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361A -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 Google Patents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361A
KR20160069361A KR1020140175226A KR20140175226A KR20160069361A KR 20160069361 A KR20160069361 A KR 20160069361A KR 1020140175226 A KR1020140175226 A KR 1020140175226A KR 20140175226 A KR20140175226 A KR 20140175226A KR 20160069361 A KR20160069361 A KR 20160069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dimensional printer
molding
plat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룡
최종훈
서석현
김원회
조성현
조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디어
Priority to KR102014017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361A/ko
Publication of KR2016006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03Moulding articles between moving mould surfaces, e.g. turn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07Manufacturing coloured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by colour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를 개시한다. 상기 3차원 프린터용 베드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은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형성된 조형물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상판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진다. 상기 조형물과 상기 상판 사이의 접착력은 상기 조형물과 상기 하판 사이의 접착력보다 크다.

Description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BED FOR A THREE-DIMENSIONAL PRINTER AND THREE-DIMENSIONAL PRINT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한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3차원 조형물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한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의 입체 형상을 가진 조형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의존하여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목합 제작방식과, CNC 밀링에 의한 제작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목합 제작방식은 수작업에 의하므로 정교한 수치 제어가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CNC 밀링에 의한 제작방식은 정교한 수치 제어가 가능하지만 공구 간섭에 의하여 가공하기 어려운 형상이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제품의 디자이너 및 설계자가 만들어낸 3차원 모델링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 형상의 시제품을 제작하는 이른바 3차원 프린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3차원 프린터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87250호의 "3차원 프린터 장치"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3차원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입체 형상의 시제품이 제작되는 작업부와;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바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가이드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며, 상기 작업부의 작업면으로 파우더를 공급하는 파우더공급부와; 상기 슬라이더상에 상기 파우더공급부의 뒤쪽으로 인접 설치되며, 상기 파우더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파우더를 평활하는 평활헤드부와; 상기 슬라이더상에 상기 평활헤드부의 뒤쪽으로 인접 설치되며, 제2가이드바를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평활된 작업면에 바인더를 분사하는 바인더분사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3차원 프린터는 파우더의 사용으로 인해 파우더의 정교한 분포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3차원 형상의 제작을 위한 원료로서, 종래의 파우더를 대신하여, 와이어 형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3차원 프린터에서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진 조형물(즉, 출력물)이 고온에 의해 용융되어, 상기 조형물을 지지하는 베드(bed)에 강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조형물과 상기 베드 사이가 진공으로 합착되기 때문에, 3차원 프린터의 사용이 끝난 이후에서, 상기 베드로부터 상기 조형물을 떼어내기 힘들다. 또한, 무리한 힘을 가하여, 상기 조형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형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3차원 프린터로 제조된 조형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원 프린터용 베드를 포함한 3차원 프린터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은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형성된 조형물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상판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진다. 상기 조형물과 상기 상판 사이의 접착력은 상기 조형물과 상기 하판 사이의 접착력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은 각기 0.1mm 내지 1mm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형물과 상기 상판 사이의 접착력은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의 접착력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판의 상면과 상기 상판의 상기 바닥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판의 상면은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경계면은 굴곡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3차원 프린터용 베드는 작업자의 손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상기 3차원 프린터용 베드와 상기 조형물 사이의 진공이 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는 열가소성 재료 공급부, 예열부, 압출부, 지지대 및 베드를 포함한다. 상기 예열부는 상기 열가소성 재료 공급부에 연결되며, 열가소성 재료를 가열한다. 상기 압출부는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며, 상기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압출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배드는 상기 지지대 상에 배치되며,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낟. 상기 상판은 상기 압출부에서 분사되어 경화된 조형물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상판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진다. 상기 조형물과 상기 상판 사이의 접착력은 상기 조형물과 상기 하판 사이의 접착력보다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는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형성된 조형물과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하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의 탄성 계수가 낮음으로 인해서, 상기 3차원 프린터용 베드는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조형물과의 진공을 깨트려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상기 조형물과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므로, 상기 3차원 프린터가 작동할 때, 상기 조형물의 위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는 상판(110)과 하판(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판(110)은 하판(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판(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제조된 조형물(200)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조형물(200)의 바닥면은 상판(110)의 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판(110)은 조형물(200)을 구성하는 물질과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접착력(S1)을 가지며,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탄성 계수(E1)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형물(200)이 PLA(Poly Lactic Acid)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과 같은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판(110)은 녹은 PLA 또는 ABS 조형물(200)이 용이하게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아크릴 또는 종이테이프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판(110)은 약 0.1mm와 약 1mm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판(110)의 두께는 상판(110)을 구성하는 물질의 탄성 계수(E1), 하판(120)의 두께 및 조형물(200)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판(110)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돌기 또는 단차가 상판(110)의 상면 상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하판(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판(110)의 바닥면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판(120)은 상판(110)의 바닥면과 전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판(120)과 상판(11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하판(120)은 상판(110)과 다른 면적을 가질 수 도 있다.
하판(120)은 상판(110)을 구성하는 물질과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접착력(S2)을 가지며,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탄성 계수(E2)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판(120)의 탄성 계수(E2)는 상판(110)의 탄성 계수(E1)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동일한 힘(응력)이 가해졌을 때, 하판(120)은 상판(110)보다 더 많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변형을 일으킬 때, 하판(120)은 상판(110)보다 작은 힘을 요구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의 접착력(S2)은 상판(110)과 조형물(200) 사이의 접착력(S1)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형물(200), 상판(110) 및 하판(120)에 동시에 응력이 가해질 때,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보다 상판(110)과 조형물(200) 사이가 우선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하판(120)과 조형물(200) 사이의 접착력은 상판(110)과 조형물(200) 사이의 접착력보다 작을 수 있다. 즉, 하판(120)이 조형물(200)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조형물(200)을 형성하는 동안, 조형물(200)이 움직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판(120)은 실리콘, 폴리머 및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하판(120)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판(120)과 상판(110)의 경계면도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를 사용하여, 조형물(200)을 형성할 때,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는 상기 3차원 프린터에 고정되어 조형물(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조형물(2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판(110)은 우수한 접촉 표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조형물(200)은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 상에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3차원 프린터의 작동이 완료된 후에,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는 작업자의 두 손에 의해서, 휘어질 수 있다. 특히, 하판(120)은 낮은 탄성 계수(E2)를 가지므로, 조형물(200)을 손상하지 않을 정도의 작은 힘으로도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실질적으로 평평한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가 변형됨에 따라, 베드(100)와 조형물(200)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고, 진공이 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베드(100)는 조형물(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1)는 상판(111)과 하부 패턴(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111)은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상판(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판(111)은 약 0.1mm와 약 2mm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부 패턴(121)은 상판(1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패턴(121)은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하판(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부 패턴(1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패턴(121)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의 탄성 계수(E2)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부 패턴(121)이 배치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1)는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형물(200)을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2)는 돌기부(130)를 제외하면,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돌기부(130)는 상판(10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130)는 쐐기형, 피라미드형, 원뿔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돌기부(130)가 배치됨에 따라서, 상판(100)과 조형물 사이의 경계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형물은 3차원 프린터용 베드의 상면에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차가 형성됨에 따라,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2)가 휘어질 때, 상판(100)과 상기 조형물 사이에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3)는 상판(113)과 하판(123)의 경계면을 제외하면,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판(113)의 바닥면과 하판(123)의 상면이 형성하는 경계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하지 않을 수 있다. 상판(113)과 하판(123)의 경계면이 굴곡부를 가짐에 따라, 상판(113)과 하판(123)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판(113)과 하판(123)의 접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3)로부터 상기 조형물을 제거할 때, 상판(113)과 하판(123)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3차원 프린터 장치(1)은, 예를 들면, 와이어 형상의 열가소성의 재료가 수용된 수지 카트리지(5), 열가소성의 재료를 수지 카트리지(5)로부터 취출하는 트랙터 드라이브(10), 예열기(20) 압출부(30), 및 지지대(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 카트리지(5), 트랜터 드라이브(10)는 열가소성 재료 공급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랙터 드라이브(10)는, 한 쌍의 벨트(11), 각 벨트(11)를 감을 수 있는 도르래(12), 드라이브 모터(15) 및 인코더(16)를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브 모터(15) 및 벨트(11)는, 예열기(20)에 의해 가열된 열가소성의 재료를 예열기 입구(21)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열기(20)는, 연결부(22)를 통하여 압출부(30) 측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22)에 연통하도록 압력 센서(23)이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23)는, 연락실(22) 내의 압력을 검출하여, 그 압력 신호를, 트랙터 드라이브(10)의 공급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 생략)에 송신할 수 있다.
압출부(30)은, 콜렛(31), 콜렛(31) 내에 삽입된 회전 추진기(32), 회전 추진기(32)를 회전시키는 가변속 모터(33), 콜렛(31)의 하부에 하향에 설치된 압출 노즐(35) 및 콜렛(31)과 회전 추진기(32) 사이를 밀봉하는 회전 씰(34)를 포함한다.
덧붙여 트랙터 드라이브(10), 예열기(20) 및 압출부(30)은, 주어진 데이터에 따라 평면상을(X,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대(50)는 압출부(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 상하방향(Z방향)에 소정 위치만 간헐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지지대(50) 상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가 배치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는 고정부(51)에 의해서 지지대(5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 장치(1)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지 카트리지(5)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 형상의 열가소성의 재료가, 트랙터 드라이브(10)에 의해서, 예열기(20)내로 이동한다. 예열기 (20)에 의해서 가열되어 용융된 재료(6)은, 연결부(22)를 통과하여, 콜렛 (31) 내에 충전되어 회전 추진기(32)에 의해, 압출 노즐(35)을 통해서 외부로 나간다. 이 때, 압출 노즐(35)은 압출 방향을 수직인 평면상이 주어진 형상 데이터에 따라 주사함으로써, 지지대(50)상이 있는 면의 특정 영역이 열가소성의 재료가 칠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재료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의 상면에서 경화한다.
다음에, 지지대(50)이 일정 피치 분 강하한다. 앞서 설명한 과정이 반복되어,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조형물(200)을 형성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 장치(1)는 예시적인 것이며, 열가소성 재료를 분사하는 방식(Fused Deposition Modeling)을 사용하는 다른 3차원 프린터 장치에도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3차원 프린터 장치는 지지부(50')와 공급 노즐(40)을 제외하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3차원 프린터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지지부(50')의 일 측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형물(200)이 형성된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는 상기 경사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는 경사부에 의해서 휘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와 조형물(200)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공급 노즐(40)은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와 조형물(200) 사이에 특정한 매개체를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노즐(40)은 저장 탱크(41)로부터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 또는 수분 등을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또는 수분의 압력으로 인해서, 3차원 프린터용 베드(100)와 조형물(200)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급 노즐(40)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으며, 지지부(50')의 상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 또는 수분을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의 사용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1, 102, 103: 3차원 프린터용 베드
110, 111, 113: 상판 120, 123: 하판
122: 하부 패턴 130: 돌기부

Claims (9)

  1.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형성된 조형물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상판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지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형물과 상기 상판 사이의 접착력은 상기 조형물과 상기 하판 사이의 접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아크릴 또는 종이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은 각기 0.1mm 내지 1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과 상기 상판 사이의 접착력은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의 접착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과 상기 상판의 상기 바닥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은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경계면은 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프린터용 베드는 작업자의 손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상기 3차원 프린터용 베드와 상기 조형물 사이의 진공이 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베드.
  9. 열가소성 재료 공급부;
    상기 열가소성 재료 공급부에 연결되며, 열가소성 재료를 가열하는 예열부;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며, 상기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상에 배치되며,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는 베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압출부에서 분사되어 경화된 조형물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상판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지며,
    상기 조형물과 상기 상판 사이의 접착력은 상기 조형물과 상기 하판 사이의 접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장치.
KR1020140175226A 2014-12-08 2014-12-08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KR20160069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226A KR20160069361A (ko) 2014-12-08 2014-12-08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226A KR20160069361A (ko) 2014-12-08 2014-12-08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361A true KR20160069361A (ko) 2016-06-16

Family

ID=5635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226A KR20160069361A (ko) 2014-12-08 2014-12-08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93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789A (ko) * 2018-01-30 2019-08-23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의자나 가구를 제조할 수 있는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 방법
KR20190140502A (ko) * 2018-05-25 2019-12-20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3d 프린터용 다층구조 빌드시트
KR102272888B1 (ko) * 2020-07-03 2021-07-06 한국기계연구원 프린팅 플레이트의 형상이 가변되는 3d 프린터 및 이의 운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789A (ko) * 2018-01-30 2019-08-23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의자나 가구를 제조할 수 있는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 방법
KR20190140502A (ko) * 2018-05-25 2019-12-20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3d 프린터용 다층구조 빌드시트
KR102272888B1 (ko) * 2020-07-03 2021-07-06 한국기계연구원 프린팅 플레이트의 형상이 가변되는 3d 프린터 및 이의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865B2 (en) Optimized three dimensional printing using ready-made supports
KR101662894B1 (ko) 3d 프린터용 베드, 이를 구비한 3d 프린트 및 프린팅 방법
US11287672B2 (en) Ophthalmic device formed by additive fabrication and method thereof
US20160075091A1 (en) Additive manufacturing object removal
KR20160069361A (ko) 3차원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KR20160024452A (ko) 직경이 다른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한 3d 프린터
WO2019128265A1 (zh) 一种多喷头压紧式3d打印机及其打印方法
CN106853676B (zh) Fdm-3d打印的伴随雕削留顶过度物件的层积方法
KR101938233B1 (ko) 컬러 3d 프린터의 출력 헤드
KR101951011B1 (ko) 절전형 3d 프린터
JP2021030531A (ja) リコータ清掃機器、粉末床溶融結合装置及びその清掃方法
JP2020509952A (ja) 3d印刷装置用のプリンタユニット及び方法
JP2018012282A (ja) 立体造形装置および立体造形方法
JP2017170875A (ja) 立体造形物を造形する装置、プログラム、立体造形物を造形する方法
CN108943705A (zh) 一种应用平板打印机的砂型3d快速成型设备
JP2010149359A (ja) 三次元造形機
JP2021509373A (ja) 予め規定された表面品質を得るための3d印刷
KR20180001340A (ko)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익스트루더 유닛을 구비한 3d 프린터 및 이를 사용한 3d 프린팅 방법
KR101760271B1 (ko) 역방향 노즐을 가지는 3d 프린터
KR101642408B1 (ko) 3d 프린터용 원료 가압장치 및 이를 적용한 3d 프린터
JP6533457B2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シボ模様転写面の製造方法
JP6828267B2 (ja) 立体造形物を造形する装置、プログラム、立体造形物を造形する方法、立体造形物の造形データを作成する方法
JP2016210061A (ja) 三次元造形装置
CN110696350A (zh) 喷墨宽度调整方法以及立体打印设备
CN101850617B (zh) 具有可拆式建构槽的立体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