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438B1 -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438B1
KR101674438B1 KR1020140173898A KR20140173898A KR101674438B1 KR 101674438 B1 KR101674438 B1 KR 101674438B1 KR 1020140173898 A KR1020140173898 A KR 1020140173898A KR 20140173898 A KR20140173898 A KR 20140173898A KR 101674438 B1 KR101674438 B1 KR 10167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component
platform
terminal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333A (ko
Inventor
이승한
Original Assignee
이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한 filed Critical 이승한
Priority to KR102014017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4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되는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해당 컨텐츠의 컴포넌트(component)를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하는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컴포넌트 개발자의 참여를 접수하며, 상기 개발자 단말에서 업로드된 해당 컨텐츠의 컴포넌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해당 컨텐츠의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하여 실행하여 인증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인증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로 제공하고 프로젝트 발주자가 컴포넌트 개발자의 컴포넌트 개발에 대한 비용을 지급하고 상기 개발 비용의 소정 비율을 플랫폼 운영자가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도록 제어하는 플랫폼 운영 서버를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플랫폼 서버와 플랫폼 운영 서버를 통해 프로젝트 발주자가 프로젝트를 발주하고 온라인 상에 게시하며 이를 보고 불특정 개발 인력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컴포넌트별 개발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프로젝트 발주자가 인적 자원이나 시간에 구속받지 않고 전문적인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으며, 개발자들도 컴포넌트 개발을 통해 수익을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PLATFORM FOR ORDERING PROJECT AND DEVELOPING COMPONENT OF THE PROJE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플랫폼 운영을 통한 플랫폼 운영자의 수익 모델 내지는 영업 모델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새로운 게임 컨텐츠라든가 그래픽 컨텐츠 등을 개발하고자 할 때 게임 회사나 그래픽 회사에서 직접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내부 개발자들을 이용하여 컨텐츠 개발을 한다.
내부의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활용하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규모에 따라 필요한 인원과 자금 등이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회사의 규모나 자원에 따라 프로젝트의 규모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개발 인력이 부족한 회사들은 기획력이 있어도 프로젝트를 원활하게 이끌거나 원하는 기간 내에 개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래픽 컨텐츠의 경우에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인력도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순한 기획만으로는 프로젝트의 수행이 어렵다. 그래픽 컨텐츠의 프로젝트는 그 규모가 커질수록 외부 자원을 활용한 아웃소싱(outsourcing)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적 자원이라든가 물적 자원의 한계에 제약받지 않고 프로젝트를 자유롭게 기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이 요구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최근의 게임 컨텐츠는 주로 모바일 환경에서 구현되어 이용되는 추세이다. 전세계 게이머(gamer)들의 78%가 모바일 게임을 하고 있다는 통계가 있다. 모바일 게임 시장은 가장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산업 중 하나인데, 모바일 게임의 생명이 그리 길지 않은 경우도 많아 모바일 게임의 개발에는 상당한 인적 또는 물적 리소스(resources)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PC(personal computer) 환경에서 구현되는 게임들도 모바일 게임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추세이며, 모바일 단말의 하드웨어(hardware) 사양이 좋아짐에 따라 모바일 게임의 사양 역시 갈수록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이는 갈수록 모바일 게임의 제작 수준이나 그 물리적인 작업이 물적으로 또는 질적으로 점점 더 방대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트렌드(trend)에 민감한 모바일 게임은 보다 빠른 시간에 제작되어 소비자의 트렌드를 쫓아가거나 이를 주도해야 하므로, 필요한 자본의 양과 개발 인력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모바일 게임은 기존의 미들웨어(middleware)를 모바일 환경이나 모바일 단말의 종류마다 그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용시켜야 하는데, 대부분의 모바일 게임 회사들은 이러한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예산이나 자본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미들웨어 회사들은 굳이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를 제작하기 위한 동기(motivation)나 그러한 인적 또는 물적 리소스(resources)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모바일 게임을 위한 미들웨어와 모바일 게임의 개발과 이들의 연계를 위한 기술적 또는 사업적 개발 환경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은,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되는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해당 컨텐츠의 컴포넌트(component)를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하는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컴포넌트 개발자의 참여를 접수하며, 상기 개발자 단말에서 업로드된 해당 컨텐츠의 컴포넌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해당 컨텐츠의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하여 실행하여 인증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인증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로 제공하고 프로젝트 발주자가 컴포넌트 개발자의 컴포넌트 개발에 대한 비용을 지급하고 상기 개발 비용의 소정 비율을 플랫폼 운영자가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도록 제어하는 플랫폼 운영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 운영 서버는,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컴포넌트를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고 해당 프로젝트 발주자가 상기 컴포넌트의 판매 비용을 해당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지급하고 상기 판매 비용의 소정 비율을 상기 플랫폼 운영자가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방법은,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이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는 단계; 플랫폼 서버가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한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단계; 개발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게시한 컨텐츠 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를 요청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가 해당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상기 개발자 단말이 해당 컨텐츠의 컴포넌트를 생성하여 상기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가 업로드된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저장된 컴포넌트를 시뮬레이션하여 인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인증이 된 경우, 플랫폼 운영 서버가 상기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로부터 해당 컴포넌트의 개발 비용을 지급받고 지급받은 개발 비용 중 소정 비율을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고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 단말 또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컴포넌트에 대한 구매를 상기 플랫폼 운영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저장된 컴포넌트를 상기 구매자 단말 또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운영 서버가 상기 컴포넌트의 판매 비용을 해당 구매자 또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로부터 지급받고 지급받은 판매 비용 중 소정 비율을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고 해당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플랫폼 서버와 플랫폼 운영 서버를 통해 프로젝트 발주자가 프로젝트를 발주하고 온라인 상에 게시하며 이를 보고 불특정 개발 인력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컴포넌트별 개발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프로젝트 발주자가 인적 자원이나 시간에 구속받지 않고 전문적인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으며, 개발자들도 컴포넌트 개발을 통해 수익을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와 플랫폼 운영 서버를 통해 컴포넌트를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나 개인 발주자들에게 판매를 중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컴포넌트의 재사용율을 높이고 컨텐츠의 개발 환경을 개발자 중심으로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랫폼 운영자는 이러한 컨텐츠 개발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고 그러한 거래를 성사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비용을 일부를 수취하는 새로운 영업 모델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며 개발자들 역시 새로운 컨텐츠 개발 생태 환경을 갖게 된다.
특히, 모바일 게임 회사의 경우에는 모바일용 미들웨어 개발에 대한 프로젝트를 발주하여 미들웨어 회사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모바일용 미들웨어를 개발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게임 회사들의 미들웨어 개발 리스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미들웨어 회사들에게 미들웨어 개발 동기를 부여하고 미들웨어 회사의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이하, '플랫폼 운영 시스템'이라 함)(100)은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 컴포넌트(component) 개발자 단말(120), 플랫폼(platform) 서버(130), 플랫폼 운영 서버(140), 구매자 단말(1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은 게임/그래픽 컨텐츠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게임/그래픽 컨턴츠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공개 온라인상에서 발주하여 익명의 개발자 또는 멤버쉽(membership) 개발자들이 모듈별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은 이러한 프로젝트 개발의 장(場)을 마련하고 컨텐츠 개발의 시너지(synergy)를 높이도록 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프로젝트 개발의 장을 마련하는 대가를 수취하는 영업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주로 개발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게임 컨텐츠나 그래픽 컨텐츠의 컴포넌트(component) 개발을 발주하는 데 유용하며, 이러한 컴포넌트는 플랫폼 운영 모델에 가입한 개인 개발자들이 중소 개발 회사들이 참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개인 개발자들이나 중소 개발 회사들은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에 멤버쉽(membership) 가입을 하여 멤버쉽 가입 비용을 플랫폼 운영자에게 지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발주자 역시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에 멤버쉽 가입을 하여 여러 프로젝트를 발주하고 개발자들을 참여시키도록 할 수 있다.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은 이러한 프로젝트의 발주 및 컨텐츠 개발은 프로젝트의 개발을 위한 인적 자원이 부족하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 이를 아웃소싱(outsourcing)하여 프로젝트를 단시간에 전문적으로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프로젝트 발주자는 내부 인적 자원의 한계나 그 전문성에 구애받지 않고 프로젝트를 개발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트 개발의 폭이 넓어지고 그 전문성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최근 모바일 게임의 폭발적 성장세에 비추어 모바일 게임 개발 회사들은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 컴포넌트(middleware component)를 발주하여 미들웨어 회사들이 개발을 담당하도록 하는 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모바일 게임 개발 회사들은 사용자 레벨에 가까운 게임 컨텐츠의 개발에는 매우 전문적이지만, 하드웨어와 연계되는 미들웨어의 개발에 있어서는 인력이 부족하거나 전문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모바일 게임의 개발 주기가 짧아지고 그 생명 주기도 짧아지는 추세에 비추어 이러한 미들웨어 개발 회사의 프로젝트 참여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상호 간의 자연스러운 연계를 통해 컨텐츠의 자유로운 개발 환경이 구축된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개발자가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에게 판매하거나 다른 구매자에게 판매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컴포넌트 개발자의 수익성을 높여주어 컴포넌트 개발자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은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 예를 들어,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 등을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는 모바일 게임 컨텐츠 그 자체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일 수도 있으나, 모바일 게임 컨텐츠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middleware for mobile)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 역시 모바일용 그래픽 컨텐츠 그 자체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일 수도 있으나,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만을 발주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될 수도 있다.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은 특정 회사의 프로젝트 기획자가 될 수도 있고, 특정 프로젝트를 기획한 개인 개발자가 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바일 게임 회사가 될 수도 있다. 프로젝트 발주자는 온라인상의 수많은 개발자들을 자신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완성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일종의 보고서 형태나 PPT 형태 등으로 게시될 수 있다.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120)은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에서 발주되는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 예를 들어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해당 게임 컨텐츠 모듈 또는 그래픽 컨텐츠 모듈을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130)로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120)은 컴포넌트가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인 경우에는 해당 미들웨어를 제작하여 플랫폼 서버(130)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120)의 개발자는 특정 개발자 커뮤니티(community)에 멤버쉽(membership) 가입된 회원일 수도 있고 프로젝트 발주자와는 전혀 무관한 익명의 온라인상의 개발자가 될 수도 있다.
멤버쉽 회원인 경우에는 플랫폼 운영자에게 일정 가입비를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젝트가 모바일 게임인 경우, 컴포넌트 개발자는 모바일 단말용 미들웨어를 개발하는 미들웨어 개발 회사가 될 수도 있다. 개발자는 단지 온라인상에 게시된 프로젝트를 보고 자신이 개발 가능한 프로젝트의 컴포넌트에 대해 참여 요청을 하고 컴포넌트를 개발한다. 미들웨어 개발 회사의 경우에는 프로젝트 참여 요청을 하고 모바일 게임이나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를 위한 모바일용 미들웨어를 제작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새로운 게임이라든가 그래픽, 캐릭터, 다양한 프로그램 등의 컨텐츠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는 경우 이를 온라인상에 게시하여 엔지니어(engineer)를 연계시켜 개발하는 새로운 개념의 비즈니스 모델이다.
즉, 개인이라도 아이디어 하나만으로 빠른 기간에 프로젝트를 성사시키고 구체화시킬 수 있는 파급력있는 영업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에서 발주하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익명의 개발자의 참여를 접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개발자 단말(120)에서 업로드된 해당 컨텐츠의 컴포넌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저장된 해당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컨텐츠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용 미들웨어인 경우에는 미들웨어를 이용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의 하드웨어 사양에서 해당 게임 컨텐츠 또는 그래픽 컨텐츠를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는 게임 컨텐츠 프로젝트 또는 그래픽 컨텐츠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120)에서 업로드된 해당 컴포넌트에 대하여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용 미들웨어인 경우에는 게임 컨텐츠 또는 그래픽 컨텐츠와 결합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의 하드웨어 사양에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그 정상 동작 여부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플랫폼 서버(130)는 해당 컴포넌트가 프로젝트 발주자가 원하는 스펙(specification)을 충족하도록 제대로 제작되었는지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개발자들이 각자의 컴포넌트를 개발하여 하나의 전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완성하듯이, 플랫폼 서버(130)는 현재 완성된 버전의 전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결합하여 제대로 기능하는지 테스트할 수 있으며, 이는 플랫폼 서버(130)의 인증 기능에 의해 구현된다.
플랫폼 서버(130)는 각 모듈이 전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그 결합 전에 미리 확인받는 것은 물론이며 해당 기능의 완성 여부를 프로젝트 기획자나 프로젝트 총괄 책임자의 단말에서 확인받아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30)에서 컴포넌트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는, 플랫폼 운영 서버(140)가 플랫폼 서버(120)가 앞서 인증된 컴포넌트를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운영 서버(140)는 은행 서버(200)와 연계하여 프로젝트 발주자가 컴포넌트 개발 비용을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운영 서버(140)는 에스크로 결제라든가 기타 다양한 결제 수단을 통해 비용 결제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플랫폼 운영 서버(140)는 그 컴포넌트 개발 비용 중 소정 비율에 따른 일부 금액을 운영 비용 내지는 상업화 보수(commercialization fee)로서 수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개발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작업이 수행되어 플랫폼 서버(130)로 업로드될 수 있다. 이러한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 역시 개발 비용과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계약에 따라 프로젝트 발주자가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플랫폼 운영 서버(140)를 통해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30)는 컴포넌트 개발자에 의해 개발된 컴포넌트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컴포넌트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나 아니면 프로젝트를 발주하지는 않았지만 멤버쉽에 가입한 다른 구매자 또는 멤버쉽에도 가입하지 않은 다른 구매자에게도 판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운영 서버(140)는 이러한 구매 요청을 접수하면, 플랫폼 서버(130)에 저장된 컴포넌트를 해당하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1) 또는 구매자 단말(15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운영 서버(140)는 그 은행 서버(200)와 연계하여 그 판매 비용을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그 판매 비용의 소정 비율을 플랫폼 운영자가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제 방식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기존에는 프로젝트 내에서만 컴포넌트의 재사용이 가능했기 때문에 프로젝트별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할 수 있는 방안이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상에 공개되는 컴포넌트를 누구든지 필요에 따라 구매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컴포넌트 개발자는 판매를 통해 수익을 거둘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이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한다(S101).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30)가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에서 발주한 컨텐츠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한다(S102).
다음으로, 개발자 단말(120)이 플랫폼 서버(130)에서 게시한 컨텐츠 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를 요청하고 플랫폼 서버(130)가 해당 요청을 접수한다(S103).
다음으로, 개발자 단말(120)이 해당 컨텐츠의 컴포넌트를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130)에 업로드하고, 플랫폼 서버(130)가 업로드된 컴포넌트를 저장한다(S104).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30)가 앞서 저장된 컴포넌트를 시뮬레이션하여 인증한다(S105).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30)에서 인증이 된 경우, 플랫폼 운영 서버(140)가 컴포넌트를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0)로 제공하고, 프로젝트 발주자(110)로부터 해당 컴포넌트의 개발 비용을 지급받고 지급받은 개발 비용 중 소정 비율을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고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지급한다(S106).
다음으로, 구매자 단말(150) 또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1)이 플랫폼 서버(130)에 저장된 컴포넌트에 대한 구매를 플랫폼 운영 서버(140)로 요청한다(S107).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30)가 앞서 저장된 컴포넌트를 구매자 단말(150) 또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111)로 제공한다(S108).
다음으로, 플랫폼 운영 서버(140)가 컴포넌트의 판매 비용을 해당 구매자 또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로부터 지급받고 지급받은 판매 비용 중 소정 비율을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고 해당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지급한다(S109).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111: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120: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
130: 플랫폼 서버
140: 플랫폼 운영 서버
150: 구매자 단말

Claims (4)

  1. 모바일 게임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 또는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되는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해당 모바일 게임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 또는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의 미들웨어 컴포넌트(middle component)를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하는 모바일 게임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 또는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컴포넌트 개발자의 참여를 접수하며, 상기 개발자 단말에서 업로드된 해당 모바일 게임 컨텐츠 또는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의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해당 모바일 게임 컨텐츠 또는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의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해당 모바일 게임 컨텐츠 또는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하여 실행하여 인증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인증된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로 제공하고 프로젝트 발주자가 컴포넌트 개발자의 미들웨어 컴포넌트 개발에 대한 비용을 지급하고 상기 개발 비용의 소정 비율을 플랫폼 운영자가 운영 비용(commercialization fee)으로서 수취하도록 제어하는 플랫폼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운영 서버는,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고 해당 프로젝트 발주자가 상기 미들웨어 컴포넌트의 판매 비용을 해당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지급하고 상기 판매 비용의 소정 비율을 상기 플랫폼 운영자가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은,
    상기 컴포넌트 개발자 단말에서 생성된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다른 프로젝트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 또는 소정의 구매자 단말로 판매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2. 삭제
  3.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이 모바일 게임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 또는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발주하는 단계;
    플랫폼 서버가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에서 발주한 모바일 게임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 또는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단계;
    개발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게시한 모바일 게임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 또는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를 요청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가 해당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상기 개발자 단말이 해당 모바일 게임 컨텐츠 또는 모바일 그래픽 컨텐츠의 미들웨어 컴포넌트(middleware component)를 생성하여 상기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가 업로드된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저장된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시뮬레이션하여 인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인증이 된 경우, 플랫폼 운영 서버가 상기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젝트 발주자로부터 해당 미들웨어 컴포넌트의 개발 비용을 지급받고 지급받은 개발 비용 중 소정 비율을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고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지급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 또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미들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구매를 상기 플랫폼 운영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저장된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상기 구매자 단말 또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운영 서버가 상기 미들웨어 컴포넌트의 판매 비용을 해당 구매자 또는 다른 프로젝트 발주자로부터 지급받고 지급받은 판매 비용 중 소정 비율을 운영 비용으로서 수취하고 해당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방법.
  4. 삭제
KR1020140173898A 2014-12-05 2014-12-05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98A KR101674438B1 (ko) 2014-12-05 2014-12-05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98A KR101674438B1 (ko) 2014-12-05 2014-12-05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33A KR20160068333A (ko) 2016-06-15
KR101674438B1 true KR101674438B1 (ko) 2016-11-09

Family

ID=5613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98A KR101674438B1 (ko) 2014-12-05 2014-12-05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220694A (zh) 2020-07-28 2022-06-01 日商中外製藥股份有限公司 含有新穎之改變型抗體、具有針套的帶針頭預填充注射器製劑
KR102568261B1 (ko) * 2022-10-21 2023-08-18 캡클라우드 주식회사 게임 개발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게임 개발 중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842B1 (ko) * 2011-09-19 2012-10-02 김혜령 원격 프로그램 개발 서버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원격 프로그램 개발 중개 시스템, 원격 프로그램 개발 서버 구축 방법 및 원격 프로그램 개발 중개 방법
KR20130082763A (ko) * 2011-12-16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플랫폼 중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33A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ng et al. Using open innovation to identify the best ideas
Eisenmann et al. Hypothesis-driven entrepreneurship: The lean startup
US200702204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ftware development
Ipeirotis et al. The need for standardization in crowdsourcing
US20120290428A1 (en) Centralized commerce and the implementation of enterprise software applications
WO20190407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CTION AT DECENTRALIZED MARKET
US20040002891A1 (en) Internet-enabled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economics environments
KR20120032606A (ko) 증권투자고객 참여 가능 증권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4438B1 (ko)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517177A (zh) 用于自动化的商业模式生成的方法和系统
Polanski Is the General Public Licence a rational choice?
McCabe et al. STRATEGY: a construction simulation environment
KR101705948B1 (ko) 기술 개발 및 그래픽 아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176108B1 (ko) 전문 중개인을 통한 차등 수수료 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Gumus et al. Supply chain sourcing game: A negotiation exercise
US20180247375A1 (en) Method and system of funding a business entity
Martin et al. Dell’s channel transformation: Leveraging operations research to unleash potential across the value chain
Strategy and Implementation
Putri et al. Supply chain management serious game using blockchain smart contract
Killian The Long Tail and Demand Creation in the Legal Marketplace
Fjelsted et al. Open design consulting: How to capitalise on and adapt to open source practices for tangible products
WO20182362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601107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elling jewelry and watches
Simić et al. METHODOLOGY OF CREATING NFT FASHION PROJECTS
Duncombe et al. Ecommerce for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