 조합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1 드래그조작 조합을 통화수락조합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최소한 한 개의 후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영역 중 선택된 영역을 통화수락조합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드래그조작 조합을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드래그조작 조합을 입력받은 후, 상기 제1 드래그조작 조합의 확인을 위하여 복수 회 제2 드래그조작 조합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1 드래그조작 조합과 상기 제2 드래그조작 조합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제2 드래그조작 조합을 재입력받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수신번호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합과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수신번호가 속하는 그룹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합과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상연락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연락처에서 착신될 경우, 상기 비교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전화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연락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연락처에 대응되는 착신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모드는, 일반통화모드, 보안통화해제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반통화모드는, 통화연결아이콘과 통화종료아이콘이 착신화면에 표시되고, 통화연결아이콘을 통화종료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 하여 전화를 수신하는 모드이고, 상기 보안통화해제모드는,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또는 방향 또는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반통화모드 전환암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환암호를 입력하여 일반통화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일반통화모드는, 통화연결아이콘과 통화종료아이콘이 착신화면에 표시되고, 통화연결아이콘을 통화종료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 하여 전화를 수신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3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 또는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3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4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2 종료영역 또는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4 드래그 조작의 제2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드래그 조작 이후 유효한 제4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기까지의 시간인 유효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수평 방향의 드래그 조작 또는 터치 조작이 입력되거나, 상기 제3 드래그 조작 이후 상기 유효시간 동안 상기 유효한 제4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전화 수신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보안통화장치는,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드래그조작 조합 입력을 받는 입력부와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과 미리 설정된 통화수락조합을 비교하여,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이 상기 통화수락조합과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수락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통화수락조합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통화수락조합의 설정화면을 출력하는 설정화면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통화수락조합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별로 설정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연락처를 더 저장하며, 상기 수락처리부는, 상기 연락처에서 착신되면,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과 상기 연락처별로 설정된 통화수락조합을 비교하여,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이 상기 통화수락조합과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연락처 그룹을 더 저장하며, 상기 수락처리부는, 상기 연락처 그룹에 속하는 연락처에서 착신되면,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과 상기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된 통화수락조합을 비교하여,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이 상기 통화수락조합과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부는, 비상연락처 정보 및 상기 비상연락처에 대응되는 착신모드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상연락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해제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신모드는, 통화연결아이콘과 통화종료아이콘이 착신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상기 통화종료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전화를 수신하는 일반통화모드와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의 위치 또는 방향 또는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는 보안통화해제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처리부는, 상기 비상연락처에서 착신될 경우 상기 비상연락처에 대응되는 착신모드에서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비상연락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처리부는, 일반통화모드 전환 암호를 저장하여 상기 전환 암호가 입력되면 상기 일반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 또는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2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2 종료영역 또는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2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통화수신을 거절하는 거절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제1 드래그 조작 이후 유효한 제2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기까지의 유효시간을 더 저장하며, 상기 거절처리부는,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수평 방향의 드래그 조작 또는 터치조작이 입력되거나, 제1 드래그 조작 이후 상기 유효시간동안 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전화 수신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는 착신화면에서 미리 설정해놓은 방향 및 영역으로 통화연결아이콘을 드래그 이동시켜야만 전화 수신을 하도록 하여 소유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전화가 오더라도 소유자 외에는 전화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하여 통화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통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수락 조합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연락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수락조합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연결 방법에서 통화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연결 방법에서 통화를 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통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장치(110)가 내장된 이동단말(130_n), 네트워크(150) 및 서비스서버(170)를 포함한다.
이하, 위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보안통화장치(110)는 통신부(111), 입력부(113) 및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통신부(111)는 이동단말(130_n)과 이동단말기지국(미도시) 또는 서비스서버(170) 사이에 위치한 네트워크(13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1)는 이동단말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부, 근거리통신부 및 무선인터넷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무선신호는, 음성 호신호, 화상통화 호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부는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는 근거리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에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113)는 상기 통신부(111) 또는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15)로 전달하여 제어부(115)에서 보안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5)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5)는 수락처리부(210), 설정부(230), 해제처리부(250) 및 거절처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락처리부(210)는 전화가 착신되었을 때 착신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드래그조작 조합과 설정부(230)의 저장부(231)에 미리 저장된 전화를 수신하기 위한 드래그 조작의 조합(이하 ‘통화수락조합’이라 함)을 비교하여 전화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통화수락조합은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 또는 통화연결아이콘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2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2 종료영역 또는 통화연결아이콘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2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화면에서 통화수락조합으로 설정된 제1 영역으로 제1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고, 제2 영역으로 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고,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중 최소한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재차 제1 드래그 조작 및 제2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설정부(230)는 저장부(231), 설정화면표시부(233) 및 비상연락설정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1)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통화수락조합 및 유효시간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유효시간은 유효한 드래그 조작을 받기 위해 설정된 시간을 의미하며, 제1 드래그 조작 이후 상기 유효시간동안 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거절처리부(270)에서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시간은 1초에서 3초 사이가 바람직한데, 1초보다 짧게 설정된 경우 의도치 않은 통화거절이 발생할 수 있고, 3초보다 길게 설정되면 통화거절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설정화면표시부(233)는 통화수락조합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이동단말(170_n)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설정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통화수락조합은 저장부(231)에 저장된다. 이러한 통화수락조합은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영역인 제1 영역 및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2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영역인 제2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통화수락조합 설정화면에는 최소한 하나의 후보 영역들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후보 영역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첫 번째로 입력된 드래그 조작(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 또는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저장하고, 두 번째로 입력된 드래그 조작(제2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 또는 시작점이 속하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저장할 수 있다.
통화수락조합은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연락처에 대해서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개별 연락처 또는 개별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개별 연락처란 주소록에 저장된 각각의 번호(철수, 영희 등)을 의미하고, 개별 연락처그룹이란 일정 기준으로 묶여진 주소록의 모임(가족, 친구 등)을 의미한다.
개별 연락처 또는 개별 연락처그룹 별로 통화수락조합을 설정할 때에는 저장부(231)에 연락처 또는 연락처그룹과 이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합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비상연락설정부(235)는 모든 사람이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비상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해제처리부(250)는 비상연락실행부(251) 및 전환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연락실행부(251)는 비상연락설정부(235)에 저장되어 있는 비상연락처에서 전화가 착신될 경우 보안통화기능을 해제하거나(보안통화해제모드) 일반통화 착신화면을 표시(일반통화모드)하도록 할 수 있다.
보안통화해제모드는 터치 조작의 위치 또는 드래그 조작의 방향 또는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었을 때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말한다.
또한, 일반통화모드는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통화연결아이콘을 드래그 하여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모드로, 일반적으로는 통화연결아이콘을 통화종료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전화를 수신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안통화해제모드 및 일반통화모드를 포함하는 착신모드 중 선택된 모드에 대한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비상연락처 정보가 함께 비상연락설정부(235)에 저장될 수 있다.
전환부(253)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일반통화전환 암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원격 접속으로 일반통화전환 암호가 입력되면 착신모드를 일반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거절처리부(270)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통화를 거절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드래그 조작이 입력된 후 저장부(231)에 저장된 유효시간동안 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시간은 1초에서 3초 사이가 바람직한데, 1초보다 짧게 설정된 경우 의도치 않은 통화거절이 발생할 수 있고, 3초보다 길게 설정되면 통화거절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다.
또한, 착신화면에서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수평 방향의 드래그 조작 또는 터치조작(이하 ‘통화거절조작’이라 함)이 입력되면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수락조합의 설정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설정방법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통화수락조합을 설정하기 위한 연락처 또는 연락처 그룹이 선택된 후(S310) 개별설정을 시작한다(S320). 여기에서 연락처(철수, 영희 등)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개별 번호를 의미하고, 연락처그룹(가족, 친구, 동료 등)이란 일정 기준으로 묶여진 연락처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또한, 모든 연락처 또는 연락처 그룹에 대하여 동일한 통화수락조합을 설정할 때에는 상기 S310 단계를 생략하고, S320 단계에서 전체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통화수락조합 설정이 시작되면, 설정화면표시부(233)는 통화연결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수락조합 설정화면을 이동단말(170_n)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S330). 이 때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 또는 시작점이 속할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후보영역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통화수락조합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1 드래그 조작 및 제2 드래그 조작을 포함하는 드래그조작 조합을 입력받아(S340) 저장부(231)에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을 통화수락조합으로 저장한다(S370).
그리고 통화수락조합의 확인을 위하여 복수 회 드래그 조작을 재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S340 단계 이후,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조작을 재차 입력받아(S350), S340 단계에서 입력받은 드래그 조작과 S350 단계에서 입력받은 드래그 조작을 비교한 후(S360), 서로 일치하면 S340 단계 및 S350 단계에서 입력받은 드래그 조작을 통화수락조합으로 저장하고(S370), 일치하지 않으면 S350 단계의 드래그 조작을 재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S320 단계에서 개별 설정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S370 단계에서 저장부에 통화수락조합을 저장할 때 S310 단계에서 선택된 연락처 또는 연락처 그룹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의 고장 및 분실을 대비하여 통화수락조합 및 이에 대응되는 연락처 또는 연락처 그룹을 서비스서버(170)에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연락처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을 분실했을 경우에 모든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 분실 시 분실된 이동단말에 연락을 취하기 위한 비상연락처를 주소록에서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다(S410). 이 때, 비상연락처는 한 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에, 비상연락처에서 수신된 전화의 착신모드를 선택한다(S420). 착신모드로는 일반통화모드와 보안통화해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통화모드를 선택하면, 통화연결아이콘과 통화종료아이콘이 표시된 일반적인 통화 착신 화면이 표시되고 통화연결아이콘을 수평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보안통화해제모드를 선택하면, 터치 조작의 위치 또는 드래그 조작의 방향 또는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비상연락처와 착신모드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면, 비상연락처 및 이 비상연락처에 대응되는 착신모드를 비상연락설정부(235)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S43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 도 5a는 보안통화기능이 실행되기 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b는 보안통화기능이 실행된 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신호가 착신되면, 착신번호와 비상연락 설정부(237)에 등록된 비상연락처를 대조한다(S510). 대조한 결과 착신번호가 등록된 비상연락처와 일치하면, 해제처리부(250)의 비상연락실행부(251)에 등록된 착신모드가 일반통화모드인지 보안통화해제모드인지 확인하여(S511), 일반통화모드일 경우에는 통화연결아이콘과 통화종료아이콘이 표시되는 일반 통화 화면을 출력하고(S521), 보안통화해제모드일 경우에는 보안통화 기능을 해제(S512)하고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또는 드래그 조작의 방향 또는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S513) 통화가 연결되어 전화를 수신하게 된다(S560). 착신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상연락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설정부(230)의 저장부(231)에서 보안통화 기능이 전체 설정인지 확인하고(S515), 전체 설정이 아닌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설정된 번호인지 다시 확인한다(S520). 개별적으로 설정된 번호도 아닐 때에는 일반 통화 화면을 표시하고(S521), 통화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보안통화 기능이 전체 연락처에 대해 설정되었거나, 착신 번호가 개별적으로 설정된 연락처나 연락처그룹에 속해있는 경우 수락처리부(213)에서 보안통화 기능이 실행된다(S525).
보안통화기능이 실행된 후의 동작은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b를 참조하면, 보안통화 기능이 실행되면 통화연결아이콘이 착신화면 상에서 출력된다(S530). 이때, 통화연결아이콘을 드래그로 이동시킬 수 있는 후보영역을 추가로 더 출력할 수도 있다.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제1 드래그조작이 입력되면(S535), 통화거절조작인지 확인하여(S540), 통화거절조작일 경우에는 통화를 거절한다(S541). 통화거절조작이 아닐 경우 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기까지 유효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체크하여(S545), 유효시간동안 아무런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거절처리부(270)에서 통화를 거절한다(S541). 유효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S550) 제1 드래그 조작 및 제2 드래그 조작의 조합과 저장부(231)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수락조합을 비교하여(S555), 일치하지 않으면 제1 드래그 조작부터 다시 입력을 받게 되고, 서로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여 통화가 연결된다(S56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수락조합 설정화면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설정화면은 통화연결아이콘(CI)과 최소한 하나의 후보영역(CR) 및 조작버튼(BT)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후보영역(CR)이 20개의 포인트로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영역을 구분하는 사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후보영역(CR)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작버튼(BT)은 드래그조작 조합 입력을 재시도하기 위한 버튼(BT_1)과 드래그조작 조합 입력을 저장부(231)에 저장하도록 하는 확인버튼(BT_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연결아이콘(CI)를 후보영역(CR)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이동시킨 후 확인버튼(BT_2)을 터치하여 제1(2) 종료 영역(첫번째로 지정한 영역)으로 지정하거나 상기 후보영역(CR)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통화연결아이콘(CI)로 드래그 조작을 입력하여 상기 선택된 후보영역(CR)을 제1(제2) 시작 영역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 후보영역(CR)의 수는 n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통화수락조합을 설정하는 경우의 수는 n 개의 후보영역(CR)을 시작점 또는 종료점으로 선택하며, n개의 후보영역(CR)을 2회에 걸쳐서 중복을 허용하여 경우의 수와 같아지므로, 경우의 수는 2nX2n이 된다.
즉, 후보영역(CR)의 개수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개인 경우에는 통화수락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600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에서 통화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 도 7a는 통화수락조합이 제1 시작영역과 제2 시작영역으로 설정된 경우이고, 도 7b는 통화수락조합이 제1 종료영역과 제2 종료영역으로 설정된 경우이며, 도 7c는 통화수락조합이 제1 시작영역 및 제2 종료영역으로 설정된 경우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가 착신되어 통화연결아이콘(CI)이 출력된 상태에서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합으로 설정된 제1 시작영역(CA1_1)과 일치하는 제1 드래그조작(DR1_1)이 입력된 후 통화수락조합으로 설정된 제2 시작영역(CA1_2)과 일치하는 제2 드래그 조작(DR1_2)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가 착신되어 통화연결아이콘(CI)이 출력된 상태에서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합으로 설정된 제1 종료영역(CA2_1)과 일치하는 제1 드래그조작(DR2_1)이 입력된 후 통화수락조합으로 설정된 제2 종료영역(CA2_2)과 일치하는 제2 드래그 조작(DR2_2)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가 착신되어 통화연결아이콘(CI)이 출력된 상태에서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합으로 설정된 제1 시작영역(CA3_1)과 일치하는 제1 드래그조작(DR3_1)이 입력된 후 통화수락조합으로 설정된 제2 종료영역(CA3_2)과 일치하는 제2 드래그 조작(DR3_2)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즉, 통화수락조합은 통화연결아이콘(CI)을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의 제1 종료영역 또는 통화연결아이콘(CI)을 종료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의 제1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통화연결아이콘(CI)을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의 제2 종료영역 또는 통화연결아이콘(CI)을 종료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의 제2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고, 착신화면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일치하는 드래그 조작 조합을 입력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통화방법에서 통화를 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 도 8a 및 도 8b는 수평방향의 드래그 조작(DR_1, DR_2)을 입력하여 통화를 거절하는 방법이고, 도 8c는 터치조작(TC)만을 입력하여 통화를 거절하는 방법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드래그 조작 이후 유효시간이 경과하도록 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거절처리부(270)에서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이 속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110 : 보안통화장치 111 : 통신부
113 : 입력부 115 : 제어부
130_n : 이동단말 150 : 네트워크
170 : 서비스 서버 210 : 수락처리부
230 : 설정부 231 : 저장부
233 : 설정화면표시부 235 : 비상연락설정부
250 : 해제처리부 251 : 비상연락실행부
253 : 전환부 270 : 거절처리부

Claims (24)

  1. 전화 수신 시 통화연결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
    드래그조작 조합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과 미리 설정된 통화수락조합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과 상기 통화수락조합이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3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 또는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3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4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제2 종료영역 또는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4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2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통화수락조합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수락조합 설정 단계는,
    통화연결아이콘을 포함하는 통화수락조합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제1 드래그조작 조합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드래그조작 조합을 통화수락조합으로 저장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최소한 한 개의 후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영역 중 선택된 영역을 통화수락조합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래그조작 조합을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드래그조작 조합을 입력받은 후, 상기 제1 드래그조작 조합의 확인을 위하여 복수 회 제2 드래그조작 조합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드래그조작 조합과 상기 제2 드래그조작 조합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제2 드래그조작 조합을 재입력받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수신번호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합과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수신번호가 속하는 그룹에 대응되는 통화수락조합과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비상연락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연락처에서 착신될 경우, 상기 비교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전화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비상연락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연락처에 대응되는 착신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모드는,
    일반통화모드, 보안통화해제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일반통화모드는,
    통화연결아이콘과 통화종료아이콘이 착신화면에 표시되고, 통화연결아이콘을 통화종료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 하여 전화를 수신하는 모드이고,
    상기 보안통화해제모드는,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 또는 방향 또는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반통화모드 전환암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환암호를 입력하여 일반통화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일반통화모드는,
    통화연결아이콘과 통화종료아이콘이 착신화면에 표시되고, 통화연결아이콘을 통화종료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 하여 전화를 수신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드래그 조작이 입력된 후 유효한 상기 제4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기까지의 시간인 유효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수평 방향의 드래그 조작 또는 터치조작이 입력되거나, 상기 제3 드래그 조작이 입력된 후 상기 유효시간동안 상기 제4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전화 수신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방법.
  17.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
    드래그조작 조합 입력을 받는 입력부; 및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과 미리 설정된 통화수락조합을 비교하여,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이 상기 통화수락조합과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수락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1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1 종료영역 또는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1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1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2 드래그 조작의 종료점이 속하는 제2 종료영역 또는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2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이 속하는 제2 시작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수락조합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통화수락조합의 설정화면을 출력하는 설정화면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통화수락조합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별로 설정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연락처를 더 저장하며,
    상기 수락처리부는,
    상기 연락처에서 착신되면,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과 상기 연락처별로 설정된 통화수락조합을 비교하여,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이 상기 통화수락조합과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락조합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연락처 그룹을 더 저장하며,
    상기 수락처리부는,
    상기 연락처 그룹에 속하는 연락처에서 착신되면,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과 상기 연락처 그룹별로 설정된 통화수락조합을 비교하여, 상기 드래그조작 조합이 상기 통화수락조합과 일치하면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비상연락처 정보 및 상기 비상연락처에 대응되는 착신모드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상연락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해제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신모드는,
    통화연결아이콘과 통화종료아이콘이 착신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상기 통화종료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전화를 수신하는 일반통화모드; 및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의 위치 또는 방향 또는 종료점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전화를 수신하는 보안통화해제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처리부는,
    상기 비상연락처에서 착신될 경우 상기 비상연락처에 대응되는 착신모드에서 전화를 수신하도록 하는 비상연락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해제처리부는,
    일반통화모드 전환 암호를 저장하여 상기 전환 암호가 입력되면 상기 일반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23. 삭제
  2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수신을 거절하는 거절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드래그 조작 이후 유효한 상기 제2 드래그 조작을 입력받기까지의 시간인 유효시간을 더 저장하며,
    상기 거절처리부는,
    상기 통화연결아이콘을 시작점으로 하는 수평 방향의 드래그 조작 또는 터치조작이 입력되거나, 상기 제1 드래그 조작이 입력된 후 상기 유효시간동안 상기 제2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전화 수신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통화장치.
KR1020140194114A 2014-12-30 2014-12-30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637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114A KR101637437B1 (ko) 2014-12-30 2014-12-30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PCT/KR2015/000146 WO2016108320A1 (ko) 2014-12-30 2015-01-07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114A KR101637437B1 (ko) 2014-12-30 2014-12-30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12A KR20160080812A (ko) 2016-07-08
KR101637437B1 true KR101637437B1 (ko) 2016-07-22

Family

ID=5628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114A KR101637437B1 (ko) 2014-12-30 2014-12-30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7437B1 (ko)
WO (1) WO20161083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77B1 (ko) * 2004-08-25 2006-08-28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1896907B1 (ko) * 2012-07-16 2018-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KR101934822B1 (ko) * 2012-09-03 2019-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102036337B1 (ko) * 2013-04-04 2019-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부가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29319B1 (ko) * 2013-04-10 2020-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8320A1 (ko) 2016-07-07
KR20160080812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234B1 (ko) 통화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1259064B2 (en) Device pairing
CN108377486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56455B1 (ko) 통화 제어 장치, 통화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
KR101637437B1 (ko)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638023B1 (ko)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637420B1 (ko)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656409B1 (ko)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736236B1 (ko) 보안 통화 장치
KR101661569B1 (ko) 보안 통화 방법 및 장치
KR20170048263A (ko) 이미지, 메시지, 및 패턴을 통한 통화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37080A (ko) 이미지, 메시지, 및 패턴을 통한 보안통화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32129B1 (ko) 보안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885755B1 (ko) 보안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646231B1 (ko) 보안통화연결방법 및 장치
KR20170048310A (ko) 통화 제어 장치, 통화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
CN108270665A (zh) 即时网络通信系统及通信方法
KR20160130572A (ko) 인스턴트 메신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429855B1 (ko) 통신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