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383A -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 및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 및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383A
KR20160068383A KR1020140174048A KR20140174048A KR20160068383A KR 20160068383 A KR20160068383 A KR 20160068383A KR 1020140174048 A KR1020140174048 A KR 1020140174048A KR 20140174048 A KR20140174048 A KR 20140174048A KR 20160068383 A KR20160068383 A KR 20160068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eb
floor
ondol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701B1 (ko
Inventor
김하석
이세현
이문환
송태협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7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7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구조로서, 바닥 표면 마감재와 기포 콘트리트 사이에 시공되는 온돌 모르타르를 타설하기 이전에 기포 콘트리트 상부면 위의 설정 높이의 공간부를 다수개의 평면 구획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격벽식의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를 기포 콘트리트 상부면에 설치하고, 그 공간부 내에 난방용 파이프를 설치하고 온돌 모르타르를 타설 시공함으로써 층간소음의 진동 전달 매질이 되는 온돌층이 상기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에 의해 다수개의 짧은 스팬을 가진 분절층으로 분리 형성되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 및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Dividing Structure of ondol layer for floor impact noise reduction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divided ondol layer}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상층 바닥면에 충격력이 인가될 때 하층의 천정으로 층간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면을 형성하는 온돌층에서 진동을 제어하여 전달되는 중량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온돌층의 진동 억제 구조 및 이에 필요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공동주택에서의 바닥충격음 저감 방식은 바닥판의 슬래브와 온돌마감재 사이에 층간소음 완충재를 삽입하거나, 또는 천정에 차음막을 설치하여 윗층 소음의 아래층 전달을 차단하는 방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기존 슬래브 층의 두께를 증가시켜 충격음 전달 저감을 시도하기도 하고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켜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방법으로 국가 정책의 초점이 여기에 맞춰지면서 2003년부터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두께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는데, 예를 들면 2003년 이전에는 대부분 130~150mm 내외이던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두께가 2005년부터 180mm로 다시 2006년부터 210mm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이 정도 두께의 콘크리트 바닥슬래브로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저감하기가 사실상 어렵다는 것을 여러 바닥충격음 측정 결과 및 연구보고서에서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즉,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두께에 대한 기준을 최고로 높인 현재까지도 층간소음 중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중량충격음 측정치에서 법적 기준치를 맴도는 수준이고, 실제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층간소음 체감 정도를 보여주는 각종 실태 조사에서도 여전히 많은 입주민들이 층간소음에 시달리는 것으로 드러나 있다.
또한, 층간바닥의 주요 부분으로서 층간소음을 저감하는 핵심층이라 할 수 있는 단열재를 겸하는 층간소음 완충재바닥 완충재로서 주로 20~30mm 두께의 EPS, EPP, PE, 및 EVA 계 플라스틱 발포 제품들이거나 이를 복합 내지 적층한 제품들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런 플라스틱 발포 제품 내지 복합 적층 제품들의 하부에는 평판 또는 엠보싱이나 리브 등이 형성되어 상부 충격에 대한 완충 성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재겸 바닥 완충재는 층간소음을 저감하는데 한계가 있고, 더욱이 층간소음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중량 충격음의 저감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슬래브 두께의 변화 또는 층간소음 완충재나 차음막의 설치에 의해 아래층으로의 소음을 차단하는 기존 방식은 특정 소음에 대한 차단 효과가 있을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즉, 공동주택에서 문제가 되는 소음으로는 고성이나 TV, 라디오에서 발생되는 소리, 비교적 날카롭고 높은 소리와 같은 고주파 대역의 경량 충격음과, 그리고 아이들이 뛰어 노는 소리, 발구르는 소리와 같은 중저파 대역의 중량 충격음이 있는데, 이러한 소음 중에서 경량 충격음은 기존의 층간소음 완충재나 차음막의 설치에 의해 어느 정도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나, 중량 충격에 따른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중량 충격음은 그 소리의 전달 루트와 전달 진행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의 방법을 이용할 경우 소리가 증폭되어 오히려 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공동주택 바닥구조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0) 위로 단열재겸 완충재(20), 기포 콘크리트(30), 온돌 모르타르(40), 바닥 표면마감재(50)를 적층하여 바닥을 구성하고, 슬래브(10)의 하부에는 하층의 천정 구조물(S)이 설치되어 있다. 중량 충격음은 공동주택 바닥 충격시에 바닥 표면마감재(50)로부터 시작하여 중간 매질에 의해 전달되는 고체 전달음과 이때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에 의해 좌우되게 되는데, 이러한 고체 전달음의 차단과 진동의 감쇠가 층간 소음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공동주택에서 바닥 구조를 시공할 때 두께 150~210mm 내외의 슬래브(10) 위에 약 20~30㎜ 두께의 단열재겸 완충재(20), 약 40㎜ 두께의 기포 콘크리트(30), 및 약 40㎜ 두께의 온돌 모르타르(40)가 시공되고, 그리고 그 상부에 바닥 표면마감재(50)가 시공됨이 일반적인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통상의 일반적인 바닥 구조의 경우에 경량 충격음 저감에는 효과가 있으나 중량 충격음 저감에는 효과가 미비하며, 온돌 모르타르(40) 시공시에 줄눈에 의한 시공으로 현장 시공오차가 크기 때문에 온돌 모르타르 내부에 설치되는 난방용 파이프(45) 배관의 시공 균일성을 보장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온돌 모르타르(40) 표면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비닐 장판이나 합판 마루와 같은 바닥 표면마감재(50)의 시공 불량의 문제점을 나타나기도 하며, 나아가 이러한 바닥 표면마감재(50)의 시공 불량은 중량 충격음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최근 들어서 중량 충격음의 완화를 위한 층간 바닥 구조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한국 공개 특허 제 20-2008-0003310호(2008년 8월 13일 공개) 및 등록 특허 제 10-1459381호(2014년 11월 7일 공고)를 통하여 각각 방음 리브 또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방진 고무 마운트 등의 완충 장치를 층간 바닥 구조 내에 삽입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완충 장치가 가진 물리적 특성 값은 공동주택 재실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력 크기와 보행 특성에 따라 변형량 및 동적/정적 스프링 정수를 달리하여 선택하여야 하는 등 환경 의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된 보편적인 바닥 단열재겸 완충재에 비하여 월등한 층간소음 저감 성능을 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물리적 특성 값이 변화하거나 열화 또는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그 품질이 떨어지면서 완충이나 방진 효과는 하락하는 반면에 오히려 금속 마찰 소음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소음 인자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들의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동주택의 상층 바닥면에 충격이 인가될 때 충격원에 의한 진동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히 제어가 어려운 중량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온돌 모르타르를 시공할 때 기존의 일반적인 줄눈에 의한 시공 방법 보다 현장 시공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온돌 모르타르 내부에 설치되는 난방용 파이프 배관의 시공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온돌 모르타르 표면의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바닥 표면 마감재의 시공 불량률을 감축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공동주택 층간소음은 일반적인 공기 전파음(Air-borne sound)이 아닌 구조체 전달음(Structure borne sound)이라는 큰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음은 반드시 진동(Vibration)을 동반하는 물리적 현상을 보이며 이러한 진동은 파장이 긴 저주파수대 진동일수록 잘 전달되고, 거리도 멀리까지 전달된다. 공동주택의 가장 주된 문제가 되는 유형의 층간소음인 중량 충격음, 특히 그 중량 충격음의 대표적 형태인 성인의 보행 진동에 의한 소음과 어린이의 뜀뛰기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바로 100Hz이하 저주파수대의 진동과 소음에 해당한다. 상기 저주파수대 충격음 중에서도 약 50Hz 내외의 충격음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또한, 저주파수대 충격음의 최저 측정 대상인 63Hz 소음보다 훨씬 더 저주파수대이면서 심지어 인간의 가청 한계 주파수대인 20Hz보다 더 낮은 저주파수대 진동 및 소음이 인간에게 가장 큰 폐해를 유발한다. 이러한 폐해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8~31.5Hz 사이의 저주파수대 소음 및 진동에 대해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충격음이 발생할 때에는 소리와 함께 진동이 발생하며, 중량 충격음은 이 진동에 의해 발생되며, 충격을 받는 매질의 스팬이 길수록, 강성이 낮을수록 그 진동량이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pat00001
위와 같은 수학식 (1)로부터 진동을 전달하는 매질이 유사한 강성을 가질 때, 매질의 스팬()이 짧을수록 처짐량이 감소하여 진동 억제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진동을 전달하는 매질의 스팬 길이 조절에 의한 진동 억제 원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바닥 표면 마감재와 기포 콘트리트 사이에 시공되는 온돌 모르타르를 타설하기 이전에 기포 콘트리트 상부면 위의 설정 높이의 공간부를 다수개의 평면 구획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격벽식의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를 기포 콘트리트 상부면에 설치하고, 그 공간부 내에 난방용 파이프를 설치하고 온돌 모르타르를 타설 시공함으로써 층간소음의 진동 전달 매질이 되는 온돌층이 상기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에 의해 다수개의 짧은 스팬을 가진 분절층으로 분리 형성되도록 시공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층에서 바닥 충격음이 발생하는 경우에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저감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난방용 파이프는 상기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의 격벽을 형성하는 격벽 웹 부재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분절층에 걸쳐서 배관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온돌층 분절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로서,
기포 콘트리트의 상부면에 놓여져서 고정구에 의해 고정 설치도록 고정구 관통공을 구비한 바닥 플랜지와;
격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 플랜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격벽 웹을 포함한 분절 조이너 유니트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격벽 웹에는 난방용 파이프가 상부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상향 개방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파이프 관통 설치공이 설정 간격을 가지고 제공되고, 상기 파이프 관통 설치공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제거 가능한 개폐 블록이 제공되어서 난방용 파이프가 관통 설치되는 영역의 개폐 블록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층 분절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를 형성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가 기포 콘트리트 상부면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교차 영역에서의 격벽 웹의 높이가 비교차 영역에서의 격벽 웹의 높이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평면 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와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의 상호 끼움 고정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에는 격벽 웹의 설정 위치에 수직면 형태로 날개 웹이 돌출 제공되고, 상기 날개 웹이 제공되는 영역의 하부에는 기포 콘트리트 상부면에 먼저 놓여진 타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의 바닥 플랜지와의 중첩 간섭 없이 기포 콘트리트 상부면에 바닥 플랜지가 놓여질 수 있도록 바닥 플랜지 중 일부가 제거된 플랜지 끼움 결합 공간부가 제공되며, 그리고
타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의 격벽 웹에는 설정 위치에 상기 일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에 형성된 날개 웹이 끼워지도록 날개 웹 끼움 결합 공간부가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바닥 표면 마감재와 기포 콘트리트 사이에 시공되는 온돌 모르타르를 시공함에 있어서 온돌 모르타르층이 전체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짧은 스팬을 가지도록 분절층 구조를 가지고서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층에서 바닥 충격음이 발생하는 경우에 진동을 억제하여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돌층 분절 지지 장치에 따르면 이를 구성하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별 분절 조이너 유니트를 이용하여 바닥면의 면적과 상관없이 일정구간을 구획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균일한 높이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를 이용하여 기포콘크리트층 위에 설치 후 일정한 두께로 온돌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온돌층의 시공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바닥 표면 마감재의 시공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울러 온돌 모르타르층 내부에 설치되는 난방용 파이프의 설치 높이와 배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서 난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동주택 바닥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를 가진 공동주택 바닥 구조를 시공하기 위하여, 난방용 파이프를 내부에 포함한 온돌 모르타르층이 다수개로 분절되어 시공되며 난방용 파이프에 대한 최적의 균일한 지지 상태가 제공되도록 기포 콘크리트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온돌층 분절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설치 상태 진행 과정을 단면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가 기포 콘크리트층 상에 조립된 상태에서 난방용 파이프가 격벽 웹으로 분리된 온돌 콘크리트를 위한 다수개의 분절층을 걸쳐서 균일하게 설치된 평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설치 상태로 진행하는 과정을 사시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를 가진 공동주택 바닥 구조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난방용 파이프(450)를 내부에 포함한 온돌 모르타르(400)층이 다수개로 분절되어 시공되면서, 아울러 난방용 파이프(450)에 대한 최적의 균일한 지지 상태가 제공되도록 기포 콘크리트의 상부면에 온돌층 분절 지지 장치(1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상층에서 바닥 충격음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전달하는 매질의 스팬 길이 조절에 의한 진동 억제 원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의 바닥 표면 마감재(500)와 기포 콘트리트(300) 사이에 시공되는 온돌 모르타르(400)를 타설하기 이전(도 2a의 상태)에 기포 콘트리트(300) 상부면 위의 설정 높이(h)의 공간부를 다수개의 평면 구획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격벽식의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100)를 기포 콘트리트(300) 상부면에 설치하고, 그 공간부 내에 난방용 파이프(450)를 설치하고 온돌 모르타르(400)를 타설 시공(도 2b의 상태)함으로써 층간소음의 진동 전달 매질이 되는 온돌층이 상기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100)에 의해 다수개의 짧은 스팬을 가진 분절층(400a, 400b)으로 분리 형성되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난방용 파이프(450)는 그 설치 높이와 배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탈되거나 상호 겹치는 현상을 억제하면서, 도 3의 평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100)의 격벽을 형성하는 격벽 웹(120) 부재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분절층에 걸쳐서 배관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지지 장치의 상세 구성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설치 상태로 진행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지지 장치(100)는, 상술한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콘트리트(300)의 상부면에 놓여져서 고정구(150)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구 관통공(110a)을 구비한 바닥 플랜지(110)와; 격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 플랜지(110)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격벽 웹(120)을 포함한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 102)(Divided Joiner Unit)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 웹(120)에는 난방용 파이프(450)가 상부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상향 개방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파이프 관통 설치공(125a)이 설정 간격을 가지고 제공되고, 상기 파이프 관통 설치공(125a)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제거 가능한 개폐 블록(125)이 제공되어서 난방용 파이프(450)가 관통 설치되는 영역의 개폐 블록(125)을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서, 난방용 파이프(450)가 그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거나 상호 겹치는 현상을 억제하면서 일정한 높이에 유지되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100)를 형성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 102)가 고정구(150)를 사용하여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콘트리트(300) 상부면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일 방향(예컨대,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의 세로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에는 격벽 웹(120)의 설정 위치에 수직면 형태로 날개 웹(122a)이 돌출 제공되고, 상기 날개 웹(122a)이 제공되는 영역의 하부에는 기포 콘트리트(300) 상부면에 먼저 놓여진 타 방향(예컨대,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의 가로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102)의 바닥 플랜지(110)와의 중첩 간섭 없이 기포 콘트리트(300) 상부면에 바닥 플랜지(110)가 놓여질 수 있도록 바닥 플랜지(110) 중 일부가 제거된 플랜지 끼움 결합 공간부(112)가 제공되며, 그리고 타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102)의 격벽 웹(120)에는 설정 위치에 상기 일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에 형성된 날개 웹(122a)이 끼워지도록 날개 웹 끼움 결합 공간부(122b)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교차 영역에서의 격벽 웹(120)의 높이가 비교차 영역에서의 격벽 웹(120)의 높이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평면 상에서 일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와 이와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102)의 견고하고 균일한 상호 끼움 고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100)를 형성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 102)가 기포 콘트리트(300) 상부면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설치된 다음에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 웹(120)으로 분할된 분절층 각각에 온돌 모르타르(M(400))를 타설하고 마감하게 되며, 온돌 모르타르(400)의 양생이 완료되면 그 상부에 바닥 표면 마감재(500)를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지지 장치(100)는 합성수지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완충성을 가진 소재를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101: 일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
102: 타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
110: 바닥 플랜지
110a: 고정구 관통공
112: 플랜지 끼움 결합 공간부
120: 격벽 웹
122a: 날개 웹
122b: 날개 웹 끼움 결합 공간부
125: 개폐 블록
125a: 파이프 관통 설치공
150: 고정구
300: 기포 콘트리트
400, M(400): 온돌 모르타르
400a, 400b: 분절층
450: 난방용 파이프

Claims (4)

  1. 공동주택의 바닥 표면 마감재(500)와 기포 콘트리트(300) 사이에 시공되는 온돌 모르타르(400)를 타설하기 이전에 기포 콘트리트(300) 상부면 위의 설정 높이(h)의 공간부를 다수개의 평면 구획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격벽식의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100)를 기포 콘트리트 상부면에 설치하고, 그 공간부 내에 난방용 파이프(450)를 설치하고 온돌 모르타르(400)를 타설 시공함으로써 층간소음의 진동 전달 매질이 되는 온돌층이 상기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100)에 의해 다수개의 짧은 스팬을 가진 분절층으로 분리 형성되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파이프(450)는 상기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100)의 격벽을 형성하는 격벽 웹(120) 부재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분절에 걸쳐서 배관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
  3.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100)로서,
    기포 콘트리트(300)의 상부면에 놓여져서 고정구(150)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구 관통공(110a)을 구비한 바닥 플랜지(110)와;
    격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 플랜지(110)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격벽 웹(120)을 포함한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 102)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격벽 웹(120)에는 난방용 파이프(450)가 상부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상향 개방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파이프 관통 설치공(125a)이 설정 간격을 가지고 제공되고, 상기 파이프 관통 설치공(125a)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제거 가능한 개폐 블록(125)이 제공되어서 난방용 파이프(450)가 관통 설치되는 영역의 개폐 블록(125)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층 분절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100)를 형성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 102)가 기포 콘트리트(300) 상부면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교차 영역에서의 격벽 웹(120)의 높이가 비교차 영역에서의 격벽 웹(120)의 높이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평면 상에서 일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와 이와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절 조이너 유니트(102)의 상호 끼움 고정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에는 격벽 웹(120)의 설정 위치에 수직면 형태로 날개 웹(122a)이 돌출 제공되고, 상기 날개 웹(122a)이 제공되는 영역의 하부에는 기포 콘트리트(300) 상부면에 먼저 놓여진 타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102)의 바닥 플랜지(110)와의 중첩 간섭 없이 기포 콘트리트(300) 상부면에 바닥 플랜지(110)가 놓여질 수 있도록 바닥 플랜지(110) 중 일부가 제거된 플랜지 끼움 결합 공간부(112)가 제공되며, 그리고
    타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102)의 격벽 웹(120)에는 설정 위치에 상기 일 방향의 분절 조이너 유니트(101)에 형성된 날개 웹(122a)이 끼워지도록 날개 웹 끼움 결합 공간부(122b)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층 분절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KR1020140174048A 2014-12-05 2014-12-05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 및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KR10172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048A KR101720701B1 (ko) 2014-12-05 2014-12-05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 및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048A KR101720701B1 (ko) 2014-12-05 2014-12-05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 및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83A true KR20160068383A (ko) 2016-06-15
KR101720701B1 KR101720701B1 (ko) 2017-03-29

Family

ID=5613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048A KR101720701B1 (ko) 2014-12-05 2014-12-05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 및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2869A (ko) * 2022-05-20 2023-11-29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온수분배기 절연재용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온수분배기 절연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11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20140013566A (ko) * 2012-07-25 2014-02-05 장희승 조립·해체 및 시공이 간편한 냉·난방 파이프 모듈과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11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20140013566A (ko) * 2012-07-25 2014-02-05 장희승 조립·해체 및 시공이 간편한 냉·난방 파이프 모듈과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2869A (ko) * 2022-05-20 2023-11-29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온수분배기 절연재용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온수분배기 절연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701B1 (ko)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244461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 구조
KR101439421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완충구조
KR101459381B1 (ko) 공동주택의 저주파수대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바닥구조 및 이를 위한 완충용 금속패널
KR101574200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격벽식 분절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35993B1 (ko)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KR101720701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온돌층 분절 구조 및 격벽식 분절 온돌층 지지 장치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200433766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20100001719U (ko) 층간소음차단용 소음 방지 조립체
KR100473834B1 (ko) 뜬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936881B1 (ko) 바닥슬래브의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슬래브 절연장치
KR101650428B1 (ko) 층간소음 방지용 분리형 온돌 슬래브
KR200473232Y1 (ko) 층간소음재
KR101549921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절연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U2646117C1 (ru) Сейсмостой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RU2658946C2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кочетова с усиленным перекрытием
RU2536550C1 (ru) Сейсмостой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RU2583436C1 (ru) Малошумное сейсмостой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здание
RU2555986C2 (ru) Малошумное сейсмостой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здание
KR102351520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2중 바닥 시스템
WO2011133126A1 (ru) Виброизолирующее крепление для плавающего по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