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660B1 -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660B1
KR101349660B1 KR1020120128735A KR20120128735A KR101349660B1 KR 101349660 B1 KR101349660 B1 KR 101349660B1 KR 1020120128735 A KR1020120128735 A KR 1020120128735A KR 20120128735 A KR20120128735 A KR 20120128735A KR 101349660 B1 KR101349660 B1 KR 101349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rol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box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신
Priority to KR102012012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 등의 차량 진입로에 차량 진입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미리 설치하고, 해당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의 주변상황을 원거리에서 영상으로 확인한 후 이동통신망을 통해 개폐수단을 간편하게 제어하여 홍수로 인한 차량의 피해를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진입로를 개폐하면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는 개폐수단(100); 개폐수단에 근접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를 통해 개폐수단의 개폐를 위한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200); 제어박스의 인접 지역 수위를 감지하여 외부에 표시하는 수위표시 모듈(300);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화 연결 요구에 응답하여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전화 연결이 되면 제어박스 주변의 영상과 수위표시 모듈에 구현된 표시를 실시간 촬영하여 외부에 전송하며 이어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400);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제어코드를 복원하고, 복원된 제어코드에 따라 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개폐수단에 장착되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개폐수단을 실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VEHICLE ENTRY MANAGEMENT SYSTEM USING REMOTE VIDEO CONTROL}
본 발명은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 등의 주변상황을 원격 영상으로 감시하면서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 등의 차량진입 차단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우기에 차량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는 특히 장마철에 수위가 높아져 주차나 통행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 등의 차량 진입로에는 차단 시설을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 등의 차량 진입로는 통상적으로 관리 인력이 상시 대기할 필요가 없는 지역으로 관리된다. 그에 따라 홍수의 위험이 예상되는 장마철에만 해당 관리 인력이 직접 움직여서 차량진입 차단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홍수의 위험이 끝난 다음에는 다시 해당 관리 인력이 직접 움직여서 차량진입 차단 시설을 해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차량진입 차단 시설의 관리 인력이 직접 움직여 차단시설 조작을 하다보니 적절한 시기에 신속히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현장에 출동해야 하는 관리 인력의 배정으로 인해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 등의 차량 진입로에 차량 진입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 해당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의 주변상황을 원거리로부터 영상으로 확인한 후 이미 완벽하게 구축되어 있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개폐수단을 간편하게 제어하여 홍수로 인한 차량의 피해를 방지하는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은,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진입로를 개폐하면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는 개폐수단; 개폐수단에 근접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를 통해 개폐수단의 개폐를 위한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 제어박스의 인접 지역 수위를 감지하여 외부에 표시하는 수위표시 모듈;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화 연결 요구에 응답하여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전화 연결이 되면 제어박스 주변의 영상과 수위표시 모듈에 구현된 표시를 실시간 촬영하여 외부에 전송하며 이어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제어코드를 복원하고, 복원된 제어코드에 따라 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개폐수단에 장착되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개폐수단을 실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연결 요구를 수행하고 다이얼 매핑 신호를 제공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 연결을 통하여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를 이어폰 잭을 통해 사운드 신호로 출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수위표시 모듈은 바람직하게 지면으로부터 근접 배치되어 증감하는 수위를 감지하는 센싱부;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수위를 수치 또는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표시부와 센싱부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원거리 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수위표시 모듈과 제어부는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은,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진입로를 개폐하면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는 개폐수단; 개폐수단에 근접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를 통해 개폐수단의 개폐를 위한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제어박스 주변의 하천을 고해상도로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화 연결 요구에 응답하여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전화 연결이 되면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위가 표시된 그래픽 영상으로 처리하여 외부에 전송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제어코드를 복원하고, 복원된 제어코드에 따라 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개폐수단에 장착되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개폐수단을 실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연결 요구를 수행하고 다이얼 매핑 신호를 제공하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위가 표시된 그래픽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은,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 등의 차량 진입로에 차량 진입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미리 설치하고, 해당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의 주변상황을 원거리에서 영상으로 확인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개폐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폐수단이 위치한 현장에 관리 인력이 출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관리를 위한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박스 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박스를 통한 구동모터가 제어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박스 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박스를 통한 구동모터가 제어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개폐수단(100), 제어박스(200), 수위표시 모듈(300), 이동통신 단말기(400), 제어부(500), 구동모터(600), 관리자 단말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수단(100)은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개폐되면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게 된다. 개폐수단(100)은 구동모터(600)의 구동으로 동작하며 바람직하게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진입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제어박스(200)는 개폐수단(100)에 근접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를 통해 개폐수단(100)의 개방과 폐쇄를 위한 구동을 제어한다. 실질적으로 개폐수단(100)의 제어는 제어박스(200) 내에 배치된 제어부(5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위표시 모듈(300)은 제어박스(200)의 인접 지역 수위를 감지하여 외부에 표시하며, 센싱부(310)와 표시부(320)로 이루어진다.
센싱부(310)는 지면으로부터 근접 배치되어 증감하는 수위를 감지하고, 표시부(320)는 제어박스(200)내에 배치되며 센싱부(310)로부터 감지된 수위를 수치 또는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표시부(320)는 바람직하게 액정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320)와 센싱부(310)는 상호 원거리 배치가 가능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위표시 모듈(300)과 제어부(500)는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위표시 모듈(300)이 별도의 외부전원 인가를 통해 상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표시부(320)에는 지속적으로 감지된 수위를 표시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제어박스(200) 내에 배치되며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제공되는 전화 연결 요구에 응답하여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그 전화연결을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700)의 키패드 입력에 따른 다이얼 맵핑 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 신호로서 출력한다.
즉, 관리자 단말기(300)와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전화 연결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700)를 통해 관리자가 키 프레스를 통해 입력하는 다이얼 맵핑 신호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수신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처음에 오는 숫자정보를 전화번호로 인식하여 전화연결에 사용하고, 일단 전화 연결이 되면 이후에는 관리자 단말기(700)의 키패드 입력에 의해 제공되는 숫자정보를 전화번호가 아닌 제어코드로서 인식하고 제어부(500)의 신호복호부(510)를 통해 복호해야 한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700)와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상호 전화 연결되면,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구비된 이어폰 잭을 통해 사운드 신호로 출력된다. 이렇게 출력된 사운드 신호는 앞서 관리자 단말기(700)에서 송신된 제어코드가 주파수 매핑된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 분석(예: 필터링)을 통해 사운드 신호로부터 제어코드를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를 파워 온(POWER ON)시키는 제어코드가 "01*"이라면 전화 연결이 이루어진 이후, 관리자 단말기(700)는 이 제어코드에 대해 예컨대 마치 관리자가 전화기의 키패드를 0 1 * 누른 것처럼 주파수 매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한다.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전화 연결된 이후에 상대방이 키패드를 누르면 그 소리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귀에 들리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그 키패드 누름 소리(주파수 매핑된 소리)가 사운드 신호로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이어폰 잭로 출력된다. 그 후, 제어부(500)에 구비된 신호복호부(510)가 주파수 분석을 통해 원래의 제어코드 "01*"을 복원할 수 있게 된다.
반대 예로 설비를 파워 오프(POWER OFF)시키는 제어코드가 "01#"이라면 전화 연결이 이루어진 이후, 관리자 단말기(700)는 이 제어코드에 대해 예컨대 마치 관리자가 전화기의 키패드를 0 1 # 누른 것처럼 주파수 매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한다.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전화 연결된 이후에 상대방이 키패드를 누르면 그 소리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귀에 들리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그 키패드 누름 소리(주파수 매핑된 소리)가 사운드 신호로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이어폰 잭로 출력된다. 그 후, 제어부(500)에 구비된 신호복호부(510)가 주파수 분석을 통해 원래의 제어코드 "01#"을 복원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500)는 제어박스(200) 내에 배치되며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제어코드를 복원하고, 복원된 제어코드에 따라 개폐수단(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세하게 제어부(500)는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제어코드를 복원하고, 복원된 제어코드에 따라 구동모터(600)의 실제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500)는 다이얼 맵핑 신호에 대한 구동모터(600)의 제어 내용을 미리 구비하고 있어, 다이얼 맵핑 신호가 수신되면 다이얼 맵핑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제어부 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기(700)가 확인되면 관리자 단말기(700)에서 전송된 다이얼 맵핑 신호에 의해서 구동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500)는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관리자 단말기(700)와 전화 연결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700)의 전화번호가 제어부(500) 내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500)는 관리자 단말기(700)의 전화번호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화번호일 경우, 관리자 단말기(700)에서 송신된 다이얼 맵핑 신호에 의해서 구동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00) 내에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700)의 전화번호는 제어부(500)에 의한 구동모터(600)의 구동 제어를 허용하는 전화번호로 복수 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전화번호의 갯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모터(600)는 제어박스(200) 또는 개폐수단(100)에 장착되며 제어부(500)의 제어를 통해 개폐수단(100)을 실제 구동시키게 된다.
관리자 단말기(700)는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전화 연결 요구를 수행하고 다이얼 매핑 신호를 제공하며,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700)에 각 제어박스(200)에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목록을 연락처 정보로서 저장해 두었다가, 갑작스럽게 해당 개폐수단(100)의 구동 제어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자는 전화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700)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해당 구동모터(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입력하고, 이를 통해 원격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관리자 단말기(700)에 관리자 프로그램을 일종의 어플리케이션(아이폰 어플리케이션,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함으로써 좀더 편리하게 원격 제어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박스 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상주차장의 차량 진입로에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개폐수단(100)이 설치되어 이 개폐수단(100)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진입로의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폐수단(100)에는 구동모터(600)가 장착된다.
한편, 수위표시 모듈의 센싱부(310)는 하상주차장의 측벽에 장착하여 측벽을 제방으로 하여 흐르는 하천수의 수위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도니 센싱부(310)로부터 감지된 신호는 유무선 통신으로 제어박스(200)에 비치된 표시부(320)로 전송되어 그 수치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통해 센싱부(310)는 표시부(320)와 비교적 원거리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박스(200)는 하천 방향의 일측벽이 개구되고 이렇게 개구된 부분(210)에 투명한 유리를 장착함으로써, 제어박스(200) 내에 비치된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개구된 부분(210)을 투시하여 제어박스(200) 주변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박스(200)의 개구된 부분(210)에 인접하여 표시부(320)를 장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제어박스(200)의 개구된 부분(210)을 통해 제어박스(200) 주변을 촬영하는 동시에 표시부(320)에 디스플레이된 수위표시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통해 촬영된 제어박스(200) 주변 상황과 표시부(320)의 수위표시는 원거리에서 관리자 단말기(700)를 통해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박스를 통한 구동모터가 제어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관리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폐수단의 개폐를 위한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100, S110 :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에 저장된 목록을 조회하여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된 개폐수단의 구동모터 제어를 위해 해당 개폐수단에 연동되는 제어박스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연결을 요청하여 전화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관리자는 원거리에 위치한 제어박스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연결을 하는 경우이므로 해당 개폐수단이 위치하는 주변 환경을 공중파 뉴스나 날씨 상황 등을 고려하여 짐작할 뿐, 정확한 환경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와 해당 제어박스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호 전화 연결 여부와 관계없이 수위표시 모듈의 표시부에는 상시 센싱부로부터 전송된 수위표시가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S120 : 관리자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화 연결시 관리자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 통화 모드가 되도록 미리 설정된다. 관리자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화 연결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부는 제어박스의 주변 상황과 표시부의 디스플레이된 상황을 촬영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제어박스의 주변 상황과 표시부의 디스플레이된 상황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표시부는 제어박스의 개구된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단계 S130, S140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전화 연결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되어 관리자는 해당 제어박스가 위치하는 지역의 환경을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해당 개폐수단의 구동모터 동작 제어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150 : 해당 위치의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판단이 서면, 관리자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에 의한 해당 구동모터의 구동 제어코드인 다이얼 매핑 신호를 해당 제어박스 내에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게 된다.
단계 S160, S170 :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다이어 매핑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을 통해 사운드 신호로 출력되며, 이렇게 출력된 사운드 신호는 제어부의 신호복호부에 의한 주파수 분석으로 본래 제어코드로 복호된 제어정보가 추출된다.
단계 S180 : 추출된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부가 해당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해당 개폐수단이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진입로의 차량 통행을 제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개폐수단(100), 제어박스(200), 디지털 카메라(300'), 이동통신 단말기(400), 제어부(500), 구동모터(600), 관리자 단말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수단(100)은 하상주차장이나 하상도로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개폐되면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게 된다. 개폐수단(100)은 구동모터(600)의 구동으로 동작하며 바람직하게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진입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제어박스(200)는 개폐수단(100)에 근접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를 통해 개폐수단(100)의 개방과 폐쇄를 위한 구동을 제어한다. 실질적으로 개폐수단(100)의 제어는 제어박스(200) 내에 배치된 제어부(500)에 의해 이루어진다.
디지털 카메라(300')는 제어박스(200) 내에 배치되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제어박스(200) 주변의 하천을 고해상도로 촬영한다. 바람직하게 디지털 카메라(300')는 적외선 영역의 촬영이 가능한 구성을 채택하여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최적의 영상 촬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300')는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전용 케이블로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하며, 디지털 카메라(3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탑재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그래픽 영상으로 가공된다.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제어박스(200) 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화 연결 요구에 응답하여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전화 연결이 되면 디지털 카메라(3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위가 표시된 그래픽 영상으로 처리하여 외부에 전송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즉, 관리자 단말기(300)와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전화 연결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700)를 통해 관리자가 키 프레스를 통해 입력하는 다이얼 맵핑 신호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수신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처음에 오는 숫자정보를 전화번호로 인식하여 전화연결에 사용하고, 일단 전화 연결이 되면 이후에는 관리자 단말기(700)의 키패드 입력에 의해 제공되는 숫자정보를 전화번호가 아닌 제어코드로서 인식하고 제어부(500)의 신호복호부(510)를 통해 복호해야 한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700)와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상호 전화 연결되면,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구비된 이어폰 잭을 통해 사운드 신호로 출력된다. 이렇게 출력된 사운드 신호는 앞서 관리자 단말기(700)에서 송신된 제어코드가 주파수 매핑된 것으로, 주파수 분석(예: 필터링)을 통해 사운드 신호로부터 제어코드를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조작 예는 제 1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다른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400)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되는데, 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디지털 카메라(3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그래픽 영상으로 처리하며 이렇게 처리된 그래픽 영상에 하천의 수위가 수치 또는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제어부(500)는 제어박스(200) 내에 배치되며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제어코드를 복원하고, 복원된 제어코드에 따라 개폐수단(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500)가 디지털 카메라(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 외에 다른 구체적인 구동 과정은 제 1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구동모터(600)는 제어박스(200) 또는 개폐수단(100)에 장착되며 제어부(500)의 제어를 통해 개폐수단(100)을 실제 구동시키게 된다.
관리자 단말기(700)는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전화 연결 요구를 수행하고 다이얼 매핑 신호를 제공하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전화 연결이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수위가 표시된 그래픽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700)에 각 제어박스(200)에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목록을 연락처 정보로서 저장해 두었다가, 갑작스럽게 해당 구동모터(600)의 구동 제어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자는 전화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700)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해당 구동모터(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입력하고, 이를 통해 원격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박스 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박스(200)는 하천 방향의 일측벽이 개구되고 이렇게 개구된 부분(210)에 투명한 유리를 장착함으로써, 제어박스(200) 내에 비치된 디지털 단말기(300')가 개구된 부분(210)을 투시하여 제어박스(200) 주변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카메라(3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전용 케이블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전송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서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박스를 통한 구동모터가 제어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관리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폐수단의 개폐를 위한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200, S210 :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둔 목록을 조회하여 당해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된 개폐수단의 구동모터 제어를 위해 해당 개폐수단에 연동되는 제어박스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연결을 요청하여 전화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관리자는 원거리에 위치한 제어박스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연결을 하는 경우이므로 해당 개폐수단이 위치하는 주변 환경을 공중파 뉴스나 날씨 상황 등을 고려하여 짐작할 뿐, 정확한 환경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단계 S220 : 관리자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화 연결되면, 제어박스의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디지털 카메라에 촬영 동작을 명령한다. 이어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해당 제어박스 주변 하천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 제어박스 내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된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화 연결시 관리자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 통화 모드가 되도록 미리 설정된다
단계 S230, S240, S250 :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된 촬영 영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하천의 수위 표시가 구현된 그래픽 영상으로 처리된다. 당해 그래픽 영상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전화 연결 상태의 관리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되어 동일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관리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S260 :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그래픽 영상을 통해 제어박스 주변 하천의 수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해당 개폐수단의 구동모터 동작 제어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 S270 : 해당 위치의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판단이 서면, 관리자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에 의한 해당 구동모터의 구동 제어코드인 다이얼 매핑 신호를 해당 제어박스 내에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게 된다.
단계 S280, S290 :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다이어 매핑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을 통해 사운드 신호로 출력되며, 이렇게 출력된 사운드 신호는 제어부의 신호복호부에 의한 주파수 분석으로 본래 제어코드로 복호된 제어정보가 추출된다.
단계 S300 : 추출된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부가 해당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해당 개폐수단이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진입로의 차량 통행을 제한하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개폐수단 200 : 제어박스
210 : 개구부 300 : 수위표시 모듈
300' : 디지털 카메라 310 : 센싱부
320 : 표시부 400 : 이동통신 단말기
500 : 제어부 510 : 신호복호부
600 : 구동모터 7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8)

  1.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진입로를 개폐하면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는 개폐수단(100);
    상기 개폐수단에 근접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를 위한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200);
    상기 제어박스의 인접 지역 수위를 감지하여 외부에 표시하는 수위표시 모듈(300);
    상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화 연결 요구에 응답하여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전화 연결이 되면 상기 제어박스 주변의 영상과 상기 수위표시 모듈에 구현된 표시를 실시간 촬영하여 외부에 전송하며 이어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400);
    상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제어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제어코드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상기 개폐수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을 실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연결 요구를 수행하고 상기 다이얼 매핑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단말기(7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전화 연결을 통하여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를 이어폰 잭을 통해 사운드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시 모듈(300)은
    지면으로부터 근접 배치되어 증감하는 수위를 감지하는 센싱부(310);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수위를 수치 또는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3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센싱부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원거리 배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6.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진입로를 개폐하면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는 개폐수단(100);
    상기 개폐수단에 근접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를 위한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200);
    상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박스 주변의 하천을 고해상도로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300');
    상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화 연결 요구에 응답하여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전화 연결이 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위가 표시된 그래픽 영상으로 처리하여 외부에 전송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400);
    상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제어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제어코드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상기 개폐수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을 실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연결 요구를 수행하고 상기 다이얼 매핑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위가 표시된 그래픽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단말기(7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전화 연결을 통하여 제공되는 다이얼 매핑 신호를 이어폰 잭을 통해 사운드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KR1020120128735A 2012-11-14 2012-11-14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KR10134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735A KR101349660B1 (ko) 2012-11-14 2012-11-14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735A KR101349660B1 (ko) 2012-11-14 2012-11-14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660B1 true KR101349660B1 (ko) 2014-01-10

Family

ID=5014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735A KR101349660B1 (ko) 2012-11-14 2012-11-14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6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50B1 (ko) * 2015-03-31 2015-10-06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 관리 방법, 휴대 단말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CN105291973A (zh) * 2015-11-04 2016-02-03 长安大学 用于下穿式立交的纯电动汽车涉水预警系统及预警方法
KR20160069686A (ko) * 2014-12-09 2016-06-17 시흥시시설관리공단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49730B1 (ko) * 2017-07-05 2018-04-20 주식회사 다누시스 국소적 기상측정 기반 하천범람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3738A (ko) * 2018-11-28 2020-06-05 세종솔루텍 주식회사 소규모 공동주택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5895A (ko) * 1996-03-18 1997-10-13 이성구 차량진입차단기 자동제어개폐장치
KR101070751B1 (ko) 2011-07-18 2011-10-07 주식회사 영신 원격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5895A (ko) * 1996-03-18 1997-10-13 이성구 차량진입차단기 자동제어개폐장치
KR101070751B1 (ko) 2011-07-18 2011-10-07 주식회사 영신 원격 제어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86A (ko) * 2014-12-09 2016-06-17 시흥시시설관리공단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08781B1 (ko) * 2014-12-09 2017-02-21 시흥시시설관리공단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56950B1 (ko) * 2015-03-31 2015-10-06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 관리 방법, 휴대 단말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WO2016159486A1 (ko) * 2015-03-31 2016-10-06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 관리 방법, 휴대 단말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CN105291973A (zh) * 2015-11-04 2016-02-03 长安大学 用于下穿式立交的纯电动汽车涉水预警系统及预警方法
KR101849730B1 (ko) * 2017-07-05 2018-04-20 주식회사 다누시스 국소적 기상측정 기반 하천범람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3738A (ko) * 2018-11-28 2020-06-05 세종솔루텍 주식회사 소규모 공동주택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150938B1 (ko) * 2018-11-28 2020-09-02 세종솔루텍 주식회사 소규모 공동주택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660B1 (ko) 원격 영상제어를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 시스템
US10846954B2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JP2015170141A (ja) 指定範囲監視システム
CN103390324A (zh) 一种安防监控一体化系统及安防监控方法
JP6417300B2 (ja) 指定範囲監視システム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KR100440786B1 (ko) 디지털영상 원격감시 및 비상감지시스템
KR20120057829A (ko) 씨씨디 카메라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주차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28477B1 (ko) 이동객체 검출을 위한 이동식 cctv 카메라 시스템.
JPH11284986A (ja) 画像伝送装置
JP6417301B2 (ja) 指定範囲監視システム
CN103676874A (zh) 变电站一体化综合监控系统
KR101708781B1 (ko)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766358A (zh) 一种场外设备远程监控系统及方法
JP2003348572A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KR20120095516A (ko) 수계 감시 계측 제어시스템
KR20140053453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방법
KR20030056865A (ko) 영상 감시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07029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140106300A (ko) Cctv와 연계를 통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및 그 방법
CN204069187U (zh) 一种远程监控系统
KR101449477B1 (ko) 비디오 도어폰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JP3679346B2 (ja) 物体検知システム
KR20010048301A (ko) 화상휴대전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04994251A (zh) 监控开门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