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056A - 수술용 드릴 가이드 - Google Patents

수술용 드릴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056A
KR20160069056A KR1020140173984A KR20140173984A KR20160069056A KR 20160069056 A KR20160069056 A KR 20160069056A KR 1020140173984 A KR1020140173984 A KR 1020140173984A KR 20140173984 A KR20140173984 A KR 20140173984A KR 20160069056 A KR20160069056 A KR 20160069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it
handle
neck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117B1 (ko
Inventor
서준혁
송동률
조명래
정해준
염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14017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1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03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using imaging means, e.g. by X-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의 해당 부위에 위치된 서비컬플레이트의 관통공에 접촉되며 상측으로부터 내부 중공을 통해 삽입된 후 하측을 통해 노출되는 드릴비트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척추의 해당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비트가이드; 비트가이드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 및 절곡 형성되는 네크 네크의 단부에 구성되어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에게 파지되어 비트가이드에 의해 드릴비트가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핸들; 및 네크에 구성되어 비트가이드와 핸들이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수술용 드릴 가이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술용 드릴 가이드{Instrumentation fo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Fusion}
본 발명은 수술용 드릴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에 고정용 플레이트 등의 결합을 위하여 식립되는 스크류의 식립이 용이하도록 식립홀 천공시 드릴 비트의 천공 각도에 따라 비트가이드와 손잡이 사이의 연결용 네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시술자의 자세 변화를 방지하고 식립홀의 천공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수술용 드릴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통상 24개(천추골 제외)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뼈는 관절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각 관절 사이에는 디스크가 위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면서 인간의 자세를 지탱해 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토대가 되며 내장의 모든 기관을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척추가 외부의 인위적인 요인, 퇴행성 또는 비정상적인 자세가 오래 지속됨에 따라 손상되거나 틀어질 경우 척추관을 통과하는 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심한 통증이 유발된다.
이에, 경추의 추간판 질환, 경추 디스크, 경추 골절 및 탈구 그리고 경추성 척수증 등 경추에 발생되는 질환은 각각의 경추를 움직임 없이 상호 고정하는 것을 통해 치료 및 교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상기 경추의 고정을 위해 종래부터 등록특허 10-0974498호 등에 안출된 척추고정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서비컬플레이트에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공들에 각각 식립용스크류가 상호간 평행한 상태로 삽입된 후 경추에 식립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컬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공들에 식립용스크류가 관통되어 척추에 식립되기 전에, 수술용 드릴 가이드와 상기 드릴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드릴 비트에 의해 상기 척추에 스크류 식립용 홀이 천공 형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드릴 가이드를 이용한 식립용 홀의 천공 작업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릴 가이드(10)는, 척추(1)의 해당 부위에 서비컬플레이트(20)가 위치된 후 식립용스크류가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하면서 척추(1)에 식립되도록 식립홀을 가공하기 위한 수술 보조 수단으로,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에 접촉되며 상측으로부터 내부 중공을 통해 삽입된 후 하측을 통해 노출되는 드릴비트(30)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척추(1)의 해당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비트가이드(11), 비트가이드(11)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 및 절곡 형성되는 네크(12) 및 네크(12)의 단부에 구성되어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에게 파지되어 비트가이드(11)에 의해 드릴비트(3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핸들(13)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드릴 가이드(10)는, 상기 비트가이드(11)와 핸들(13) 사이를 연결하는 네크(12)가 단순히 비트가이드(11)로부터 소정의 고정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 및 절곡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서비컬플레이트(20)가 유선형상을 가지거나 또한, 관통공도 소정 각도의 식립 각도를 가지게 되는 경우 수술중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가 상기 식립 각도에 따라 자세나 위치를 바꿔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비트가이드(11)와 핸들(13) 사이를 연결하는 네크(12)가 고정된 각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 형성 방향이 서비컬플레이트(20)의 수평면에 대해 비스듬한 상태를 가지게 되더라도 비트가이드(11)의 경우 비스듬한 각도를 가지는 관통공에 대해 수직한 각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에, 상기 비트가이드(11)의 가이드 각도를 유지시키는 핸들(13)의 경우 상기 수평면에 수직한 상태일 때보다 높거나 낮은 위치를 가지게 되고,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핸들(13)을 파지하기 위해서는 핸들(13)의 가변 위치에 대응된 자세나 위치를 가지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수술시 집중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의 자세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고 불편한 상태에서 식립홀의 천공 작업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 해당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의 경우 심한 피로감을 느낄 수 있으며 식립홀의 천공 각도가 가변되어 식립홀의 천공 작업이 복잡해지고 이로 인하여 수술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트가이드(11)에 연결된 네크(12)가 비트가이드(11)의 상측단에 대해 시소(seesaw) 구조를 가지면서 자유롭게 각도가 가변되는 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비트가이드(11)와 네크(12)의 연결 부위가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비트가이드(11)의 단부와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 사이의 접촉 유지를 위해 보다 많은 힘이 소요되고 이로 인하여, 해당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가 심한 피로감을 느낄 수 있으며 식립홀의 천공 각도가 가변되어 식립홀의 천공 작업이 복잡해지고 이로 인하여 수술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에 고정용 플레이트 등의 결합을 위하여 식립되는 스크류의 식립이 용이하도록 식립홀 천공시 드릴 비트의 천공 각도에 따라 비트가이드와 손잡이 사이의 연결용 네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시술자의 자세 변화를 방지하고 식립홀의 천공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수술용 드릴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의 해당 부위에 위치된 서비컬플레이트의 관통공에 접촉되며 상측으로부터 내부 중공을 통해 삽입된 후 하측을 통해 노출되는 드릴비트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척추의 해당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비트가이드; 비트가이드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 및 절곡 형성되는 네크 네크의 단부에 구성되어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에게 파지되어 비트가이드에 의해 드릴비트가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핸들; 및 네크에 구성되어 비트가이드와 핸들이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수술용 드릴 가이드가 제공된다.
여기서, 비트가이드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 몸체의 상측단에 형성된 드릴비트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단; 몸체의 하측단에 형성되며 서비컬플레이트의 관통공에 접촉되는 접촉단; 및 삽입단과 접촉단에 연통되며 드릴비트의 단부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네크는, 상기 비트가이드의 몸체나 삽입단이 내측부로 삽입되는 연결고리와; 연결고리로부터 핸들을 향해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절곡 연장되는 연결레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은, 상기 네크의 연결레그 단부가 나사 결합 및 분리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그립홈과 미끄럼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레그 중 연결고리측에 해당되는 비트레그의 단부에 구성되는 고정링크; 상기 연결레그 중 핸들측에 해당되는 핸들레그의 단부에 구성되는 회동링크; 상기 고정링크에 회동링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편; 상기 회동링크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링크의 단부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어 고정링크와 회동링크의 회동 각도가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트가이드와 핸들을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는 네크에 각도조절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수술시 비트가이드와 핸들의 각도가 가변되어야 하는 경우 간단하게 이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 시술자의 자세 변화를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식립홀의 천공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드릴 가이드를 이용한 식립용 홀의 천공 작업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릴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술용 드릴 가이드에 있어서 네크에 구성된 각도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수술용 드릴 가이드의 네크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고정된 각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2의 수술용 드릴 가이드의 네크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가변된 각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릴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술용 드릴 가이드에 있어서 네크에 구성된 각도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수술용 드릴 가이드의 네크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고정된 각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수술용 드릴 가이드의 네크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가변된 각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릴 가이드(100)는, 척추(1)의 해당 부위에 서비컬플레이트(20)가 위치된 후 식립용스크류가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하면서 척추(1)에 식립되도록 식립홀을 가공하기 위한 수술 보조 수단으로,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에 접촉되며 상측으로부터 내부 중공을 통해 삽입된 후 하측을 통해 노출되는 드릴비트(30)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척추(1)의 해당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비트가이드(110), 비트가이드(110)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 및 절곡 형성되는 네크(120), 네크(120)의 단부에 구성되어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에게 파지되어 비트가이드(110)에 의해 드릴비트(3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핸들(130) 및 네크(120)에 구성되어 비트가이드(110)와 핸들(130)이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14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컬플레이트(20)는, 척추고정장치의 중요한 구성수단으로, 하면이 복수의 척추(1)에 접촉되는 곡률을 가지는 평판형상을 가지고, 복수개의 식립용 스크류가 수직 또는 비스듬한 각도로 관통 삽입되어 척추(1)에 식립되도록 복수군으로 관통공들이 배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척추고정장치는, 상기와 같은 서비컬플레이트(20)와, 풀림모드에서 잠금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풀림모드시에는 식립용스크류가 관통공에 관통되어 척추(1)에 식립되는 것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잠금모드시 관통공을 향하여 가이드되어 식립용스크류들의 백-아웃이 방지되도록 식립용스크류의 헤드 일부분이 커버되도록 하는 락킹플레이트와, 락킹플레이트가 서비컬플레이트에 풀림모드로 구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식립용스크류들이 관통공에 관통되어 경추(1)에 식립된 후 회전 동작을 통하여 락킹플레이트가 서비컬플레이트를 따라 관통공을 향해 가이드되도록 하여 잠금모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락킹스크류를 포함하며, 서비컬플레이트(20)에 구성된 락킹플레이트가 풀림모드를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식립용스크류들의 식립 작업 완료 후 락킹플레이트가 락킹스크류의 체결시 서비컬플레이트의 전방으로 가이드되면서 식립용스크류의 헤드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락킹플레이트가 잠금모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트가이드(110)는,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에 접촉되며 상측으로부터 내부 중공을 통해 삽입된 후 하측을 통해 노출되는 드릴비트(30)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척추(1)의 해당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111), 몸체(111)의 상측단에 형성된 드릴비트(3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단(112), 몸체(111)의 하측단에 형성되며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에 접촉되는 접촉단(113) 및 삽입단(112)과 접촉단(113)에 연통되며 드릴비트(30)의 단부가 가이드되는 중공을 나타내는 가이드홀(미도시)을 포함하며, 단일 또는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단(112)은, 상기 몸체(111)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삽입단(112)이 후술된 네크(120)의 연결고리(121) 내측부에 간단하게 삽입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단(112)이 드릴비트(30)의 본체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드릴비트(30)의 본체와의 접촉에 따른 진동 등에 의해 삽입단(11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단(113)은, 상기 몸체(111)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접촉단(113)이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 내측 또는 관통공의 외주면에 요부 형성되는 요홈에 안착되어 드릴비트(30)를 통한 식립홀의 천공 작업시 몸체(111)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원하는 식립 각도에 대응되도록 식립홀이 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네크(120)는, 비트가이드(110)의 몸체(111)나 삽입단(112)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 및 절곡 형성되어 핸들(130)과 비트가이드(110)가 소정 각도와 거리로 이격 구성되도록 하는 연장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네크(120)는, 상기 비트가이드(110)의 몸체(111)나 삽입단(112)이 내측부로 삽입되는 연결고리(121)와, 이로부터 핸들(130)을 향해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절곡 연장되는 연결레그(122)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130)은, 상기 네크(120)의 단부에 구성되어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에게 파지되어 비트가이드(110)에 의해 드릴비트(3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도록 하는 파지수단으로, 공지의 형상을 가지는 손잡이(131)와, 손잡이(13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파지시 그립감과 미끄러움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그립홈(132)과 미끄럼방지홈(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130)은, 상기 네크(120)의 연결레그(122) 단부가 나사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용이한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수단(140)은, 상기 네크(120)에 구성되어 비트가이드(110)와 핸들(130)이 소정 각도로 가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상기 연결레그(122) 중 연결고리(121)측에 해당되는 비트레그(123)의 단부에 구성되는 고정링크(141), 상기 연결레그(122) 중 핸들(130)측에 해당되는 핸들레그(124)의 단부에 구성되는 회동링크(142), 상기 고정링크(141)에 회동링크(14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편(143), 상기 회동링크(142)에 형성된 나사산(144) 및 상기 나사산(144)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링크(141)의 단부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어 고정링크(141)와 회동링크(142)의 회동 각도 즉, 조절 각도가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너트(145)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수단(140)은, 특정한 각도 계산 없이 단순히 상기 고정링크(141)와 회동링크(142)가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야 하는 경우 보다 신속하게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너트(145)에 밀착되는 고정링크(141)의 단부 하측 일부분에 밀착홈(146)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면서 요홈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145)가 보다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면서도 각도 계산 없이 신속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술시 상기 고정링크(141)와 회동링크(142)가 특정한 각도를 가지지 않고 단순히 각도가 조절되어야 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고정너트(145)가 상기 밀착홈(146)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통하여 각도 조절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수단(140)에 의하면, 상기 고정너트(145)가 나사산(144)을 따라 회동링크(142)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게 되는 것을 통하여 고정링크(141)의 단부가 고정너트(145)로부터 밀착 해제시 고정링크(141)에 대해 회동링크(142)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회동 또는 기울기를 가지지 않고 수평한 상태로 회동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다시 고정너트(145)가 나사산(144)을 따라 회동링크(142)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는 것을 통하여 고정링크(141)의 단부가 고정너트(145)에 밀착시 고정링크(141)와 회동링크(142)의 회동 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릴 가이드(100)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척추(1)의 해당 부위에 서비컬플레이트(20)가 위치된 후 식립용스크류가 관통될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미도시)에 비트가이드(110)의 접촉단(113)이 접촉된다.
이때, 상기 비트가이드(110)로부터 네크(120)를 통해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이격 위치된 핸들(130)이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의 파지를 통하여 비트가이드(110)와 상기 관통공은 수평면은 수직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상기 비트가이드(110)의 삽입단(112)을 통해 드릴비트(30)의 단부가 관통된 후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척추(1)의 해당 부위에 접촉되며 드릴비트(30)의 회전에 의해 소정 크기와 깊이 및 각도를 가지는 식립홀이 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드릴 가이드(100)는, 상기 서비컬플레이트(20)가 곡률을 가지거나 또한, 관통공이 소정 각도의 식립 각도를 가지게 되어 수술중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가 상기 식립 각도에 따라 자세나 위치를 바꿔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야기되는 경우, 즉, 상기 비트가이드(110)와 핸들(130) 사이의 소정의 각도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비트가이드(110)와 핸들(130)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네크(120)의 연결레그(122) 중 핸들레그(124)의 단부에 구성되는 회동링크(142)에 형성된 나사산(144)을 따라 고정너트(145)가 고정링크(141)로부터 멀어지면서 이동하여 고정링크(141)의 단부가 고정너트(145)로부터 밀착 해제되어 고정링크(141)에 대해 회동링크(142)가 힌지편(143)을 이용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회동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고정너트(145)가 나사산(144)을 따라 고정링크(141)를 향해 가까워지면서 이동하여 고정링크(141)의 단부에 고정너트(145)가 밀착되어 고정링크(141)와 회동링크(142)의 회동 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트가이드(110)와 핸들(130)을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는 네크(120)에 각도조절수단(140)이 구성됨으로써, 수술시 비트가이드(110)와 핸들(130)의 각도가 가변되어야 하는 경우 간단하게 이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 시술자의 자세 변화를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식립홀의 천공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그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척추(1)의 해당 부위에 위치된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에 접촉되며 상측으로부터 내부 중공을 통해 삽입된 후 하측을 통해 노출되는 드릴비트(30)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척추(1)의 해당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비트가이드(110);
    비트가이드(110)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 및 절곡 형성되는 네크(120);
    네크(120)의 단부에 구성되어 시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에게 파지되어 비트가이드(110)에 의해 드릴비트(3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핸들(130); 및
    네크(120)에 구성되어 비트가이드(110)와 핸들(130)이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드릴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비트가이드(110)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111);
    몸체(111)의 상측단에 형성된 드릴비트(3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단(112);
    몸체(111)의 하측단에 형성되며 서비컬플레이트(20)의 관통공에 접촉되는 접촉단(113); 및
    삽입단(112)과 접촉단(113)에 연통되며 드릴비트(30)의 단부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드릴 가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네크(120)는,
    상기 비트가이드(110)의 몸체(111)나 삽입단(112)이 내측부로 삽입되는 연결고리(121)와;
    연결고리(121)로부터 핸들(130)을 향해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절곡 연장되는 연결레그(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드릴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핸들(130)은,
    상기 네크(120)의 연결레그(122) 단부가 나사 결합 및 분리되는 손잡이(131)와;
    손잡이(1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그립홈(132)과 미끄럼방지홈(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드릴 가이드.
  5. 제3항에 있어서, 각도조절수단(140)은,
    상기 연결레그(122) 중 연결고리(121)측에 해당되는 비트레그(123)의 단부에 구성되는 고정링크(141);
    상기 연결레그(122) 중 핸들(130)측에 해당되는 핸들레그(124)의 단부에 구성되는 회동링크(142);
    상기 고정링크(141)에 회동링크(14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편(143);
    상기 회동링크(142)에 형성된 나사산(144); 및
    상기 나사산(144)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링크(141)의 단부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어 고정링크(141)와 회동링크(142)의 회동 각도가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너트(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드릴 가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각도조절수단(140)은,
    상기 고정링크(141)의 단부 하측 일부분에 밀착홈(146)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면서 요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드릴 가이드.
KR1020140173984A 2014-12-05 2014-12-05 수술용 드릴 가이드 KR10165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84A KR101658117B1 (ko) 2014-12-05 2014-12-05 수술용 드릴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84A KR101658117B1 (ko) 2014-12-05 2014-12-05 수술용 드릴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056A true KR20160069056A (ko) 2016-06-16
KR101658117B1 KR101658117B1 (ko) 2016-09-22

Family

ID=5635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984A KR101658117B1 (ko) 2014-12-05 2014-12-05 수술용 드릴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1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150B1 (ko) * 2017-04-21 2018-08-21 (주)올소테크 십자인대 재건술용 가이드기구
CN109833093A (zh) * 2018-01-25 2019-06-04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用于颈椎前路手术的导航定位器固定装置
KR102345219B1 (ko) 2021-03-02 2021-12-30 차종학 구부려 사용 가능한 의료용 공구
KR200496833Y1 (ko) * 2022-10-07 2023-05-09 김진영 반려동물 리드줄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056A (ko)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플레이트 드릴가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7826A1 (en) * 2001-07-17 2003-01-30 Sdgi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plate to the spinal column
KR20060035762A (ko) * 2003-07-16 2006-04-26 신세스 게엠바하 다기능 드릴 안내부를 갖춘 플레이팅 시스템
US8282642B2 (en) * 2006-09-26 2012-10-09 K2M, Inc. Cervical drill guide apparatus
JP2012232044A (ja) * 2011-05-09 2012-11-29 Terumo Corp 骨セメント注入用穿刺針、ハンドルホルダ及び骨セメント注入針セ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7826A1 (en) * 2001-07-17 2003-01-30 Sdgi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plate to the spinal column
KR20060035762A (ko) * 2003-07-16 2006-04-26 신세스 게엠바하 다기능 드릴 안내부를 갖춘 플레이팅 시스템
US8282642B2 (en) * 2006-09-26 2012-10-09 K2M, Inc. Cervical drill guide apparatus
JP2012232044A (ja) * 2011-05-09 2012-11-29 Terumo Corp 骨セメント注入用穿刺針、ハンドルホルダ及び骨セメント注入針セ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150B1 (ko) * 2017-04-21 2018-08-21 (주)올소테크 십자인대 재건술용 가이드기구
CN109833093A (zh) * 2018-01-25 2019-06-04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用于颈椎前路手术的导航定位器固定装置
KR102345219B1 (ko) 2021-03-02 2021-12-30 차종학 구부려 사용 가능한 의료용 공구
KR200496833Y1 (ko) * 2022-10-07 2023-05-09 김진영 반려동물 리드줄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117B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117B1 (ko) 수술용 드릴 가이드
EP2467076B1 (en) Transverse rod connector
US20180303473A1 (en) Spine Surgery Retractor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90216666A1 (en) Surgical Support for Providing Knee Torsion
US9247962B2 (en) Laminar hook insertion device
US20160270802A1 (en) Guiding element for spinal drilling operation and guiding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US20060235427A1 (en) Multi-function orthopedic instrument
US20080306538A1 (en) Low profile transverse connector
US10238439B2 (en) Anterior spinal bone plate holding system and method
BRPI0519373B1 (pt) Prótese espinhal ajustável
JP6706488B2 (ja) 椎弓根スクリューシステム及び脊髄安定化システム
US10653459B2 (en) Spinal fixation aiming apparatus
JP2007167658A (ja) 骨または椎骨のための動的安定化装置
KR20070056033A (ko) 가변 추궁 성형술 임플란트
US7850716B2 (en) Adjustable interconnection device
EP1872733A1 (en) Bone plate clamp
US20210015523A1 (en) Rib Fix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11357490B2 (en) Distractor device and method
KR101001539B1 (ko) 척추교정용 로드 삽입기구 및 이를 구비한 척추교정 시술장치
WO2010122034A1 (en) Foot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1111666B1 (ko) 최소 침습적 척추수술장치
KR20160056984A (ko) 척추경 나사못 장치
EP1635721B1 (en) Orthopedic clamps
KR101688858B1 (ko) 척추 임플란트용 스크류 어셈블리
US11974788B2 (en) Adjustable angle orthopedic distractor and/or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