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003A -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003A
KR20160069003A KR1020140173525A KR20140173525A KR20160069003A KR 20160069003 A KR20160069003 A KR 20160069003A KR 1020140173525 A KR1020140173525 A KR 1020140173525A KR 20140173525 A KR20140173525 A KR 20140173525A KR 20160069003 A KR20160069003 A KR 20160069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ortion
predetermined
elastic
elastic suppor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594B1 (ko
Inventor
민진영
우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닉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닉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닉월드
Priority to KR102014017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59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운동 기기의 일정 부분에 배치되어 운동 기구 떨림을 흡수 저감 또는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대는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를 포함한다. 상단부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며 상단 중심에서 하방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는 상단 결합홀이 형성된다. 중단부는 상단부와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마련되며 중심에 일정 크기의 공동이 배치되고 상단부와 연이어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부와 기둥부들의 이격에 의해 배치된다. 그리고 하단부는 중단부와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마련되며 기둥부들의 하단과 연결되어 기둥부를 지지한다.

Description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Elastic Supporter and healthcar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 기기의 일정 부분에 배치되어 운동 기구 떨림을 흡수 저감 또는 제거할 수 있는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람들에게 운동은 필수적인 자기 관리 항목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보다 손쉽게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방법은 대중적인 운동 방법의 한가지이다. 특히, 실내에 거치하고 이용할 수 있는 운동 기구는 주변 상황이나 날씨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운동 기구가 실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충격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음파 진동 운동기와 같은 운동 기구는 음파를 발생시켜 이용자의 근육을 운동시키기 때문에 운동과 관련한 운용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지속적인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은 지면을 통하여 인접된 사람에 전달되어 불쾌감을 주거나 또는 바닥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생활공간에 전달되어 불편함 또는 소음 공해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4535호(2012.03.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운동 기구와 같은 구조물의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 저감 또는 제거할 수 있는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탄성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며 상단 중심에서 하방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는 상단 결합홀이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와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마련되며 중심에 일정 크기의 공동이 배치되고 상기 상단부와 연이어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들의 이격에 의해 배치되는 중단부, 상기 중단부와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들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기둥부를 지지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상단부와 다른 재질 또는 일정 강도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결합홀 내에 배치되는 상단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단 너트는 원통형의 측벽, 상기 측벽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 상기 측벽 외부에 일정 폭을 가지면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단부는 일정 두께의 원판형 하측부, 상기 하측부 중심 표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만큼 형성된 하단 결합홀, 상기 하단부 재질과 다른 강도로 형성되며 상기 하단 결합홀 내에 배치되는 하단 너트 중 적어도 하나를 할 수 있다.
상기 중단부는 상기 상단 결합홀의 끝단에서 상기 공동 내부로 연장되데 상기 하단부의 상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중단부와 동일 재질 또는 일정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하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한 상기 상단부의 변형에 따라 하방으로 위치 이동하며, 상기 하단부 상측면과 접촉되는 동안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부는 상기 상단부의 하방 변형에 대응하여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기구는 탄성 재질이고 전체적으로 구 형상이며 중앙에 공동(예: 내부 홀)이 마련되고, 상기 공동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둘레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에 의해 기둥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부들이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중단부를 이루는 탄성 지지대, 상기 탄성 지지대의 상단부의 중심에 배치된 상단 너트와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며, 선택적 운용에 따라 상기 탄성 지지대의 일정 압력을 가하는 발판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발판대 일측에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며 배치되는 버팀대, 상기 버팀대의 일측에 마련되는 손잡이부, 상기 발판대 운용에 필요한 전원 공급에 이용되는 전원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는 충격 흡수에 강건한 특성을 가지는 구조를 채용하여 운동 기구에서 발생된 충격을 흡수, 저감 또는 제거함으로써 운동 중에 발생하는 충격 문제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의 전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절개선 A-A`을 따라 부분 절개된 탄성 지지대의 부분 절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동 기구(10)는 발판대(20), 버팀대(30), 손잡이부(40), 탄성 지지대(50) 및 전원 코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운동 기구(10)는 전원 코드(21)를 통해 유입된 전원을 이용하여 발판대(20)를 지정된 방식으로 동작시켜 발판대(20) 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근육을 운동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운동 기구(10)에서 발생하는 충격(또는 압력)은 탄성 지지대(50)를 통해 흡수, 저감 및 제거될 수 있다.
발판대(20)는 예컨대 탄성 지지대(50)의 상단부의 중심에 배치된 상단 너트와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며, 선택적 운용에 따라 탄성 지지대(50)에 일정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발판대(20)는 예컨대 음파 진동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발판대(20)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일정 운동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판대(2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버팀대(30)는 발판대(20)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며 연장될 수 있다. 버팀대(30)는 손잡이부(4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버팀대(30)에는 발판대(20) 운용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나 터치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버팀대(30) 상단 일측에 적어도 일부가 고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40)의 형상은 발판대(20)에 위치한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전원 코드(21)는 발판대(20)에 연결되며, 영구 전원(예: 콘센트)과 연결되어, 영구 전원이 제공하는 전력을 발판대(2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코드(21)의 길이나 형상 등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코드(21)는 배터리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는 장착된 배터리 충전 등을 위해 전원 코드(21)가 이용될 수도 있다.
탄성 지지대(50)는 탄성 재질이고 전체적으로 구 형상이며 중앙에 공동이 마련되고, 공동(예: 내부 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둘레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관통홀들에 의해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또는 복수의 기둥부들)가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중단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탄성 지지대(50)의 중단부는 상단 결합홀의 끝단에서 공동 내부로 연장되데 하단부의 상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들은 발판대(20)에 사용자가 위치함에 따라 상단부의 변형(예: 하방 또는 직하방 변형)이 발생하면, 그에 대응하여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서, 탄성 지지대(50)가 발판대(20) 하부에 배치되어 발판대(20)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떨림, 압력 등을 분산, 흡수, 제거, 저감함으로써, 발판대(20)에서 발생한 불필요한 운동 에너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운동 기구(10)는 지정된 주파수에 대응하여 떨리는 발판대(20)를 포함하고, 발판대(20) 운용에 따른 운동 효과를 제공하는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운동 기구(10)는 일정 속도로 되감아지는 레일을 포함하는 런닝 머신 등의 기구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기구(10)의 구성을 발판대(20)와 버팀대(30), 손잡이부(40), 전원 코드(21) 및 탄성 지지대(50)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운동 기구(10)는 발판대(20)와 탄성 지지대(50)만을 포함하거나 추가적으로 전원 코드(21) 만을 포함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운동 기구(10)는 전원 코드(21)를 대신하여 배터리가 내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의 전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절개선 A-A`을 따라 부분 절개된 탄성 지지대의 부분 절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50)는 중심부에 일정 크기의 공동(58)이 마련되며 전체적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는 공 형상(예: 구 또는 타원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대(50)는 예컨대, 운동 기구(10)와 적어도 일부(예: 발판대(20)에 마련된 볼트 구조물 등)가 결합 가능하도록 상단 결합홀(51)이 배치되는 상단부(56), 충격 흡수 및 분산 역할을 수행하는 중단부(55), 상단부(56)가 운동 기구(10)와 결합할 때 적어도 일부가 바닥과 대면되도록 배치되는 하단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탄성 지지대(50)는 운동 기구(10)와 결합한 상단부(56)가 운동 기구(10)에서 발생한 충격을 전달받아 중단부(55)에 전달하면, 중단부(55)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55a)들의 신축 운동에 의해 해당 충격을 완화, 흡수, 저감 또는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지지대(50)는 상단부(56)와 하단부(5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55a)들이 관통홀(55b)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는 중단부(55)를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기둥부(55a)는 내부 공동(58)과 구 형상의 외부 일부로서 형성됨에 따라 내측면과 외측면이 일정 곡면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부(55a)의 상단과 연결된 상단부(56)가 운동 기구(10)에서 발생한 충격(또는 압력이나 떨림)을 전달할 때, 해당 충격에 의하여 기둥부(55a)의 중단 영역이 탄성 지지대(50)의 중심축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방향으로 일정 크기만큼 탄성 운동 예컨대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단부(56)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탄성 동작과 상쇄되면서 흡수, 저감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이때, 하단부(54)는 기둥부(55a)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탄성 동작에 의하여 상쇄된 충격들 중 완전하게 상쇄되지 않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하거나 지면 등에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단부(56)는 적어도 일정 크기의 평평한 상단면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평평한 상단면은 예컨대 원형일 수 있다. 평평한 상단면은 운동 기구(10)의 발판대(20)의 하단 형상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넓이와 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시된 상단부(56)의 형상은 운동 기구(10)의 발판대(20) 바닥이 평평한 것을 가정하여 예시한 것이다. 예컨대, 발판대(20)의 바닥에 적어도 하나의 엠보가 배치된 경우, 상단부(56) 형상은 엠보에 대응되는 음각된 엠보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단부(56)의 평평한 상단면의 중심부에는 일정 직경의 상단 결합홀(51)이 일정 깊이 또는 상단부(56)를 하방 또는 직하방으로 관통하는 깊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단 결합홀(51)의 끝단은 내부 공동(58)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중단부(55)의 스토퍼(59)와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단 결합홀(51) 내에는 일정 강도 이상의 상단 너트(100a)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단 너트(100a)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단 너트(100a)는 상단 결합홀(51)의 측벽들과 단단하게 결합되어, 운동 기구(10)와 나사 결합 시 헛도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중단부(55)는 상단부(56)의 가장자리와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며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55a)와, 기둥부(55a)들이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치됨에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55b)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55b)은 탄성 지지대(50)의 외부면에서 중심부의 공동(58)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며 관통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홀(55b)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탄성 지지대(50)의 외부면에서 중상부의 공동(58) 방향으로 수평하게 관통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둥부(55a)의 외부 영역 중 중단 영역이 상단 또는 하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관통홀(55b)은 외부면의 노출 영역이 내부면의 노출 영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55b)의 직경이 중심의 공동(58)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둥부(55a)의 외부 영역 중 중단 영역이 상단 또는 하단에 비하여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관통홀(55b)의 형상은 기둥부(55a)의 형상이 상단부(56)와 연결된 영역에서부터 하단부(54)에 연결된 영역까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며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4개의 관통홀(55b)들과 4개의 기둥부(55a)들이 배치된 중단부(55)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탄성 지지대(5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탄성 지지대(50)는 2개, 3개, 5개 등 짝수개 또는 홀수개의 관통홀들과 기둥부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중단부(55)는 탄성 지지대(50)의 공동(58)이 배치되고, 공동(58) 내측에는 상단 결합홀(51)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스토퍼(59)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59)는 하단부(54)의 상단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59)는 예컨대 중앙이 빈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스토퍼(59)는 중앙이 빈 각뿔의 일부 형상일 수 있다. 스토퍼(59)는 상단 결합홀(51)의 끝단과 연이어 형성됨에 따라, 운동 기구(10)가 하방 또는 직하방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단부(56)가 변형(하방으로 위치 변화)되어 주변 또는 상단부(56)와 상단이 연결된 기둥부(55a)들이 일정 탄성을 가지며 휘어지게 되면, 스토퍼(59)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기둥부(55a)들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휘어지는 경우 하단부(54)의 상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스토퍼(59)의 끝단은 하단부(54)의 상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스토퍼(59)는 상단부(56)에 전달된 충격을 하단부(54)의 상측면의 일정 지점을 통해 하단부(54) 전체에 전파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면서, 스토퍼(59)는 상단부(56)를 통해 전달된 운동 기구(10)의 급격한 충격 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 중 적어도 일부를 상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59)는 주변(예: 상단부(56), 중단부(55), 하단부(54) 등)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 또는 일정 크기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59)가 기둥부(55a)들의 휨 동작에 의하여 하단부(54)의 상측면에 접촉되더라도, 스토퍼(59)는 충격 전달과 아울러, 일정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전달된 충격을 흡수, 저감 또는 제거할 수 있다.
하단부(54)는 지면 또는 건물 바닥 등과 대면되며 일정 높이만큼 신장된 하측부(52)와, 하측부(52)의 밑면 가장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면 확장되어 기둥부(55a)와 관통홀(55b)의 일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측부(52)가 일정 두께를 가지며 원판형의 형상으로 예시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측부(52)는 상단부(56)의 평평한 상단면과 유사하게 별도의 두께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단부(54)의 상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공동(58)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상측면 중 일부는 스토퍼(59)의 하부와 대면될 수 있다. 노출된 하단부(54)의 상측면은 기둥부(55a)들의 휨 운동에 따라 스토퍼(59)의 하부와 접촉 또는 접촉 후 떨어짐 상태가 반복될 수 있다.
하단부(54)의 하측부(52) 중심에는 하단 결합홀(53)이 일정 직경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하단 결합홀(53)의 직경은 예컨대, 상단 결합홀(51)의 직경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는 하단 결합홀(53)은 상단 결합홀(51)의 직경과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하단 결합홀(53) 내에는 볼트 결합을 지원하기 위해 하단 너트(100b)가 배치될 수 있다. 하단 너트(100b)는 일정 강도 이상의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 너트(100b)는 하단 결합홀(53)의 측벽과 체결되면서, 하단 결합홀(53)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단 너트(100b)는 예컨대, 상단 너트(100a)를 대체하여 운동 기구(10)의 일정 위치에 배치된 볼트와 결합할 수도 있다. 또는 하단 너트(100b)는 지면 또는 건물 바닥 등에 설치된 볼트 구조물과 결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상단 너트(100a) 또는 하단 너트(100b)는 예컨대, 측벽(110), 나사산(120), 적어도 하나의 기어 돌출 패턴(13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10)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나사산(120)은 원기둥 형상의 측벽(110) 내측에 일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120)은 운동 기구(10)에 마련된 볼트 또는 지면 등에 배치된 볼트 등과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어 돌출 패턴(130)은 측벽(110)의 외측면에서 원주를 따라 일정 폭의 띠 형상을 가지되, 원주면이 요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어 돌출 패턴(130)은 예컨대, 상단 너트(100a)에 3개의 띠 형상으로 배치되고, 하단 너트(100b)에 두 개의 띠 형상으로 배치되는 예시를 제시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어 돌출 패턴(130)의 두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컨대, 측벽(110)의 외부면 전체에 하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단 너트(100a) 또는 하단 너트(100b)와 결합하는 상단 결합홀(51) 또는 하단 결합홀(53)의 형상 역시 기어 돌출 패턴(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단 결합홀(51) 또는 하단 결합홀(53)은 내벽에 일정 깊이의 홈이 일정 간격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홈이 형성되는 위치는 사출 등에 의해 탄성 지지대(50)가 형성됨에 따라 기어 돌출 패턴(13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탄성 지지대(50)는 상단부(56), 중단부(55) 및 하단부(5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단부(55)와 하단부(54)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탄성 지지대(50)와 유사한 형상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단부(56)는 예컨대, 일정 두께를 가지면 원판형으로 돌출된 상측부(52a)와, 상측부(52a)의 밑면 가장자리에서 일정 곡률을 가지며 휘어지도록 외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부(52a)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관통하는 제1 상단 결합홀(51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단 결합홀(51a)에는 제1 상단 너트(101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단 결합홀(51a)은 예컨대 상술한 상단 결합홀(51)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직경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으며, 깊이가 상측부(52a)의 돌출에 의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단 너트(101a)는 상술한 상단 너트(100a)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직경을 가지며 형성되며 외형 역시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예시에 따르면, 제1 상단 너트(101a)는 상단 너트(100a)와 길이가 다소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하단부(54)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두께의 원판형 하측부(52b)가 마련되고, 하측부(52b)의 밑면 가장자리에서 일정 곡률을 가지며 연장된 외부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측부(52b)의 중심에는 제1 하단 결합홀(53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단 결합홀(53a)에는 하단 너트(100b)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결합홀들 내에 너트들이 배치되는 형상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결합홀 부분을 주변부와 다른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재질로 마련하거나 다른 경화 과정을 제공하여 다른 강도를 가지도록 제조하는 경우, 탄성 지지대(50)는 별도의 금속 재질 너트를 배치하지 않고 결합홀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운동 기구(10) 등에 배치된 볼트와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하단부(54)에 하단 결합홀(53, 53a)이 배치되고, 하단 너트(100b) 등이 배치되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단부(54)는 별도의 하단 결합홀(53, 53a)이나 하단 너트(100b)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단부(54)의 중심 형상이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원판형의 하측부(52b)가 배치되거나 평평한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하단부(54)는 구 형상에서의 같이 둥근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운동 기구 20 : 발판대
30 : 버팀대 40 : 손잡이부
50 : 탄성 지지대 51, 51a : 상단 결합홀
52a : 상측부 52, 52b : 하측부
53, 53 : 하단 결합홀 54 : 하단부
55 : 중단부 55a : 기둥부
55b : 관통홀 56 : 상단부
58 : 공동 59 : 스토퍼
110 : 측벽 120 : 나사산
130 : 기어 돌출 패턴

Claims (12)

  1. 탄성 재질로 마련되며 상단 중심에서 하방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는 상단 결합홀이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와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마련되며 중심에 일정 크기의 공동이 배치되고 상기 상단부와 연이어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들의 이격에 의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중단부;
    상기 중단부와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들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기둥부를 지지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다른 재질 또는 일정 강도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결합홀 내에 배치되는 상단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너트는
    원통형의 측벽;
    상기 측벽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
    상기 측벽 외부에 일정 폭을 가지면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일정 두께의 원판형 하측부;
    상기 하측부 중심 표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만큼 형성된 하단 결합홀;
    상기 하단부 재질과 다른 강도로 형성되며 상기 하단 결합홀 내에 배치되는 하단 너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지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부는
    상기 상단 결합홀의 끝단에서 상기 공동 내부로 연장되데 상기 하단부의 상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지지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중단부와 동일 재질 또는 일정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지지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하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한 상기 상단부의 변형에 따라 하방으로 위치 이동하며, 상기 하단부 상측면과 접촉되는 동안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지지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상단부의 하방 변형에 대응하여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지지대.
  9. 탄성 재질이고 전체적으로 구 형상이며 중앙에 공동이 마련되고, 상기 공동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둘레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에 의해 기둥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부들이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중단부를 이루는 탄성 지지대;
    상기 탄성 지지대의 상단부의 중심에 배치된 상단 너트와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며, 선택적 운용에 따라 상기 탄성 지지대의 일정 압력을 가하는 발판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대 일측에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며 배치되는 버팀대;
    상기 버팀대의 일측에 마련되는 손잡이부;
    상기 발판대 운용에 필요한 전원 공급에 이용되는 전원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대의 상기 중단부는
    상기 상단 결합홀의 끝단에서 상기 공동 내부로 연장되데 상기 하단부의 상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상단부의 하방 변형에 대응하여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KR1020140173525A 2014-12-05 2014-12-05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KR101663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25A KR101663594B1 (ko) 2014-12-05 2014-12-05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25A KR101663594B1 (ko) 2014-12-05 2014-12-05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003A true KR20160069003A (ko) 2016-06-16
KR101663594B1 KR101663594B1 (ko) 2016-10-10

Family

ID=5635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525A KR101663594B1 (ko) 2014-12-05 2014-12-05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5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375A (ja) * 1993-07-20 1995-02-07 Tokushu Gomme Kenkyusho:Kk 防振支持装置
KR200353275Y1 (ko) * 2004-03-10 2004-06-26 이성근 진동식 운동기구의 소음억제구조
KR20110004253U (ko) * 2009-10-23 2011-04-29 주식회사에이앤케이 비공기식 타이어
KR101124535B1 (ko) 2008-12-09 2012-04-27 이태수 도약운동용 완충지지대
JP2013108524A (ja) * 2011-11-17 2013-06-06 Tokkyokiki Corp 天井吊下型減震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375A (ja) * 1993-07-20 1995-02-07 Tokushu Gomme Kenkyusho:Kk 防振支持装置
KR200353275Y1 (ko) * 2004-03-10 2004-06-26 이성근 진동식 운동기구의 소음억제구조
KR101124535B1 (ko) 2008-12-09 2012-04-27 이태수 도약운동용 완충지지대
KR20110004253U (ko) * 2009-10-23 2011-04-29 주식회사에이앤케이 비공기식 타이어
JP2013108524A (ja) * 2011-11-17 2013-06-06 Tokkyokiki Corp 天井吊下型減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594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4385B2 (en) Massage apparatus
US20040018924A1 (en) Electronic balance system and platform
JP3172738U (ja) ゴルフボールを用いた足裏マッサージ具
KR101663594B1 (ko) 탄성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US20170135892A1 (en) Trigger Point Treatment Device
KR101935307B1 (ko) 짐볼 운동기구
KR101438054B1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CN211132089U (zh) 震动瑜伽柱
KR200486832Y1 (ko) 골프 스윙 연습기
US20200121989A1 (en) Exercise chair
GB2447846A (en) Aerobic exercise apparatus
TWM586157U (zh) 律動機
CN215505385U (zh) 一种防撞的组装型腕力球
US20210100713A1 (en) Mobility Training Apparatus
CN213609228U (zh) 一种新型心理学用情绪发泄装置
RU186129U1 (ru) Механический массажёр
US11938075B1 (en) Corner mounted massage roller assembly
KR200471942Y1 (ko) 기능성 훌라후프
CN211860465U (zh) 一种音响避震脚垫结构
CN201759449U (zh) 具浮动脚板的足浴盆
CN211132090U (zh) 震动瑜伽柱
TWI730402B (zh) 穴道及肌肉物理按摩器
KR102652661B1 (ko) 요가 운동기구
KR101291317B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JPS63410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