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517A -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용도 - Google Patents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517A
KR20160068517A KR1020140174366A KR20140174366A KR20160068517A KR 20160068517 A KR20160068517 A KR 20160068517A KR 1020140174366 A KR1020140174366 A KR 1020140174366A KR 20140174366 A KR20140174366 A KR 20140174366A KR 20160068517 A KR20160068517 A KR 20160068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fine particles
cells
poly
dimpl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국영
이주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8517A/ko
Publication of KR2016006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세포 지지체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포와의 상호 작용이 뛰어나 세포 접착이 용이하며 표면의 닫힌 형태의 요철 구조로 인해 추가 공정 없이 세포를 효과적으로 접착할 수 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포 지지체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용도{Use of a microparticle having dimpled surface}
본 발명은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세포 지지체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포와의 상호 작용이 뛰어나 세포 접착이 용이하며 표면의 닫힌 형태의 요철 구조로 인해 추가 공정 없이 세포를 효과적으로 접착할 수 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포 지지체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조직 또는 장기의 기능 향상 또는 회복력, 유지를 위한 생물학적 대체물의 개발을 위한 다양한 조직공학적 기술들이 연구되어왔다. 일반적인 조직공학에 있어서, 장기 전체나 조직의 일부를 이식하기 위해서는 환자에 특이적으로 적합한 구조의 지지체(스캐폴드)를 제작하고 여기에 세포를 배양하여 외과적 수술을 통해 환부의 조직을 재생하거나 고치는 과정을 거쳤다. 이와 같이 특정 형태를 갖는 장기 외에 불규칙한 형태의 환부에 대해서는 손상부를 채워주고 정상적인 기능을 갖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대표적으로 주사형 조직공학 시스템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주사형 조직공학 시스템 중 미립자를 세포 운송체로 하여 주사하는 것은 유용한 방법 중에 하나로 여겨졌다.
또한 미립자는 세포를 배양하는 3차원 배지로도 사용될 수 있다.
미립자가 세포 운송체 또는 세포 지지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세포가 손상되지 않고 미립자에 잘 접착되며, 세포가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세포 지지체에 대한 종래 기술 중 공개특허 10-2014-0022575(공개일자: 2014년02월25일)에는 스피룰리나 (spirulina)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세포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13-0053609(공개일자: 2013-05-24)에는 인체 또는 동물체로부터 태반조직을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태반조직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태반조직을 원심분리하여 혈액성분을 포함하는 상등액을 분리하고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침전물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세포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외기질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치유용 지지체를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유용하고 효과적인 세포 전달체 또는 세포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포와의 상호 작용이 뛰어나고 세포 접착이 용이하며 표면의 닫힌 형태로 인해 추가 공정 없이 세포를 효과적으로 접착할 수 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세포 지지체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포 지지체를 제공한다. 상기 세포 지지체는 생체내 및/또는 생체외에서 세포를 부착할 수 있는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미립자는 생체내 및/또는 생체외에서의 세포 부착 능력(딤플 구조 표면에 부착됨)이 우수하므로, 세포 지지체로서 유용하다.
또한, 상기 미립자는 딤플 구조 표면으로 인하여 우수한(강력한) 세포 부착력을 가질 뿐 아니라, 표면적이 넓어서 보다 많은 수의 세포를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미립자 또는 상기 세포 지지체는 세포 운반, 세포 배양 및/또는 세포의 생체 내 이식 수단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 (또는 세포 지지체)를 포함하는 세포 운반체 또는 세포 운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 운반체 또는 세포 운반용 조성물은 생체 외에서의 세포의 보관 및/또는 운반을 위한 것 또는 세포를 생체 내의 표적 부위로의 운반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또는 세포 지지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세포 지지체 또는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 배양은 생체 외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양 방법은 상기 배양하는 단계 이전에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에 세포를 부착시켜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제조하는 단계 또는 이와 같이 제조된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입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포 이식용 스캐폴드(scaffold) 또는 세포 이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이식이 필요한 부위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이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 이식 방법은, 상기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에 세포를 부착시켜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제조하는 단계 또는 이와 같이 제조된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입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환자는 포유류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일 수 있다. 다른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 및 투여 수단을 포함하는 세포 이식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투여 수단은 주사 등의 생체 내 주입 수단일 수 있다.
다른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와 상기 미립자에 부착된 세포를 포함하는 미립자-세포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미립자에 부착된 세포는 상기 미립자에서 안정적으로 증식할 수 있으므로, 성공적으로 배양된 세포 배양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예는 상기 미립자-세포 복합체를 포함하는 생체 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체 재료는 미립자에 부착된 세포 배양물로부터 얻어지는 생체 조직 또는 기관 또는 이들의 일부일 수 있으며, 부착된 세포 종류에 따라서, 예컨대, 뼈 이식, 피부 이식, 또는 연골 이식 등의 성형 또는 정형외과적 이식을 위한 생체 재료, 치조골, 잇몸 등의 치과적 이식을 위한 생체 재료, 혈관 이식을 위한 생체 재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립자는 표면에 딤플(dimple)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세포 표면의 딤플 구조는, 세포 지지체로서 사용시, 세포 부착력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며, 표면적을 넓혀서, 보다 많은 세포를 효과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로서, 용어 "딤플 (dimple) 구조"는, 골프공과 유사하게, 미립자 표면을 관통하지 않으면서 표면에 생성된 홈(닫힌 형태의 오목한 요철 구조)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딤플 구조 표면(dimpled surface)"은 미립자 표면에 상기와 같은 딤플 구조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용어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입자 표면에 상기와 같은 딤플 구조가 형성된 골프공 모양(golf-ball shaped)의 미립자 또는 미립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립자는 표면에 다수의 미세한 딤플 구조를 가짐으로써 세포 부착시 부착력을 높이고 세포 부착 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세포를 부착 및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미립자 표면에 생성되는 딤플 구조의 크기는 직경 약 2um 내지 약 30um(micrometer)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세포의 크기가 20um 전후임을 고려할 때, 상기 딤플 구조는 평균 직경 약 2um 내지 약 30um, 약 5um 내지 약 30um, 약 10 um 내지 약 30um, 약 15um 내지 30um 또는 약 20um 내지 약 30um의 것일 수 있다. 딤플 구조의 깊이 (홈의 깊이)는 미립자 표면 두께에 따라서 표면이 관통되지 않을 정도로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딤플 구조의 깊이는 약 1um 내지 약 15um, 약 1um 내지 약 10um, 또는 약 1um 내지 약 5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립자 표면이 관통되지 않을 정도의 범위의 모든 수치일 수 있다.
세포 운반체 또는 세포 지지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되기 위해서, 상기 미립자는 통상적인 세포를 부착하기에 효율적인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구형의 구조체일 수 있으며, 평균 직경 약 20um(micrometer) 이상, 예컨대, 약 30um 이상, 약 50 um 이상, 약 100um 이상, 약 150 um 이상, 또는 약 200 um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세포를 생체 내에 주입(injection) 등의 용이한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투여하기 위해서,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평균 직경 약 500um 이하, 약 400 um 또는 약 300um 이하인 것이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평균 직경 30 내지 500um, 30 내지 400um, 30 내지 300um, 50 내지 500um, 50 내지 400um, 50 내지 300um, 100 내지 500um, 100 내지 400um, 100 내지 300um, 150 내지 500um, 150 내지 400um, 150 내지 300um, 200 내지 500um, 200 내지 400um, 또는 200 내지 300u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립자는 고분자로부터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용도에 따라서 생체 분해성 및 생체 비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생체 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PLGA; 예컨대, 락트산 함량: 50 내지 65 중량%, 글리콜산 함량: 35 내지 50 중량%), 폴리(D,L-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 PCL), 폴리(D,L-락트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락트산-폴리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 비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oly(methyl methacrylate-co-buthyl methacrylate)(P(MMA-co-B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PMMA)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술폰(polysunfone; PSF)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고분자는 상기 미립자의 용도에 맞게 (예컨대, 생체 내에 적용시 생체 분해성 고분자 중에서 1종 이상 선택)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8,000Da 내지 약 100,000Da, 약 20,000Da 내지 약 850,000Da, 또는 약 40,000Da 내지 약 750,000D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표면에 딤플 구조가 형성된 미립자를 제조하는 모든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22408호 또는 제1224298호, 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4-0128553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하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a) 앞서 설명한 고분자 (예컨대,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D,L-락트산), 폴리(D,L-락트산-폴리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및 폴리술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및 상전이 물질(phase change material(PCM)) (온도의 변화에 의해 상이 변화하는 휘발성 탄화수소 물질; 예컨대, 2-메틸펜탄, 2-메틸부탄,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폴리비닐알코올을 물에 용해시켜 연속상을 제조하는 단계;
(c) (a) 단계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과 (b) 단계에서 제조된 연속상을 마이크로플루딕 디바이스(microfluidic device)에 튜브로 연결하여 도입하는 단계;
(d) 마이크로플루딕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O/W 에멀젼(oil-in-water)방식으로 미립자를 생성하는 단계.
다른 예에서,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하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a') 앞서 설명한 고분자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외부 연속상 용액; 및 폴리(락트산-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D,L-락트산), 폴리D,L-락트산-폴리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및 폴리술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및 상전이 물질(phase change material(PCM)) (온도의 변화에 의해 상이 변화하는 휘발성 탄화수소 물질; 예컨대, 2-메틸펜탄 , 2-메틸부탄,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을 마이크로플루딕 디바이스에 튜브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튜브 내로 연속상을 위한 물 흐름을 도입하여 균일한 크기의 미립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미립자를 고형화시키는 단계.
상기 (a) 또는 (a') 단계에서, 상기 유기 용매는 고분자 (예컨대, 생분해성 고분자) 및 소수성 계면활성제와의 혼화성 및 상분리가 일어날 것이 요구되며,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모든 유기용매일 수 있고, 예컨대, 클로로메탄(CH3Cl), 디클로로메탄(CH2Cl2 ),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염소화탄화수소 용제일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와 상전이 물질은 고분자용액 중의 유기용매에 대해 5 내지 20%(w/w), 7 내지 13%(w/w), 또는 5 내지 10%(w/w)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와 상전이 물질의 비율은 9:1 내지 6:4 사이 또는 8:2 에서 6:4 사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분자와 상전이 물질의 비율은 상기 범위에서 합이 10이 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물에 대한 농도가 0.1 내지 5%(w/w), 0.5 내지 5%(w/w), 0.5 내지 3%(w/w), 또는 1 내지 3%(w/w)가 되도록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 또는 (b') 단계에서 고분자 용액 및 연속상의 흐름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미립구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고분자 (예컨대, 생체 분해성 고분자) 및 상전이물질(phase change material(PCM)) (온도의 변화에 의해 상이 변화하는 휘발성 탄화수소 물질; 예컨대, 2-메틸펜탄, 2-메틸부탄,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외부 연속상(continuous phase)에 상기 고분자 용액을 분산시켜 유중수(oil-in-water(O/W)) 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여 고분자 미립구를 고형화시키는 단계.
상기 고분자 용액은 유기용매(예컨대, 클로로메탄(CH3Cl), 디클로로메탄(CH2Cl2 ),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염소화탄화수소 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예컨대, 생체 분해성 고분자) 는 상기 유기용매에 대해 6~9%(w/w) 농도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용액은 유기용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전이물질은 상기 유기용매에 대해 1~4%(w/w) 또는 2~4%(w/w) 농도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예컨대, 생체 분해성 고분자) 대 상기 상전이물질의 중량비는 5:5~9:1 또는 6:4~8:2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연속상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PVA))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은 폴리비닐알코올이 물에 대해 1~5%(w/w) 또는 1~3%(w/w) 농도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1) 상전이물질(phase change material(PCM)) (온도의 변화에 의해 상이 변화하는 휘발성 탄화수소 물질; 예컨대, 2-메틸펜탄, 2-메틸부탄, 또는 이들의 조합 등)과 고분자 용액을 각각,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외부 연속상에 분산시켜 각각의 분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두 분산용액을 혼합하여 미립자 표면에 딤플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조 방법은 단계 (2) 이후에, 미립자를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예컨대, 폴리(락틱산-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D,L-락틱산) 또는 폴리카프로락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분해성 고분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polyoxyethylene-polyoxypropyene block copolymer),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계(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ester)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용액은 0.5 내지 5 중량%의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방법들에서, 고분자 용액 (비연속상)과 연속상을 혼합하는 과정은 이 때 사용되는 상전이 물질의 녹는점 이하, 예컨대, 5 ~ 45?, 또는 10 ~ 3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방법들에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염소화 탄화수소 용제 70 내지 95 중량%, 고분자 4 내지 9 중량% 및 상전이 물질 1 내지 6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방법들에 의하여, 내부의 다공성 구조와 표면에 딤플 구조를 갖는 균일한 크기의 미립자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포 운반체 또는 세포 운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 운반체 또는 세포 운반용 조성물은 생체 외에서의 세포의 보관 및/또는 운반을 위한 것 또는 세포를 생체 내의 표적 부위로 운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생체 내 운반이 적용 가능한 대상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예컨대 인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미립자, 운반체 또는 조성물은 주입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생체에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세포 지지체 또는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 배양은 생체 외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립자에 부착된 세포는 생체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양 방법은 상기 배양하는 단계 이전에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에 세포를 부착시켜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제조하는 단계 또는 이와 같이 제조된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입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포 이식용 스캐폴드(scaffold) 또는 세포 이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의 적용 가능한 대상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예컨대 인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미립자, 스캐폴드 또는 조성물은 주입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생체에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이식이 필요한 부위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이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 이식 방법은, 상기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에 세포를 부착시켜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제조하는 단계 또는 이와 같이 제조된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입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립자에 부착시키는 세포는 생체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환자는 포유류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일 수 있다. 다른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 및 투여 수단을 포함하는 세포 이식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투여 수단은 통상의 주사기 등의 생체 내 주입 수단일 수 있다.
다른 예는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와 상기 미립자 (예컨대 표면)에 부착된 세포를 포함하는 미립자-세포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미립자에 부착된 세포는 상기 미립자에서 안정적으로 증식할 수 있으므로, 성공적으로 배양된 세포 배양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예는 상기 미립자-세포 복합체를 포함하는 생체 재료 또는 생체 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체 재료는 미립자에 부착된 세포 배양물로부터 얻어지는 생체 조직 또는 기관 또는 이들의 일부일 수 있으며, 부착된 세포 종류에 따라서, 예컨대, 뼈 이식, 피부 이식, 또는 연골 이식 등의 성형 또는 정형외과적 이식을 위한 생체 재료, 치조골, 치은 등의 치과적 이식을 위한 생체 재료, 혈관 이식을 위한 생체 재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립자-세포 복합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생체 재료 또는 생체 재료용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예컨대, 인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주입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생체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에 부착 가능한 세포는 특별한 제한이 없이 모든 세포, 예컨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세포, 바람직하게는 인간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각종 조직 또는 기관을 이루는 세포, 치료적 활성을 갖는 세포, 암세포 등일 수 있으며, 예컨대, 골세포 (예컨대, 전조골세포, 연골세포, 조골세포, 조혈모세포 등), 줄기세포 (예컨대, 성체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 등) 신경세포 (예컨대, 뉴런, 성상교세포, 슈반세포, 희돌기교세포 등), 간세포(hepatocyte), 간 기간 세포(hepatic stem cell), 분비 세포 (예컨대, 베타세포, 유선세포, 간질세포, 사구체엽세포 등), 랑켈한스섬 세포, 피부세포 (예컨대, 피부 내피세포, 진피 섬유아세포, 각질세포, 섬유아세포 등), 멜라닌세포, 머켈세포, 혈관세포 (예컨대, 혈관내피세포 등), 근세포 (예컨대, 평활근세포, 골격근세포, 근아세포 등), 내배엽세포, 지방전구세포, 치조골세포, 치은세포, 암세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가 생체 외에서의 세포 지지, 세포운반, 세포 배양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세포는 모든 원핵 또는 진핵 생물로부터 유래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정상세포 및 암세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 상기 미립자와 세포와의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생체에 적용시 주입 (injection)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어서, 보다 간편하게 생체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딤플 구조의 표면을 갖는 미립자는 세포와의 상호 작용 및 세포 접착능이 우수하고, 표면의 닫힌 형태로 인해 추가 공정 없이 세포를 효과적으로 접착할 수 있어서, 세포 지지체로서 유용하다.
도 1은 고분자와 상전이물질 간 비율에 따라 형성되는 미립자의 표면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미립구 사진의 bar는 100μm를 나타냄).
도 2는 미립자 표면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로서, (a)는 표면에 딤플이 형성된 골프공 형태의 미립자를 보여주고, (b)는 표면이 매끈한 미립자를 보여준다.
도 3은 표면이 매끈한 미립자와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세포 부착 정도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로서, (a)는 MCF-10A 세포의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에 대한 부착 정도, (b)는 HEK293 세포의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에 대한 부착 정도, (c)는 MCF-10A 세포의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에 대한 부착 정도, (d)는 HEK293 세포의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 에 대한 부착 정도를 각각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c)의 MCF-10A 세포가 부착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3의 (a)에 나타낸 MCF-10A 세포를 부착한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형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3의 (c)에 나타낸 MCF-10A 세포를 부착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형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7은 MCF-10A 세포를 부착한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 (No dimple)와 MCF-10A 세포를 부착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 (dimple)의 세포 부착 비율 (percent cell attachment (%))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딤플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제조
디클로로메탄에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락트산:글리콜산의 몰비 = 65:35, 분자량 40,000~75,000)와 상변이 물질인 2-메틸펜탄을 용해시켜 오일상의 고분자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 때, 용매인 디클로로메탄과,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와 2-메틸펜탄의 합과의 비율은 9중량부:1중량부 (디클로로메탄 중량: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중량과 2-메틸펜탄 중량의 합)으로 고정시키고,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와 2-메틸펜탄 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9:1, 8:2, 7:3, 및 6:4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중량:2-메틸펜탄 중량)이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고부자 용액을 비연속상으로 사용하고, 외부 연속상을 도입시켜 미립자를 얻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얻어진 고분자 용액을 30G 니들이 장착된 실린지에 넣었다. 1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외부 연속상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준비된 연속상과 비연속상을 각기 독립적으로 조정된 유속으로 syringe pumps (KDS 100 and KDS Legato 200, KS Scientific)를 통해 공흐름 미세관 시스템 (Co-flow capillary system)을 사용하는 마이크로플루딕 디바이스 (microfluidic device)에 넣어주었다. 비연속상의 유속(Q d )은 0.1mL/h로 하였다. 미립자의 크기는 연속상의 유속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는데, 연속상의 유속(Q c )은 유적이 미세관 팁(capillary tip)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정하였다 (Q c = 200mL/h). 이 때 마이크로플루딕 디바이스 내 온도는 5℃ 내지 45℃를 유지시켰다. 그 후, 실온(ambient temperature)에서 3시간 동안 증발시켜서, 오일상의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미립자를 증류수로 4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최종 산물을 24시간 동안 공기 건조시킨 후 진공 오븐에 넣어서 24시간동안 진공 건조 시켰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미립자의 평균 딤플 크기 입경 및 주사전자현미경(SEM; JSM-7000F, JEOL) 사진을 도 1 및 도 2(a)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표면에 다양한 크기의 딤플이 형성된 미립자가 얻어졌다 (외부연속상 온도: 18℃; 미립자의 평균 입경: 약 235±5um). 동일한 크기의 미립자 표면에 생성된 평균 딤플 수는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와 2-메틸펜탄 간 비율이 9:1인 경우 약 3058개, 8:2인 경우 약 1590개, 7:3인 경우 970개, 및 6:4인 경우 213개였다. 이 때, 공중합체와 2-메틸펜탄 간 비율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비율이 높을수록 미립자 표면에 형성된 딤플의 크기가 커졌으며, 예컨대, 딤플의 평균 크기는 중합체와 2-메틸펜탄 간 비율이 중량 기준으로 7:3인 경우에 약 15±3um 정도, 6:4인 경우에는 약 25±5um 정도였다.
비교예 :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제조
비교를 위하여, 마이크로플루딕 디바이스 내 온도는 46℃ 이상(약 60℃)으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표면이 매끈한 미립자를 제조하였다. 이 때, 디클로로메탄과 PLGA와 2-메틸펜탄과의 혼합물 간의 비율(디클로로메탄:PLGA+2-메틸펜탄)은 중량 기준으로 90:10로, 상기 혼합물 내의 PLGA와 2-메틸펜탄간의 비율(PLGA:2-메틸펜탄간)은 중량 기준으로 7:3로 하여 미립자 제조를 진행하였다. 상기 얻어진 미립자의 SEM(JSM-7000F, JEOL) 이미지를 도 2(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세포 배양
표면에 딤플 구조가 형성된 골프공 형태 미립자 (golf-ball-shaped microparticles)의 세포 부착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인간 유선 세포인 MCF-10A 세포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와 인간 신장 세포인 HEK293 세포(ATCC)를 준비하였다.
MCF-10A 세포는 BPE(bovine pituitary factor),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hEGF(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인슐린 및 겐타마이신(gentamicin)/암포테리신(amphotericin)-B,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유선상피세포 기본배지 (Mammary Epithelial Basal Medium; MEBM)에서 배양하였다. HEK293 세포는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을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은 배양액 내 세포밀집도(confluence)가 80 내지 90%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한 후, 0.05 % trypsin-EDTA으로 처리하고 1000rpm에서 1분동안 원심분리하여 각각의 세포 현탁액을 얻어서 하기의 실시예 3 및 4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미립자의 세포 부착 시험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미립자 (디클로로메탄과 PLGA와 2-메틸펜탄과의 혼합물 간의 비율(디클로로메탄:PLGA+2-메틸펜탄)은 중량 기준으로 90:10로, 상기 혼합물 내의 PLGA와 2-메틸펜탄간의 비율(PLGA:2-메틸펜탄간)은 중량 기준으로 7:3로 하여 제조된 미립자)를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 PDMS)이 코팅된(spin-coated) 유리 기판 위에 놓고 30℃에서 24시간 동안 열경화시켜 고정시켰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각각의 세포 현탁액을 50ml (4.0x104 cells)의 양으로 앞서 준비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가 고정된 유리 기판에 로딩하고, 37℃ 및 5% CO2의 가습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상기한 배지(MEBM)를 사용하여 배양하여 세포를 미립자에 부착시켰다. 24 시간 배양 후, 새로운 배양액을 사용하여 3회 세척하여 미부착 세포를 제거한 후, 12 시간 동안 재배양하여 살아있는 세포를 고정화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상기 비교예에서 제작된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이용하여 MCF-10A 세포와 HEK293 세포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얻어진 세포의 부착 및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JSM-7000F, JEOL)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준비된 세포를 1% 글루타르알데하이드로 15분동안 고정화시키고, 상기 고정화된 시료에 에탄올을 농도를 높여가며 (ascending grades) 처리하여 탈수시킨 다음,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그 후, 건식 도금 (sputter-coated with gold (IB-3, EIKO))시키고, 가속전압 10 kV에서 관찰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SEM 이미지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a)는 MCF-10A 세포의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비교예)에 대한 부착 정도, (b)는 HEK293 세포의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비교예)에 대한 부착 정도, (c)는 MCF-10A 세포의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 (실시예 1)에 대한 부착 정도, (d)는 HEK293 세포의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 (실시예 1)에 대한 부착 정도를 각각 보여준다. 도 3의 (a) 내지 (d)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MCF-10A 세포와 HEK293 세포 모두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보다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골프공 형태의 미립자에 대한 부착 정도가 현저히 높을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미립자의 세포 부착 시험 2
live/dead fluorescence staining (LIVE/DEAD Viability/Cytotoxicity Kit, Invitrogen Co., USA)을 사용하여 미립자의 세포의 부착 양상을 시험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세포가 부착된 미립자 중 MCF-10A 세포를 부착한 매끈한 표면의 미립자와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각각 10 uM calcein AM로 30분간 처리한 후, 공초점 형광 현미경 (LSM5 live configuration variotwo VRGB, Zeiss)로 관찰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도 4 내지 7에 나타내었다.
도 4는 도 3의 (c)에 나타낸 미립자 (MCF-10A 세포를 부착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보다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도 3의 (a)에 나타낸 미립자 (MCF-10A 세포를 부착한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형광 현미경 사진을 보여주며, 도 6은 도 3의 (c)에 나타낸 미립자 (MCF-10A 세포를 부착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형광 현미경 사진을 보여준다. 도 5 및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딤플 구조의 표면을 갖는 골프공 형태의 미립자에서는, 딤플 구조가 세포 표면을 관통하지 않고 닫힌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세포가 표면에 미립자 표면에만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다공성의 세포 지지체 고분자 미립자에서 세포가 미립자의 구멍에 부착하거나, 구멍을 통하여 내부로 이동하는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이와 같이 세포가 미립자의 내부로 이동하여 존재하기 위해서는 세포의 크기에 상응하는 공간이 존재하여야 하며, 이러한 공간을 만드는 과정에서 미립자의 기계적 강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골프공 형태의 미립자는 세포가 내부로 이동하여 부착하지 않고 표면에만 부착되기 때문에 미립자 내부의 과도한 기공크기에 의한 강도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상기 두 종류 미립자 (MCF-10A 세포를 부착한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 'No dimple'; CF-10A 세포를 부착한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 'dimple')의 세포 부착 비율 (percent of cell attached particles; %)를 보여준다. 상기 세포 부착 비율은 SEM 이미지에서 계수된 미립자의 총 개수에 대한 세포가 부착된 미립자의 개수의 비율(%)로 구하였다.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세포 부착 비율이 매끈한 표면을 갖는 미립자와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딤플은 미립자 표면을 관통하지 않으며 평균 직경이 2 내지 30um이고, 상기 미립자는 평균 직경이 100 내지 500um인, 세포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고분자 미립자는 평균 직경이 200 내지 500um인 것인, 세포 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폴리(락틱산-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D,L-락틱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D,L-락트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락틱산-폴리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술폰,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세포 지지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포 지지체를 포함하는, 세포 운반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포 지지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포 지지체를 포함하는, 세포 이식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이식용 조성물은 주입에 의하여 생체 내 투여 가능한 것인, 세포 이식용 조성물.
  8.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 및 상기 미립자의 표면에 부착된 세포를 포함하고,
    상기 딤플은 미립자 표면을 관통하지 않으며 평균 직경이 2 내지 30um이고,
    상기 미립자는 평균 직경이 100 내지 500um인,
    미립자-세포 복합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고분자 미립자는 평균 직경이 200 내지 500um인 것인, 미립자-세포 복합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폴리락틱산-폴리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PLGA), 폴리(D,L-락틱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D,L-락트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락틱산-폴리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술폰,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미립자-세포 복합체.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세포 복합체는 주입에 의하여 생체 내 투여 가능한 것인, 미립자-세포 복합체.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미립자-세포 복합체를 포함하는 생체 재료.
KR1020140174366A 2014-12-05 2014-12-05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용도 KR20160068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66A KR20160068517A (ko) 2014-12-05 2014-12-05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66A KR20160068517A (ko) 2014-12-05 2014-12-05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517A true KR20160068517A (ko) 2016-06-15

Family

ID=5613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366A KR20160068517A (ko) 2014-12-05 2014-12-05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85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6001A1 (en) * 2018-10-23 2020-04-30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n implantable construct,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es thereof
KR20230074901A (ko) * 2021-11-22 2023-05-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딤플 구조의 표면을 가진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6001A1 (en) * 2018-10-23 2020-04-30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n implantable construct,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es thereof
CN113383068A (zh) * 2018-10-23 2021-09-10 新加坡科技研究局 可植入性构建体及其制造方法和用途
KR20230074901A (ko) * 2021-11-22 2023-05-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딤플 구조의 표면을 가진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rain et al. The use of nanoscaffolds and dendrimers in tissue engineering
Bakhshandeh et al. Tissue engineering; strategies, tissues, and biomaterials
Antmen et al. The role of biomaterials and scaffolds in immune responses in regenerative medicine: macrophage phenotype modulation by biomaterial properties and scaffold architectures
Van Nieuwenhove et al. Soft tissue fillers for adipose tissue regeneration: From hydrogel development toward clinical applications
Shishatskaya et al. Experimental wound dressings of degradable PHA for skin defect repair
Lih et al. Biomimetic porous PLGA scaffolds incorporating decellularized extracellular matrix for kidney tissue regeneration
Bouhadir et al. Promoting angiogenesis in engineered tissues
US6719970B1 (en) Method of generating cartilage
JP6382962B2 (ja) 組織工学のためのマトリックス及び移植片
Yao et al. Biomimetic injectable HUVEC‐adipocytes/collagen/alginate microsphere co‐cultures for adipose tissue engineering
US11045500B2 (en) Tissue engineering construct comprising fibrin
KR101105285B1 (ko) 다공성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0845B1 (ko)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패치
Qasim et al. Current research trends and challenges in tissue engineering for mending broken hearts
US9422524B2 (en) Diabetes treatment
Lim et al. Novel fabrication of PCL porous beads for use as an injectable cell carrier system
US20190030211A1 (en) Hydrogel scaffold for three dimensional cell culture
KR20140121590A (ko)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Lupu-Haber et al. Functionalized PLGA-doped zirconium oxide ceramics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KR101226629B1 (ko)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상된 조직 재생용 패치
JP2013511314A (ja) 神経組織再生のための移植片組成物と、その製造および使用法
KR20160068517A (ko) 딤플 구조 표면을 갖는 미립자의 용도
Deymeh et al. Use of gelatin as a sacrificial agent in combination with ultrasonication to improve cell infiltration and osteogenesis of nanofibrous PCL-nHA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KR100482651B1 (ko) 조직공학용 천연/합성 하이브리드 담체 및 이의 제조방법
Tan et al. Research on the osteogenesis and biosafety of ECM–Loaded 3D–Printed Gel/SA/58sBG scaffo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