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102A -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102A
KR20150101102A KR1020140022351A KR20140022351A KR20150101102A KR 20150101102 A KR20150101102 A KR 20150101102A KR 1020140022351 A KR1020140022351 A KR 1020140022351A KR 20140022351 A KR20140022351 A KR 20140022351A KR 20150101102 A KR20150101102 A KR 20150101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listening
value
portable terminal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가리이노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가리이노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가리이노비젼
Priority to KR102014002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1102A/ko
Publication of KR2015010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 재생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선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진동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실제 청취되는 청취 음향값에 따라 진동 스피커의 출력 음향값이 유기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휴대용 음향 재생부를 소지한 사용자가 청취 공간 내지 위치를 임의 변경하더라도 항시 동일한 청취 음향값으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Sound system using vibration speaker}
본 발명은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 재생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선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진동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Information Technology)분야에서 컨버젼스(Digital Convergence)는 디지털 기술 기반의 여러 제품이나 서비스가 융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나 서비스로 탄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컨버젼스는 서로 다른 두 기능을 가진 기기를 하나의 기기에 융합하여 제품형태로 제공하는 의미에서부터 하나의 기기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다른 기기 혹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기기와 기기, 기기와 서비스, 서비스와 서비스 융합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최근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거의 모든 휴대전화에 블루투스 기술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었으며, 지원 장치도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아졌다.
그 중에서도 단연 음향기기가 많은 수를 차지하는데, 전화 통화나 메시지 전송 이외에 스마트폰으로 하는 작업 중 음악이나 영상 감상이 큰 몫을 차지하는데다가 케이블 연결의 번거로움도 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블루투스 스피커는 작은 사이즈에 대용량 내장형 배터리 사용으로 사용시간이 길어졌을 뿐만 아니라 터보우퍼 기능까지 겸비 하여 작지만 진동을 이용한 사운드로 대형 스피커에 버금가는 좋은 음질로 공간 활용을 높여 주고 고객의 요구를 충족 시켜주고 있다.
한편, 음향의 청취는 설정 지점에서 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 실내에서 음향을 청취하다 보면 청취하는 사용자가 이동하여 위치를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실제 청취하는 실 청취음향이 설정 지점에서 설정된 청취음향 보다 작거나 커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 음향시스템은 안정된 음향의 청취를 위해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음향의 세기를 재 설정하거나, 진동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매번 재 조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 재생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선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진동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실제 청취되는 음향 청취값에 따라 진동 스피커의 음향 출력값이 유기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휴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청취 공간 내지 위치를 임의 변경하더라도 항시 동일한 음향 청취값으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선 수신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진동 스피커와; 내부 기록, 또는 무선 수신된 음향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페어링된 진동 스피커로 송출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진동 스피커를 페어링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진동 스피커에 의해 송출되어 실제 청취되는 음향값을 취득하는 청취값 계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 스피커는, 휴대 단말기를 페어링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전송된 음향신호를 설정된 음향 출력값에 따라 재생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청취값 계측부에서 계측된 실청취값에 따라 음향 출력부의 음향 출력값을 변경하는 음향 제어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진동 스피커는 음향 제어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청취값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실청취값에 따라 진동 스피커의 음향 출력값을 변경시켜서, 사용자가 이동한 지점에 최초 설정된 청취 음향값의 음향이 청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진동 스피커에는 블루투스 방식의 근거리 통신모듈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청취값 계측부는 통화부의 내장 마이크를 통해 진동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수득하여, 실청취값을 계측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에서 실제 청취되는 실청취값에 따라 진동 스피커의 음향 출력값이 유기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한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청취 위치를 임의 변경하더라도, 항시 동일한 청취값으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청취 공간이나 위치를 변경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나 진동 스피커의 출력 음향값을 수동으로 변경하는 번거로움 없이 항시 사용자는 동일한 청취값으로 음향을 안정되게 청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테그 인식부를 통해 NFC 테그부를 인식하여 페어링 정보를 수득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설정하여 진동 스피커와 페어링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 단말기와 진동 스피커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 단말기와 진동 스피커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1)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선 수신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진동 스피커(10)와; 내부 기록, 또는 무선 수신된 음향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페어링된 진동 스피커(10)로 송출하는 휴대용 단말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동 스피커(10)는, 휴대 단말기(20)를 페어링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21)와; 상기 휴대 단말기(20)에서 전송된 음향신호를 설정된 음향 출력값에 따라 진동 스피커부(15)를 통해 재생하는 음향 출력부(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20)로는 통화부(24)를 구성하는 내장 마이크(24a)와 내장 스피커(24b)를 통해 통화기능을 수행하고, 음향 재생부(25)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스마트폰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20)와 진동 스피커(10)의 양방향 통신을 구현하는 근거리 통신부(11, 21)는 통상 블루투스 방식으로 이루어져, 이들 휴대 단말기(20)와 진동 스피커(10)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 스피커(10)에는 페어링 정보가 기록된 NFC 테크부(12)가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20)는 테그 인식부(23)을 통해 진동 스피커(10)의 NFC 테크부(12)를 인식하여 페어링 정보를 수득하여서, 진동 스피커(10)의 근거리 통신부(11)와 자동으로 페어링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1)은 기본적으로 휴대 단말기(20)가 음향 재생부(25)를 통해 메모리 등지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재생한 다음 상기 재생된 음향신호를 근거리 통신부(21)를 통해 페어링된 진동 스피커(10)에 전송하면, 상기 진동 스피커(10)는 음향 출력부(13)를 통해 전송된 음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20)와 진동 스피커(10)를 통한 음향 신호의 출력과정은 주지관용의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1)을 구현함에 있어, 휴대 단말기(20)에서 실제 청취되는 청취 음향값에 따라 진동 스피커의(10) 음향 출력값이 유기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휴대 단말기(20)를 소지한 사용자가 청취위치를 임의 변경하더라도 최초 설정된 실청취값으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20)에 상기 진동 스피커(10)에 의해 송출되어 실제 청취되는 음향값을 취득하는 청취값 계측부(22)를 더 부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취값 계측부(22)는 통화부(24)를 구성하는 내장 마이크(24a)를 통해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에서 청취되는 음향의 실청취값을 계측하도록 구성하여, 별도 음향값의 취득을 위한 내장 마이크를 부가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 스피커(10)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20)의 청취값 계측부(22)에서 계측된 실청취값에 따라 음향 출력부(13)의 음향 출력값을 변경하는 음향 제어부(14)가 더 부가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스피커(10)는 음향 제어부(14)를 통해, 휴대 단말기(20)의 청취값 계측부(22)에 의해 계측된 실청취값에 따라 진동 스피커(10)의 음향 출력값을 변경시켜서, 사용자가 이동한 지점에 최초 설정된 청취 음향값의 음향을 청취하도록 한다.
즉, 휴대 단말기(20)를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진동 스피커(10)와 휴대 단말기(20) 사이의 거리가 최초 거리보다 멀어져 청취값 계측부(22)에 의해 계측된 실청취값이 최초 설정된 청취값 보다 감소하면, 음향 제어부(14)는 음향 출력부(13)의 출력을 높여 이동 지점의 실청취값이 최초 설정된 청취값이 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휴대 단말기(20)를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진동 스피커(10)와 휴대 단말기(20) 사이의 거리가 최초 거리보다 가까워져 청취값 계측부(22)에 의해 계측된 실청취값이 최초 설정된 청취값 보다 증가하면, 음향 제어부(14)는 음향 출력부(13)의 출력을 감소시켜 이동 지점의 실청취값이 최초 설정된 청취값이 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원 청취 시스템(1)은 청취 공간이나 위치를 변경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20)나 진동 스피커(10)의 출력 음향값을 수동으로 변경하는 번거로움 없이 항시 사용자는 동일한 청취 음향값으로 음향을 안정되게 청취할 수 있다.
1.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원 청취 시스템
10. 진동 스피커 11. 근거리 통신부
12. NFC 테크부 13. 음향 출력부
14. 음향 제어부 15. 진동 스피커부
20. 휴대용 단말기 21. 근거리 통신부
22. 청취값 계측부 23. 테그 인식부
24. 통화부 24a. 내장 마이크
24b. 내장 스피커 25. 음향 재생부

Claims (3)

  1.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선 수신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진동 스피커와; 내부 기록, 또는 무선 수신된 음향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페어링된 진동 스피커로 송출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진동 스피커를 페어링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진동 스피커에 의해 송출되어 실제 청취되는 음향값을 취득하는 청취값 계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 스피커는, 휴대 단말기를 페어링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전송된 음향신호를 설정된 음향 출력값에 따라 재생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청취값 계측부에서 계측된 실청취값에 따라 음향 출력부의 음향 출력값을 변경하는 음향 제어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진동 스피커는 음향 제어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청취값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실청취값에 따라 진동 스피커의 음향 출력값을 변경시켜서, 사용자가 이동한 지점에 최초 설정된 청취 음향값의 음향이 청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진동 스피커에는 블루투스 방식의 근거리 통신모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청취값 계측부는 통화부의 내장 마이크를 통해 진동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수득하여, 실청취값을 계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KR1020140022351A 2014-02-26 2014-02-26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KR20150101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51A KR20150101102A (ko) 2014-02-26 2014-02-26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51A KR20150101102A (ko) 2014-02-26 2014-02-26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02A true KR20150101102A (ko) 2015-09-03

Family

ID=5424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351A KR20150101102A (ko) 2014-02-26 2014-02-26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11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793B1 (ko) 스마트 보청기
CN108886647B (zh) 耳机降噪方法及装置、主耳机、从耳机及耳机降噪系统
CN104012111B (zh) 超小型耳机
CN108399917B (zh) 语音处理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139198A (ko) 이어폰 무선 통신 방법, 마스터 이어폰, 슬레이브 이어폰 및 이어폰 시스템
KR101071540B1 (ko) 자동으로 페어링 되는 교실용 무선 마이크 시스템
KR101381289B1 (ko)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셋
US20180035207A1 (en) Monitoring and hearing aid headphone intercom system
CN103686516A (zh) 一种可共享音频的蓝牙耳机及其控制方法
US20130223631A1 (en) Engaging Terminal Devices
CN106210365B (zh) 电话会议音量调整方法及系统
CN105049977A (zh) 一种耳机音量自动调节方法及装置
US20180279048A1 (en) Binaural recording system and earpiece set
KR10145001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 사용자 보조 장치
US20220286538A1 (en) Earphon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886735B1 (ko) 스테레오 무선이어폰이 구비된 블루투스 웨어러블 워치
KR101552830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헤드셋 구현 방법
US20160057527A1 (en) Binaural recording system and earpiece set
US20210306448A1 (en) Controlling audio output
CN115175159A (zh) 一种蓝牙耳机播放方法及设备
KR101664195B1 (ko) 스피커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JP2007013407A (ja) 音像定位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端末上における音像定位方法
KR20150101102A (ko)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JP3144831U (ja) ステレオ出力可能なワイヤレス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20150144400A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