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723A -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음악 서비스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음악 서비스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723A
KR20160069723A KR1020140175672A KR20140175672A KR20160069723A KR 20160069723 A KR20160069723 A KR 20160069723A KR 1020140175672 A KR1020140175672 A KR 1020140175672A KR 20140175672 A KR20140175672 A KR 20140175672A KR 20160069723 A KR20160069723 A KR 20160069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phone
music
information
lt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492B1 (ko
Inventor
이자영
안수호
박준수
우아미
김미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7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4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광대역 접속 모듈을 탑재하여 헤드폰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헤드폰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LTE 모듈과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송수신부와 음성 및/또는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외부 소음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LTE 모듈, 상기 서비스 송수신부,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헤드폰의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헤드폰. 이때, 상기 인증정보는 LTE 네트워크에서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헤드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는 음악 곡 정보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음악 서비스 수신 방법{A Headphone and A Method for receiving music service by using the Headphone}
본 발명은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광대역 접속 모듈을 탑재하여 헤드폰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헤드폰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헤드폰은 유,무선을 가리지 않고 별도의 통신 또는 저장장치가 없다면 독자적으로 음악 감상이 불가능하다. 즉, 헤드폰의 사용자는 음악감상이 가능한 음악 재생 오디오 기기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무선 헤드폰은 근거리 통신망 위주로 음악 재생 오디오 기기와 연동하여 음악감상을 하지만, 재생 오디오 기기와 이격이 있거나 근거리 통신망이 부재한 오디오 기기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 사용자는 헤드폰을 통해 연속적인 음악 감상이 어렵다.
특히,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위한 통신모뎀은 헤드폰에 대한 실장성은 높지만, 헤드폰은 이를 통해 독자적으로 무선 통신 망과 네트워킹을 할 수 없다. 블루투스 모뎀을 탑재한 헤드폰은 네트워크 망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도 때마다 블루투스를 켜고 기기 인증 연결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와이파이 모뎀을 탑재한 헤드폰 역시 연결 가능한 AP 망을 찾아서 인증 받고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데이터 트래픽이 높을 경우 네트워크를 지속 이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자유로이 감상하기에 최적의 네트워크 솔루션은 아니다.
광대역 네트워크의 경우 무선 접속 시스템의 하나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등은 통신사별 가능 주파수가 모두 달라 이를 표준화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즉, 하나의 통신사에 가입된 LTE 단말은 다른 통신사의 LTE 네트워크에는 접속할 수 없다.
게다가, 헤드폰은 사용자가 착용해야 하는데, 기존의 기술에서는 광대역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광대역 통신 모뎀을 장착하는 경우에 헤드폰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 헤드폰은 기본적으로 소리를 내기 위한 부품들이 차지하는 부분이 정해져 있으므로, 광대역 통신 모뎀을 장착하기 위해 헤드폰의 크기가 표준 크기 이상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사용자가 이를 착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7022569호: 헤드셋 기반 원격통신 플렛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53791호: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 및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서버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 접속 모듈을 이용하여 독자적인 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는 헤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 접속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나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폰의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외부의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음원을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헤드폰을 이용하여 외부 음악의 DNA를 검색하여, 음원 DNA 서버로부터 해당 음악을 서비스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헤드폰을 이용하여 외부 소음을 감지하여, 외부 소음에 불구하고 일정한 음량을 사용자에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광대역 접속 모듈을 탑재하여 헤드폰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헤드폰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LTE 모듈과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송수신부와 음성 및/또는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외부 소음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LTE 모듈, 상기 서비스 송수신부,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헤드폰의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헤드폰. 이때, 상기 인증정보는 LTE 네트워크에서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헤드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는 음악 곡 정보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TE 모듈은 LTE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LTE 안테나 모듈과 이러한 LTE 안테나 모듈과 연동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연동모듈 및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헤드폰 식별자 및/또는 통신사별 주파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요청 정보는 인증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정보에 인증정보가 더 포함되는 경우, 인증 과정과 서비스 요청 과정은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음악 곡 정보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가 나타내는 음악들은 헤드폰이 LTE 네트워크에서 고유하게 인증되는 경우 가장 높은 품질의 코딩률로 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정보는 코딩률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음악 곡 정보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가 나타내는 음악들은 코딩률 정보에 따라 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헤드폰은 문자음성 자동변환(TTS) 엔진을 더 포함하고, TTS 엔진은 현재 플레이되는 음원 또는 플레이 리스트가 어떠한 것인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폰은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음원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메모리의 용량이 모두 찬 경우에는,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LTE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한 음원들을 LTE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가상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헤드폰은 음악 찾기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음악 찾기 버튼이 조작되면 프로세서는 마이크를 제어하여 소정 시간 동안 외부 음악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감지된 외부 음악의 DNA를 추출하고, 추출한 외부 음악의 DNA에 대한 음원 DNA 정보를 LTE 모듈 또는 서비스 송수신부를 통해 음원 DNA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음원 DNA 정보는 각 음악의 고유 멜로디에 대한 정보 및/또는 고유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외부 소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프로세서는 외부 소음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소음에 따라 볼륨이 자동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스피커의 볼륨은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스피커의 볼륨은 외부 소음을 검출하기 이전의 볼륨량에 외부 소음의 크기만큼 더 키우거나 낮추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LTE 모듈을 포함하는 헤드폰과 헤드폰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서버와 헤드폰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악 감상 서버와 헤드폰에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서버, 음악 감상 서버 및 다운로드 서버는 LTE 네트워크를 통해 헤드폰과 광대역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인증 서버는 헤드폰으로부터 LTE 네트워크에서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헤드폰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헤드폰과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음악 감상 서버는 헤드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 정보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운 로드 서버는 헤드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 정보에 따라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리밍 서비스 및 다운로드 서비스는 동시에 또는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헤드폰이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은, LTE 네트워크를 통해 LTE 네트워크에서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헤드폰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음악 곡 정보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서비스 요청 정보에 따라 음원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원 서비스는 스트리밍 서비스 및/또는 다운로드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인증정보 및 서비스 요청 정보는 헤드폰의 LTE 모듈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요청 정보는 인증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요청 정보에 인증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인증 과정과 서비스 요청 과정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음악 곡 정보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가 나타내는 음악들은 헤드폰이 LTE 네트워크에서 고유하게 인증되는 경우 가장 높은 품질의 코딩률로 코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요청 정보는 코딩률 정보를 더 포함하고, 음악 곡 정보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가 나타내는 음악들은 코딩률 정보에 따라 코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음원 서비스 수신방법은 현재 플레이되는 음원 또는 플레이 리스트가 어떠한 것인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헤드폰에 포함되는 메모리의 용량이 모두 찬 경우에는, 상기 음원 서비스 수신방법은 다운로드한 음원들을 LTE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가상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헤드폰이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찾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음악 찾기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와 마이크를 통해 소정 시간 동안 외부 음악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외부 음악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한 외부 음악의 DNA에 대한 음원 DNA 정보를 LTE 모듈을 이용하여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DNA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원 DNA 정보는 각 음악의 고유 멜로디에 대한 정보 및/또는 고유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수행방법은 LTE 모듈을 이용하여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와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과정에서 헤드폰의 LTE 모듈은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헤드폰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인증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수행방법은 음원 DNA 정보에 해당하는 음악을 LTE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헤드폰이 외부 소음에 따라 볼륨을 조절하는 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단계와 외부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와 외부 소음과 현재 음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외부 소음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의 볼륨이 조절하는 단계에서, 스피커의 볼륨은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스피커의 볼륨이 조절하는 단계에서, 스피커의 볼륨은 외부 소음을 검출하기 이전의 볼륨량에 외부 소음의 크기만큼 더 키우거나 낮추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볼륨 조절 방법은 외부 소음 조절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륨 조절 방법은 상기 외부 소음 조절 버튼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볼륨 조절 방법은 헤드폰이 켜져있는 동안 외부 소음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광대역 무선 접속 모듈을 이용하여 독자적인 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는 헤드폰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에서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음악을 다운 받는 경우, 헤드폰의 메모리가 부족하면 헤드폰은 외부의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다운 받은 음원을 저장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헤드폰을 이용하여 외부 음악의 DNA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는 헤드폰을 통해 외부 음악을 검색할 수 있다.
넷째, 외부 소음을 감지하여,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외부 소음에 불구하고 일정한 음량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 목적, 특징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또는 당업자가 이하의 설명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업자가 이하의 설명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라 예측치 않은 장점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헤드폰에 실장되기 위해 최적화된 헤드폰용 LTE 모듈(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헤드폰용 LTE 모듈에 포함되는 LTE 안테나 모듈(1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헤드폰을 구성하는 이어버드(41)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어버드(41)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LTE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이 고품질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LTE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이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드폰에서 외부 음악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드폰에서 외부 소음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대역 접속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헤드폰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헤드폰(100)은 네트워크에 대한 광대역 무선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광대역 무선 접속 모듈로서 LTE 모듈(10),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 송수신부(20),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30), 헤드폰 사용자에게 현재 제공될 음원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문자음성 자동변환(TTS: Text To Speech) 엔진(40), 인증 관련 정보, 음악 정보 및/또는 음원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50), 헤드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과 연결되어 해당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60), 음원을 사용자에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70), 사용자의 음성, 외부 소리 및/또는 외부 소음을 인식(또는,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80), 헤드폰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베터리(90) 및 베터리와 연결되어 헤드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부(9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LTE 모듈은 LTE 네트워크 및/또는 LTE-A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광대역 무선 접속 모듈의 하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헤드폰용 LTE 모듈(10)은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LTE 안테나 모듈(12) 및 LTE 안테나 모듈과 연동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13)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폰용 LTE 모듈(10)은 연결 제어 모듈(14), 메모리(15) 및 프로세서(16)를 더 포함한다.
연결제어모듈(14)은 LTE 모듈 장치에 전력 공급하고, LTE 통신 신호를 입출력하며, LTE 모듈 장치의 장착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연결제어모듈(14)은 가입자 식별 모듈 장치(예를 들어, 헤드폰 식별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때, 메모리(15)에는 각 통신사별 주파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플레쉬 메모리로써 LTE 주파수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 필요한 캐싱 정보를 저장하며, LTE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일부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6)는 LTE 모듈 장치에 연결된 안테나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LTE 주파수가 통신사가 기준하는 전파의 범위, 감도, 최대 출력 등에 맞춰서 기능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헤드폰용 LTE 모듈에 포함되는 LTE 안테나 모듈(1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LTE 안테나 모듈(12)은 광대역 네트워크에 접속 및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송신부(121), 이러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수신부(122) 및 상이한 주파수 대역간 LTE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상호 적용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는 주파수 인터페이스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을 지원하는 무선 기기들은 등록된 통신사가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다. 따라서, 등록된 통신사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는 동일한 LTE 네트워크에도 접속 및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헤드폰은 주파수 인터페이스부(123)를 통해 LTE 주파수 대역이 다른 통신사들을 통해서도 LTE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주파수 인터페이스부(123)는 통신사 별로 상이한 주파수를 헤드폰에서 검출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의 주파수를 헤드폰에 제공될 데이터와 헤드폰의 주파수 커버리지 상황에 맞게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안테나 모듈(12)은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등록된 통신사가 기준하는 주파수 밴드에 작동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헤드폰 기기에는 LTE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가 모두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통신 사업자에 등록할 가입자 식별정보가 사전에 통신 사업자망에 등록되어 있다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헤드폰의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가 등록된 통신사업자 망에 최적화된 데이터 서비스를 헤드폰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헤드폰을 구성하는 이어버드(41)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이어버드(41)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헤드폰의 이어버드는 사용자의 귀 부분에 접촉되는 면으로, 도 1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이 실장(즉, 포함)되는 부분이다. 헤드폰의 이어버드(41)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헤드폰의 이어버드 각각은 드라이버(411), 배플(Baffle; 412) 및 하우징(413)을 포함한다.
하우징(413)은 드라이버(411)와 배플(412)을 수납하며, 자연스럽게 울리는 음향 공간을 형성한다. 드라이버(411)는 통상의 스피커와 유사하게, 진동판(51)에 고정한 보이스 코일을 자석과 요크 사이에서 구동시키는 동전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플(412)은 드라이버, 즉 스피커를 통해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를 의미한다.
하우징(413) 및 배플(412)이 결합되는 경우 그 높이는 50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착용시 착용감이 가장 좋은 헤드폰의 크기를 구성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스프커 겸용 헤드폰의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헤드폰의 음악 소리를 구현하기 위해서 이어버드(41)는 터미널 보드, 레지스터, 프레임, 자석, 폴피스, 프로텍터, 진동판(51)을 구비해야 한다. 또한, 무선 헤드폰의 경우 충전 전지(52, 90)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본원 발명의 헤드폰은 측면 50mm 이내의 공간에 헤드폰 부품과 광대역 통신 모뎀인 LTE 모듈(12)을 탑재하며, LTE 모듈 탑재시 부품 간 충돌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측 이어버드에는 진동판(51) 등이 포함되고, 우측 이어버드에는 LTE 모듈(10) 및 충전 전지(52)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례이며, 좌우 이어버드에 포함되는 구성은 제작 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LTE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이 고품질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헤드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헤드폰의 전원부(95)를 조작하여 헤드폰을 온(on)한다(S601).
헤드폰이 온되면, 즉 헤드폰이 켜지면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LTE 모듈(10)을 제어하여 광대역 무선 통신망 중 하나인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 서버(200)와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메모리(50 또는 15)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주파수 송신부(121)를 통해 인증서버로 전송한다 (S602, S603).
이때, 인증정보는 LTE 네트워크에 가입한 가입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 또는 헤드폰 단말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헤드폰에 LTE 모듈이 탑재되어 헤드폰이 독립적으로 LTE 네트워크에 접속 및 서비스를 제공받으므로, 인증정보는 헤드폰 단말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임을 가정한다. 즉, 본 발명의 인증서버(200)는 LTE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을 일반 LTE 단말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증정보에는 사용자의 플레이 리스트에 대한 정보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인증서버(200)는 헤드폰의 주파수 송신부(121)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통해 해당 헤드폰을 인증하면, 감상서버(300)로 인증정보를 전송한다. 감상서버(300)는 해당 인증정보를 통해 식별되는 헤드폰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604).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LTE 모듈을 이용하여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와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 메뉴를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음악 어플리케이션은 헤드폰에 미리 다운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거나, 음악 어플리케이션 대신에 헤드폰의 프로세서가 해당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S605, S606).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 메뉴에 대한 서비스 요청 정보를 서비스 송신부(20)를 이용하여 감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정보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해당하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곡들에 대한 음악 식별 정보 및/또는 인증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607, S608).
플레이 리스트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곡들의 제목을 모아둔 리스트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정 음악에 대한 음악 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메뉴를 통해 선택한 음악의 곡을 식별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감상서버(300)는 S604 단계에서 수신한 인증정보에 부합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S608).
S608 단계에서 서비스 요청 정보에 인증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S608 단계는 S604 단계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S608 단계에서 서비스 요청 정보에 인증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S604 단계와 S608 단계는 하나의 세션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인증이 완료된 경우, 인증서버 및 감상서버와 연결된 상태에서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감상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감상서버(300)에서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감상서버는 곡 정보 서버(400)로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달하고, 곡 정보 서버(300)는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플레이 리스트 및/또는 음악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음원을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DB)로부터 검출하여 감상서버(300)로 전달한다 (S609, S610).
감상서버(300)는 헤드폰이 요청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감상서버(300)는 LTE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헤드폰의 서비스 수신부(20)는 이를 수신한다 (S611).
TTS 엔진은 수신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음악 또는 플레이 리스트가 어떠한 것인지를 TTS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드폰에서 현재 출력되는 음악의 제목이 어떤 것인지 아니면 어떤 플레이 리스트의 음악들이 스트리밍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S612).
만약, 헤드폰에 TTS 엔진이 구비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해당 곡명 또는 플레이 리스트의 리스트 명을 음성이 아닌 문자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수신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S613).
상술한 과정을 사용자의 관점에서 다시 설명한다. 사용자는 헤드폰의 전원을 켜면, 헤드폰의 LTE 모듈(12)은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200)와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특정 버튼,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를 조작하여 하나 이상의 곡들을 선택하거나, 하나 이상의 플레이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헤드폰은 사용자가 입력한 하나 이상의 곡들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서비스 송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후, 헤드폰은 감상서버(300)에서 서비스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S604 단계 내지 S610 단계들에서, 인증정보가 일반 LTE 단말들과 LTE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을 식별하는 경우, 감상서버는 LTE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에는 일반 LTE 단말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상서버는 스트리밍을 요구하는 LTE 단말이 헤드폰임을 인식하는 경우, 고품질 음원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는 가장 낮은 코딩율을 갖는 음악 레벨로 제공된다. 이는 일반 LTE 단말의 경우 고품질의 높은 코딩율을 갖는 음악 레벨(예를 들어, 무손실 음악)로 스트리밍을 받더라도, 스피커의 성능이 헤드폰보다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고품질의 음원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헤드폰 유저의 경우 LTE 모듈 및/또는 서비스 송수신부가 음악 서비스에 특화되어 제공되므로 고품질의 음악을 스트리밍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상서버(300)는 헤드폰 사용자로부터 특정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고품질의 음악 레벨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되, 사용자가 요구하는 음악 레벨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레벨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608 단계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요청 정보에는 음악 레벨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LTE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이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S701 단계 내지 S710 단계에 대한 설명은 S601 단계 내지 S610 단계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해당 설명에 갈음한다. 다만, 도 7에서는 감상 서버(200) 대신 다운로드 서버(600)가 감상 서버(200)의 역할을 대체하되, 다운로드 서버(600)가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 음악들을 다운로딩 해줄 수 있다.
다운로드되는 곡들을 헤드폰의 서비스 수신부(20)에서 수신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한다. 프로세서는 다운로드한 곡들을 메모리(50)에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해당 음악들을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해줄 수 있다 (S711, S712, S713).
만약, 다운로드를 통해 메모리(50)의 용량이 가득찬 경우, 프로세서는 다운로드된 곡들을 LTE 모듈(10) 또는 서비스 송수신부(2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가상 DB(700)에 저장할 수 있다 (S714).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가 다 차지 않은 경우에도 헤드폰은 다운로드되는 음악들을 가상 DB(7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LTE 모듈(10)은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서비스 송수신부(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 또는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LTE 모듈(10) 및 서브시 송수신부(20)는 도 1과 같이 별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하나의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LTE 모듈에서 인증정보 및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드폰에서 외부 음악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헤드폰(100)을 휴대하는 도중에 외부로부터 음악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해당 음악이 어떠한 것인지 모르는 경우, 사용자는 헤드폰의 음악 찾기 버튼(미도시)을 조작할 수 있다. 음악 찾기 버튼은 헤드폰 이어버드(41)의 하우징(413)에 구비될 수 있다. 음악 찾기 버튼이 조작된 경우,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마이크(80)를 켜고 외부 음악을 감지한다. 외부 음악을 감지하는 시간은 짧게는 5초 내지 30초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S810).
프로세서(60)는 감지한 외부 음악을 녹음하고, 해당 음악의 음원 DNA를 추출한다. 음원 DNA는 각 음악의 고유 멜로디 또는 고유 주파수일 수 있다 (S820, S830).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서비스 송수신부(20) 및/또는 LTE 모듈(10)을 통해 음원 DNA 정보를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DNA 서버로 전송한다 (S840).
음원 DNA 서버(미도시)는 음원 DNA 정보에 해당하는 음악을 음원 DNA DB로부터 검색 및 검출한다. 이후, 음원 DNA 서버는 검출한 음악을 헤드폰의 서비스 수신부(20) 및/또는 LTE 모듈(10)로 전송하고, 헤드폰은 전송된 외부 음악을 수신한다 (S850).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검출한 외부 음악을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서 헤드폰이 꺼져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폰의 음악 찾기 버튼을 조작한 경우, 헤드폰의 전원이 온되고, LTE 모듈(10)은 인증서버(200)와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LTE 모듈(10) 또는 서비스 송수신부(20)에서 음원 DNA 정보를 음원 DNA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LTE 네트워크 상에서 음악찾기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헤드폰이 켜져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폰의 음악 찾기 버튼을 조작한 경우에는, 헤드폰이 인증 서버와 인증과정을 수행한 경우에는 다시 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나, 해당 인증 서버와 인증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인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드폰에서 외부 소음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헤드폰(100)을 통해 음악을 감상하거나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외부의 소음이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마이크(8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을 감지할 수 있다. 헤드폰이 외부소음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1) 사용자가 외부 소음 감지 버튼을 누르거나, (2) 외부 소음 감지를 위한 터치패트를 조작하거나, (3) 헤드폰이 켜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외부 소음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시간은 짧게는 5초 내지 30초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S910).
프로세서(60)는 감지한 외부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현재 헤드폰의 볼륨과 그 측정된 크기를 비교한다 (S920).
만약, 외부 소음이 헤드폰의 볼륨에 비해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 최적의 청취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외부 소음을 고려하여 헤드폰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S930).
예를 들어,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측정한 외부 소음에 비해 기저장된 일정한 크기로 볼륨을 키움으로써 최적의 청취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측정한 외부 소음에 비례하여 볼륨을 키움으로써 사용자가 외부 소음에 불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음량으로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소음이 0인 경우 사용자가 30dB의 볼륨으로 음악을 청취하는 상황에서, 외부 소음이 15dB로 측정된 경우 헤드폰은 45dB로 볼륨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체감하는 볼륨이 원래 설정한 30dB인 것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소음에 불구하고 일정한 크기로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다만, 외부 소음이 너무 큰 경우에도 이에 따라 헤드폰의 볼륨을 더욱 높이면, 사용자의 청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추가로 높이는 헤드폰의 볼륨량은 사람의 청취 한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외부 소음이 너무 커 음악청취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오히려 볼륨을 높이지 않고 사용자에게 외부 소음이 너무 큰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이 너무 큰 경우에는 TTS 엔진을 구동하여 소음이 너무 크므로 음악 재생을 잠시 멈출 것을 사용자에 알려줄 수 있다.
헤드폰이 외부 소음을 고려하여 볼륨을 조절하는 대상으로는 음악 플레이어, 고감도 마이크, TTS 엔진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LTE 모듈
20: 서비스 송수신부
30: 근거리 통신 모듈
40: TTS 엔진
50: 메모리
60: 프로세서
70: 스피커
80: 마이크
90: 베터리
95: 전원부
11:
12: LTE 안테나 모듈
13: RF 연동모듈
14: 연결제어부
15: 메모리
16: 프로세서
121: 주파수 송신부
122: 주파수 수신부
123: 주파수 인터페이스부
41: 이어버드
411: 드라이버
412: 배플
413: 하우징
51: 진동판
52: 충전지

Claims (32)

  1.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LTE 모듈;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송수신부;
    음성 및/또는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외부 소음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LTE 모듈, 상기 서비스 송수신부,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헤드폰의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LTE 네트워크에서 상기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헤드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는 음악 곡 정보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헤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TE 모듈은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LTE 안테나 모듈;
    상기 LTE 안테나 모듈과 연동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연동모듈; 및
    상기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상기 헤드폰 식별자 및/또는 통신사별 주파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헤드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는 상기 인증정보를 더 포함하는, 헤드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곡 정보 및/또는 상기 플레이 리스트가 나타내는 음악들은 상기 헤드폰이 상기 LTE 네트워크에서 고유하게 인증되는 경우 가장 높은 품질의 코딩률로 코딩되어 전송되는, 헤드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는 코딩률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악 곡 정보 및/또는 상기 플레이 리스트가 나타내는 음악들은 상기 코딩률 정보에 따라 코딩되어 전송되는, 헤드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은 문자음성 자동변환(TTS) 엔진을 더 포함하고,
    상기 TTS 엔진은 현재 플레이되는 음원 또는 플레이 리스트가 어떠한 것인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헤드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은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음원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헤드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용량이 모두 찬 경우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LTE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한 음원들을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가상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헤드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은 음악 찾기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악 찾기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제어하여 소정 시간 동안 외부 음악을 감지하고, 헤드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감지된 상기 외부 음악의 DNA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외부 음악의 DNA에 대한 음원 DNA 정보를 상기 LTE 모듈 또는 상기 서비스 송수신부를 통해 음원 DNA 서버로 전송하는, 헤드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DNA 정보는 각 음악의 고유 멜로디에 대한 정보 및/또는 고유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드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외부 소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소음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헤드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볼륨은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일정하게 조절되는, 헤드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볼륨은 상기 외부 소음을 검출하기 이전의 볼륨량에 상기 외부 소음의 크기만큼 더 키우거나 낮추도록 조절되는, 헤드폰.
  15.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LTE 모듈을 포함하는 헤드폰;
    상기 헤드폰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서버;
    상기 헤드폰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악 감상 서버; 및
    상기 헤드폰에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 서버, 상기 음악 감상 서버 및 상기 다운로드 서버는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헤드폰과 광대역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헤드폰으로부터 상기 LTE 네트워크에서 상기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헤드폰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헤드폰과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음악 감상 서버는 상기 헤드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다운 로드 서버는 상기 헤드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및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는 동시에 또는 별개로 제공되는, 시스템.
  16. 헤드폰이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LTE 네트워크에서 상기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헤드폰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음악 곡 정보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서비스는 스트리밍 서비스 및/또는 다운로드 서비스인, 음원 서비스 수신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는 상기 헤드폰의 상기 LTE 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음원 서비스 수신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는 상기 인증정보를 더 포함하는, 음원 서비스 수신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곡 정보 및/또는 상기 플레이 리스트가 나타내는 음악들은 상기 헤드폰이 상기 LTE 네트워크에서 고유하게 인증되는 경우 가장 높은 품질의 코딩률로 코딩되어 제공되는, 음원 서비스 수신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는 코딩률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악 곡 정보 및/또는 상기 플레이 리스트가 나타내는 음악들은 상기 코딩률 정보에 따라 코딩되어 제공되는, 음원 서비스 수신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현재 플레이되는 음원 또는 플레이 리스트가 어떠한 것인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원 서비스 수신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에 포함되는 메모리의 용량이 모두 찬 경우에는,
    다운로드한 음원들을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가상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원 서비스 수신방법.
  23. 헤드폰이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찾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악 찾기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마이크를 통해 소정 시간 동안 외부 음악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외부 음악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상기 외부 음악의 DNA에 대한 음원 DNA 정보를 LTE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DNA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 수행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DNA 정보는 각 음악의 고유 멜로디에 대한 정보 및/또는 고유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 수행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LTE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와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 수행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과정에서 상기 LTE 모듈은 상기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헤드폰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 수행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DNA 정보에 해당하는 음악을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 수행방법.
  28. 헤드폰이 외부 소음에 따라 볼륨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외부 소음과 현재 음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소음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볼륨 조절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피커의 볼륨은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일정하게 조절되는, 볼륨 조절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피커의 볼륨은 상기 외부 소음을 검출하기 이전의 볼륨량에 상기 외부 소음의 크기만큼 더 키우거나 낮추도록 조절되는, 볼륨 조절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외부 소음 조절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륨 조절 방법은 상기 외부 소음 조절 버튼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만 수행되는, 볼륨 조절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조절 방법은 상기 헤드폰이 켜져있는 동안 외부 소음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수행되는, 볼륨 조절 방법.
KR1020140175672A 2014-12-09 2014-12-09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음악 서비스 수신 방법 KR10172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672A KR101729492B1 (ko) 2014-12-09 2014-12-09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음악 서비스 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672A KR101729492B1 (ko) 2014-12-09 2014-12-09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음악 서비스 수신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458A Division KR101830795B1 (ko) 2017-02-28 2017-02-28 음원 찾기 서비스 수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723A true KR20160069723A (ko) 2016-06-17
KR101729492B1 KR101729492B1 (ko) 2017-05-02

Family

ID=5634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672A KR101729492B1 (ko) 2014-12-09 2014-12-09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음악 서비스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607B1 (ko) * 2017-12-27 2019-04-23 주식회사 이엠텍 무선 음향 변환 장치
CN116846429A (zh) * 2023-07-07 2023-10-03 苏州墨觉智能电子有限公司 耳机间的近场通信方法、装置、耳机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791A (ko) 2004-09-27 2007-05-25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광전자 박막 칩
KR20110131247A (ko) 2009-02-27 2011-12-06 파운데이션 프로덕션, 엘엘씨 헤드셋 기반 원격통신 플랫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013B2 (ja) * 1997-03-31 2001-02-05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超伝導量子干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破壊検査装置
KR101382553B1 (ko) * 2013-02-27 2014-04-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상황 인지 리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791A (ko) 2004-09-27 2007-05-25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광전자 박막 칩
KR20110131247A (ko) 2009-02-27 2011-12-06 파운데이션 프로덕션, 엘엘씨 헤드셋 기반 원격통신 플랫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607B1 (ko) * 2017-12-27 2019-04-23 주식회사 이엠텍 무선 음향 변환 장치
CN116846429A (zh) * 2023-07-07 2023-10-03 苏州墨觉智能电子有限公司 耳机间的近场通信方法、装置、耳机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492B1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852B2 (en) System with wireless earphones
CN104185130B (zh) 具有空间信号增强的助听器
US20080031470A1 (en) Remote speaker controller with microphone
US9525954B2 (en) Audio device and audio producing method
KR101729492B1 (ko)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음악 서비스 수신 방법
KR101672455B1 (ko) 인체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청음기 및 이를 위한 데이터 제어방법
KR101830795B1 (ko) 음원 찾기 서비스 수행방법
US1180030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hearing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hearing device and external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135591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마이크 시스템
US20220295287A1 (en) Remote device pairing
CN113905124A (zh) 音频控制方法、电子设备和音频播放系统
US11700653B2 (en) Context-based wireless-protocol connections
KR100773499B1 (ko)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73380A1 (en) Adaptation of hearing device parameters using ultrasound signal transmitters, hearing device and system
KR20150101102A (ko)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