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223B1 -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223B1
KR102077223B1 KR1020130121380A KR20130121380A KR102077223B1 KR 102077223 B1 KR102077223 B1 KR 102077223B1 KR 1020130121380 A KR1020130121380 A KR 1020130121380A KR 20130121380 A KR20130121380 A KR 20130121380A KR 102077223 B1 KR102077223 B1 KR 10207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external devices
door lock
lock devi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569A (ko
Inventor
김태훈
강근석
하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1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223B1/ko
Priority to EP14187965.0A priority patent/EP2860707B1/en
Priority to US14/511,867 priority patent/US9449444B2/en
Publication of KR2015004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00Comparing elements, i.e. elements for effecting comparison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a desired value and existing or anticipated values
    • G05B1/01Comparing elements, i.e. elements for effecting comparison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a desired value and existing or anticipated values electric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1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having a variable access c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4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magnetically coup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6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capacity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Abstract

도어 락 장치가 개시된다. 도어 락 장치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인증이 이루어지면,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어 락 장치가 중계기 역할을 하게 되어 집 내외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OOR LOCK APPARATUS, DISPLAY APPARATUS, MOBI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태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홈 네트워킹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집 안에 있는 모든 전자 장치 간에는 통신이 수행되어 집 밖에서도 집 안에 있는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홈 네트워킹은 무선 통신의 특성상 딜레이가 발생하거나, 원활한 정보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가 집 안에 있는지 집 밖에 있는지와 상관없이 일정한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어 좀더 효율적으로 집 안에 있는 전자 장치들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집 안에 있는 경우에도, 집 밖에 있는 외부 장치들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키를 통해 인증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인증 번호와 기 저장된 인증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는, 상기 도어 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의 외부 환경에 위치하는 제1 외부 장치 및 상기 공간의 내부 환경에 위치하는 제2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공간의 내부 환경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는, 자동차, 전기 계량기, 스프링쿨러, 냉난방 장치, 가전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자동차 상태, 전기 계측량, 상기 스프링쿨러의 동작 여부,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 및 상기 가전 제품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도어 락 장치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도어 락 장치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도어 락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수행되면,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 락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키를 통해 인증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인증 번호와 기 저장된 인증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는, 상기 도어 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의 외부 환경에 위치하는 제1 외부 장치 및 상기 공간의 내부 환경에 위치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공간의 내부 환경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는, 자동차, 전기 계량기, 스프링쿨러, 냉난방 장치 및 가전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자동차 상태, 전기 계측량, 상기 스프링쿨러의 동작 여부,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 및 상기 가전 제품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도어 락 장치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어 락 장치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도어 락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락 장치가 중계기 역할을 하게 되어 집 내외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도어 락 장치(100)는 제1 인터페이스부(110), 근거리 통신부(120), 제2 인터페이스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락 장치(100)는 미닫이문, 여닫이문 등을 개폐 기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장치로써, 전자 카드, 지문 인식, 동공 인식 및 번호 입력 등의 방법으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수행되면 개폐 기계가 자동적으로 개폐를 하는 장치를 뜻한다.
이러한 도어 락 장치(100)는 현관문의 양측에 설치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100)는 현관문을 기준으로 집 안과 집 밖의 통신을 릴레이(Relay)하기 위한 중계기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도어 락 장치(100)에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외부 기기(예를 들어, 타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와이파이(Wifi),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각 통신 방식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유선 LAN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유선 LAN 카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와이파이 통신 칩(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통신부(120)는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미도시)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미도시) 내의 태그를 인식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미도시)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사용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며,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특히,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RFID 사용을 위해 필요했던 동글(리더기)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부(120)는 NFC 칩을 구비할 수 있고, 또 다른 NFC 칩이나 NFC 카드가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미도시)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면, 서로 간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는 TV, 스마트 폰, 태블릿, 데스크탑 PC, 노트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인터페이스부(13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인증이 이루어지면,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140)는 근거리 통신부(120)에서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제1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메타 데이터 형식으로 부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 락 장치(210)에 도어 락 장치(210)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NFC 칩이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220)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도어 락 장치(210)의 제어부(140)는 도어 오프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게 되고, 인증이 이루어지면, 복수의 외부 장치(240)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24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 장치(210)의 제어부(14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3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에 들어올 때 사용자가 도어 락 장치(210)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NFC 칩이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220)를 도어 락 장치(210)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면, 제어부(140)는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고, 이때, 외부 장치(240), 예를 들면, 계량기로부터 사용된 전력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수신된 계량기의 사용된 전력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3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계량기를 직접 보지 않고도 계량기의 사용된 전력량을 디스플레이 장치(23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30)는 도어 락 장치(210)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NFC 칩이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220)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20)가 도어 락 장치(230)와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인증 수행 후 도어 락 장치(230)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받아 직접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락 장치(310)에 도어 락 장치(310)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NFC 칩이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320)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도어 락 장치(310)의 제어부(140)는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게 되고, 인증이 이루어지면, 복수의 외부 장치(330)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33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 장치(310)의 제어부(14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32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320)를 사용하여 도어 락 장치(310)와 태깅하여 인증을 할 수 있고, 인증이 수행되면 모바일 디바이스(320)의 화면을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330) 각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도어 락 장치(310)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NFC 칩이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320)를 예로 들었으나, NFC 칩이 내장된 카드와 모바일 디바이스(320)는 분리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NFC 칩이 내장된 카드를 사용하여 도어 락 장치(310)와 태깅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인증이 수행되면 도어 락 장치(310)의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3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320)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락 장치(310)는 복수의 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근거리 통신부(120)는 복수의 키를 통해 인증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인증 번호와 기 저장된 인증 번호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NFC 칩이 내장된 카드를 사용하여 도어 락 장치(310)와 태깅하여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직접 도어 락 장치(310)에 구비된 복수의 키를 통해 인증 번호를 입력하면, 도어 락 장치(310)의 제어부(140)는 복수의 키를 통해 입력된 인증 번호와 기 저장된 인증 번호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인증이 수행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외부장치(330)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3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32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깅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복수의 키를 모두 구비한 도어 락 장치의 경우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증이 수행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외부 장치(330)는 도어 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의 외부 환경에 위치하는 제1 외부 장치 및 상기 공간의 내부 환경에 위치하는 제2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 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4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20)은 집 내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4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20)의 외부 환경은 집 외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4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20), 즉, 집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430)는 제2 외부 장치이고, 도어 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4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20)의 외부 환경, 즉, 집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440)는 제1 외부 장치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430), 즉, 제2 외부 장치는 TV, 오디오, 세탁기, 가스레인지 등이 될 수 있고, 집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440), 즉, 제1 외부 장치는 자동차, 스프링쿨러, CCTV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락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430, 440)의 상태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어 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4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20)의 내부 환경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도어 락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430, 440)의 상태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TV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TV인 경우, 사용자는 NFC 카드를 사용하거나 도어 락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키를 통해 인증 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수행하면, TV가 도어 락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430, 440)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를 TV로 전송하면, TV는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TV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락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430, 440)의 상태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인증이 수행되면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근거리 통신부(1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NFC 카드를 인식하여 인증을 수행하거나, 도어 락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키를 통해 인증 번호가 입력되어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근거리 통신부(120)에서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근거리 통신부(1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미도시) 내의 NFC 카드를 인식하여 인증 조건이 만족되어 인증이 수행되면, 인증 조건이 만족되었다는 확인 신호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트리거링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락 장치(100)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도면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 락 장치(500)는 제1 인터페이스부(510), 근거리 통신부(520), 제2 인터페이스부(530), 저장부(54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510), 근거리 통신부(520), 제2 인터페이스부(530) 및 제어부(550)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어 락 장치(500)가 저장부(540)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550)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54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50)는 근거리 통신부(520)에서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도 기 설정된 시간마다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540)에 저장하여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도 모바일 디바이스가 도어 락 장치(5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여 저장부(540)에 업데이트 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540)에 저장하여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경우에도, 제어부(550)는 근거리 통신부(520)에서 인증이 수행되면, 다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외부 장치는 자동차, 전기 계량기, 스프링 쿨러, 냉난방 장치, 가전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집 내외부에 있는 외부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자동차 상태, 전기 계측량, 스프링쿨러의 동작 여부,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 및 가전 제품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가 자동차(630)인 경우, 사용자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640)가 켜져 있거나 시동이 켜진 상태로 자동차(630)를 세워두고 집 안으로 들어오기 위해 도어 락 장치(610)에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면, 제어부(140)는 자동차(630)로부터 자동차(630)의 헤드라이트(640)가 켜져 있는 상태 또는 시동이 켜진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자동차(630)가 현재 헤드라이트(640)가 켜져 있거나 시동이 켜져 있다는 상태를 TV나 모바일 디바이스(620)의 화면(65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가 전기 계량기(730)인 경우, 사용자가 집 안으로 들어오기 위해 도어 락 장치(710)에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면, 제어부(140)는 전기 계량기(730)의 누적된 전기 계측량(74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누적된 전기 계측량(740)을 TV나 모바일 디바이스(720)의 화면(75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가 스프링쿨러(830)인 경우, 사용자가 집 안으로 들어오기 위해 도어 락 장치(810)에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면 제어부(140)는 스프링쿨러(830)에 부착된 습도 측정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습도와 측정된 습도에 따라 스프링쿨러(830)의 동작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된 습도와 스프링쿨러(830)의 동작 여부를 TV나 모바일 디바이스(820)의 화면(84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가 스프링쿨러(830)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집 안에 있는 경우 동작이 필요한 장치로써, 도어 락 장치(810)는 사용자가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집 안에 있음에 관한 정보를 스프링쿨러(830)에 전송한 후, 스프링쿨러(830)로부터 측정된 습도와 측정된 습도에 따라 스프링쿨러(830)의 동작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도어 락 장치(810)의 제어부(140)는 근거리 통신부(120)의 인증 수행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집 안에 있는지, 집 밖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정보를 복수의 외부 장치에 전송하면서 동시에 복수의 외부 장치에 대해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외부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가 집 안에 있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들만을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집 안에 들어온 경우에 확인하도록 설정된 정보들만을 디스플레이 장치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가 냉난방 장치이거나 가전 제품인 경우에도 제어부(140)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디스플레이부(910), 수신부(920) 및 제어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10)는 수신받은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910)에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000)는 도어 락 장치로부터 수신받은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 모두의 상태 정보를 순서대로 나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0)는 도어 락 장치로부터 수신받은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별로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면 해당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수신부(920)는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920)는 도어 락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 락 장치(100)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92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와이파이(Wifi),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각 통신 방식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930)는 도어 락 장치(100)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9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30)는 도어 락 장치(100)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도어 락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 락 장치(100)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받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9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910)에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은 미리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930)는 기존의 동작을 수행하던 중에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부(910)에 디스플레이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기존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910)가 TV인 경우, 동영상 재생 기능을 수행 중 도어 락 장치(100)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제어부(930)는 도어 락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910)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화면을 전환하여 동영상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존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더라도, 제어부(93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어 락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910)에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계속 기존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근거리 통신부(1220), 통신부(1230) 및 제어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도 9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900)의 디스플레이부(910)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근거리 통신부(1220)는 도어 락 장치(100)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근거리 통신부(1220)는 NFC 칩을 구비하고 있어, 도어 락 장치(100)에 기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면, 도어 락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부(120)와 태깅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30)는 인증이 이루어지면, 도어 락 장치(100)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230)는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40)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10)에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은 미리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240)는 기존의 동작을 수행하던 중에 도어 락 장치(100)와 태깅되어 인증을 수행하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부(1210)에 디스플레이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기존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200)가 통화 기능을 수행 중 도어 락 장치(100)와 태깅되어 인증을 수행하며, 제어부(1240)는 도어 락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10)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화면을 전환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통화 기능을 수행하면서, 디스플레이부(1210)에 수신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존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도어 락 장치(100)와 태깅되어 인증을 수행하더라도 제어부(124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어 락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210)에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계속 기존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310).
여기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태그를 인식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도어 락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키를 통해 인증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인증 번호와 기 저장된 인증 번호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이 수행되면,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20).
여기서, 인증이 수행되면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마다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30).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외부 장치는, 도어 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의 외부 환경에 위치하는 제1 외부 장치 및 공간의 내부 환경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간의 내부 환경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외부 장치는, 자동차, 전기 게량기, 스프링쿨러, 냉난방 장치 및 가전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태 정보는 자동차 상태, 전기 계측량, 스프링쿨러의 동작 여부,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 및 가전 제품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도어 락 장치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410).
그리고,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20).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도어 락 장치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510).
또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도어 락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520).
그리고,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5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인증이 수행되면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어 락 장치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어 락 장치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인증이 이루어지면 도어 락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도어 락 장치 110: 제1 인터페이스부
120: 근거리 통신부 130: 제2 인터페이스부
140: 제어부 900: 디스플레이 장치
910: 디스플레이부 920: 수신부
930: 제어부 1200: 모바일 디바이스
1210: 디스플레이부 1220: 근거리 통신부
1230: 통신부 1240: 제어부

Claims (20)

  1. 도어에 설치된 도어 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의해 정의되는 집의 외부에 위치한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도어의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의 수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도어 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키를 통해 인증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인증 번호와 기 저장된 인증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집의 내부 환경에 설치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는,
    자동차, 전기 계량기, 스프링쿨러, 냉난방 장치, 가전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자동차 상태, 전기 계측량, 상기 스프링쿨러의 동작 여부,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 및 상기 가전 제품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9. 도어에 설치된 도어 락 장치에 의해 정의되는 집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집의 외부에 위치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도어 락 장치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의 수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집의 도어에 설치된 도어 락 장치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도어 락 장치로부터 상기 도어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집의 외부에 위치한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의 수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도어에 설치된 도어 락 장치를 통해 도어 오픈 동작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인증의 수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집 내부에 존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집의 외부에 위치한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 락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키를 통해 인증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인증 번호와 기 저장된 인증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집의 내부 환경에 설치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는,
    자동차, 전기 계량기, 스프링쿨러, 냉난방 장치 및 가전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자동차 상태, 전기 계측량, 상기 스프링쿨러의 동작 여부,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 및 상기 가전 제품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의 제어 방법.
  19. 도어 락 장치에 의해 정의되는 집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락 장치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인증의 수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집의 외부에 위치한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집의 도어에 설치된 도어 락 장치와 태깅되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인증의 수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상기 집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락 장치로부터 상기 도어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집의 외부에 위치한 복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30121380A 2013-10-11 2013-10-11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380A KR102077223B1 (ko) 2013-10-11 2013-10-11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14187965.0A EP2860707B1 (en) 2013-10-11 2014-10-07 Door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4/511,867 US9449444B2 (en) 2013-10-11 2014-10-10 Door lock apparatus, display apparatus,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380A KR102077223B1 (ko) 2013-10-11 2013-10-11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569A KR20150042569A (ko) 2015-04-21
KR102077223B1 true KR102077223B1 (ko) 2020-02-14

Family

ID=5184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380A KR102077223B1 (ko) 2013-10-11 2013-10-11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49444B2 (ko)
EP (1) EP2860707B1 (ko)
KR (1) KR102077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1055B2 (en) 2007-09-27 2019-01-15 Clevx, Llc Data security system with encryption
US11190936B2 (en) 2007-09-27 2021-11-30 Clevx, Llc Wireless authentication system
US10778417B2 (en) 2007-09-27 2020-09-15 Clevx, Llc Self-encrypting module with embedded wireless user authentication
KR102478098B1 (ko) 2015-07-31 2022-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방문자 호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65878B2 (en) 2017-03-31 2022-10-11 Otis Elevator Company Visual status indicator for door and lock state
US11054894B2 (en) 2017-05-05 2021-07-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grated mixed-input system
US10895966B2 (en) 2017-06-30 2021-01-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on using a multi-device mixed interactivity system
US11023109B2 (en) * 2017-06-30 2021-06-01 Microsoft Techniogy Licensing, LLC Annotation using a multi-device mixed interactivity system
DE102017006927A1 (de) 2017-07-20 2019-01-24 Daimler Ag Kommunikationsnetzwerk
KR102501245B1 (ko) * 2018-02-14 2023-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8681935B (zh) * 2018-04-25 2022-05-20 武汉启冠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出租屋的收费管理方法及系统
CN109544729B (zh) * 2018-10-09 2020-12-29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闸机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368295B2 (en) * 2019-07-19 2022-06-21 Shing Kwong Fung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andom code as an encryption code
JP7227175B2 (ja) * 2020-01-30 2023-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KR102515517B1 (ko) * 2020-11-24 2023-03-29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지문 인증 방식의 도어 락 장치
US20220217136A1 (en) * 2021-01-04 2022-07-0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Identity verification through multisystem cooperation
FR3127618A1 (fr) 2021-09-27 2023-03-31 Cogelec Ensemble comportant un panneau électronique d'affichag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4158B1 (en) * 1996-10-15 2002-08-13 Motorola, Inc. Entryway system using proximity-based short-range wireless links
US6924727B2 (en) * 2000-09-27 2005-08-02 Ntt Docomo, Inc.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home-located electronic devices and a management facility
WO2004011746A1 (ja) * 2002-07-31 2004-02-05 Sony Corporation 通信装置
WO2007033103A1 (en) * 2005-09-14 2007-03-22 Acist Medical Systems, Inc. Medical fluid injection system
KR101268432B1 (ko) * 2006-01-09 201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인증 시스템 및방법
KR100790173B1 (ko) * 2006-02-23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US8529345B2 (en) * 2008-10-02 2013-09-10 Igt Gaming system including a gaming table with mobile user input devices
US9245419B2 (en) * 2010-02-10 2016-01-26 Leap Forward Gaming, Inc. Lottery games on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EP2597838B1 (en) * 2011-11-28 2018-09-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mounted in a car
KR101991133B1 (ko) * 2012-11-20 2019-06-1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0707A1 (en) 2015-04-15
US9449444B2 (en) 2016-09-20
EP2860707B1 (en) 2019-08-28
KR20150042569A (ko) 2015-04-21
US20150102899A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223B1 (ko)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2690A (ko)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24961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061913B1 (ko)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600554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mification of sensor data interpretation in smart home
KR102161100B1 (ko) 위치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0469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565199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CN104137480A (zh) 对网络装置的基于传感器的配置和控制
US201503123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covery and suggesting personalized gesture control based on user's habit and context
KR102347668B1 (ko) 전자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모바일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9640326B (zh) 权限管理方法、装置、系统及移动终端
US201300675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80097981A (ko)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WO2018063553A1 (en) Sharing of environmental data for client device usage
US20140192678A1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01254A (ko)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697105A (zh) 空调控制系统和方法
US10503355B2 (en) UI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46152A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 시스템
CN107409241A (zh) 用于聚合和分析系统状态的系统和方法
KR20170047055A (ko) 전원제어 시스템
KR102033932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CN203671833U (zh) 空调控制系统
KR101105999B1 (ko) 이동 단말을 게이트웨이로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원격 감지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