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499B1 -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499B1
KR100773499B1 KR1020060063959A KR20060063959A KR100773499B1 KR 100773499 B1 KR100773499 B1 KR 100773499B1 KR 1020060063959 A KR1020060063959 A KR 1020060063959A KR 20060063959 A KR20060063959 A KR 20060063959A KR 100773499 B1 KR100773499 B1 KR 100773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icro speaker
server
operating frequency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희수
신판섭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손희수
신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손희수, 신판섭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3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피커의 음질저하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네트워크 전송 트래픽을 방지하고 모바일 단말기측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도록 된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와, 측정된 임피던스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공진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공진주파수를 기반으로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재생 가능한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주파수를 연산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서 연산된 동작주파수 정보를 상기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서버에는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무선 음성신호를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동작주파수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수신된 동작주파수 정보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송신될 음성신호 중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재생 불가능한 동작주파수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사전에 컷오프하는 어댑테이션 모듈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바일 단말기, 마이크로 스피커, 임피던스 측정부, 어댑테이션 모듈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Dynamic frequency filtering system and method of micro speaker unit for mobile terminal device}
도 1은 마이크로 스피커가 장착된 모바일 단말기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모바일 단말기에 음성신호가 전송되는 일예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 특성을 보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예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서버 52 : 송수신모듈
54 : 어댑테이션 모듈 56 : 데이터베이스
60 : 무선 네트워크 70 : 모바일 단말기
72 : 마이크로 스피커 74 : 임피던스 측정부
76 : 패턴 분석부 78 : 컨트롤러
80 : 무선 송신부 82 : 무선 수신부
84 : 디코더 86 : DA컨버터
88 : 증폭부 90 : 셀렉터
92 : 스트림 신호 발생부 94 : 신호 전달부
96 : AC전압 변환부 98 : AD컨버터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음성신호의 양을 최적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재생 불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컷오프한 최적화된 음성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에 따른 네트워크 전송 트래픽을 방지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한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2)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피커(1)가 장착된다. 마이크로 스피커(1)는 마그네트 둘레로 권취된 보이스코일에 전기적신호를 인가하면, 보이스코일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력과 마그네트의 자기력 상호간에 흡인 및 반발작용이 발생되어 진동판을 진동시킴으로써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종래 모바일 단말기에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일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모바일 단말기에서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 통상, 셀룰라폰, PDA, PMP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2)는 다양한 서버(2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30)를 통해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음성신호는 전화통화를 위한 음성데이터, 음악파일, 동영상파일에 포함된 음성신호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특히 최근의 유비쿼터스 환경의 모바일 단말기(2)들은 언제 어디서나 근접 네트워크망에 접속되어 동작하도록 설계되고, 다양한 콘텐츠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3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전송 트래픽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전송 트래픽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음성신호를 축소시키거나 압축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음성신호를 축소시키거나 압축시키는 과정에서 음질의 손상이 불가피하며, 이에 따라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 즉, 네트워크 전송 트래픽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성신호를 축소시키는 방법은 바람직한 해결책이라 할 수 없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2)에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은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10)와, 수신된 음성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12)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14)와,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6)와,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피커(1)로 구성된다. 이때, 점차 컴팩트하게 설계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2)의 특성상, 마이크로 스피커(1)는 소형, 경량화를 지향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피커(1)는 실제 재생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매우 좁아 다양한 대역폭의 음성신호를 정상적으로 출력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에서와 같이, 마이크로 스피커(1)의 임피던스가 최고치를 보이는 지점의 주파수가 공진주파수(fr)인데, 마이크로 스피커(1)는 그 특성상 공진주파수 이하의 저역대를 재생하지 못한다.
하지만, 각기 다른 네트워크의 다양한 서버(20)들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들은 마이크로 스피커(1)에서 재생하지 못하는 저역대 주파수의 음성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에서는 실제 재생하지 못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포함한 방대한 양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게 되며, 이는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증폭부(16)에서 소비전력이 커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증폭부(16)에서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면, 모바일 단말기(2)의 저전력 소비형 설계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재생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이를 서버측으로 전송하면, 서버측에서는 재생 불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컷오프한 최적화된 동작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마이크로 스피커의 음질 저하를 방지하면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하여 네트워크 전송 트래픽을 방지하며, 모바일 단말기 측에서는 보다 적은 양의 음성신 호를 수신하여 증폭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은,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와, 측정된 임피던스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공진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공진주파수를 기반으로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재생 가능한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주파수를 연산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서 연산된 동작주파수 정보를 상기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서버에는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무선 음성신호를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동작주파수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수신된 동작주파수 정보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송신될 음성신호 중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재생 불가능한 동작주파수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사전에 컷오프하는 어댑테이션 모듈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임피던스 측정부와 컨트롤러 사이에는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측정값에 따른 주파수 대역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가 더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입력단에 설치되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와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셀렉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셀렉터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 측정과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신호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컨트롤러의 명령에 따라 스트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트림 신호 발생부와, 발생된 스트림 신호를 마이크로 스피커에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와, 마이크로 스피커의 출력을 AC전압으로 변환하는 AC전압 변환부와, AC전압 변환부의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방법은,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동작주파수를 연산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연산된 마이크로 스피커의 동작주파수 정보를 상기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버에서 마이크로 스피커의 동작주파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전송되는 음성신호 중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재생 불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컷오프하는 단계; (d) 상기 서버에서 컷오프된 주파수 대역의 음성신호를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컷오프된 주파수 대역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a)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 측정값에 따른 주파수 대역 패턴을 분석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동작주파수를 연산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도 4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음성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서버(50)와, 무선 네트워크(60)를 통해 서버(50)에 접속되어 음성신호를 수신하며 마이크로 스피커(72)를 통해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모바일 단말기(70)로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70)는 셀룰라폰, PDA, PMP 등과 같은 이동통신수단 혹은 무선 콘텐츠 재생수단이며, 상기 서버(50)는 이동통신 사업자측 서버, 무선 ISP서버, 혹은 무선 콘텐츠 제공서버이다. 상기 서버(50)에서는 이동통신을 위한 음성데이터 및 MP3, MPEG 동영상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콘텐츠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서버(50)와 모바일 단말기(70)간 음성신호를 통신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50)에는 모바일 단말기(70)측으로 무선 음성신호를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70)측으로부터 마이크로 스피커(72)의 동작주파수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모듈(52)과, 수신된 동작주파수 정보를 참조하여 음성신호 중에서 해당 모바일 단말기(70)의 마이크로 스피커(72)에서 재생 불가능한 공진주파수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전에 컷오프하는 어댑테이션 모듈(54)이 구비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70)에는 마이크로 스피커(72)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74), 측정된 임피던스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72)의 주파수 대역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76), 주파수 패턴을 참조하여 마이크로 스피커(72)의 동작주파수를 연산하는 컨트롤러(78), 마이크로 스피커(72)의 동작주파수 정보를 서버(50)측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8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모바일 단말기(70)의 컨트롤러(78)는 유후시간에 주기적으로 또는 서버(50)측으로부터 접속이 시도될 때,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74)를 통해 마이크로 스피커(72)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마이크로 스피커(72)의 동작주파수를 연산한다. 이때, 컨트롤러(78)에서 임피던스 측정부(74)의 출력을 직접 분석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측정부(74)의 출력단에 연결된 패턴 분석부(76)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대비되는 주파수 패턴을 분석하고, 패턴 분석부(76)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이크로 스피커(72)의 동작주파수를 검출한다. 예컨대, 패턴 분석부(76)는 마이크로 스피커(72)들이 갖는 주파수 곡선의 패턴들을 저장하고, 임피던스 측정부(74)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값과 일치되는 주파수 패턴의 정보를 컨트롤러(78)에 전달하며, 컨트롤러(78)는 패턴 분석부(76)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매치되는 동작주파수 곡선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동작주파수 정보를 출력한다. 동작주파수 정보는 서버(50)측에서 이용될 인코딩 파라미터 형태로 출력되며, 무선 송신부(80)를 통해 서버(50)측으로 전송된다.
서버(50)의 송수신모듈(52)은 모바일 단말기(70)로부터 인코딩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어댑테이션 모듈(54)은 인코딩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70)에 전송할 음성신호의 주파수 범위와 비트 레이트(Bit Rate), 샘플링 주파수 등을 결정한다. 그리고, 전체 주파수에서 동작주파수 범위값 이외의 영역들을 컷오프 한다. 이와 같은 어댑테이션 모듈(54)의 작동은 인코딩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프로그램화되어 작동되며, 어댑테이션 모듈(54)에서 소정 범위의 주파수 대역이 컷오프된 음성신호는 송수신모듈(52)을 통해 인코딩 파라미터를 발송한 모바일 단말기(70)의 무선 인터넷 주소를 향해 발송된다. 일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기(70)의 무선 인터넷 주소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70)의 인코딩 파라미터가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56)에 저장되어 차후 해당 모바일 단말기(70)에 음성신호를 전달할 때 참조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모바일 단말기(70)의 마이크로 스피커(72)는 모바일 단말기(70)의 이용자가 이어폰 또는 자체 스피커로 출력을 변경할 경우와 같이 외부 요인에 의해 임피던스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단말기(70)와 서버(50)간 접속이 이루어질 때 뿐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70)의 유휴시간 동안, 또는, 모바일 단말기(70)의 재생장치 설정이 변경될 때마다 컷오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도 5는 모바일 단말기(70)측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50)로부터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구성품을 통칭하여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이라 지칭한다. 도 5에 도시된 마이크고 스피커 유닛의 상세 구성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은 통상의 모바일 단말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버(5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60)를 통해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82)와, 수신된 음성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84)와, 디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86)와, 컨버팅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88) 및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피커(72)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마이크로 스피커(72)와 증폭부(88)의 출력 또는 임피던스 측정부(74)와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셀렉터(90)가 구비된다. 셀렉터(90)는 컨트롤러(78)에 의해 제어되어, 마이크로 스피커(72)의 입력단에서 임피던스 측정부(74)와의 연결 또는 증폭부(88)와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컨트롤러(78)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서버(50)로부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초기에 마이크로 스피커(72)에 임피던스 측정부(74)가 연결되도록 셀렉터(90)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이후, 컨트롤러(78)가 동작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파라미터를 출력하면, 증폭부(88)의 출력이 마이크로 스피커(72)를 통해 출력되도록 셀렉터(90)를 스위칭 제어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74)는 다양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스피커(72)의 임피던 스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잘 알려진 임피던스 측정방법으로, 전압 분배법과 전류소스 측정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임피던스 측정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인 블록도로서, 전압 분배법에 의해 마이크로 스피커(72)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임피던스 측정부(74)는 스트림 신호 발생부(92), 발생된 스트림 신호를 마이크로 스피커(72)에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94), 마이크로 스피커(72)에서 검출된 신호를 AC전압으로 변환하는 AC전압 변환부(96), AC전압 변환부(96)의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98)로 구성된다. 일예로서, 컨트롤러(78)는 셀렉터(90)를 스위칭하여 마이크로 스피커(72)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스트림 신호 발생부(92)측에 스트림 신호 발생을 명령한다. 그러면, 스트림 신호 발생부(92)는 대략 20Hz~20kHz 대역의 스트림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후, 신호 전달부(94)는 스트림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증폭하여 마이크로 스피커(72)에 전달한다. 그리고, AC전압 변환부(96)는 마이크로 스피커(72)의 보이스코일 양단에서 임피던스의 변화에 대응되는 AC 전압값을 출력하며, 이는 AD컨버터(98)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패턴 분석부(76)에 제공된다. 이때, 스트림 신호 발생부(92)에서 출력된 스트림 신호에 대응되는 AD컨버터(98)의 출력을 측정해야 하므로, 스트림 신호 발생부(92)는 AD컨버터(98)에 동기신호를 부여하여 스트림 신호와 AD컨버터(9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간 동기를 맞춘다. 또한, 신호 전달부(94)의 출력단에는 임피던스 측정시 참고를 위해 마이크로 스피커(72)의 플러스단자와의 사이에 저항이 연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70)는 유휴시간 동안, 또는, 이어폰이나 자체스피커 등의 재생장치 설정이 변경될 때마다 임피던스 측정부(74)를 통해 마이크로 스피커(72)의 임피던스 특성을 측정하며(ST100), 컨트롤러(78)는 측정된 임피던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스피커(72)의 동작주파수를 연산한다. 이후, 모바일 단말기(70)와 서버(50)간 통신을 위해 서버(50)에서 모바일 단말기(70)측으로 접속이 시도되면(ST110), 컨트롤러(78)는 동작주파수를 인코딩 파라미터 형태로 출력하여, 무선 송신부(80)를 통해 서버(50)측으로 전송한다(ST120). 이때, 다른 예로서, 서버(5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70)측으로 접속이 시도되는 초기에, 모바일 단말기(70)의 컨트롤러(78)가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동작주파수를 연산하고, 서버(50)측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70)측에서 마이크로 스피커(72)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동작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은 서버(50)와의 접속이 시도되기 전 또는 후에 행해질 수 있는 플로우이다.
이후, 서버(50)의 어댑테이션 모듈(54)은 송수신모듈(52)을 통해 수신된 인코딩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70)로 전송될 음성신호 중 동작주파수 범위 이외의 주파수를 컷오프한다(ST130). 이후부터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70)로는 어댑테이션 모듈에 의해 소정 주파수 대역이 컷오프된 음성신호가 전송되며(ST140), 모바일 단말기(70)는 이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ST150).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70)측의 마이크로 스피커(72)의 임피던스 특성을 측정하여, 마이크로 스피커(72)에서 실제 재생 가능한 주파수 대역 을 추출하고, 재생되지 않는 주파수 영역의 음성신호를 컷오프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70)의 사용자가 실제 청감상 느끼는 음질의 저하는 방지하면서, 무선 네트워크(60)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의 데이터양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이는 종래 음성신호 데이터양을 줄이기 위한 축소 또는 압축기술이 음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을 극복하고, 네트워크 전송 트래픽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70)측에서는 비교적 전력소비가 높았던 구성품인 증폭부(88)에서 부담할 음성신호가 축소되므로,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전력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모바일 단말기(70)의 저전력 소비형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측에서 마이크로 스피커가 실제 재생 불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음성신호를 검출하여 서버측으로 전송하고, 서버에서는 실제 재생되지 않는 영역의 주파수를 사전에 컷오프하여 음성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측의 청감상 음질저하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음성신호의 데이터양을 최소화시켜, 네트워크 전송 트래픽을 방지하 고, 모바일 단말기측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다양한 콘텐츠들이 도입될 경우, 네트워크 전송 트래픽을 방지함은 물론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높여 무선 네트워크 시장을 더욱 활발하게 가속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의 저전력 소비형 설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와, 측정된 임피던스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공진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공진주파수를 기반으로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재생 가능한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주파수를 연산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서 연산된 동작주파수 정보를 상기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서버에는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무선 음성신호를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동작주파수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수신된 동작주파수 정보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송신될 음성신호 중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재생 불가능한 동작주파수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사전에 컷오프하는 어댑테이션 모듈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임피던스 측정부와 컨트롤러 사이에는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측정값에 따른 주파수 대역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 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입력단에 설치되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와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셀렉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셀렉터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 측정과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신호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컨트롤러의 명령에 따라 스트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트림 신호 발생부와, 발생된 스트림 신호를 마이크로 스피커에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와, 마이크로 스피커의 출력을 AC전압으로 변환하는 AC전압 변환부와, AC전압 변환부의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시스템.
  5.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동작주파수를 연산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연산된 마이크로 스피커의 동작주파수 정보를 상기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버에서 마이크로 스피커의 동작주파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전송되는 음성신호 중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재생 불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컷오프하는 단계;
    (d) 상기 서버에서 컷오프된 주파수 대역의 음성신호를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컷오프된 주파수 대역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임피던스 측정값에 따른 주파수 대역 패턴을 분석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동작주파수를 연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 필터링 방법.
KR1020060063959A 2006-07-07 2006-07-07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773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959A KR100773499B1 (ko) 2006-07-07 2006-07-07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959A KR100773499B1 (ko) 2006-07-07 2006-07-07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499B1 true KR100773499B1 (ko) 2007-11-05

Family

ID=3906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959A KR100773499B1 (ko) 2006-07-07 2006-07-07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4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65A (ja) * 1996-07-12 1998-01-27 Kao Corp 新規β−ヒドロキシカルボン酸及びこれを含有する香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65A (ja) * 1996-07-12 1998-01-27 Kao Corp 新規β−ヒドロキシカルボン酸及びこれを含有する香料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1998-02526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463B1 (ko) 디바이스의 주변 노이즈 레벨에 기초하여 오디오 코딩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EP1402398B1 (en) On-line music data providing system via bluetooth headset
EP2039135B1 (en) Audio processing in communication terminals
US7860458B2 (en) Audio transmitting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031470A1 (en) Remote speaker controller with microphone
WO2006055058A1 (en) Normalizing the loudness of audio recordings
KR20110110847A (ko) 오디오 프로세싱 성능을 갖는 디바이스의 동적 프러버저닝
CN104184894A (zh) 一种卡拉ok的实现方法及系统
US9525954B2 (en) Audio device and audio producing method
US20060080092A1 (en)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WO2021160040A1 (zh) 音频传输方法及电子设备
CN105704607A (zh) 用于切换耳机模式的方法及设备
JP5115120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音声出力装置
CN110366752B (zh) 一种语音分频传输方法、源端、播放端、源端电路和播放端电路
KR100773499B1 (ko)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동작주파수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9791771A (zh) 降低声学设备中的编解码器噪声
KR100749445B1 (ko) 모바일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
KR100644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송, 수신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JP3431375B2 (ja) 携帯型端末装置及びデータ送信方法及び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KR100604583B1 (ko)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 레벨 특성 변환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CN114157942B (zh) 一种控制真实无线立体声的音响系统的方法及系统
KR101830795B1 (ko) 음원 찾기 서비스 수행방법
JP4924476B2 (ja) 音楽再生システム
KR100689459B1 (ko) 외부 음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fm트랜스미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7174210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音声品質向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