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312A - 숙박시설 승강기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 - Google Patents

숙박시설 승강기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312A
KR20160070312A KR1020140176202A KR20140176202A KR20160070312A KR 20160070312 A KR20160070312 A KR 20160070312A KR 1020140176202 A KR1020140176202 A KR 1020140176202A KR 20140176202 A KR20140176202 A KR 20140176202A KR 20160070312 A KR20160070312 A KR 2016007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om
card key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396B1 (ko
Inventor
석정봉
박현
칸디쉬 바트바야르
김용재
손관철
정종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3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365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mechan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1/00Sheet feeding or delivering
    • Y10S271/901Magnetic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호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드키를 객실단말기로 제거함과 동시에 숙박시설의 승강기 호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승강기를 기다리는 시간 소요를 줄이고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승강기 호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숙박시설 승강기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ELEVATOR CALL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숙박시설 승강기(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숙박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간소하게 승강기를 호출할 수 있도록 만드는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를 호출하는 것은 승강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승강기 앞에서 버튼을 눌러 승강기를 사용자의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방법으로 승강기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승강기는 사용자가 직접 승강기 앞으로 이동하여 승강기를 호출하기 때문에 승강기를 간소하게 이용하기 어렵다고, 승강기 앞에서 타인과 마주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생활을 보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48,851호에 개시되어 있는 세대 승강기 호출 단말기 및 세대 승강기 호출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승강기를 호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간소하고 편안하게 승강기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23821호에 개시되어 있는 객실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자동으로 사용자의 객실 층으로 승강기를 호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48,85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238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객실 이용이 끝남과 동시에 승강기를 객실의 층으로 호출할 수 있게 만들어 객실 이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승강기를 호출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승강기 호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승강기를 구비하는 숙박시설의 승강기 호출 장치로서, 객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카드키; 객실에 마련되어 카드키를 리딩하는 객실단말기 및 상기 객실단말기와 통신하고, 승강기를 제어하여 객실단말기와 승강기를 맵핑시키는 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객실단말기에서 카드키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승강기를 객실 층으로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키를 객실단말기에서 제거함과 동시에 승강기를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객실 이용자가 승강기를 기다리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보다 간소하게 숙박시설을 이용할 수 있고, 간소하게 승강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카드키를 소지하는 것만으로 객실 층으로 승강기를 자동이동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정확하게 객실 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승강기를 구비하는 숙박시설일 경우 승강기가 이동하는 객실 및 사용자가 이용하는 객실이 다른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을 해줄 수 있는 승강기 호출 장치를 제공한다.
게다가,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보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승강기 호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호출 장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호출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실단말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단말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호출 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하나 이상의 승강기(40)를 구비하는 숙박시설(예를 들면 강원랜드 호텔)의 경우 승강기(40)를 호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승강기(40)를 대기시간 소요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대기시간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숙박객)이 카드키(20)를 제거하는 신호를 제어서버(30)로 전송하여 승강기(40)를 객실의 층으로 호출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승강기(4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호출 장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승강기(40) 호출 장치는 카드키(20), 객실단말기(10) 및 제어서버(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카드키(20)는 숙박시설(객실)을 출입할 수 있는 열쇠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카드키(20)를 객실단말기(10)와 접촉함으로써, 객실을 출입할 수 있게 만들고, 객실의 기재들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카드키(20)는 객실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객실을 출입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제어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객실 정보를 기초로 승강기(40)와 객실 사용자를 매핑(mapping, 일치)시켜 가장 빨리 탈수 있는 승강기(40)를 객실의 층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만든다. 카드키(2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카드 형태 또는 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실단말기(10)는 객실에 마련되어 카드키(20)를 리딩(카드키 정보를 획득한다)한다. 즉 카드키(20)를 리딩하여 객실 사용자가 객실을 이용하거나 거주하고 있는지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만들고, 객실단말기(10)와 카드키(20)가 접촉(연결)되어 있는 경우 객실의 기기들에게 전원을 인가하여 기기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객실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객실단말기(10)는 카드키(20)를 삽입할 수 있는 객실단말기입력부(110)를 구비하고 객실단말기입력부(110)와 카드키(20)가 체결되면 사용자가 객실에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객실 내부의 기기(전등, 텔레비전, 오디오 등)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객실 내부로 인가할 수 있도록 만든다. 구체적으로 카드키(20) 및 객실단말기(1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로 통신한다. 즉 카드키(20)에 구비되는 ic칩(태그)과 객실단말기(10)에 구비되는 ic칩을 리딩할 수 있는 리더기(무선통신)를 이용한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카드키의 ic칩의 정보를 객실단말기(10)에서 획득할 수 있게 만든다. 이는 직접 접촉을 하지 않고 근거리에서 카드키(20)를 인식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카드키와 객실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객실단말기(10)는 카드키(20)의 객실 정보를 리딩하는 객실단말기입력부(110) 및 카드키(20)의 객실 정보를 상기 제어서버(30)로 전송하는 객실단말기통신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객실단말기입력부(110)는 카드키(20)의 정보를 리딩하여 객실 이용을 허가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만든다. 즉 객실단말기입력부(110)는 카드키(20)에 입력되어 있는 객실 정보(카드키 ID 정보)가 객실단말기(10)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카드키(20) 사용자가 객실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일치 하지 않는 경우 객실단말기(10)는 객실단말기(10)에 구비되는 객실단말기출력부를 이용하여 이러한 일치하지 않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객실단말기통신부(120)는 이러한 객실 정보를 제어서버(3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객실을 이용 중인지 여부를 제어서버(30)가 파악할 수 있게 만들고, 객실을 사용이 완료되어 카드키(20)를 객실단말기(10)로부터 제거하였을 때 제어서버(30)로 카드키(20)가 제거되었다는 신호를 전송하여 승강기(40)를 사용자의 객실 층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만든다. 객실 정보는 카드키(20) ID(identification) 정보, 승강기 ID 정보 및 객실 층 정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카드키 ID 정보는 카드키의 고유 ID(식별) 정보로서, 객실단말기(10)와 일치하는 경우 객실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승강기 ID 정보는 운행 가능한 승강기(40)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만드는 정보로서 대형 숙박시설의 경우 접근할 수 있는 객실의 층이 승강기(40) 별로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객실 층에 따라 호출할 수 있는 승강기(40)를 선별할 수 있게 만든다.
제어서버(30)는 객실단말기(1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고, 승강기(40)를 제어하며, 객실단말기(10)와 승강기(40)를 매핑(일치)시킨다. 제어서버(30)는 승강기(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객실단말기(10)에서 카드키(20)를 제거하는 경우 제어서버(30)는 이러한 신호를 전송받아 객실 층에 가장 빨리 도달할 수 있는 승강기(40)를 검색하고 맵핑하여 가장 빨리 호출될 수 있는 승강기(40)를 호출한다. 제어서버(30)는 객실단말기(10)에서 승강기(40) 호출에 대한 신호를 감지했을 때, 즉 객실단말기(10)에서 카드키(20)가 제거되었을 때 숙박시설의 승강기(40)를 검색하고,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가장 빠른 시간 안에 사용자 객실 층으로 도달할 수 있는 승강기(40)를 호출하여 객실 이용자가 승강기(40)를 기다리는 시간을 줄여 보다 간소하게 승강기(40)를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만든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객실을 이용한 사용자가 퇴실을 위하여 객실단말기(10)에서 카드키(20)를 제거하면 제어서버(30)는 카드키(20)가 제거된 신호를 전달받아 하나 이상의 승강기(40)들의 위치를 검색하고, 승강기(40) 상태를 체크하여 가장 빨리 사용자의 객실 층에 도달할 수 있는 승강기(40)를 사용자의 객실 층으로 호출하여 사용자가 승강기(40)를 기다리는 시간 소요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기(40)를 이용하고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2를 참고하면, 승강기단말기(50)는 승강기(40)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40) 내부에 마련되어 카드키(20)가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승강기단말기(50)는 카드키(20)의 객실 정보를 리딩하여 객실 층으로 승강기(40)를 이동시킨다. 즉 카드키(20)의 객실 정보 중 객실 층 정보를 리딩하여 객실 층으로 승강기(40)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는 보다 간소하게 승강기(4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객실 층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자동으로 승강기(40)를 객실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승강기단말기(50)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카드키(20)의 객실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510), 통신부(520) 및 출력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510)는 카드키(20)의 객실 정보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객실 층으로 승강기(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이동할 객실 층을 누를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520)는 제어서버(30)와 통신하여 승강기(40)의 현재 위치, 이동할 객실 층 정보 등의 정보를 제어서버(30)로 전송하여 제어서버(30)가 승강기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만든다. 출력부(530)는 승강기(40)의 상황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현재 층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광고와 같은 정보를 출력하거나, 숙박시설 정보 등에 대한 안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승강기단말기(50)는 승강기 ID 정보를 구비하여 제어서버(30)에서 승강기(40)를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승강기 ID 정보는 제어서버(30)에서 객실단말기(10)와 승강기(40)를 맵핑할 수 있도록 만든다. 승강기 ID 정보는 이동 가능한 객실 층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객실 사용자가 원하는 층에 도달하지 못하는 승강기(40)에 탑승하였을 때 이를 출력부(530)를 통하여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강기(40)는 10층까지 이동하는 제1승강기, 20층까지 이동하는 제2승강기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20층으로 이동해야하는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 사용자의 실수로 제1승강기에 탑승하는 경우 승강기단말기(50)는 카드키(20)의 객실 층 정보를 리딩하여 사용자에게 제1승강기는 20층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제1승강기가 이난 제2승강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출력부(530)는 카드키 정보(객실 층 정보)와 승강기의 정보(승강기 ID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카드키(20)에 포함되는 객실 층 정보와 승강기(40)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은 사용자가 승강기(40)를 이용 시 승강기(40)가 사용자의 객실 층으로 운행하지 않는 경우로서, 하나 이상의 승강기(40)를 구비하는 숙박시설에서는 승강기(40)가 운행하는 층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잘못된(사용자가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승강기) 승강기(40)에 탑승하였을 경우 카드키(20)의 정보(객실 층 정보)와 승강기(40) 정보(승강기 ID 정보)를 비교하여 승강기(40)가 사용자의 객실 층까지 운행하지 않을 경우 이 사실을 출력부(5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잘못된 승강기(40)를 이용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숙박시설에 일반인 사용자의 접근을 제한하는 층이 있는 경우에는 특정 사용자만이 특정 층에 도달할 수 있도록 카드키 ID 정보를 설정하고, 승강기단말기(50)에서 특정 층에 도달할 수 있는 카드키 ID 정보를 소지한 카드키(20) 사용자만이 특정 층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숙박시설의 이용의 보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카드키(20)가 객실단말기(10)에서 제거된 경우 객실단말기(10)는 카드키(20) 제거 상태를 재확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객실단말기(10)는 카드키(20)가 제거된 상태를 재확인하여 카드키(20)가 완전히 제거 됐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작동으로 인하여 카드키(20) 제거 상태인지를 체크할 수 있어 보다 신뢰할 수 있도록 만든다. 구체적으로 재확인은 10초 간격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객실단말기(10)에서 카드키(20)가 제거된 10초 후에 카드키(20)가 제거되었는지를 재확인하여 카드키(20) 제거가 확인된 경우에 완전히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고 승강기(40)를 객실 층으로 호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이동단말기는 카드키(20)와 통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는 카드키(20)의 ic칩을 리딩할 수 있도록 리더기(통신수단)을 구비하여 ic칩의 정보를 리딩하여 객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객실까지의 거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간소하게 객실을 찾을 수 있게 만든다. 처음 방문하는 숙박시설의 경우 사용자가 쉽게 객실을 찾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에 객실까지의 지도를 표시하여 보다 간소하게 객실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든다. 이동단말기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이동단말기에 구비하거나, 설치하여 카드키(2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승강기 호출 방법은 카드키 제거 단계(S10), 제어서버 전송 단계(S20), 승강기 이동 단계(S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카드키 제거 단계(S10)는 상기 기술한 카드키(20)를 상기 기술한 객실단말기(10)로부터 제거하는 단계(S10)이다. 이는 사용자가 객실 이용을 완료한 것으로 간주하고 승강기(40)를 객실 층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만든다.
제어서버 전송 단계(S20)는 객실단말기(10)에서 카드키(20)가 제거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그 신호를 제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S20)이다. 객실단말기(10)는 카드키(20)가 제거되는 것을 감지하면 객실 사용자가 객실 이용을 끝낸 것으로 간주하고 승강기(40)를 객실 층으로 호출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하여 객실 사용자의 객실 이용이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서버(30)로 전송하여 승강기(40)를 준비시킬 수 있도록 만든다.
승강기 이동 단계(S30)는 제어서버(30)는 승강기(40)를 객실 층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30)이다. 즉 사용자가 객실 사용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면 승강기(40)를 객실 층으로 호출하여 사용자가 승강기(40)를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만들어 보다 편리하게 승강기(4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승강기(40)를 구비하는 숙박시설인 경우 승강기(40)의 위치, 탑승객의 유무, 승강기(40)의 이동방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40)를 객실 층으로 호출한다. 이는 가장 빨리 사용자에게 승강기(4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하여 승강기(40)의 현재 상태 정보를 확인하게 만들어 승강기(40)를 호출할 수 있게 만든다. 제어서버(30)는 승강기(40)의 위치(현재 층의 위치), 탑승객의 유무 및 승강기(40)가 객실 층을 기준으로 고층으로 이동하는지 저층으로 이동하는 지 등의 정보를 조합하여 승강기(40)를 사용자 객실 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든다. 이는 사용자가 보다 간소하게 승강기(4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객실단말기, 20 : 카드키,
30 : 제어서버, 40 : 승강기,
50 : 승강기단말기,
110 : 객실단말기입력부, 120 : 객실단말기통신부,
510 : 입력부, 520 : 통신부,
530 : 출력부,
S10 : 카드키 제거 단계,
S20 : 제어서버 전송 단계,
S30 : 승강기 이동 단계.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승강기(40)를 구비하는 숙박시설의 승강기 호출 장치로서,
    객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카드키(20);
    객실에 마련되어 상기 카드키(20)를 리딩하는 객실단말기(10) 및
    상기 객실단말기(10)와 통신하고, 승강기(40)를 제어하며, 객실단말기(10)와 승강기(40)를 맵핑시키는 제어서버(30)를 포함하고,
    상기 객실단말기(10)에서 카드키(20)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어서버(30)는 상기 승강기(40)를 객실 층으로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키(20) 및 객실단말기(10)는 RFID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40)에 마련되는 승강기단말기(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단말기(50)는 상기 카드키(20)의 객실 정보를 리딩하여 객실 층으로 상기 승강기(40)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단말기(50)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카드키(20)의 객실 정보를 리딩하는 입력부(510), 통신부(520) 및 출력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530)는 상기 카드키(20) 정보와 승강기(40)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단말기(10)는 상기 카드키(20)의 객실 정보를 리딩하는 객실단말기입력부(110) 및 상기 카드키(20)의 객실 정보를 상기 제어서버(30)로 전송하는 객실단말기통신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 정보는 카드키 ID 정보, 승강기 ID 정보 및 객실 층 정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키(20)가 상기 객실단말기(10)에서 제거된 경우 상기 객실단말기(10)는 상기 카드키(20) 제거 상태를 재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키(20)와 통신하는 이동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카드키(20)와 접촉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에 객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장치.
  10. 승강기 호출 방법으로서,
    객실단말기(10)에서 카드키(20)를 제거하는 단계(S10);
    객실단말기(10)에서 카드키(20)가 제거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그 신호를 제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S20) 및
    상기 제어서버(30)는 승강기(40)를 객실 층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승강기 호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승강기(40)를 구비하는 숙박시설인 경우 승강기(40)의 위치, 탑승객의 유무, 승강기(40)의 이동방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40)를 객실 층으로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 방법.
KR1020140176202A 2014-12-09 2014-12-09 숙박시설 승강기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 KR10170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202A KR101703396B1 (ko) 2014-12-09 2014-12-09 숙박시설 승강기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202A KR101703396B1 (ko) 2014-12-09 2014-12-09 숙박시설 승강기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312A true KR20160070312A (ko) 2016-06-20
KR101703396B1 KR101703396B1 (ko) 2017-02-07

Family

ID=5635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202A KR101703396B1 (ko) 2014-12-09 2014-12-09 숙박시설 승강기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3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8191A1 (fr) * 2000-06-21 2001-12-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nregistrement de destination destine a un ascenseur
JP2005100272A (ja) * 2003-09-26 2005-04-14 Bank Of Tokyo-Mitsubishi Ltd Icカード及びicカード端末
KR20090023821A (ko) 2007-09-03 2009-03-06 신경남 객실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48851B1 (ko) 2008-06-11 2010-03-19 경남에너지 주식회사 분기 차단 장치
KR20120106049A (ko) * 2011-03-17 2012-09-26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8191A1 (fr) * 2000-06-21 2001-12-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nregistrement de destination destine a un ascenseur
JP2005100272A (ja) * 2003-09-26 2005-04-14 Bank Of Tokyo-Mitsubishi Ltd Icカード及びicカード端末
KR20090023821A (ko) 2007-09-03 2009-03-06 신경남 객실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48851B1 (ko) 2008-06-11 2010-03-19 경남에너지 주식회사 분기 차단 장치
KR20120106049A (ko) * 2011-03-17 2012-09-26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396B1 (ko)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20000498D0 (no) Fremgangsmåte for benyttelse av et heisanlegg
JP201816093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端末、サー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RU260577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медицинс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EP28621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an object at distance
US20150368067A1 (en) Peripheral equipment near field communicaiton (nfc) card reader
US20210245994A1 (en) Inexpensive Elevator Operat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With Destination Call Control
WO2018008882A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거치장치
JP2009110294A (ja) 病室訪問者管理システム
KR101703396B1 (ko) 숙박시설 승강기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
KR20070035626A (ko) 시각 장애인용 위치안내장치 및 그 방법
WO2015146128A1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及び登録管理プログラム
KR101218298B1 (ko)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
KR100951165B1 (ko) 분실 방지 시스템
KR20150106257A (ko) 택시 승객을 위한 휴대단말 분실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6124635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101573768B1 (ko) Nfc 기반의 다국어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0172451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101766759B1 (ko)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nfc 기반 차량 상황 알림 서비스 시스템
KR102379373B1 (ko) 비접촉식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
JP7359992B1 (ja) 認証処理を実行する機械操作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6007507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communication device operating on the basis thereof
CN108268149A (zh) 具有鼠标设定数据的便携式载具及鼠标装置
KR101605022B1 (ko) 다중 감지 분실 방지 중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7626989U (zh) 一种机器人刷卡组件、电路和系统
JP5258113B2 (ja) 位置情報検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