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686A -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686A
KR20160069686A KR1020140175575A KR20140175575A KR20160069686A KR 20160069686 A KR20160069686 A KR 20160069686A KR 1020140175575 A KR1020140175575 A KR 1020140175575A KR 20140175575 A KR20140175575 A KR 20140175575A KR 20160069686 A KR20160069686 A KR 20160069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breaker
park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781B1 (ko
Inventor
안상면
김일규
Original Assignee
시흥시시설관리공단
(주)토마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흥시시설관리공단, (주)토마토전자 filed Critical 시흥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14017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7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01F13/06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자는 작업영역을 벗어나더라도 관리자 휴대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차단기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돌발 상황 발생 시 관리자가 이를 신속하게 인지 및 대응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작업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용이하게 주차차단기를 제어할 수 있고, 주차차단기 제어장치가 데이터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패킷을 분석하는 데이터패킷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패킷 분석부는 분석된 데이터패킷에 리셋명령 데이터가 포함되면 제어부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모터의 디코딩부로 리셋명령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제어부의 오동작 및 고장으로 인해 차단바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차단바를 승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단바의 폐쇄로 인한 2차 피해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parking crossing gate of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휴대단말기를 통해 주차차단기의 상태 및 돌발 상황의 모니터링이 가능함과 동시에 돌발 상황 발생 시 이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돌발 상황의 장시간 방치에 따른 각종 피해 및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관리자의 작업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주상복합건물, 공동주택, 아파트, 백화점, 공공시설물, 전용 주차장 등에는 차량의 출입 통제 또는 요금 정산 등의 목적으로 주차차단기가 설치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주차차단기는 회동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일측이 모터에 결합되는 봉으로 형성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하는 차단바와,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수단과, 관리자의 요청 또는 차량감지수단에 의해 감지신호가 검출되면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단바의 승하강을 통하여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를 단속하기 위한 주차차단기는 차단바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차단바에 의해 차량이 파손되거나 또는 차량 정차가 유발되는 등의 심각한 피해 및 민원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차차단기가 설치된 구역에 관리자를 배치하여 주차차단기의 오동작 및 고정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운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차단기는 운전이 미숙한 차량 또는 요금정산을 이행하지 않은 도주목적의 차량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에 의하여 차단바가 차량에 부딪히는 등의 예기치 않은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종래의 주차차단기는 관리자가 수시로 육안을 통해 차단바를 관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주차차단기는 관리자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고 및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신속한 대응이 늦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관리자는 작업시간 동안 항상 관리구역 내에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인 인력소모를 발생시킨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24316호(고안의 명칭 :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에 개시된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의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는 구동부를 제어하되 후술되는 차단 봉의 하강 중에 물체에 접촉이 검출되면 차단 봉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1)와, 모터(107)의 구동 변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01)로 제공하는 변위감지부(108)와, 차단 봉에 물체가 접촉되면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109)와,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103)와, 관리자에 조작되는 수동조작부(104)와, 차단 봉을 회동시키는 모터(107)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0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변위감지부(108)가 모터(107)의 구동 변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01)로 전송하고, 제어부(101)가 변위감지부(108)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차단 봉이 물체에 접촉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구동부(105)를 제어함으로써 차단 봉이 물체에 접촉될 때 자동으로 차단 봉이 승강하게 되어 재빠르게 차량접촉 사고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관리자가 해당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및 경보가 발생하였을 때 관리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관리자는 해당 영역 내에서 작업시간 내내 위치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작업효율이 떨어짐과 동시에 비효율적인 인력소모가 발생하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주차차단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돌발 상황 중의 하나인 차단 봉 및 차량의 접촉만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관리자가 해당 영역을 이탈할 경우 다양한 돌발 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주차차단기는 차단 봉이 하강한 상태에서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 차량접촉사고 및 차량정체를 유발하기 때문에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돌발 상황의 종류와 상관없이 우선적으로 차단 봉을 승강시키는 작업(리셋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나, 종래기술(100)은 모터(107)를 회동시키는 구동부(105)가 제어부(101)의 제어신호에 의해서만 구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어부(101)의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 모터(107)를 제어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즉 1)관리자가 주차차단기 설치영역을 벗어나더라도 해당 영영 및 주차차단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2)돌발 상황 발생 시 관리자에게 돌발 상황을 즉각적으로 통보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3)차단바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의 이동경로를 확장하여 제어부의 자체 고장으로 인하여 차단바를 제어할 수 없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주차차단기 제어장치가 각종 센서로부터 수집된 신호를 분석하여 주차차단기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관리자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는 작업영역을 벗어나더라도 관리자 휴대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차단기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주차차단기 제어장치가 주차차단기 정보를 임계치에 비교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관리자 휴대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경고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부터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를 관리자 휴대단말기의 모니터로 노출시킴으로써 돌발 상황 발생 시 관리자가 이를 신속하게 인지 및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차단바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명령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동명령 입력수단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구동명령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구동명령 데이터를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는 전송받은 구동명령 데이터에 따라 차단바를 구동시킴으로써 관리자가 작업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용이하게 주차차단기를 제어할 수 있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주차차단기 제어장치가 데이터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패킷을 분석하는 데이터패킷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패킷 분석부는 분석된 데이터패킷에 리셋명령 데이터가 포함되면 제어부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모터의 디코딩부로 리셋명령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제어부의 오동작 및 고장으로 인해 차단바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차단바를 승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단바의 폐쇄로 인한 2차 피해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차단바와, 상기 차단바를 회동시키는 모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모터의 신호의 체계로 변환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주차차단기; 상기 차단바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감지데이터를 통해 상기 차단바가 '승강'상태인지 또는 '하강'상태인지를 포함하는 차단기정보를 생성하는 차단기정보 생성부와, 상기 주차차단기의 디코딩부로 구동명령을 입력하는 모터구동부와,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주차차단기 제어장치;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차단기정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관리자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차단바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차단바의 진동값을 측정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모터의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감지센서와, 주변의 소음을 수집하는 소음수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정보는 상기 기울기센서, 상기 진동센서, 상기 변위감지센서 및 상기 소음수집수단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는 돌발 상황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발 상황 판단부는 상기 기울기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이 '수직' 또는 '수평'인지를 판단한 후 '수직' 또는 '수평'이 아닌 기울기 값이 기 설정된 경과시간(t) 이상으로 유지되면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기울기 판단모듈;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임계치에 비교하여 진동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진동판단모듈; 상기 변위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변위값이 임계치 미만일 때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변위판단모듈; 상기 소음수집수단에 수집된 데시벨이 임계치 이상이면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음성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 상황 판단부에 의해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경고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휴대단말기는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경고데이터를 모니터에 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자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차단기정보를 상기 관리자 휴대단말기의 모니터에 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단바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상기 차단바의 구동명령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구동명령 데이터를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는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구동명령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코딩부로 상기 구동명령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단바를 무조건 승강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인 리셋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의 리셋입력수단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상기 차단바를 무조건 승강시키기 위한 리셋명령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리셋명령 데이터를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는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리셋명령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코딩부로 상기 리셋명령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는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패킷을 분석하는 데이터패킷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패킷 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상기 리셋명령 데이터가 포함되면 상기 리셋명령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상기 디코딩부로 입력하며,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상기 리셋명령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으면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은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의 상기 차단기정보 생성부는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포함하는 차단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차단기정보에 포함된 영상을 전시하는 영상활성창과, 상기 차단기정보에 포함된 상기 센서들의 측정값 및 상기 차단바의 상태가 전시되는 정보전시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는 작업영역을 벗어나더라도 관리자 휴대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차단기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돌발 상황 발생 시 관리자가 이를 신속하게 인지 및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자가 작업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용이하게 주차차단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차단기 제어장치가 데이터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패킷을 분석하는 데이터패킷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패킷 분석부는 분석된 데이터패킷에 리셋명령 데이터가 포함되면 제어부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모터의 디코딩부로 리셋명령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제어부의 오동작 및 고장으로 인해 차단바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차단바를 승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단바의 폐쇄로 인한 2차 피해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24316호(고안의 명칭 :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에 개시된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돌발 상황 판단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주차차단기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도이다.
도 2의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1)은 모터(93), 차단바(95), 센서(97) 및 번호판 촬영수단(99)을 포함하는 주차차단기(9)와, 주차차단기(9)를 관리 및 제어하는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와, 관리자에게 지급되는 관리자 휴대단말기(5), 관리자 휴대단말기(5)에 설치되어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로 데이터를 요청함과 동시에 요청데이터에 대응되는 결과값을 관리자 휴대단말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7)과,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 및 관리자 휴대단말기(5) 사이에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 및 관리자 휴대단말기(5)의 관리 어플리케이션(7)이 데이터 통신망(6)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1)은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로부터 차단기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7)은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결과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의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는 웹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통신망(6)은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 및 관리자 휴대단말기(5)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통신망(WAN),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등과 같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관리자 휴대단말기(5)는 관리자에게 지급되는 디지털 휴대단말기이며, 데이터통신망(6)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인터페이스부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와, 관리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관리자 휴대단말기(5)는 데이터 통신망(6)에 접속하여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로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요청받은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는 전자액자, 컴퓨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및 인터넷 TV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리자 휴대단말기(5)에는 관리 어플리케이션(7)이 설치된다.
관리 어플리케이션(7)은 그래픽모드, 제어명령 메뉴 등을 포함하는 툴 방식의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이하 관리 인터페이스라고 함)를 관리자 휴대단말기(5)에 전시한다. 이때 관리 인터페이스(70)는 후술되는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관리 어플리케이션(7)은 구동 시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로 차단기정보를 요청하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로부터 차단기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차단기정보를 관리자 휴대단말기(5)의 모니터에 전시한다. 이때 주차차단기 정보는 촬영수단(99)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 어플리케이션(7)은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로부터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경고데이터를 푸쉬(push) 및 팝업(pop-up) 등의 방식을 통해 관리자 휴대단말기(5)의 모니터에 출력한다.
이때 관리 인터페이스는 관리자로부터 차단바의 승강 또는 하강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아이콘, 클릭버튼 등)을 포함하며, 만약 입력수단을 통해 차단바의 승강 또는 하강 명령을 입력받으면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로 구동명령 데이터를 전송하고,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는 관리자 휴대단말기(5)를 통해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부터 구동명령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차단바를 구동명령에 따라 동작시킴으로써 관리자는 관리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차차단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 인터페이스는 구동명령 신호를 전송하였는데도 차단바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돌발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의 제2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차단바를 승강시키기 위한 명령(이하 리셋명령이라고 함)을 입력받는 리셋입력수단을 포함하며, 만약 사용자로부터 리셋입력수단을 통해 리셋명령을 입력받으면 리셋명령 데이터를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로 전송한다. 이때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는 관리자 휴대단말기(5)를 통해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부터 리셋명령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의 제어부(31)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모터의 디코딩부로 리셋신호를 입력하여 차단바(95)를 승강시키게 된다.
주차차단기(9)는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을 단속하는 차단바(95)와, 차단바(95)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발생시켜 차단바(95)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모터(93)와, 차단바(95)에 대한 상태를 측정하는 각종 센서(97)들과, 입차 또는 출차 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수단(99)으로 이루어진다.
모터(93)는 회전운동을 발생시켜 차단바(95)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모터(93)는 도 2와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로부터 구동명령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구동명령 데이터를 모터(93)의 신호에 적합한 체계로 변환하는 후술되는 도 4의 디코딩부(390)를 포함한다.
센서(97)는 차단바(95)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단바(95)의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진동센서와, 모터(93)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감지센서와, 차단바(95)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센서와, 소음(음향)을 수집하는 소음수집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진동센서, 변위감지센서, 기울기센서 및 소음수집수단은 전자제품 및 산업장비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서(97)들이 진동센서, 변위감지센서, 기울기센서 및 소음수집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센서(97)들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단바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공지된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32)와, 데이터통신망(6)에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장착하여 관리자 휴대단말기(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33)와, 데이터송수신부(33)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패킷을 분석하여 수신된 데이터패킷에 리셋명령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패킷분석부(34)와,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번호판 촬영수단(99)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부(35)와, 각종 센서(97)들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분석하는 감지신호 분석부(36)와, 감지신호 분석부(36)에 의해 분석된 감지데이터를 활용하여 차단기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단기정보 생성부(37)와, 감지신호 분석부(36)에 의해 분석된 감지데이터를 임계치에 비교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돌발 상황 판단부(38)와, 차단바(95)의 모터(93)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39)와, 이들 제어대상(32), (33), (34), (35), (36), (37), (38), (39)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31)로 이루어진다.
패킷분석부(34)는 실시간으로 데이터송수신부(33)를 크롤링(crawling) 하여 수신된 데이터패킷을 수집 및 분석하여, 만약 데이터패킷에 리셋명령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으면 수집된 데이터패킷을 제어부(31)로 입력한다.
또한 패킷분석부(34)는 만약 데이터패킷에 리셋명령 데이터가 포함되면 디코딩부(390)로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제어부(31)는 차단기 제어장치(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2), (33), (34), (35), (36), (37), (38), (3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는 번호인식부(35)에 의해 검출된 번호인식정보를 차단기정보 생성부(37)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1)는 감지신호 분석부(36)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차단기정보 생성부(37) 및 돌발 상황 판단부(38)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1)는 데이터송수신부(33)를 통해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부터 차단기정보를 요청받으면 차단기정보 생성부(37)에 의해 생성된 차단기정보를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 전송하도록 데이터 송수신부(33)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는 돌발 상황 판단부(38)에 의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데이터송수신부(33)를 제어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경고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관리자는 외부에 있더라도 돌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차차단기 제어장치(3)는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31)는 차량감지부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면 번호판 촬영수단(99)으로 트리거신호(trigger signal)을 전송하여 촬영수단(99)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부(32)에는 번호판 촬영수단(99)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번호판영상과, 번호인식부(35)에 의해 인식된 번호정보와, 차단기정보 생성부(37)에 의해 생성된 차단기정보와, 돌발 상황 판단부(38)에 의해 판단된 돌발 상황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2)에는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번호인식부(35)는 데이터베이스부(32)에 저장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번호판 촬영수단(99)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번호판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한다.
감지신호 분석부(36)는 각종 센서(97)들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분석한다.
이때 센서(97)들은 음성을 감지하는 음성감지수단, 차단바(95)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 차단바(95)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수단 및 모터의 구동변위를 감지하는 변위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감지신호 분석부(36)는 차단바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들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분석된 데이터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차단기정보 생성부(37) 및 돌발 상황 판단부(38)로 입력된다.
차단기정보 생성부(37)는 감지신호 분석부(36)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차단기에 대한 관련정보인 차단기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차단기정보는 차단바(95)의 진동데이터, 차단바(95)의 기울기데이터, 모터(93)의 변위데이터, 입출차 영역의 음성 데시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차단기정보 생성부(37)에 의해 생성된 차단기정보는 이를 요청한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 전송되고, 관리 어플리케이션(7)은 차단기 제어장치(3)로부터 전송받은 차단기정보를 기 제작된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 휴대단말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관리자는 관리자 휴대단말기(5)로 전시되는 관리 어플리케이션(7)의 관리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차단바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의 돌발 상황 판단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의 돌발 상황 판단부(38)는 감지신호 분석부(36)로부터 입력된 감지데이터를 임계치에 비교하여 돌발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도 5의 돌발 상황 판단부(38)는 감지센서(97)의 종류에 대응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성판단모듈(381), 진동판단모듈(383), 기울기판단모듈(385) 및 변위판단모듈(387)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돌발 상황 판단부(38)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감지데이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돌발 상황 판단부(38)는 감지데이터에 음성데시벨 데이터가 포함되면 음성데시벨을 임계치에 비교하여 음성데시벨이 임계치보다 높으면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음성판단모듈(381)과, 감지데이터에 진동데이터가 포함되면 진동데이터를 임계치에 비교하여 진동데이터가 임계치보다 높으면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진동판단모듈(383)과, 감지데이터에 차단바(95)의 기울기 데이터가 포함되면 기울기가 '수직' 또는 '수평'인지를 판단한 후 '수직' 또는 '수평'이 아닌 기울기 데이터가 기 설정된 경과시간(t) 이상으로 데이터가 유지되면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기울기 판단모듈(385)과, 감지데이터에 모터(93)의 변위가 포함되면 변위가 임계치 미만일 때 돌발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변위판단모듈(387)로 이루어진다.
또한 돌발 상황 판단부(38)에 의해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1)는 데이터 송수신부(33)를 제어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 경고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 어플리케이션(7)은 차단기 제어장치(3)로부터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를 관리자 휴대단말기(5)의 모니터에 노출시켜 관리자가 이를 인식하도록 한다.
모터구동부(39)는 모터(93)를 구동시켜 모터(9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모터(93)의 회전축에는 차단바(95)의 일측이 결합됨으로써 모터(93)의 회전에 따라 차단바(95)가 승하강 하게 된다.
또한 모터구동부(39) 및 모터(93) 사이에는 모터구동부(39)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모터(93)의 신호체계로 디코딩(decoding) 하는 디코딩부(390)가 설치된다.
즉 모터구동부(39)는 제어부(31)로부터 입력받은 구동명령 데이터를 디코딩부(390)로 입력하고, 디코딩부(390)는 입력된 구동명령 데이터를 모터(93)의 신호체계에 대응되는 신호로 디코딩하여 모터(93)로 입력함으로써 모터(93)가 정역 회동하게 된다.
또한 디코딩부(390)는 패킷분석부(34)로부터 리셋명령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디코딩하여 모터(93)로 입력하고, 이때 모터(93)는 디코딩부(390)로부터 리셋명령 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단바(95)가 승강하도록 회전한다.
즉 차단바(95)는 만약 디코딩부(390)가 패킷분석부(34)로부터 리셋명령 데이터를 승강하게 되고, 만약 디코딩부(390)가 제어부(31)로부터 구동명령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구동명령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단기 제어장치(3)는 관리자 휴대단말기(5)의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 차단기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구동명령 데이터를 전송받음으로써 관리자는 자신의 휴대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관리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주차차단기의 상태, 돌발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차단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단기 제어장치(3)는 제어부(31)의 오동작 및 고장에 따라 차단바(95)의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부터 리셋명령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제어부(31)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리셋명령 데이터를 디코딩부(390)로 입력함으로써 돌발 상황 발생 시 차단바(95)를 신속하게 승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단바(95)의 미동작으로 인한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관리 어플리케이션(7)은 관리자 휴대단말기(5)에 설치되어 차단기 제어장치(3)로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또는 차단기 제어장치(3)로부터 전송받은 결과데이터를 관리자 휴대단말기(5)의 모니터에 전시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또한 관리 어플리케이션(7)은 그래픽 모드, 결과 데이터, 입력수단 등이 기 제작된 툴에 따라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관리자 휴대단말기(5)로 전시한다.
도 6은 도 2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의 관리 인터페이스(70)는 주차차단기(9)를 촬영한 영상정보가 전시되는 영상활성창(71)과, 차단바(95)의 현재 승강 또는 하강 상태, 차단바(95)의 진동값, 차단바(95)의 기울기값, 차단바(95)의 변위값 등의 차단기정보가 전시되는 정보전시창(73)과, 관리자로부터 차단바(95) 구동요청을 입력받는 제1 입력수단(75)과, 관리자로부터 돌발 상황 발생 시 차단바(95)의 보조 구동요청을 입력받는 제2 입력수단(77)을 포함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리 인터페이스(70)가 영상활성창(71), 정보전시창(73), 제1 입력수단(75) 및 제2 입력수단(77)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관리 인터페이스(70)의 전시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전시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도 2의 주차차단기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주차차단기 관리 방법(S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감지수단, 진동감지수단, 소음수집수단 및 변위감지수단들이 감지대상을 측정하는 감지단계(S10)와, 감지단계(S10)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분석하는 감지신호 분석단계(S20)와, 감지신호 분석단계(S20)에 의해 분석된 감지신호를 활용하여 차단기정보를 생성하는 차단기정보 생성단계(S30)와, 실행된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부터 차단기정보를 요청받는 차단기정보 요청 수신단계(S40)와, 차단기정보 요청 수신단계(S40)에 의해 구동된 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 차단기정보 생성단계(S30)에 의해 생성된 차단기정보를 전송하는 차단기정보 전송단계(S50)와, 관리자 휴대단말기(5)의 모니터에 차단기정보가 전시되는 전시단계(S60)와, 감지신호 분석단계(S20)에 의해 분석된 감지신호를 활용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돌발 상황 판단단계(S70)와, 돌발 상황 판단단계(S70)에 의해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관리자 휴대단말기(5)로 돌발 상황을 전송하는 돌발 상황 전송단계(S80)와, 관리자 휴대단말기(5)로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경고메시지를 전시하는 경고메시지 전시단계(S90)와, 관리자 휴대단말기(5)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구동명령 데이터를 관리자 휴대단말기(5)로부터 전송받는 구동명령 데이터 수신단계(S100)와, 관리자 휴대단말기(5)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리셋명령 데이터를 관리자 휴대단말기(5)로부터 전송받는 리셋명령 데이터 수신단계(S110)와, 구동명령 데이터 수신단계(S100) 또는 리셋명령 데이터 수신단계(S120)에 의해 전송받은 구동명령 또는 리셋명령에 따라 차단바(95)를 구동시키는 차단바 구동단계(S120)로 이루어진다.
1: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3:주차차단기 제어장치
5:관리자 휴대단말기 6:데이터 통신망 7:관리 어플리케이션
9:주차차단기 31:제어부 32:데이터베이스부
33:데이터송수신부 34:패킷분석부 35:번호인식부
36:감지신호 분석부 37:차단기정보 생성부
38:돌발상황 판단부 39:모터구동부 70:관리 인터페이스
93:모터 95:차단바 97:센서
99:촬영수단

Claims (9)

  1. 차단바와, 상기 차단바를 회동시키는 모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모터의 신호의 체계로 변환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주차차단기;
    상기 차단바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감지데이터를 통해 상기 차단바가 '승강'상태인지 또는 '하강'상태인지를 포함하는 차단기정보를 생성하는 차단기정보 생성부와, 상기 주차차단기의 디코딩부로 구동명령을 입력하는 모터구동부와,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주차차단기 제어장치;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차단기정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관리자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차단바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차단바의 진동값을 측정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모터의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감지센서와, 주변의 소음을 수집하는 소음수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정보는 상기 기울기센서, 상기 진동센서, 상기 변위감지센서 및 상기 소음수집수단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는 돌발 상황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발 상황 판단부는
    상기 기울기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이 '수직' 또는 '수평'인지를 판단한 후 '수직' 또는 '수평'이 아닌 기울기 값이 기 설정된 경과시간(t) 이상으로 유지되면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기울기 판단모듈;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임계치에 비교하여 진동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진동판단모듈;
    상기 변위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변위값이 임계치 미만일 때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변위판단모듈;
    상기 소음수집수단에 수집된 데시벨이 임계치 이상이면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음성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 상황 판단부에 의해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경고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휴대단말기는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경고데이터를 모니터에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차단기정보를 상기 관리자 휴대단말기의 모니터에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단바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상기 차단바의 구동명령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구동명령 데이터를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는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구동명령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코딩부로 상기 구동명령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단바를 무조건 승강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인 리셋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의 리셋입력수단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상기 차단바를 무조건 승강시키기 위한 리셋명령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리셋명령 데이터를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는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리셋명령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코딩부로 상기 리셋명령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는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패킷을 분석하는 데이터패킷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패킷 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상기 리셋명령 데이터가 포함되면 상기 리셋명령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상기 디코딩부로 입력하며,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상기 리셋명령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으면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은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의 상기 차단기정보 생성부는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포함하는 차단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차단기정보에 포함된 영상을 전시하는 영상활성창과, 상기 차단기정보에 포함된 상기 센서들의 측정값 및 상기 차단바의 상태가 전시되는 정보전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KR1020140175575A 2014-12-09 2014-12-09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08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575A KR101708781B1 (ko) 2014-12-09 2014-12-09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575A KR101708781B1 (ko) 2014-12-09 2014-12-09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686A true KR20160069686A (ko) 2016-06-17
KR101708781B1 KR101708781B1 (ko) 2017-02-21

Family

ID=5634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575A KR101708781B1 (ko) 2014-12-09 2014-12-09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5955A (zh) * 2019-06-05 2019-09-06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拍打门复位装置及拍打门
KR102511729B1 (ko) * 2022-10-13 2023-03-20 (주)비전시그텍 철도건널목 장애물 경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182B1 (ko) * 2006-02-27 2007-06-22 주식회사 엔텍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30083136A (ko) * 2012-01-12 2013-07-22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 조명장치
KR101349660B1 (ko) * 2012-11-14 2014-01-10 주식회사 영신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KR101434641B1 (ko) * 2013-10-04 2014-08-26 주식회사 대덕지에스 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182B1 (ko) * 2006-02-27 2007-06-22 주식회사 엔텍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30083136A (ko) * 2012-01-12 2013-07-22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 조명장치
KR101349660B1 (ko) * 2012-11-14 2014-01-10 주식회사 영신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KR101434641B1 (ko) * 2013-10-04 2014-08-26 주식회사 대덕지에스 차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5955A (zh) * 2019-06-05 2019-09-06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拍打门复位装置及拍打门
CN110205955B (zh) * 2019-06-05 2021-06-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拍打门复位装置及拍打门
KR102511729B1 (ko) * 2022-10-13 2023-03-20 (주)비전시그텍 철도건널목 장애물 경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781B1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9629B1 (en) Image analytics for elevator maintenance
JP4912606B2 (ja) 監視装置、監視センタ、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KR101570640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US20130188044A1 (en)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with automatic notification and intelligent monitoring device thereof
KR101266761B1 (ko) 엘리베이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9406A (ko) 재난 관리 장치 및 재난 관리 방법
KR102356340B1 (ko) 지하차도의 진입차단을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
KR101266775B1 (ko) 정보 표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관리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852058B1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돌발 상황 감지방법
JP2008001494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復旧装置
KR100916960B1 (ko) 승강장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96915B1 (ko) 제진기의 원격제어시스템
CN110738289A (zh) 电力作业标准化的多维联动综合研判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708781B1 (ko)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24784B1 (ko)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카운트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주차 시스템
US11610444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system having an imminent motion notification apparatus
JP2014119827A (ja) 撮影システム
JP2018034959A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エレベーター調査用データ提供システム
KR101704163B1 (ko)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입출력 통합 제어 장치
KR20120067079A (ko) 도로 사면 붕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002428B1 (ko) 영상을 이용한 원방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6524539A (zh) 一种信号工与驾驶员交互风险的协同感知方法
KR102459503B1 (ko) 듀얼센서를 이용한 감시영역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5338941A (ja) 視程検出方法および視程検出装置
CN110867047A (zh) 建筑工地智能预警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