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670A -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670A
KR20160070670A KR1020150126330A KR20150126330A KR20160070670A KR 20160070670 A KR20160070670 A KR 20160070670A KR 1020150126330 A KR1020150126330 A KR 1020150126330A KR 20150126330 A KR20150126330 A KR 20150126330A KR 20160070670 A KR20160070670 A KR 20160070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nc
image
chuck
camera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1557B1 (ko
Inventor
박법현
Original Assignee
박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법현 filed Critical 박법현
Publication of KR2016007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23Q17/2409Arrangements for indirect observation of the working space using image recording means, e.g. a camer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measuring, e.g. calibration and initialisation, measuring workpiece for machin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은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기의 척(Chuck)에 교체 장착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공작물에 대한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전송장치; 및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공작물의 기 설정된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위치로 상기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CNC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기기의 척(Chuck)에 장착되는 공구 대신 무선 통신 및 촬영이 가능한 영상전송장치를 장착하여, 카메라를 통해 공작물에 직각의 방향, 드릴날의 방향과 같은 라인선상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작업 시 CNC 설정 시간의 단축과 공작물의 작업대상 좌표를 오차 없이 설정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체 작업공정의 시간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COORDINATE POSITIONING SYSTEM OF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기기의 척(Chuck)에 장착되는 공구 대신 무선 통신 및 촬영이 가능한 영상전송장치를 장착하여, 공작가공물의 가공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장치 및 생활용품의 개발 및 생산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CNC 기기는 사회 전반에 보급되고, 1차 산업 전반에 걸쳐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가의 CNC 기기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기능이 개선되고 있으나, 작업공정상 다른 작업에 연속하여 해당 작업이 진행되거나 작업 중 공작대상을 옮기거나 CNC 스핀들을 옮겨야 할 경우가 생긴다. 이때 작업자는 CNC의 하단에 설치된 스핀들 또는 드릴날의 위치를 수시로 변경하거나 세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CNC 기기의 스핀들이나 드릴날 근처까지 접근시켜, 원점 또는 원하는 좌표를 세팅해야 하므로 매우 위험하고, 정확한 위치를 선택하지 못하거나 오차 발생시 공작물은 폐기되거나 품질은 저하되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접점식 원점좌표 측정기 또는 레이저 좌표 가이드 같은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원점측정기기의 경우 공작대상물의 입체표면의 경사 및 홀, 돌기 등의 상태에 따라 정확한 검출이 어렵고, 레이저의 경우 난반사 등으로 검출의 오차가 심하거나, 검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6848호(2002. 01. 26.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세하게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기기의 척(Chuck)에 장착되는 공구 대신 무선 통신 및 촬영이 가능한 영상전송장치를 장착하여, 공작가공물의 가공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은,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기의 척(Chuck)에 교체 장착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공작물에 대한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전송장치; 및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공작물의 기 설정된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위치로 상기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CNC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CNC 기기는, 상기 척에 상기 영상전송장치가 분리되고 공구로 교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척을 이동시켜 공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전송장치는, 상기 척에 삽입 및 장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척에 삽입 및 장착되고,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중앙에 원점 좌표가 표시되도록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된 영상에 원점 좌표 표시를 중첩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공작물과 상기 카메라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원점 좌표 표시가 중첩된 영상을 상기 CNC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제1통신부 및 충전 가능한 전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또는 Wi-Fi 통신을 통하여 상기 CNC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NC 제어장치는, 상기 영상전송장치로부터 상기 원점 좌표 표시가 중첩된 영상을 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영상을 참고하여 상기 원점 좌표의 원점이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로 상기 영상전송장치가 장착된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전송장치가 장착된 상기 척을 이동시켜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이 상기 공작물의 모서리 중 가장 근접한 모서리로부터 이격된 상대 좌표를 통해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에 대응하는 좌표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좌표로 상기 공구가 장착된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전송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공작물과 상기 카메라 사이의 이격된 거리로부터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상기 척에 상기 공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작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CNC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은,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기의 척(Chuck)에 장착된 영상전송장치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공작물에 대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CNC 제어장치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공작물의 기 설정된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위치로 상기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척에 장착된 영상전송장치를 분리하여 상기 공구로 교체 장착되면, 상기 CNC 기기가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척을 이동시켜 공작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상세하게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기기의 척(Chuck)에 장착되는 공구 대신 무선 통신 및 촬영이 가능한 영상전송장치를 장착하여, 카메라를 통해 공작물에 직각의 방향, 드릴날의 방향과 같은 라인선상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작업 시 CNC 설정 시간의 단축과 공작물의 작업대상 좌표를 오차 없이 설정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체 작업공정의 시간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상용 CNC 기기에 장착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된 영상전송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CNC의 변형 및 추가 장비 장착 등의 추가 비용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전송장치는 무선데이터 전송과 내장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이 없어, CNC 기기의 조작 및 공작물 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CNC 기기의 설정 및 확인 시 영상전송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별도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CNC 기기 쪽에 가까이 위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적인 측면에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에서 영상전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에서 영상전송장치가 CNC 기기에서 교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에서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에 대응하는 좌표 연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에서 영상전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에서 영상전송장치가 CNC 기기에서 교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은, 영상전송장치(100), CNC 제어장치(200), CNC 기기(300) 및 모니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먼저, 영상전송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척(Chuck, 310)에 삽입 및 장착 가능한 구조 및 크기로 형성되어 공구(320)와 교체 삽입 및 장착될 수 있으며, 카메라(110), 영상처리부(120), 제1통신부(130), 전원부(140) 및 결합부(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영상전송장치(100)는 척(310)에 삽입 및 장착 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내구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되, 제1통신부(130)가 위치하는 표면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카메라(110)는 HD급 이상의 해상도를 지니며, 하단에 위치하는 공작물(600)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20)는 디스플레이 화면, 즉 모니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0) 화면의 중앙에 원점 좌표가 표시되도록 카메라(110)로부터 생성된 영상에 원점 좌표 표시를 중첩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공작물(600)과 카메라(110)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한다.
즉, 영상처리부(12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열십자(+) 또는 동심원(◎)등의 GUI화면을 표시되도록 카메라(110)로부터 생성된 영상에 원점 좌표 표시를 중첩하고, 카메라(110)로부터 생성된 영상의 크기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해 공작물(600)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제1통신부(130)는 원점 좌표 표시가 중첩된 영상을 알에프아이디(RFID),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IR)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i-Fi 통신을 통하여 CNC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영상처리부(120) 내부로 WiFi 신호의 무선전송을 위해 비금속 재질로 형성된 Wi-Fi 안테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원부(140)는 리튬폴리머 또는 리튬이온과 같이 충전 가능한 내장 배터리가 구비되어 충전된 전원을 통해 카메라(110)가 구동되며, 내장 배터리는 영상전송장치(100)의 외부로 구현되는 충전단자(160)를 통해 스마트폰 등의 충전기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50)는 척(3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척(31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CNC 제어장치(200)는 제2통신부(21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제2통신부(210)는 영상전송장치(100)로부터 원점 좌표 표시가 중첩된 영상을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영상전송장치(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화면, 즉 모니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0)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영상전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주변 AP(미도시)를 통하여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카메라(110)를 통해 공작물(600)의 기 설정된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촬영된 영상을 참고하여 원점 좌표의 원점이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로 영상전송장치(100)가 장착된 척(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영상전송장치(100)가 장착된 척(310)을 이동시켜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제어부(230)는 척(310)을 상하좌우전후로 이동시켜 카메라(110)를 통해 공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공작물(600)의 모서리가 촬영되도록 하고, 가장 근접한 모서리로부터 이격된 상대 좌표를 통해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에 대응하는 좌표를 연산하고 연산된 좌표로 공구(320)가 장착된 척(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CNC 기기(30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고속의 영상처리(DSP, Digital Signal Process)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작물(600)의 형태를 파악하고, 공작물(600)과의 거리 파악, 척(310)의 이동을 통한 모서리 검출 등의 영상처리를 통해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에 대응하는 좌표를 연산할 수도 있다. 즉,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DCT(Laplace transform) 등의 다양한 공식 및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영상을 분석하고, 공작물(600)의 크기와 거리 등을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영상전송장치(100)로부터 측정된 공작물(600)과 카메라(110) 사이의 이격된 수직 거리로부터 공작 대상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척(310)에 공구(320)가 교체 장착된 상태에서 공작 작업을 수행하도록 CNC 기기(300)를 제어한다.
그리고, CNC 기기(300)는, 척(310)에 영상전송장치(100)가 분리되고 공구(320)로 교체 장착된 상태에서 공구(320)가 장착된 척(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에 따라 척(310)을 이동시켜 공작 작업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에서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에 대응하는 좌표 연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에 따르면 먼저, CNC 기기(300)의 척(310)에 장착된 영상전송장치(100)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공작물(600)에 대한 영상을 CNC 제어장치(200)에 전송한다(S410).
S410 단계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영상전송장치(100)가 카메라(100)를 통해 공작물(600)의 공작 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화면 즉, 모니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0) 화면의 중앙에 원점 좌표가 표시되도록 카메라(110)로부터 생성된 영상에 원점 좌표 표시를 중첩하여, 원점 좌표 표시가 중첩된 영상을 CNC 제어 장치(200)에 무선 전송한다.
이때, 영상전송장치(100)는 알에프아이디(RFID),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IR)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i-Fi 통신을 통하여 CNC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
그 다음, CNC 제어장치(200)가 영상전송장치(100)로부터 원점 좌표 표시가 중첩된 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0)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S420).
즉, 도 5를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CNC 기기(300)의 좌표 설정 및 확인을 위해 CNC 기기(300)의 척(310)에 장착되는 공구(320) 대신 무선 통신 및 촬영이 가능한 영상전송장치(100)를 장착하여, 영상전송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별도의 모니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해 공작물(600)의 가공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확인할 수 있고, 작업자가 CNC 기기(300) 쪽에 가까이 위치하지 않아도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적인 측면에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영상전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주변 AP(미도시)를 통하여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그 다음, CNC 제어장치(200)가 영상전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참고하여 카메라(110)를 통해 공작물(600)의 기 설정된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었는지 판단한다(S430).
만약,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지 않으면, CNC 제어장치(200)는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될 때까지 척(310)을 상하좌우전후로 이동시키고 S410단계로 회귀한다.
기 설정된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CNC 제어장치(200)는 카메라(110)의 촬영 위치로 척(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CNC 기기(300)에 전송한다(S440).
자세히는, CNC 제어장치(200)가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참고하여 원점 좌표의 원점이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로 영상전송장치(100)가 장착된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여 S440단계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영상전송장치(100)가 장착된 척(310)을 이동시켜 공작 대상 영역(a)이 촬영되면, 제어부(230)는 척(310)을 상하좌우전후로 이동시켜 공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공작물(600)의 모서리(b)가 촬영되도록 하고, 가장 근접한 모서리(b)로부터 이격된 상대 좌표를 통해 공작 대상 영역(a)의 중심에 대응하는 좌표(c)를 연산하고 연산된 좌표(c)로 공구(320)가 장착된 척(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CNC 기기(300)에 전송한다.
또한, CNC 제어장치(200)는 영상전송장치(100)로부터 측정된 공작물(600)과 카메라(110) 사이의 이격된 수직 거리로부터 공작 대상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척(310)에 공구(320)가 교체 장착된 상태에서 공작 작업을 수행하도록 CNC 기기(300)를 제어한다.
그 다음, 척(310)에 장착된 영상전송장치(100)를 분리하여 공구(320)로 교체 장착되면(S450), CNC 기기(300)가 연산된 좌표로 공구(320)가 장착된 척(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에 따라 척(310)을 이동시켜 공작 작업을 수행한다(S46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상세하게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기기의 척(Chuck)에 장착되는 공구 대신 무선 통신 및 촬영이 가능한 영상전송장치를 장착하여, 카메라를 통해 공작물에 직각의 방향, 드릴날의 방향과 같은 라인선상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작업 시 CNC 설정 시간의 단축과 공작물의 작업대상 좌표를 오차 없이 설정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체 작업공정의 시간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상용 CNC 기기에 장착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된 영상전송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CNC의 변형 및 추가 장비 장착 등의 추가 비용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전송장치는 무선데이터 전송과 내장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이 없어, CNC 기기의 조작 및 공작물 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영상전송장치 110 : 카메라
120 : 영상처리부 130 : 제1통신부
140 : 전원부 150 : 결합부
200: CNC 제어장치 210 : 제2통신부
230 : 제어부 300 : CNC 기기
310 : 척 320 : 공구
400 : 모니터 500 : 사용자 단말기
600 : 공작물

Claims (12)

  1.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기의 척(Chuck)에 교체 장착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공작물에 대한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전송장치; 및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공작물의 기 설정된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위치로 상기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CNC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CNC 기기는,
    상기 척에 상기 영상전송장치가 분리되고 공구로 교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척을 이동시켜 공작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전송장치는,
    상기 척에 삽입 및 장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척에 삽입 및 장착되고,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중앙에 원점 좌표가 표시되도록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된 영상에 원점 좌표 표시를 중첩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공작물과 상기 카메라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원점 좌표 표시가 중첩된 영상을 상기 CNC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제1통신부 및
    충전 가능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Wi-Fi 통신을 통하여 상기 CNC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NC 제어장치는,
    상기 영상전송장치로부터 상기 원점 좌표 표시가 중첩된 영상을 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영상을 참고하여 상기 원점 좌표의 원점이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로 상기 영상전송장치가 장착된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전송장치가 장착된 상기 척을 이동시켜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이 상기 공작물의 모서리 중 가장 근접한 모서리로부터 이격된 상대 좌표를 통해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에 대응하는 좌표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좌표로 상기 공구가 장착된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전송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공작물과 상기 카메라 사이의 이격된 거리로부터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상기 척에 상기 공구가 교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작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CNC 기기를 제어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7.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기의 척(Chuck)에 장착된 영상전송장치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공작물에 대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CNC 제어장치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공작물의 기 설정된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위치로 상기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척에 장착된 영상전송장치를 분리하여 공구로 교체 장착되면, 상기 CNC 기기가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척을 이동시켜 공작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중앙에 원점 좌표가 표시되도록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된 영상에 원점 좌표 표시를 중첩하는 단계, 및
    상기 원점 좌표 표시가 중첩된 영상을 상기 CNC 제어 장치에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NC 제어 장치에 무선 전송하는 단계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Wi-Fi 통신을 통하여 무선 전송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CNC 제어 장치가 상기 원점 좌표 표시가 중첩된 영상을 참고하여 상기 원점 좌표의 원점이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로 상기 영상전송장치가 장착된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전송장치가 장착된 상기 척을 이동시켜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이 촬영되면,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이 상기 공작물의 모서리 중 가장 근접한 모서리로부터 이격된 상대 좌표를 통해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의 중심에 대응하는 좌표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좌표로 상기 공구가 장착된 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CNC 기기에 전송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척을 이동시켜 공작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전송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공작물과 상기 카메라 사이의 이격된 거리로부터 상기 공작 대상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상기 공작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CNC 기기의 좌표 설정 방법.
KR1020150126330A 2014-12-10 2015-09-07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91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642 2014-12-10
KR1020140177641 2014-12-10
KR20140177642 2014-12-10
KR20140177641 2014-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670A true KR20160070670A (ko) 2016-06-20
KR101791557B1 KR101791557B1 (ko) 2017-10-31

Family

ID=563544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331A KR101791559B1 (ko) 2014-12-10 2015-09-07 Cnc 기기의 좌표 설정을 위한 영상전송장치
KR1020150126330A KR101791557B1 (ko) 2014-12-10 2015-09-07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331A KR101791559B1 (ko) 2014-12-10 2015-09-07 Cnc 기기의 좌표 설정을 위한 영상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791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0618A (zh) * 2017-09-15 2019-03-22 南京美克斯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数控机床的显示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082A (ja) 1999-05-20 2000-11-28 Sumitomo Heavy Ind Ltd レーザ加工機
JP2006142412A (ja) 2004-11-17 2006-06-08 Olympus Corp 工具位置合わせ方法、及び工具位置合わせ装置
JP5001521B2 (ja) 2005-04-05 2012-08-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工具形状測定装置
JP5328025B2 (ja) * 2009-02-24 2013-10-30 株式会社和井田製作所 エッジ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工作機械、エッジ検出方法
JP5693662B2 (ja) 2013-06-05 2015-04-01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変位測定器の自動心出し方法及び変位測定機能を有する工作機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0618A (zh) * 2017-09-15 2019-03-22 南京美克斯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数控机床的显示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557B1 (ko) 2017-10-31
KR20160070671A (ko) 2016-06-20
KR101791559B1 (ko)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7157B2 (ja) 位置補正機能を有するロボットを備えた生産システム
CN107234615B (zh) 工件摆放系统、工件放置装置及工件摆放控制方法
US7720573B2 (en) Robot control apparatus
US9766613B2 (en) Method for setting up work piece based on vision
Nele et al. An image acquisition system for real-time seam tracking
US11904483B2 (en) Work robot system
JP2010058264A (ja) 加工状態確認方法及び加工状態確認装置
US11565421B2 (en) Robot and robot system
CN104457568A (zh) 用于恶劣环境中的无线视觉系统和方法
CN102873522A (zh) 基于双ccd工业相机的微小型零部件精密装配检测装置
KR20170074817A (ko) 화상 정보와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배관 정렬 상태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8713175B (zh) 用于操作直通式加工机的方法以及直通式加工机
CN109834373A (zh) 一种基于视觉及激光跟踪的自动化埋弧焊设备
KR101791557B1 (ko) Cnc 기기의 좌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066195A1 (en) Method for positioning a tool of a machine tool in the visual field of a visual system and relative machine tool
CN108942915A (zh) 协作型机器人编程速度的方法
CN101898253B (zh) 数控机床
CN113172372B (zh) 一种智能切割数据及焊接数据处理系统
NO201912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aligning roof bolts
CN103826800B (zh) 精制作业支援装置、精制作业支援方法及精制作业支援系统
CN104148838A (zh) 薄钢板焊缝小特征点视觉跟踪与实时质量检测装置
WO2005031249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external and internal profile of a pipe at the end thereof
CN106736871B (zh) 用于显示在机床内的加工的方法
CN202752805U (zh) 基于双ccd工业相机的微小型零部件精密装配检测装置
CN207593022U (zh) 一种基于视觉及激光跟踪的自动化埋弧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