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334A -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334A
KR20160068334A KR1020140173899A KR20140173899A KR20160068334A KR 20160068334 A KR20160068334 A KR 20160068334A KR 1020140173899 A KR1020140173899 A KR 1020140173899A KR 20140173899 A KR20140173899 A KR 20140173899A KR 20160068334 A KR20160068334 A KR 20160068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graphic
module
game
gam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948B1 (ko
Inventor
이승한
Original Assignee
이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한 filed Critical 이승한
Priority to KR102014017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948B1/ko
Priority to PCT/KR2015/006158 priority patent/WO2016088961A1/ko
Publication of KR2016006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되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개발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하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개발자의 참여를 접수하며, 상기 개발자 단말에서 업로드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저장하고 저장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상기 개발자 단말에서 업로드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하여 인증하고 인증이 되면 자동으로 해당 개발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게임/그래픽 개발 회사의 내부 인력엔 한정되지 않고 프로젝트를 공개 온라인상에서 발주하여 외부의 불특정 개발 인력들이 리워드를 받고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각각 해당 모듈의 개발을 하여 프로젝트를 완성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FOR PARTICIPATING IN PROJECT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GRAPHIC ART DEVELOP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커뮤니티(online community)나 외부의 불특정 개발자들에게 프로젝트를 소개하여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리워드(reward)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새로운 게임 컨텐츠라든가 그래픽 컨텐츠 등을 개발하고자 할 때 게임 회사나 그래픽 회사에서 직접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내부 개발자들을 이용하여 컨텐츠 개발을 한다.
내부의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활용하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규모에 따라 필요한 인원과 자금 등이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회사의 규모나 자원에 따라 프로젝트의 규모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개발 인력이 부족한 회사들은 기획력이 있어도 프로젝트를 원활하게 이끌거나 원하는 기간 내에 개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래픽 컨텐츠의 경우에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인력도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순한 기획만으로는 프로젝트의 수행이 어렵다. 그래픽 컨텐츠의 프로젝트는 그 규모가 커질수록 외부 자원을 활용한 아웃소싱(outsourcing)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적 자원이라든가 물적 자원의 한계에 제약받지 않고 프로젝트를 자유롭게 기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이 요구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최근의 게임 컨텐츠는 주로 모바일 환경에서 구현되어 이용되는 추세이다. 전세계 게이머(gamer)들의 78%가 모바일 게임을 하고 있다는 통계가 있다. 모바일 게임 시장은 가장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산업 중 하나인데, 모바일 게임의 생명이 그리 길지 않은 경우도 많아 모바일 게임의 개발에는 상당한 인적 또는 물적 리소스(resources)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PC(personal computer) 환경에서 구현되는 게임들도 모바일 게임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추세이며, 모바일 단말의 하드웨어(hardware) 사양이 좋아짐에 따라 모바일 게임의 사양 역시 갈수록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이는 갈수록 모바일 게임의 제작 수준이나 그 물리적인 작업이 물적으로 또는 질적으로 점점 더 방대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트렌드(trend)에 민감한 모바일 게임은 보다 빠른 시간에 제작되어 소비자의 트렌드를 쫓아가거나 이를 주도해야 하므로, 필요한 자본의 양과 개발 인력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모바일 게임은 기존의 미들웨어(middleware)를 모바일 환경이나 모바일 단말의 종류마다 그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용시켜야 하는데, 대부분의 모바일 게임 회사들은 이러한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예산이나 자본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미들웨어 회사들은 굳이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를 제작하기 위한 동기(motivation)나 그러한 인적 또는 물적 리소스(resources)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모바일 게임을 위한 미들웨어와 모바일 게임의 개발과 이들의 연계를 위한 기술적 또는 사업적 개발 환경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은,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되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개발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하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개발자의 참여를 접수하며, 상기 개발자 단말에서 업로드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저장하고 저장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상기 개발자 단말에서 업로드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하여 인증하고 인증이 되면 자동으로 해당 개발자에게 리워드(reward)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소정의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한 소정 구매자 단말의 구매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된 구매 요청에 따른 구매 금액을 수취하고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방법은,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이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는 단계; 플랫폼 서버가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단계; 개발자의 개발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게시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를 요청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가 해당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상기 개발자 단말이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생성하여 상기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가 업로드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저장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각각의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인증된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하여 해당 개발자에게 리워드(reward)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소정의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 해당 구매자의 구매 금액이 수취되면,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게임/그래픽 개발 회사의 내부 인력엔 한정되지 않고 프로젝트를 공개 온라인상에서 발주하여 외부의 불특정 개발 인력이나 특정 커뮤니티(community)의 개발 인력들이 리워드(reward)를 받고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각각 해당 모듈의 개발을 하여 프로젝트를 완성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내부 인력 자원이나 물적 자원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자질을 갖는 고급 인력들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보다 빠른 기간 내에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개발된 모듈을 다른 프로젝트에 활용하거나 이를 필요로 하는 다른 개발자들에게 모듈별로 판매를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듈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이를 통한 모듈별 수익을 얻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개발 생태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프로젝트 개발 환경이 유연해지며, 전혀 다른 프로젝트의 개발자들도 모듈을 재사용하는 점에서 획기적인 컨텐츠 개발 환경이 조성되는 효과가 있다.
모바일 게임 회사의 경우에는 모바일용 미들웨어 개발에 대한 프로젝트를 발주하여 미들웨어 회사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모바일용 미들웨어를 개발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게임 회사들의 미들웨어 개발 리스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미들웨어 회사들에게 미들웨어 개발 동기를 부여하고 미들웨어 회사의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이하,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이라 함)(100)은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 개발자 단말(120), 금융업자 단말(121), 마케팅업자 단말(122), 플랫폼(platform) 서버(130), 구매자 단말(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100)은 게임/그래픽 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공개 온라인상에서 발주하여 외부의 불특정 개발자들이 모듈별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100)은 기존처럼 특정 게임 회사나 그래픽 회사에서 내부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개발하는 것이 아니므로, 내부 인적 자원의 한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규모의 프로젝트를 발주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기간 또한 얼마든지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개발자들도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며, 프로젝트의 모듈은 이를 필요로 하는 외부의 불특정 구매자들에게 판매되도록 구성되어 모듈의 재사용에 따른 새로운 프로젝트의 연계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주체가 새로운 기술(technology)을 외부의 불특정 개발자(developer)들에게 소개하여 참여하도록 하고 그러한 새로운 프로젝트나 기술(technology)에는 외부의 불특정 개발자(developer)를 연계시켜주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주체의 예로서 모바일 게임 회사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외부의 불특정 개발자는 미들웨어(middleware) 개발 회사가 있을 수 있다. 모바일 게임 회사가 모바일 게임을 위한 미들웨어(middleware) 개발 프로젝트를 발주하면 미들웨어 회사가 이에 참여하여 모바일 게임 회사가 요구하는 미들웨어 컴포넌트(middleware component)를 개발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funding)도 가능하도록 하여 게시된 프로젝트에 관심있는 금융업자들 예를 들어 벤처투자가나 기술투자가 엔젤투자가들이 투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프로젝트의 영업이나 마케팅에 관심있는 마케팅업자들도 관심있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마케팅을 하고 영업익에 대한 마케팅 대금을 수취하거나 또는 마케팅 대금을 받고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본 발명은 기술을 관심있는 개발자에게 소개하는 것은 물론 프로젝트의 영업이나 투자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도 기술을 소개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은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는 모바일 게임 컨텐츠 그 자체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일 수도 있으나, 모바일 게임 컨텐츠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middleware for mobile)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 역시 모바일용 그래픽 컨텐츠 그 자체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일 수도 있으나,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만을 발주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될 수도 있다. 프로젝트 발주자가 모바일 게임 회사인 경우에는 모바일용 미들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인적 자원이나 여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은 특정 회사의 프로젝트 기획자가 될 수도 있고, 특정 프로젝트를 기획한 개인 개발자가 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바일 게임 회사가 될 수도 있다. 프로젝트 발주자는 온라인상의 수많은 개발자들을 자신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완성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일종의 보고서 형태나 PPT 형태 등으로 게시될 수 있다.
개발자 단말(120)은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에서 발주되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130)로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발자 단말(120)은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인 경우에는 해당 미들웨어를 제작하여 플랫폼 서버(130)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발자 단말(120)의 개발자는 특정 개발자 커뮤니티(community)에 가입된 유저(user)일 수도 있고 프로젝트 발주자와는 전혀 무관한 외부의 불특정 개발자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들웨어 개발 회사가 될 수도 있다. 개발자는 단지 온라인상에 게시된 프로젝트를 보고 자신이 개발 가능한 프로젝트의 모듈에 대해 참여 요청을 하고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개발한다. 미들웨어 개발 회사의 경우에는 프로젝트 참여 요청을 하고 모바일 게임이나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를 위한 모바일용 미들웨어를 제작한다.
금융업자 단말(121)은 온라인상에 게시된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는 경우 해당 프로젝트에 투자하고자 하는 의향을 제시하여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체 프로젝트 비용이 될 수도 있고 그 일부가 될 수도 있으며, 여러 금융업자들로부터 펀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금융업자들은 그 프로젝트의 영업익의 일부를 수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굳이 금융업자가 아니더라도 일반사람들 또는 개발자들도 그 투자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는 일종의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기술 개발의 인력 자원이 부족하거나 아웃소싱(outsourcing)이 필요한 경우 외에도 이러한 투자 자금을 모으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마케팅업자 단말(122)은 온라인상에 게시된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는 경우 해당 프로젝트의 마케팅 대행에 대한 의사를 표시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케팅업자는 마케팅에 대한 대금을 지급받고 마케팅을 수행하거나 또는 그 영업익의 일부를 수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새로운 게임이라든가 그래픽, 캐릭터, 다양한 프로그램 등의 컨텐츠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는 경우 이를 온라인상에 게시하여 기술자, 투자금, 마케팅 인력 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비즈니스 모델이다.
즉, 개인이라도 아이디어 하나만으로 빠른 기간에 프로젝트를 성사시키고 구체화시킬 수 있는 파급력있는 영업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에서 발주하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외부의 불특정 개발자의 참여를 접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개발자 단말(120)에서 업로드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저장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용 미들웨어인 경우에는 미들웨어를 이용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의 하드웨어 사양에서 해당 게임 컨텐츠 또는 그래픽 컨텐츠를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개발자 단말(120)에서 업로드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하여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용 미들웨어인 경우에는 게임 컨텐츠 또는 그래픽 컨텐츠와 결합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에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플랫폼 서버(130)는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이 프로젝트 발주자가 원하는 스펙(specification)을 충족하도록 제대로 제작되었는지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개발자들은 각자의 모듈을 개발하여 하나의 전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완성하듯이 현재 완성된 버전의 전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결합하여 제대로 기능하는지 테스트할 수 있으며, 이는 플랫폼 서버(130)에서 그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었는지 확인하여 인증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각 모듈이 전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그 결합전에 미리 확인받는 것은 물론이며 해당 기능의 완성 여부를 프로젝트 기획자나 프로젝트 총괄 책임자의 단말에서 확인받아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인증이 되면 자동으로 해당 개발자에게 리워드(reward)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한 미리 약속된 개발 비용을 은행 서버(미도시) 등을 통해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과 리워드의 제공은 프로젝트의 실행을 통해 자동으로 인증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랫폼 서버(130)는 플랫폼 서버(130)에 저장된 소정의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한 소정 구매자 단말(140)의 구매 요청을 접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이미 완성된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게시하여 모듈별로 판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이미 접수된 구매 요청에 따른 구매 금액을 수취하고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구매자 단말(14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의 재사용성에 의해 다른 프로젝트의 개발 비용과 개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프로젝트 내에서만 모듈의 재사용이 가능했기 때문에 프로젝트별 모듈의 재사용을 할 수 있는 방안이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상에 공개되는 프로젝트 내 모듈을 누구든지 필요에 따라 구매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트 발주자는 모듈의 판매를 통해 수익을 거둘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특정 개인의 프로젝트는 물론 특정 회사의 프로젝트도 그 인적 자원의 부족에 구애받지 않고 온라인상의 무한한 자원을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프로젝트의 자유로운 기획과 그 실현의 제약이 줄어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이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한다(S101).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30)가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한다(S102).
다음으로, 외부의 불특정 개발자의 개발자 단말(120)이 플랫폼 서버(130)에서 게시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를 요청하고 플랫폼 서버(130)가 해당 요청을 접수한다(S103).
다음으로, 개발자 단말(120)이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130)에 업로드하고, 플랫폼 서버(130)가 업로드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저장한다(S104).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30)가 앞서 저장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각각의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인증한다(S105).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30)가 인증된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하여 해당 개발자에게 자동으로 리워드(reward)를 제공한다(S106).
다음으로, 구매자 단말(140)이 플랫폼 서버(130)에 저장된 소정의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한다(S107).
다음으로, 해당 구매자의 구매 금액이 수취되면, 플랫폼 서버(130)가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구매자 단말(140)로 제공한다(S108).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120: 개발자 단말
121: 금융업자 단말
122: 마케팅업자 단말
130: 플랫폼 서버
140: 구매자 단말

Claims (4)

  1.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되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개발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하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개발자의 참여를 접수하며, 상기 개발자 단말에서 업로드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저장하고 저장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상기 개발자 단말에서 업로드된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하여 인증하고 인증이 되면 자동으로 해당 개발자에게 리워드(reward)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소정의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한 소정 구매자 단말의 구매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된 구매 요청에 따른 구매 금액을 수취하고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
  3.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이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는 단계;
    플랫폼 서버가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단계;
    개발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게시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를 요청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가 해당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상기 개발자 단말이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생성하여 상기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가 업로드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저장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각각의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인증된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하여 해당 개발자에게 리워드(reward)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구매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소정의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
    해당 구매자의 구매 금액이 수취되면,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방법.
KR1020140173899A 2014-12-05 2014-12-05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705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99A KR101705948B1 (ko) 2014-12-05 2014-12-05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과 그 방법
PCT/KR2015/006158 WO2016088961A1 (ko) 2014-12-05 2015-06-18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99A KR101705948B1 (ko) 2014-12-05 2014-12-05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34A true KR20160068334A (ko) 2016-06-15
KR101705948B1 KR101705948B1 (ko) 2017-02-13

Family

ID=5609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99A KR101705948B1 (ko) 2014-12-05 2014-12-05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5948B1 (ko)
WO (1) WO20160889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261B1 (ko) * 2022-10-21 2023-08-18 캡클라우드 주식회사 게임 개발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게임 개발 중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468B1 (ko) * 2018-09-17 2021-01-1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제작을 위한 크라우드펀딩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1590A (ja) * 2011-10-17 2013-05-23 Keiko Takeda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40034192A (ko) * 2011-04-14 2014-03-19 픽수,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다운로드 인센티브 관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9795B2 (en) * 2007-04-23 2019-11-26 The Nielsen Company (Us), Llc Determining relative effectiveness of media content items
KR20090020249A (ko) * 2007-08-23 2009-02-26 김상근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온라인 게임 제작, 홍보 및 운용방법
KR101176718B1 (ko) * 2010-05-07 2012-08-28 유용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자원, 지식정보 및 창의적 아이디어 등을 공모하거나 중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5595A (ko) * 2011-03-09 2012-09-26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네트워크 기반 제품 개발 방법
KR101521859B1 (ko) * 2013-03-21 2015-05-22 최만석 대중 참여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192A (ko) * 2011-04-14 2014-03-19 픽수,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다운로드 인센티브 관리
JP2013101590A (ja) * 2011-10-17 2013-05-23 Keiko Takeda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261B1 (ko) * 2022-10-21 2023-08-18 캡클라우드 주식회사 게임 개발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게임 개발 중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948B1 (ko) 2017-02-13
WO2016088961A1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04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ftware development
Li et al. From international new ventures to MNCs: Crossing the chasm effect on internationalization paths
US200801960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development
US20120290428A1 (en) Centralized commerce and the implementation of enterprise software applications
CN101395575A (zh) 用于软件支持的系统和方法
Liston et al. Contract costing in outsourcing enterprises: Exploring the benefits of discrete-event simulation
KR20120032606A (ko) 증권투자고객 참여 가능 증권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37936A (ko) 국제 지역의 산업군별 직무 특화 분석개발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기반 빅데이터 분산 & 매칭 알고리즘 도출과 활용 시스템
KR101705948B1 (ko)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과 그 방법
Kaiser Reinventing ITIL® in the Age of DevOps: Innovative Techniques to Make Processes Agile and Relevant
Prochazka Agile support and Maintenance of IT services
Wieczorek et al. Systems and Software Quality
Block Large-Scale Agile Frameworks: Agile Frameworks, Agile Infrastructure and Pragmatic Solutions for Digital Transformation
KR101674438B1 (ko)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247375A1 (en) Method and system of funding a business entity
Martin et al. Dell’s channel transformation: Leveraging operations research to unleash potential across the value chain
KR101523031B1 (ko) 어플리케이션 거래 시스템
Jansen et al. Source Data for the Focus Area Maturity Model for Software Ecosystem Governance
Panya et al. Public procurement reforms in Africa: challenges, constraints and improvement opportunities
US202203792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loned game accounts
Bardsley et al. Auctioning contracts for environmental services
US2013009701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 intelligent online lead generation system connecting retail vendors with home buyers, sellers and renters in real estate transaction and move cycle
Albuquerque et al. Servitization and construction industry: ideas and insights from the commercial building sector
US20230237400A1 (en) Value chain planning apparatus, value chain planning system, and value chain planning method
Kolić Transformation of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through digitalization: a case of Infob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