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298B1 -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298B1
KR101218298B1 KR1020110023882A KR20110023882A KR101218298B1 KR 101218298 B1 KR101218298 B1 KR 101218298B1 KR 1020110023882 A KR1020110023882 A KR 1020110023882A KR 20110023882 A KR20110023882 A KR 20110023882A KR 101218298 B1 KR101218298 B1 KR 10121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oom
card key
key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049A (ko
Inventor
김이택
심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11002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29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2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n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7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카드 키 감지장치는 호텔 등의 객실 출입 및 객실 내부 시설물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카드 키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치 블록, 카드 감지기, 카드통신부, 카드인증부, 제2 카드 감지기 및 객실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숙객은 카드 키 감지장치에 기 등록된 카드 키를 삽입하지 아니하면, 객실 내부의 조명, 공조기 또는 각종 전기장치를 사용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카드 키 감지장치는 제2 카드 감지기를 사용함으로써 카드 키와 주기적으로 통신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발생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투숙객이 퇴실한 이후에도 객실 내의 전원장치나 조명이 동작하여 불필요한 전원 소모의 문제가 해소된다.

Description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Apparatus for Detecting Room Key with Card Type and Room Control System }
본 발명은, 호텔 등의 객실 출입 및 객실 내부 시설물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카드 키(Card Key)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객실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호텔 객실 등을 출입하기 위해서는 카드 형태의 키를 사용하였다. 투숙자는 카드 키(Card Key)로 출입문을 열어야만 객실에 출입할 수 있다. 일단 출입한 이후에도 내부 벽면에 설치된 보관함 형태의 카드 키 감지장치에 카드 키를 꽂아야만 객실 내부의 조명, 에어컨디셔너, 난방 제어기, 텔레비젼 등이 작동한다.
외출하고자 하는 투숙자들은 외출했다가 돌아왔을 때도 일정한 수준의 난방이나 냉방이 이루어져 있기를 바라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퇴실자들은 퇴실하면서도 내부 조명이나, 난방 등을 그대로 두는 경향이 있었고, 이러한 일들은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였다.
카드 키 감지장치는 이와 같은 전력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채택되었다. 종래의 카드 키 감지장치는 카드 키가 꽂히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했다. 다시 말해, 카드 키를 꽂으면 전원이 공급되고 카드 키를 빼면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투숙자가 퇴실하기 위해 키 감지장치에서 카드 키를 빼게 되면, 객실 내의 주요 전원 공급이 차단되기 때문에, 조명도 꺼지고, 난방이나 냉방 장치의 가동도 중단된다.
그러나, 종래의 카드 키 감지장치는 단순히 감지장치 내부의 스위치를 카드 키로 조작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외출하고자 하는 투숙자들은 카드 키를 빼는 대신에 카드 키와 비슷한 형태의 명함 등을 키 감지장치에 꽂아둠으로써 키 감지장치에 의한 내부 시설물의 작동을 유지시키는 편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조작 후에, 여전히 조명은 그대로 두고 퇴실함으로써, 종래의 카드 키 감지장치이 얻고자 했던 효과는 거의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호텔 관리자가 일일이 객실을 확인할 수도 없는 것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확인될 때까지는 여하간에 전력의 불필요한 소모는 계속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텔 등의 객실 출입 및 객실 내부 시설물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카드 키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객실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객실 내에 입실한 투숙객의 카드 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객실 내벽에 설치된 본 발명의 카드 키 감지장치는 스위치 블록, 카드 감지기, 카드통신부, 카드인증부 및 객실제어부를 포함한다.
스위치 블록은 상기 객실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객실 내의 객실장치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카드 감지기는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한 감지결과를 상기 객실 외부의 중앙관리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하여금 상기 객실에 투숙객이 입실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카드통신부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카드 키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카드 키로부터 카드 식별자를 읽어오고, 카드인증부는 상기 카드 식별자가 기 등록된 카드 식별자인 경우에 인증성공으로 판단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객실제어부는 상기 카드인증부로부터 제공받은 인증결과가 인증성공인 경우 상기 스위치 블록으로 하여금 상기 객실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드인증부는 상기 카드통신부로 하여금 주기적으로 상기 카드 식별자를 읽어오게 하여 상기 인증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그 인증결과를 주기적으로 상기 객실제어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객실제어부는 상기 카드인증부로부터 상기 인증성공이 주기적으로 제공되다가 중단된 경우에 상기 카드 키가 상기 키 홀더로부터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스위치 블록으로 하여금 상기 객실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카드 감지기의 출력은 객실제어부에도 병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객실제어부는 상기 카드 감지기로부터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었다는 감지결과를 읽어 올 수 있다. 이 경우, 객실제어부는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었다는 감지 결과가 있고 상기 카드인증부로부터 상기 인증성공을 제공받은 경우에 상기 스위치 블록으로 하여금 상기 객실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후에 상기 카드 감지기로부터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서 제거되었다는 감지결과를 읽어 오면, 객실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블록으로 하여금 상기 객실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객실제어부가 상기 카드 감지기의 결과를 이용하지 아니하고, 별도의 제2 카드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객실 제어시스템에 관한 새로운 제안도 포함한다. 객실제어시스템은 객실 내에 입실한 투숙객의 카드 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객실 내벽에 설치되는 카드 키 홀더와, 상기 객실 내의 객실장치를 제어하는 객실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키 홀더는, 상기 카드통신부와 카드인증부를 포함한다.
상기 객실제어장치는, 상기 스위치 블록, 객실제어부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카드인증부의 인증 결과는 객실제어장치의 객실제어부로 제공될 것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객실제어부의 제어결과를 외부의 중앙관리장치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숙객은 카드 키 감지장치에 기 등록된 카드 키를 삽입하지 아니하면, 객실 내부의 조명, 공조기 또는 각종 전기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서처럼 카드 키와 유사한 형태의 명함을 대신 삽입시키는 등에 의하여 개실장치가 동작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투숙객이 퇴실한 이후에도 객실 내의 전원장치나 조명이 동작하여 불필요한 전원 소모의 문제가 해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드 키 감지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키 감지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드 키 감지장치의 블록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카드 키 감지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드 키(Card Key) 감지장치(이하, 간단히 '감지장치'이라 함)(100)는 객실의 내부 벽면에 설치된다. 감지장치(100)는 객실 내부의 각종 객실 장치(30)와 연결되며,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31), 공조기(33), AV 기기(35)는 그 객실장치(30)의 일 예에 해당한다. 또한, 감지장치(100)는 객실 외부의 중앙관리장치(50)에 연결된다.
감지장치(100)는 삽입되는 카드 키(10)를 수용하기 위해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수용 홈(100a)을 내부에 구비한 박스 형태 본체(100b)를 가지며, 외형적인 형태는 종래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카드 키(10)는 객실장치(30)를 동작시키기 위해 감지장치(100)의 수용 홈(100a)에 카드 키(10)를 꽂아야 한다.
본 발명의 카드 키(10)는 감지장치(100)와 비접촉 방식의 무선인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이 가능한 장치로서, 고유한 카드 식별자를 보유하고 있는 구동 칩과 구동 칩의 동작 전원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식별자는 단순한 일련번호일 수도 있고, 호텔정보, 객실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감지장치(100)는 근접한 카드 키(10)로부터 카드 식별자를 읽어 와서 카드 키(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될 경우 객실장치(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지장치(100)는 안테나(101), 엘이디 백라이트(LED Backlight)(103), 스위치 블록(105), 카드 감지기(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안테나(101)는 카드 키(10)와 비접촉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엘이디 백라이트(103)는 수용 홈(100a)을 조명하기 위한 엘이디 조명으로서 객실에 입장한 투숙객이 감지장치(100)를 쉽게 찾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카드 키(10)가 인증되면 엘이디 백라이트(103)는 오프된다.
스위치 블록(105)은 객실장치(30)로의 상용 교류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복수 개의 스위치를 개폐한다. 이러한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릴레이(Relay)와 같은 기계적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전자식 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자식 스위치는 그 이름을 불문하고, SSR(Solid State Relay), 트랜지스터(Transistor), 전계효과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와 같이 기계식 접점을 사용하지 않는 스위치를 말한다.
카드 감지기(130)는 수용 홈(100a)의 일 측에 마련되어 수용 홈(100a)에 카드 키(10)가 삽입될 경우에 작동하도록 마련되며, 중앙관리장치(50)는 카드 감지기(130)를 이용하여 카드 키(10)가 수용 홈(100a)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중앙관리장치(50)는 카드 감지기(130)를 이용하여 감지장치(100)에 삽입된 카드 키(10)를 감지하면, 특정 객실에 투숙객이 입실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카드 감지기(130)로는 포토 인터럽터(Photo Interruptor)와 같은 전자식 감지기, 또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와 같은 기계식 감지기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카드 감지기(130)는 감지장치(100) 수용 홈(100a)에 설치되기는 하나, 감지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아니한다.
다만, 이러한 카드 감지기(130)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카드 감지기(130)가 수행하는 기능을 감지장치(100)가 직접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감지장치(100)가 무선 통신을 통해 카드 키(10)를 인증한 경우에, 감지장치(100)가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중앙관리장치(50)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따로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카드 키 감지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별히 제어부(150)는 카드통신부(151), 카드인증부(153) 및 객실제어부(155)를 포함하여, 카드 키(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카드 키(10)를 인증하고 그 인증결과에 따라 객실장치(3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한다.
카드통신부(151)는 안테나(101)와 함께 이미 알려진 RFID 프로토콜의 수신장치(Receiver)로 동작하면서 카드인증부(153)의 요청에 따라 카드 키(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카드 키(10)로부터 카드 식별자를 수신한다.
실시 예에 따라, 카드통신부(151)는 카드 키(10)와 일단 통신이 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카드 키(10)로부터 카드 식별자를 읽어 와 카드인증부(153)에게 제공한다.
카드인증부(153)는 카드통신부(151)가 읽어 온 카드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 키(10)가 등록된 카드 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등록된 카드 키라 함은, 해당 객실에 입실 및 퇴실 권한을 가진 것으로 기 등록된 카드를 의미한다. 다만, 관리자의 카드 키 관리 방법에 따라 그 인증 레벨을 더 높이거나 낮출 수도 있다. 예컨대, 인증 레벨을 낮추어 호텔에서 발행된 카드 키이면 모두 인증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고, 인증 레벨을 높여 객실별로 인증되면서 해당 객실에 대해 발행된 몇 번째 카드 키인지도 인증할 수 있다.
카드인증부(153)는 일단 키 인증이 된 경우라도, 카드통신부(151)에게 주기적으로 카드 식별자를 읽어 오도록 요청하여 주기적으로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카드인증부(153)는 카드 키(10)가 감지장치(100) 내에 꽂힌 상태(투숙객이 입실한 상태)인지, 아니면 카드 키(10)가 감지장치(100)에서 뺀 상태(투숙객이 퇴실한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한다.
카드인증부(153)는 그 인증 정보를 객실제어부(155)에게 제공한다.
객실제어부(155)는 카드인증부(153)로부터 카드 키(10)에 대한 인증이 되었다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는 동안은 계속하여 스위치 블록(105)으로 하여금 객실장치(30)로 교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객실제어부(155)는 카드인증부(153)로부터 카드 키(10)에 대한 인증이 종료되었다는 정보를 제공받으면, 스위치 블록(105)으로 하여금 객실장치(30)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객실제어부(155)는 엘이디백라이트(103)의 점등을 제어하여, 카드 키(10)와 통신 또는 인증이 없는 상태에서는 엘이디 백라이트(103)를 점등시키고 카드 키(10)와의 통신 또는 인증이 있으면 엘이디 백라이트(103)를 소등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카드 키 감지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
실시 예에 따라, 카드 키 감지장치(100)는 카드 감지기(130) 이외에 별개의 카드 감지기를 더 구비하거나, 카드 감지기(130)를 대신하여 다른 카드 감지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장치(300)는 안테나(301), 엘이디 백라이트(303), 스위치 블록(305), 제1 카드 감지기(130), 제2 카드 감지기(33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안테나(301), 엘이디 백라이트(303), 스위치 블록(305) 및 제1 카드 감지기(130)는 도 1의 감지장치(100)의 안테나(101), 엘이디 백라이트(103), 스위치 블록(105) 및 카드 감지기(130)와 동일한 장치로서 동일하게 동작한다.
제어부(350)는 카드통신부(351), 카드인증부(353) 및 객실제어부(355)를 포함하며, 그 동작은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제어부(150)의 카드통신부(151), 카드인증부(153) 및 객실제어부(155)와 동일하게 동작하고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다만, 제2 카드 감지기(330)는 도 1의 카드 감지기(130)와 달리 객실제어부(355)에 연결되어, 카드 키(10)를 감지한 결과를 객실제어부(355)가 읽어간다. 객실제어부(355)는 제2 카드 감지기(330)로부터 키 감지신호를 읽어 온 때에 카드인증부(353)로부터 해당 카드 키(10)가 인증된 카드 키라는 인증 결과를 받으면, 스위치 블록(305)으로 하여금 객실장치(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후에, 객실제어부(355)는 제2 카드 감지기(330)로부터 카드 키가 이탈되었다는 감지 결과를 읽어 오면, 카드 키(10)가 수용 홈(100a)으로부터 빼진 것으로 판단하고, 스위치 블록(305)으로 하여금 객실장치(30)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객실제어부(355)는 카드 키(10)의 삽입 여부, 즉 투숙객의 입실/퇴실 여부를 제2 카드 감지기(330)의 감지 결과로 판단하기 때문에, 카드 인증은 카드 키(10)가 삽입된 때에 한 번만 수행하면 되고, 카드통신부(351), 카드인증부(353)는 주기적으로 카드 키(10)를 인증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객실제어부(355)는 제2 카드 감지기(330)로부터 카드 키 감지 결과가 있는 동안에만 엘이디 백라이트(303)를 소등한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카드 감지기(330)와 제1 카드 감지기(130)를 하나로 통합하여 제2 카드 감지기(330)가 객실제어부(355)와 중앙관리장치(50) 모두에 연결된다면, 제1 카드 감지기(130)는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드 키 감지장치(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카드 키 감지장치(300)는 동작을 개시하면서 대기 모드에 들어간다. 대기 모드에서, 객실제어부(355)는 엘이디 백라이트(303)를 점등하고, 객실장치(3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401).
카드 키(10)가 수용 홈(100a)에 삽입되어 제2 카드 감지기(330)가 카드 키(10)를 감지한 상태에서(S403), 카드통신부(351)가 카드 키(10)와 통신하여 수신한 카드 식별자를 카드인증부(353)에게 제공하고 카드인증부(353)가 해당 카드가 인증된 카드라고 확인하면(S405), 객실제어부(355)는 투숙객이 입실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위치 블록(305)으로 하여금 객실장치(30)에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백라이트(303)를 소등한다(S407).
이후에, 객실제어부(355)는 제2 카드 감지기(330)를 통해 카드 키(10)가 수용 홈(100a)에서 제거되었음을 감지하면(S409), 투숙객이 퇴실한 것으로 판단하고 대기 모드로 진행한다. 따라서 객실제어부(355)는 스위치 블록(305)으로 하여금 객실장치(3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백라이트(303)를 다시 점등한다(S411).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카드 키 감지장치(300)가 동작한다. 중앙관리장치(50)는 S403 및 S409 단계에서 제2 카드 감지기(330)를 함께 읽어 투숙객이 객실에 입실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
도 2 및 도 3의 카드 키 감지장치(100, 300)는 객실 내벽에 부착된 키 홀더(Holder), 즉 카드 키 감지장치가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의 카드 키 감지장치(100, 300)의 객실제어부(155, 355)의 기능이 객실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객실제어장치로 분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객실 제어 시스템(500)은 키 홀더(510)와 객실제어장치(5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키 홀더(510)는 카드 키(10)의 수용 및 인증에 관한 기능을 수행하고, 객실제어장치(530)는 키 홀더(510)의 인증 결과를 기초로 객실장치(3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 투숙객의 입/퇴실 및 객실제어에 관한 각종 정보를 중앙관리장치(50)에게 제공한다.
키 홀더(510)는 카드 키 감지장치(100, 300)와 마찬가지로 카드 키(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100a)을 내부에 구비한 박스 형태 본체(100b)를 가지며, 안테나(511), 카드통신부(515)와 카드인증부(517)를 포함한다. 카드통신부(515)와 카드인증부(517)가 키 홀더의 제어부(513)를 구성한다.
안테나(511), 카드통신부(515)와 카드인증부(517)는, 아래에서 설명한 것을 제외하면, 도 2 및 도 3의 감지장치(100, 300)의 안테나(101, 301), 카드통신부(151, 351)와 카드인증부(153, 35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카드인증부(517)는 도 3의 제2 카드 감지기(330)와 같은 감지수단 없이 카드 키(10)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고 확인하기 위해, 카드통신부(515)로 하여금 주기적으로 카드 키(10)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주기적으로 카드 키(10)의 응답을 확인한다.
이에 따라, 카드인증부(517)는 카드 키(10)의 최초 삽입에 기초한 1회 인증이 있은 후에도 주기적으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이 주기적으로 있는 구간 동안에는 카드 키(10)가 수용홈(100a)에 삽입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주기적인 인증이 종료되면 카드 키(10)가 수용홈(100a)에서 제거된 것으로 판단한다.
카드인증부(517)는 카드 키(10)의 인증 결과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키(10)의 수용홈(100a) 삽입 / 제거 여부도 함께 객실제어장치(530)에게 통지한다.
객실제어장치(530)는 객실제어부(531), 사용자 제어버튼(5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5) 및 스위치 블록(537)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5)는 중앙관리장치(50)에 연결되어 객실제어부(531)의 각종 제어 결과를 중앙관리장치(50)에게 제공하여, 중앙관리장치(50)로 하여금 각 객실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제어버튼(533)은 각종 제어버튼으로서, 입실한 투숙객으로부터 객실장치(30)에 대한 제어 값(예컨대, 온도, 조명 온/오프 등)을 입력받아 객실제어부(531)에게 제공한다.
객실제어부(531)는 카드인증부(517)로부터 카드 키 삽입 → 키 인증 → 카드 키 제거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키 인증이 주기적으로 유지되는 동안에만 전원이 객실장치(30)로 공급되도록 스위치 블록(537)을 제어한다.
또한, 객실제어부(531)는 카드 키(10)가 삽입되어 인증이 있는 중에 사용자 제어버튼(533)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어값을 해당 객실장치(30)에게 제공하여 제어값을 조정하도록 한다. 만약, 카드인증부(517)로부터 카드 키(10)가 수용홈(100a)으로부터 제거되어 더 이상 인증이 없는 경우라면, 객실제어부(531)는 사용자 제어버튼(533)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값을 무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6)

  1. 객실 내에 입실한 투숙객의 카드 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객실 내벽에 설치된 카드 키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객실 내의 객실장치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치 블록;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한 감지결과를 상기 객실 외부의 중앙관리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하여금 상기 객실에 투숙객이 입실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감지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카드 키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카드 키로부터 카드 식별자를 읽어오는 카드통신부;
    상기 카드통신부가 읽어 온 카드 식별자가 기 등록된 카드 식별자인 경우에 인증성공으로 판단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카드인증부;
    상기 카드인증부로부터 제공받은 인증결과가 인증성공인 경우 상기 스위치 블록으로 하여금 상기 객실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객실제어부; 및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한 감지결과를 상기 객실제어부에 제공하는 제2 카드 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객실제어부는,
    상기 제2 카드 감지기로부터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었다는 감지결과를 읽어오고 상기 카드인증부로부터 상기 인증성공을 제공받은 경우에 상기 스위치 블록으로 하여금 상기 객실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이후에 상기 제2 카드 감지기로부터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서 제거되었다는 감지결과를 읽어 온 경우에 상기 스위치 블록으로 하여금 상기 객실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키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증부의 상기 인증과정은,
    상기 객실제어부가 상기 제2 카드 감지기로부터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었다는 감지결과를 읽어 온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키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을 조명하기 위한 엘이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실제어부는,
    상기 제2 카드 감지기로부터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서 제거되었다는 감지결과를 읽어 온 경우에 상기 엘이디 백라이트를 점등하고, 상기 제2 카드 감지기로부터 상기 카드 키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었다는 감지결과가 있는 동안은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키 감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23882A 2011-03-17 2011-03-17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 Active KR101218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882A KR101218298B1 (ko) 2011-03-17 2011-03-17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882A KR101218298B1 (ko) 2011-03-17 2011-03-17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49A KR20120106049A (ko) 2012-09-26
KR101218298B1 true KR101218298B1 (ko) 2013-01-03

Family

ID=4711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882A Active KR101218298B1 (ko) 2011-03-17 2011-03-17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845B1 (ko) 2015-01-28 2016-06-14 주식회사 제이엔디아이오티 온라인 기반의 가상 키를 이용한 객실 출입 및 전원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396B1 (ko) * 2014-12-09 2017-02-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숙박시설 승강기 호출 장치 및 호출 방법
KR102313303B1 (ko) 2019-12-09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884A (ko) * 2004-04-07 2004-05-03 민경만 광고용 호텔 명함에 바코드가 인쇄된 카드를 이용한 호텔 객실 관리 시스템
KR100922609B1 (ko) * 2009-02-17 2009-10-21 (주) 메써슈미트코리아 Rf 인증 모듈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객실 관리 시스템
KR20100051483A (ko) * 2008-11-07 2010-05-17 권원진 전자태그 방식을 이용한 객실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884A (ko) * 2004-04-07 2004-05-03 민경만 광고용 호텔 명함에 바코드가 인쇄된 카드를 이용한 호텔 객실 관리 시스템
KR20100051483A (ko) * 2008-11-07 2010-05-17 권원진 전자태그 방식을 이용한 객실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0922609B1 (ko) * 2009-02-17 2009-10-21 (주) 메써슈미트코리아 Rf 인증 모듈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객실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845B1 (ko) 2015-01-28 2016-06-14 주식회사 제이엔디아이오티 온라인 기반의 가상 키를 이용한 객실 출입 및 전원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49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7856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端末、サー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077223B1 (ko)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7668B1 (ko) 전자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모바일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566109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2040348B1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 프론트 엔드
HK121247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door power supply
US20160225104A1 (en) Power supply system
EP2861385A1 (en) Apparatus, apparatus authent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authentication method
CN105190720A (zh) 安全系统访问简档
KR101218298B1 (ko) 객실 카드 키 감지장치 및 객실 제어시스템
JP2011087016A (ja) 所在管理システム
US20150210505A1 (en) Elevator call registering system
EP3364690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1762930B1 (ko)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스마트 tv 시스템
CN111210549A (zh) 一种钥匙管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428961B1 (ko) 건물의 통합 에너지 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70047055A (ko) 전원제어 시스템
CN112243425B (zh) 用于电梯设备的数据检测装置和建筑物入口监控系统
US10299090B2 (en) Field bus device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an automation device
CN105430324A (zh) 监控系统及方法
KR101158093B1 (ko)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306534A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JP5120978B2 (ja) コンセント装置、盗電防止制御手段
KR20170071874A (ko) 스마트 전원 플러그 원격제어 시스템
WO2005078644A1 (en) Radio frequency identity tag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