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173A - 유인용 조성물 및 트랩 장치 - Google Patents

유인용 조성물 및 트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173A
KR20160071173A KR1020140178566A KR20140178566A KR20160071173A KR 20160071173 A KR20160071173 A KR 20160071173A KR 1020140178566 A KR1020140178566 A KR 1020140178566A KR 20140178566 A KR20140178566 A KR 20140178566A KR 20160071173 A KR20160071173 A KR 20160071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attracting
hole
composition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440B1 (ko
Inventor
조영손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4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0Chemistry: natural resins or derivatives; peptides or proteins; ligni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Y10S530/82Proteins from microorganisms
    • Y10S530/825Bacte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모니아, 요산, 또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오줌을 포함하고, 액체 상태이며, 상기 액체 상태의 상기 오줌에서 증발된 냄새로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유인하는 유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인용 조성물 및 트랩 장치{DECOYING COMPOSITE AND TRAP APPARATUS}
본 발명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등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유인하거나 방제하는 유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방제할 수 있는 트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등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손으로 잡거나 농약을 쳐서 살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2860호는 해충을 포획하는 장치는 개시하고 있으나,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유인하거나 방제하는 유인용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퇴치하는 장치는 기재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2860호
본 발명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등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등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방제할 수 있는 트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유인용 조성물은 암모니아, 요산, 또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오줌을 포함하고, 액체 상태이며, 상기 액체 상태의 상기 오줌에서 증발된 냄새로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유인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유인용 조성물은 나트륨 채널 조절제,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성 마크로시클릭 락톤, GABA-조절 클로라이드 채널 차단제, 키틴 합성 억제제, 유충 호르몬 모방체, 옥토파민 수용체 리간드, 에크디손 효능제, 리아노딘 수용체 리간드, 네레이스톡신 유사체,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억제제, 지질 생합성 억제제, 시클로디엔 살충제, 탈피 억제제, 바실루스 투링기엔시스(Bacillusthuringiensis)의 구성원인 뉴클레오폴리헤드 로바이러스, 바실루스 투링기엔시스의 캡슐화된 델타-내독소, 및 천연 또는 유전적으로 변형된 바이러스 살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살충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트랩 장치는 암모니아, 요산, 또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오줌을 포함하고, 액체 상태인 유인용 조성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서 증발된 상기 오줌의 냄새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방사하는 방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부에서 방사되는 상기 오줌의 냄새로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유인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트랩 장치는 상기 수용부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유인된 상기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이 가두어지는 포집부; 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곤충이 상기 수용부에 접근하기 위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유인 구멍을 갖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유인 구멍이 복수로 다방향을 향해 형성된 다방향 통발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되는 상기 곤충은 상기 다방향 통발의 하측에 형성된 트랩 구멍을 통해 상기 수용부로 포집되며, 상기 오줌에서 증발된 냄새는 상기 트랩 구멍 및 상기 유인 구멍을 통하여 방사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트랩 장치는 상기 수용부가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한 쪽에는 상기 방사부를 형성하는 유인 구멍이 천공되며, 상기 수용부에서 방사되는 상기 오줌의 냄새는 상기 유인 구멍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방사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트랩 장치는 상기 수용부 또는 상기 방사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마련되고, 상기 뚜껑이 오픈되면 상기 수용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착탈된다.
본 발명의 유인용 조성물은 사람이나 동물의 오줌을 사용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유인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랩 장치는 수용부와 포집부를 분리가능하게 해서 세척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트랩 장치는 포집부를 분리가능하게 해서 세척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트랩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트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트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트랩 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모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인용 조성물 및 트랩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노린재류' 라 함은 유시아강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의미한다. 노린재류는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반시류라고도 하며 지상생활을 하는 것과 수서생활을 하는 것이 있다. 몸의 크기는 가장 작은 1.1mm(얼룩깨알소금쟁이)에서 가장 큰 65mm(물장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몸의 모양도 편평한 판 모양의 인 것(넓적노린재), 긴 막대 모양인 것(실노린재), 그리고 날개가 변형/확대되어 특이한 모양을 한 것(방패벌레) 등 다양하다. 몸 빛깔은 대부분 녹색 또는 다갈색으로 보호색 구실을 하여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노린재는 광대노린재, 긴가위뿔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네점박이노린재, 장수허리노린재, 깜보라노린재, 홍비단노린재, 우리가시허리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십자무늬노린재, 떼허리노린재, 두점배허리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에사키뿔노린재, 남색주둥이노린재, 침노린재, 기름빛풀색노린재, 초록장님노린재, 닯은초락장님노린재, 고리장님노린재,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그 종류가 5만 여종이나 된다.
노린재류의 암컷은 교미가 끝나면 주로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알을 붙이는다. 그 밖에 흙이나 돌 틈에 산란하거나 물자라처럼 수컷의 등 위에 산란하기도 한다. 또한 대부분 노린재 약충과 성충 두 종류 모두 그들이 선호하는 식물체에 붙어서 식물체의 과실이나 꽃봉오리, 꽃 또는 종자의 수액을 빨아 먹음으로써 농작물에 피해를 입힌다.
한편, 허리노린재과에 속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성충은 유충과 더불어 콩과식물의 즙액을 빨아들인다. 따라서 꼬투리가 떨어지거나 기형으로 되며, 꼬투리 속의 낱알의 생육이 정지되고 표면에 주름이 생기거나 흰색으로 변하게 된다. 그 밖에도 벼, 피, 조 등 벼과 식물에도 피해를 준다.
그러나 이러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현재까지 집합페로몬이 특정되지 않아 유인이 어려우며, 따라서 유인용 트랩 장치를 이용한 방제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 물질을 연구하던 중, 암모니아, 요산, 또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오줌(100)이 유인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오줌(100)' 이라 함은 암모니아, 요산, 또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액체 배설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암모니아, 요산, 또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유인용 조성물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유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인용 조성물은 사람 또는 동물의 오줌(100)이므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쉽게 환경친화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폐기할 때도 환경친화적으로 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인용 조성물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유인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 후, 신속하고 지속적인 효과를 통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유인할 수 있도록 암모니아, 요산, 또는 요소의 농도가 적당하도록 물 또는 적당한 용매로 희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용매로는 물이 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인용 조성물에 있어서, 사람의 오줌(100)은 사람에 따라 냄새가 다르며, 같은 사람이라도 물을 얼마나 섭취하는가에 따라 오줌(100)의 농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18세 이상 성인 남성 또는 여성으로서 동일한 사람이 24시간 동안 1리터의 물을 섭취한 후 배설하는 오줌(100)을 물을 용매로 희석한 유인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유인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희석 비율은 물을 희석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즉, 오줌(100)의 냄새가 심할 때 유인력이 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인용 조성물은 유인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방제 또는 살충할 수 있는 살충제, 살선충제, 살비제 또는 살균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랩 장치는 수용부(130) 또는 방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30)는 사람이나 동물의 오줌(100)을 수용하고 상측에 개구부를 가진 투명한 용기일 수 있다. 수용부(130)는 오줌(100)을 수용하고, 포집되어 오줌(100)에 빠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오줌(100)의 상태와 오줌(100)에 빠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용기일 수 있다.
방사부는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오줌(100)의 냄새가 외부로 방사되는 채널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부는 수용부(130)의 상측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수용부(130)에서 수용된 오줌(100)의 냄새를 수용부(130)의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방사부는 수용부(130)의 상측에 마련되고 포집부(120)의 하측에 마련되는 포집 구멍(150)을 포함하고, 수용부(130)에서 방사되는 오줌(100)의 냄새를 포집부(120)로 방사할 수 있다. 방사부는 포집부(120)에 마련되는 유인 구멍(140)을 포함하고, 포집부(120) 내부의 오줌(100)의 냄새를 포집부(120)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수용부(130)는 통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측에 개구부가 마련되는 투명한 플라스틱 용기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랩 장치는, 수용부(13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유인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가두어지는 포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120)는 수용부(130)의 상측에 마련되고, 수용부(130)에서 방사되는 오줌(100)의 냄새를 포집부(120)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포집부(120) 외부로 방사되는 오줌(100)의 냄새에 의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유인할 수 있다.
포집부(120)는 유인 구멍(140)을 포함하고, 오줌(100)의 냄새에 의해 유인 구멍(140)으로 유인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가둘 수 있다. 포집부(120)는 하측에 형성된 트랩 구멍을 포함하고, 트랩 구멍을 통해 유인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수용부(130)에 포집될 수 있다. 유인 구멍(140)은 포집부(120)의 입구로써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포집부(120)는 복수의 유인 구멍(140)을 다방향으로 입구를 형성하고, 하측에 트랩 구멍으로 출구를 형성하는 다방향 통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방향 통발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다방향 통발은 뚜껑부와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부와 본체부는 분리 가능하고, 뚜껑부와 본체부는 각각 결합되는 부분에 고무패킹으로 중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방향 통발은 뚜껑부와 본체부를 분리할 수 있고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수명이 오래갈 수 있다. 즉,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다방향 통발에 꽉 차게 포집되더라도, 뚜껑부와 본체부를 분리하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비워내고 다방향 통발을 세척해서 재사용할 수 있다.
유인용 조성물은 수용부(130)의 상측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해 포집부(120)의 트랩 구멍으로 방사되고, 트랩 구멍으로 방사된 유인용 조성물은 유인 구멍(140)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반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유인용 조성물이 방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포집될 수 있다. 즉,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포집부(120)의 유인 구멍(140)으로 유인되어 포집부(120)에 가두어진후, 포집부(120)의 포집 구멍(150)을 통해 수용부(130)로 이동되고 수용부(130)의 오줌(100)에 빠져서 보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포집 장치는 포집부(120) 상측에 설치된 손잡이(110)를 통해서 거치대(160)에 설치되어 외부의 논이나 밭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랩 장치는 유인 물질로써 오줌(100)을 사용하므로 수용부(130)에 항상 오줌(100)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트랩 장치는 넘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설치자가 실수로 거치대(160)를 넘어뜨릴 수도 있고, 태풍에 의하거나 강한 바람이 불어서 거치대(160)가 넘어질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트랩 장치가 넘어지더라도 유인용 조성물이 외부로 쏟아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수용부(130)의 상측과 포집부(120)의 하측은 고무패킹을 이용하여 밀착되어 유인물질인 오줌(100)이 쏟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포집부(120)와 수용부(130)도 서로 분리될 수 있고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수명이 오래갈 수 있다. 즉,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포집부(120)에 꽉 차게 포집되고 수용부(130)의 오줌(100)에 빠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많이 있을 경우, 포집부(120)와 수용부(130)를 분리하여 수용부(130)의 오줌(100)과 오줌(100)에 빠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비우고 세척해서 재사용할 수 있다. 포집부(120)의 재사용에 대해서는 이미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수용부(130)는 포집부(120)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130)는 통형 부재로 포집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포집부(120)는 유인 구멍(1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포집부(120)는 복수의 유인 구멍(140)을 다방향으로 입구를 형성하는 다방향 통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방향 통발은 뚜껑부와 본체부로 분리 가능하고,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와 유사하게, 다방향 통발은 뚜껑부와 본체부를 분리하여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하여 수명이 오래갈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130)도 포집부(120)에서 착탈하여 오줌(100)과 오줌(100)에 빠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비우고 세척해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또한 관리가 용이하여 수명이 오래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인용 조성물의 흐름은 수용부(130)의 상측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해 방사되고, 방사된 유인용 조성물은 유인 구멍(140)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반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포집부(120)의 유인 구멍(140)으로 유인되자마자 수용부(130)로 이동되어 오줌(100)에 빠져서 보관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동일한 사람이 24시간 동안 1리터의 물을 섭취한 후 배설한 오줌(100) 0.1리터를 물로 희석하지 않았다.(실시예 1)
동일한 사람이 24시간 동안 1리터의 물을 섭취한 후 배설한 오줌(100) 0.1리터를 물 0.5리터로 희석하였다.(실시예 2)
동일한 사람이 24시간 동안 1리터의 물을 섭취한 후 배설한 오줌(100) 0.1리터를 물 1리터로 희석하였다.(실시예 3)
동일한 사람이 24시간 동안 1리터의 물을 섭취한 후 배설한 오줌(100) 0.1리터를 물 1.5리터로 희석하였다.(실시예 4)
동일한 사람이 24시간 동안 1리터의 물을 섭취한 후 배설한 오줌(100) 0.1리터를 물 2리터로 희석하였다.(실시예 5)
오줌(100)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물(실시예 6)
<시험예 1> 실시예 1 내지 6의 유인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유인에 대한 유인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수용부(130)내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의해 제조된 유인용 조성물을 넣고 48시간 후에 각각 조성물에 유인된 개체수를 포획법으로 평가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농도 유인 개체수
실시예 1 희석 없음. 48
실시예 2 5배 희석 43
실시예 3 10배 희석 37
실시예 4 15배 희석 30
실시예 5 20배 희석 20
실시예 6 물(오줌(100) 미포함) 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유인용 조성물은 물의 희석배율이 높을수록 유인 효과는 떨어진다. 이것은 유인용 조성물인 오줌(100)의 냄새가 약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오줌(100)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냄새가 심한 오줌(100)일수록 유인 효과가 좋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실시예 6의 경우 오줌(100)이 포함되지 않았을 때는 전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 효과가 없음이 확인될 수 있다.
가능한 응용 실시예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분변으로 버려지는 오줌(100)을 모으고, 이를 발효시켜 냄새 성분을 증가시키거나, 이를 농축시켜 오줌(100)의 농도를 높이는 등 추가적으로 유인 효과를 증대시키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오줌:100 손잡이:110
포집부:120 수용부:130
유인 구멍:140 포집 구멍:150
거치대:160

Claims (7)

  1. 암모니아, 요산, 또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오줌을 포함하고, 액체 상태이며, 상기 액체 상태의 상기 오줌에서 증발된 냄새로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유인하는 유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나트륨 채널 조절제,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성 마크로시클릭 락톤, GABA-조절 클로라이드 채널 차단제, 키틴 합성 억제제, 유충 호르몬 모방체, 옥토파민 수용체 리간드, 에크디손 효능제, 리아노딘 수용체 리간드, 네레이스톡신 유사체,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억제제, 지질 생합성 억제제, 시클로디엔 살충제, 탈피 억제제, 바실루스 투링기엔시스(Bacillusthuringiensis)의 구성원인 뉴클레오폴리헤드 로바이러스, 바실루스 투링기엔시스의 캡슐화된 델타-내독소, 및 천연 또는 유전적으로 변형된 바이러스 살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살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상기 살충제로 살충하는 유인용 조성물.
  3. 암모니아, 요산, 또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오줌을 포함하고, 액체 상태인 유인용 조성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서 증발된 상기 오줌의 냄새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방사하는 방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부에서 방사되는 상기 오줌의 냄새로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을 유인하는 트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유인된 상기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이 가두어지는 포집부; 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곤충이 상기 수용부에 접근하기 위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유인 구멍을 갖는 트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유인 구멍이 복수로 다방향을 향해 형성된 다방향 통발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되는 상기 곤충은 상기 다방향 통발의 하측에 형성된 트랩 구멍을 통해 상기 수용부로 포집되며,
    상기 오줌에서 증발된 냄새는 상기 트랩 구멍 및 상기 유인 구멍을 통하여 방사되는 트랩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한 쪽에는 상기 방사부를 형성하는 유인 구멍이 천공되며,
    상기 수용부에서 방사되는 상기 오줌의 냄새는 상기 유인 구멍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방사되는 트랩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또는 상기 방사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마련되고,
    상기 뚜껑이 오픈되면 상기 수용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착탈되는 트랩 장치.
KR1020140178566A 2014-12-11 2014-12-11 유인용 조성물 및 트랩 장치 KR10200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566A KR102004440B1 (ko) 2014-12-11 2014-12-11 유인용 조성물 및 트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566A KR102004440B1 (ko) 2014-12-11 2014-12-11 유인용 조성물 및 트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173A true KR20160071173A (ko) 2016-06-21
KR102004440B1 KR102004440B1 (ko) 2019-07-26

Family

ID=5635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566A KR102004440B1 (ko) 2014-12-11 2014-12-11 유인용 조성물 및 트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4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571A (ja) * 1991-10-14 1993-04-27 Renzou Kanda 吸血昆虫の誘引捕獲装置
KR20070055484A (ko) * 2004-06-08 2007-05-30 아메리칸 바이오피직스 코포레이션 유인물질 미끼를 이용하여 날벌레를 포획하는 시스템
KR100992860B1 (ko) 2007-12-28 2010-11-09 주식회사 세스코 확장형 끈끈이 및 이를 포함한 보행해충 트랩
KR101023248B1 (ko) * 2008-12-26 2011-03-21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흡혈성 파리목 해충 포집 장치
KR20140130870A (ko) * 2013-05-02 2014-11-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총채벌레류 해충 방제를 위한 트랩식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571A (ja) * 1991-10-14 1993-04-27 Renzou Kanda 吸血昆虫の誘引捕獲装置
KR20070055484A (ko) * 2004-06-08 2007-05-30 아메리칸 바이오피직스 코포레이션 유인물질 미끼를 이용하여 날벌레를 포획하는 시스템
KR100992860B1 (ko) 2007-12-28 2010-11-09 주식회사 세스코 확장형 끈끈이 및 이를 포함한 보행해충 트랩
KR101023248B1 (ko) * 2008-12-26 2011-03-21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흡혈성 파리목 해충 포집 장치
KR20140130870A (ko) * 2013-05-02 2014-11-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총채벌레류 해충 방제를 위한 트랩식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440B1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383B2 (en) Insect-killing monitoring trap for mass capturing and controlling cotton boll weevils
US6393760B1 (en) Kairomone and kill-bait containing insect trap
Weinzierl et al. Insect attractants and traps
MX2007014034A (es) Metodo para el suministro de un agente con actividad biologica.
Talekar Controlling eggplant fruit and shoot borer
JP7228731B1 (ja) スクミリンゴガイの駆除方法及びスクミリンゴガイの駆除容器
WO2004034783A2 (en) Trap to catch mosquitoes
US20080236027A1 (en) Composition of grandlure and dichlorvos for attracting and killing boll weevils in boll weevil traps
KR102004440B1 (ko) 유인용 조성물 및 트랩 장치
Toth et al. Detection and monitoring of Epicometis hirta Poda and Tropinota squalida Scop. with the same trap
US20180242568A1 (en) Method of trapping ticks
US20200000077A1 (en) Device for Clarifying and Enhancing Liquid for Improved Luring of Flying Insects
JP4129671B2 (ja) 害虫誘引捕獲器
Quarles Pesticides and honey bee death and decline
JP2004196727A (ja) アカヒゲホソミドリカスミカメの交信攪乱剤
JP4129673B2 (ja) 害虫誘引捕獲器
KR101361703B1 (ko) 복숭아유리나방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515285A (ja) 害虫誘引捕獲器
Staunton et 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of mushroom pests and diseases.
JP2004143111A (ja) 両性誘引剤と浸透移行性殺虫剤と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US20230038073A1 (en) Delivery system embedded trap device for attracting female and male fruit flies
Radhakrishnan et al. Pheromone traps-an efficient tool for the management of tea mosquito bug in tea
JP2006199621A (ja) カキノヘタムシガの誘引剤
JPH0576264A (ja) 鞘翅目害虫の誘引捕獲器
Kuhar et al. Field evaluation of a novel lure for trapping seedcorn maggot ad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9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19

Effective date: 201904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