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500A -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 - Google Patents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500A
KR20160068500A KR1020140174335A KR20140174335A KR20160068500A KR 20160068500 A KR20160068500 A KR 20160068500A KR 1020140174335 A KR1020140174335 A KR 1020140174335A KR 20140174335 A KR20140174335 A KR 20140174335A KR 20160068500 A KR20160068500 A KR 20160068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panel
roller
electrode roller
electrode
heat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895B1 (ko
Inventor
김지찬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17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8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73Quenching devices for die que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34Methods of heating
    • C21D1/40Direct resistanc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는 소재 공급기로부터 투입되는 소재패널을 고온상태로 가열하여 성형장치로 공급하는 전기 가열로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가열로의 투입 전에 상기 소재패널을 일정온도로 예열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기 가열로의 전방 양측에 후단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장착 플레이트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소재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소재패널을 상기 전기 가열로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전단부 하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의 하면과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전단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의 상면과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롤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의 상면에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PRE-HEATING DEVISE FOR HOT STAMPING}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패널의 성형 전에 전기 가열로의 전방에서 소재패널을 신속하게 가열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예열시킨 상태로 전기 가열로에 투입시키도록 하는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핫 스탬핑(hot stamping) 기술은 강판을 적정온도(약 900℃)로 가열하여 프레스 금형 내에서 프레스 성형으로 한번에 성형한 후, 급속 냉각하여 고강도 부품을 제조하는 성형기술이다.
이러한 핫 스탬핑 성형은 핫 포밍(Hot Forming), 핫 프레싱(Hot Pressing) 등을 포함하며, 핫 스탬핑 성형에 적용되는 소재로는 0.2중량% 내외의 탄소를 함유하며, 열처리 성능 향상을 위한 원소로 Mn, B를 사용하는 보론 강이 사용된다.
여기서, 보론 강이 사용된 보론 강판은 미량의 보론(boron, B)을 첨가한 강판으로서, 적정온도 조건에서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계에서 보론이 원자상태로 편석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입계의 자유에너지를 낮춤으로서 초석 페라이트 핵 생성을 억제시켜 강의 경화능(?칭 시, 마르텐사이트 형성으로 경화되는 강의 능력)을 현저히 개선하게 된다.
이러한 보론 강판을 이용한 핫 스탬핑 성형은 기존의 고강도 강을 이용한 성형법과는 달리 성형 전 500~800MPa 정도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페라이트 조직의 보론 강판을 900℃ 이상의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화하여 고온 성형한 후, 급속 냉각시켜 1300~1600MPa 정도의 고 인장강도를 갖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성형품을 얻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핫 스탬핑 성형품은 일반 강판 부품보다 강도가 4~5배 높으면서도 무게는 기존에 비하여 최대 40%까지 줄일 수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차체의 경량화와 강도 향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프레스 장치는 소재의 가압 성형을 항상 상온에서만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보론 강판과 같이 고온 성형성이 우수한 소재의 가압 성형을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핫 스탬핑 기술의 적용에 있어, 종래에는 소재를 가열시키기 위해 주로 가스 가열로 또는 전기 가열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 가열로는 소재인 보론 강판을 Ac3 이상의 880~950℃ 정도로 가열하여 완전히 오스테나이트화 시켜야 하는데, 일정두께 이상일 경우에는 적어도 12 ~ 17분 이상 소요됨에 따라, 가열시간의 증가 및 이로 인한 공정속도의 저하 및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 가열로의 길이가 23~30m 정도로 상당히 길고 또한 커야 하기에 설비의 대형화에 따른 비용 상승을 야기하게 되며, 소재가 투입되지 않을 경우에도 전기 가열로 내부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구동시켜야만 함으로, 높은 전력비용이 발생하고, 보전 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론 강판으로 형성된 소재패널의 성형 전에 전기 가열로의 전방에서 투입된 소재패널을 통전에 의한 저항열로 신속하게 가열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예열시킨 상태로 전기 가열로에 투입함으로써, 전기 가열로의 크기를 줄여 설비비용을 절감하고, 전기 가열로의 가동시간을 줄여 전력비용과 보전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는 소재 공급기로부터 투입되는 소재패널을 고온상태로 가열하여 성형장치로 공급하는 전기 가열로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가열로의 투입 전에 상기 소재패널을 일정온도로 예열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기 가열로의 전방 양측에 후단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장착 플레이트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소재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소재패널을 상기 전기 가열로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전단부 하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의 하면과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전단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의 상면과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롤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의 상면에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롤러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롤러는 제1 롤러 샤프트를 통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 샤프트는 양단부가 상기 장착 프레임의 전방 상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슬롯 상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롤러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롤러는 제2 롤러 샤프트를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롤러 샤프트는 양단부가 상기 장착 프레임의 중앙 상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롯 상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롤러와 상기 제2 전극롤러는 전원 공급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재패널과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기에서 공급된 전류를 상기 소재패널로 통전시킬 수 있다.
제2 전극롤러는 상기 전원 공급기로부터 상기 제1 전극롤러로 공급되어 상기 소재패널을 통과한 전류를 상기 전원 공급기로 리턴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는 상기 제1 전극롤러와 상기 제2 전극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 샤프트를 통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에 의하면, 보론 강판으로 형성된 소재패널의 성형 전에 전기 가열로의 전방에서 투입된 소재패널을 통전에 의한 저항열로 신속하게 가열하여 일정온도 이상까지 예열시킨 상태로 전기 가열로에 투입함으로써, 전기 가열로의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설비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열장치를 통해 1차로 예열된 소재패널이 투입될 경우에만 전기 가열로가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전기 가열로가 계속해서 가동되는 것을 방지해 전력비용과 보전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전류가 공급 및 리턴되는 제1, 제2 전극롤러를 한 쌍으로 적용함으로써, 2 장의 소재패널을 이송 중에 동시에 급속 예열이 가능하여 예열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신속한 예열로 소재패널에서 코팅층 몰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소재패널의 가열시간 단축을 통하여 전체 사이클 타임을 단축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전류가 공급 및 리턴되는 제1, 제2 전극롤러를 한 쌍으로 적용함으로써, 2 장의 소재패널 투입 시에도 동시에 급속 예열할 수 있어 예열 시간을 단축하며, 이동 중인 소재패널을 통전에 의한 저항열을 이용해 신속하게 예열함으로써, 소재패널에서 코팅층 몰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소재패널의 가열시간 단축을 통하여 전체 사이클 타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전기 가열로의 설치면적을 축소하여 작업장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가 적용된 핫 스탬핑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가 적용된 핫 스탬핑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100)는 소재 공급기(10)로부터 투입되는 소재(P)를 고온상태로 가열하여 성형장치(30)로 공급하는 전기 가열로(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 가열로(20)의 투입 전에 소재(P)를 일정온도로 예열시키기 위한 것으로, 장착 플레이트(110), 컨베이어 롤러(120), 지지롤러(130), 제1 전극롤러(140), 및 제2 전극롤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 가열로(20)의 전방 양측에 후단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컨베이어 롤러(120)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전기 가열로(2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된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롤러(120)는 상기 소재 공급기(10)로부터 공급된 소재패널을 상기 전기 가열로(20)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롤러(130)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의 전단부 하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P)의 하면과 구름 접촉된다.
이러한 지지롤러(130)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의 전단부에서 전방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전간격 떨어진 위치에서 각각의 장착 플레이트(110) 사이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각각 2 개씩 구비되고, 2개를 1조로 하여 상기 제1 전극롤러(140)와 상기 제2 전극롤러(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1조씩 2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롤러(130)는 상기 컨베이어 롤러(12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며, 회전 샤프트(131)를 통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130)는 상기 제1 전극롤러(140)와 상기 제2 전극롤러(15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롤러(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롤러(130)는 상기 컨베이어 롤러(120)와 함께, 상기 소재패널(P)의 하면에 구름 접촉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소재패널(P)을 원활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롤러(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롤러(130)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의 전단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P)의 상면과 구름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롤러(14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의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 롤러 샤프트(141)를 통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롤러 샤프트(141)는 양단부가 상기 장착 프레임(110)의 전방 상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슬롯(111) 상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롤러(140)는 소재 공급기(10)로부터 투입된 소재패널(P)의 두께 차이에 따라 상기 제1 슬롯(111) 상에서 제1 롤러 샤프트(141)가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소재패널(P)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여 상기 소재패널(P)의 상면에 원활하게 구름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롤러(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롤러(130)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롤러(14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P)의 상면에 구름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전극롤러(15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의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 롤러 샤프트(151)를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롤러 샤프트(151)는 양단부가 상기 장착 프레임(110)의 중앙 상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롯(113) 상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전극롤러(150)는 소재 공급기(10)로부터 투입된 소재패널(P)의 두께 차이에 따라 상기 제2 슬롯(111) 상에서 제2 롤러 샤프트(151)가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소재패널(P)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여 상기 소재패널(P)의 상면에 원활하게 구름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제2 전극롤러(140, 150)는 각 장착 플레이트(110)의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이격된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됨으로써, 소재패널(P) 두 개가 함께 공급될 경우에도 각 소재패널(P)을 동시에 예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전극롤러(140)와 상기 제2 전극롤러(150)는 2개를 1 조로 하여 장착 플레이트(110)의 전단부 전, 후방에 각각 1 조씩 구성된 상기 지지롤러(130)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지지롤러(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 전극롤러(140)와 상기 제2 전극롤러(150)는 전원 공급기(16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롤러(140)와 상기 제2 전극롤러(150)는 상기 소재패널(P)이 제1, 제2 전극롤러(140, 150)에 함께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기(160)에서 공급된 전류를 상기 소재패널(150)로 통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롤러(140)는 전원 공급기(160)로부터 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제2 전극롤러(150)는 상기 전원 공급기(160)로부터 상기 제1 전극롤러(140)로 공급되어 상기 소재패널(P)을 통과한 전류를 상기 전원 공급기(160)로 리턴시켜 전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롤러(140)와 제2 전극롤러(150)가 함께 소재패널(P)의 상면에 접촉될 경우, 전원 공급기(160)로부터 제1 전극롤러(140)로 공급된 전류는 제2 전극롤러(150)를 통해 다시 전원 공급기(160)로 리턴되는 과정에서 전류가 소재패널(P)에 통전되면서 발생되는 저항열이 상기 소재패널(P)을 신속하게 예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롤러(130)들은 상기 제1 전극롤러(140)와 제2 전극롤러(150)의 각 하부에서 소재패널(P)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롤러(140)와 제2 전극롤러(150)를 각각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컨베이어 롤러(120)들과 함께 소재패널(P)을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재패널(P)은 각각의 컨베이어 롤러(120)를 통해 전기 가열로(20)를 향하여 계속해서 이동되면서 전원 공급기(160)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통과되는 제1 전극롤러(140)와 제2 전극롤러(150)를 통해 통전이 이루어져 보다 신속하게 예열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예열장치(100)는 제1, 제2 전극롤러(140, 150)를 이용하여 전류의 통전 시에 발생되는 저항열로 이동 중인 소재패널(P)을 신속히 예열함으로써, 보론 강판으로 형성된 소재패널(P)의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표면 코팅층 몰림 현상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소재 공급기(10)로부터 공급된 소재패널(P)이, 도 4의 (S1)과 같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110)의 전방으로 투입되어 제1 전극롤러(140)에 접촉되면, 상기 전원 공급기(160)로부터 공급된 전류는 통전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컨베이어 롤러(120)들이 작동하여 상기 소재패널(P)을 전기 가열로(20)를 향하여 이동시키면, 도 4의 (S2)와 같이, 상기 소재패널(P)은 제1 전극롤러(140)와 제2 전극롤러(150)에 상면이 접촉된다.
이 때, 전원 공급기(160)는 작동이 ON 되어 제1 전극롤러(140)로 전류를 공급하게 되며, 공급된 전류는 소재패널(P)을 통과하여 제2 전극롤러(150)를 통해 다시 전원 공급기(160)로 리턴된다.
여기서, 상기 소재패널(P)은 전류의 통전으로 발생되는 저항열로 인해 급속하게 예열되면서, 작동 중인 컨베이어 롤러(120)들에 의해 전기 가열로(20)로 이동된다.
예열된 상태의 소재패널(P)이 전기 가열로(20)를 향해 계속해서 이동되면, 도 4의 (S3)과 같이, 상기 소재패널(P)과 상기 제1 전극롤러(140)의 접촉이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전원 공급기(160)는 작동이 OFF 되어 상기 제1 전극롤러(140)로 공급되던 전류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며, 소재패널(P)은 예열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롤러(120)들에 의해 이동되어 전기 가열로(20)로 투입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100)를 적용하면, 보론 강판으로 형성된 소재패널(P)의 성형 전에 전기 가열로(20)의 전방에서 투입된 소재패널(P)을 통전에 의한 저항열로 신속하게 가열하여 일정온도 이상까지 예열시킨 상태로 전기 가열로(20)에 투입함으로써, 전기 가열로(20)의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예열장치(100)를 통해 1차로 예열된 소재패널(P)이 투입될 경우에만 전기 가열로(20)가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전기 가열로(20)가 계속해서 가동되는 것을 방지해 전력비용과 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류가 공급 및 리턴되는 제1, 제2 전극롤러(140, 150)를 한 쌍으로 적용함으로써, 2 장의 소재패널(P) 투입 시에도 동시에 급속 예열할 수 있어 예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중인 소재패널(P)을 통전에 의한 저항열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예열함으로써, 소재패널(P)의 표면에서 코팅층 몰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소재패널(P)의 가열시간 단축을 통하여 전체 사이클 타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기 가열로(20)의 설치면적을 축소하여 작업장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예열장치
110 : 장착 플레이트
111 : 제1 슬롯
113 : 제2 슬롯
120 : 컨베이어 롤러
130 : 지지롤러
131 : 회전 샤프트
140 : 제1 전극롤러
141 : 제1 롤러 샤프트
150 : 제2 전극롤러
151 : 제2 롤러 샤프트
160 : 전원 공급기
P : 소재패널

Claims (10)

  1. 소재 공급기로부터 투입되는 소재패널을 고온상태로 가열하여 성형장치로 공급하는 전기 가열로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가열로의 투입 전에 상기 소재패널을 일정온도로 예열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기 가열로의 전방 양측에 후단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장착 플레이트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소재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소재패널을 상기 전기 가열로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전단부 하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의 하면과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전단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의 상면과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롤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패널의 상면에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롤러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롤러는
    제1 롤러 샤프트를 통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샤프트는
    양단부가 상기 장착 프레임의 전방 상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슬롯 상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롤러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롤러는
    제2 롤러 샤프트를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 샤프트는
    양단부가 상기 장착 프레임의 중앙 상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롯 상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롤러와 상기 제2 전극롤러는
    전원 공급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재패널과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기에서 공급된 전류를 상기 소재패널로 통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2 전극롤러는
    상기 전원 공급기로부터 상기 제1 전극롤러로 공급되어 상기 소재패널을 통과한 전류를 상기 전원 공급기로 리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는
    상기 제1 전극롤러와 상기 제2 전극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 샤프트를 통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성형용 예열장치.
KR1020140174335A 2014-12-05 2014-12-05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 KR10163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35A KR101632895B1 (ko) 2014-12-05 2014-12-05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35A KR101632895B1 (ko) 2014-12-05 2014-12-05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500A true KR20160068500A (ko) 2016-06-15
KR101632895B1 KR101632895B1 (ko) 2016-06-23

Family

ID=5613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335A KR101632895B1 (ko) 2014-12-05 2014-12-05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8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1767A (zh) * 2021-07-13 2021-09-07 南京睿源利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铝合金热冲压设备及其工作方法
CN115026725A (zh) * 2022-06-23 2022-09-09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板料预涂的预热装置、板料预处理线及预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503A (ja) * 1991-11-30 1993-06-22 Aichi Steel Works Ltd ステンレス小形形鋼の製造方法
KR100364848B1 (ko) * 2002-07-20 2002-12-16 유병섭 선재용 열처리 시스템의 피딩장치
KR20110075732A (ko) 2009-12-28 2011-07-06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국부적으로 이종 강도를 갖는 열간 프레스 성형체 제조용 금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 제조방법
JP2012236198A (ja) * 2011-05-10 2012-12-06 Waitekku:Kk 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503A (ja) * 1991-11-30 1993-06-22 Aichi Steel Works Ltd ステンレス小形形鋼の製造方法
KR100364848B1 (ko) * 2002-07-20 2002-12-16 유병섭 선재용 열처리 시스템의 피딩장치
KR20110075732A (ko) 2009-12-28 2011-07-06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국부적으로 이종 강도를 갖는 열간 프레스 성형체 제조용 금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 제조방법
JP2012236198A (ja) * 2011-05-10 2012-12-06 Waitekku:Kk 加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1767A (zh) * 2021-07-13 2021-09-07 南京睿源利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铝合金热冲压设备及其工作方法
CN113351767B (zh) * 2021-07-13 2023-08-11 杭州同瑞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强度铝合金热冲压设备及其工作方法
CN115026725A (zh) * 2022-06-23 2022-09-09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板料预涂的预热装置、板料预处理线及预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895B1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3656B2 (ja) 熱間プレス成形装置
CA2955279C (en) Method for heating steel sheet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6142409B2 (ja) 通電加熱方法
US20140339210A1 (en) Direct resistance heating apparatus and direct resistance heating method
JP5201003B2 (ja) 熱間プレス成形用鋼板の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US1000082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artially hardening sheet metal components
US20110094282A1 (en) Method and hot forming system for producing a hardened, hot formed workpiece
CN104471086B (zh) 直接电阻加热方法
KR20140044797A (ko) 판금부 열처리 조절을 위한 가열로 시스템
KR101313980B1 (ko) 저항 가열을 이용한 국부 이종강도 핫스탬핑 공법 및 이를 위한 저항가열 장치
US20140124105A1 (en) Hot forming line for producing hot formed and press hardened steel sheet products
US20180231311A1 (en) Method for heat treatment of a sheet steel component and heat treatment apparatus therefor
US20210237138A1 (en) Conduction pre-heating of sheet for hot forming
KR101632895B1 (ko)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
KR20170064272A (ko) 핫 스탬핑 프레스 장치
CN111069331A (zh) 一种超高强度钢的形性梯度控制装置及方法
CN102242245A (zh) 连续加压喷油淬火装置
JP2016097424A (ja) 加熱方法及び加熱装置並びにプレス成形品の作製方法
KR102052173B1 (ko) 금속 판재의 프레스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KR20160033530A (ko) 핫스탬핑용 예열장치
KR101516402B1 (ko) 벤딩 프레스용 예열장치
KR101607010B1 (ko) 핫스탬핑 통전가열장치
CN110773630A (zh) 一种解决不规则坯料导电加热温度不均匀的方法
KR101435056B1 (ko) 소재 가열장치
KR101382180B1 (ko) 핫 스탬핑용 예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