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261A -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261A
KR20160068261A KR1020140173721A KR20140173721A KR20160068261A KR 20160068261 A KR20160068261 A KR 20160068261A KR 1020140173721 A KR1020140173721 A KR 1020140173721A KR 20140173721 A KR20140173721 A KR 20140173721A KR 20160068261 A KR20160068261 A KR 20160068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lining
seat
base
leve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604B1 (ko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102014017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6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002/2204Adjustable back-rest height o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 상기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등받이 및 상기 좌석 하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등받이 하단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 및 상기 등받이를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는 리클라이닝을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은, 상기 좌석판넬 하부측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닝 커버 및 상기 리클라이닝 커버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좌석판넬과 상기 리클라이닝 커버의 사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변경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의 슬라이딩 방식 이동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slope of baby car seat}
본 발명은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시트의 경사를 레버를 이용하여 3단계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좌석만 사용하도록 리클라이닝을 제거할 수 있는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시트(car seat)는 신생아 또는 유아 등의 연소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차량의 좌석에 장착되는 기구로서, 급제동, 급출발, 충돌 등이 발생할 경우 신생아나 유아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안전만을 고려할 경우 유아들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여 차량 탑승시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므로 유아들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카시트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카시트 중 본체 판넬 일체식 카시트는 경사조절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유아용 카시트에도 경사조절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여 유아가 보다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고, 또 외부에서 손쉽게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카시트의 경사를 조절이 가능하고, 좌석과 등받이를 분리하여 유아가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카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공보 10-0458316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공보 10-2008-009126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시트의 좌석부와 등받침을 분리할 수 있는 카시트 경사조절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설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 상기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등받이 및 상기 좌석 하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등받이 하단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 및 상기 등받이를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는 리클라이닝을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은, 상기 좌석판넬 하부측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닝 커버 및 상기 리클라이닝 커버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좌석판넬과 상기 리클라이닝 커버의 사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변경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의 슬라이딩 방식 이동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좌석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좌석과 분리되고,상기 좌석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좌석과 분리되는 것을 통해 상기 등받이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리클라이닝 커버는,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의 위치 조절을 위한 복수의 위치조절 홀을 구비하고, 베이스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 홀 중 하나에 인입되어 걸림상태가 되는 리클라이닝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일단이 걸림 해제상태가 된 경우, 상기 베이스가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 홀 중 하나에 입인되어 상기 베이스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의 고정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리클라이닝 레버의 타단에 고정되며,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갖는 리클라이닝 레버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는, 타단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일단의 걸림 여부가 전환되는 것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가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리클라이닝을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양측 및 등받이 하단에 위치되는 스토퍼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에 고정된 스토퍼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해 상기 스토퍼를 끌어당기고, 상기 끌어당겨진 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토퍼 상단에 위치된 등받이가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가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시트의 좌석부와 등받침을 분리할 수 있는 카시트 경사조절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카시트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좌석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좌석의 결합사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등받이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등받이의 결합사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헤드레스트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헤드레스트의 결합시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리클라이닝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c는 리클라이닝의 결합사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벨트가이드의 사용상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벨트가이드의 사용순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리클라이닝의 사용순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우측 연결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우측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우측 장착부의 잠금 해제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우측 장착부의 잠금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 도 16a 및 도 16b는 우측 위치조절 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분리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길이방향은 등받이(200)의 정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너비방향은 등받이(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며, 높이방향은 등받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향하는 방향에 해당된다고 정의한다.
<카시트 전체 구성>
도 2a 내지 도 2d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분리 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는 좌석(100), 등받이(200), 리클라이닝(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카시트는 사용자가 착석가능한 좌석(100)과 사용자가 몸을 안착하는 등받이(200)를 구비하며, 이 둘을 연결하는 것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클라이닝(300)이 된다.
또한, 리클라이닝(300)은 좌석(100)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 및 등받이(200)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리클라이닝(300)이 좌석(100)과 분리되는 경우, 좌석(100)은 등받이(200)와 분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좌석(100)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리클라이닝(300)을 좌석(10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하면 된다.
리클라이닝(300)은 좌석(100)과 등받이(200) 사이를 연결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는 리클라이닝(300)이 좌석(100)과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결합정도를 변경함으로서 조절된다.
<좌석의 구성>
도 3a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좌석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좌석의 결합사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단, 도 3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좌석(100)은 좌석(100)의 형태를 유지하는 좌석판넬(110) 및 사용자가 착석가능한 쿠션(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쿠션(120)은 좌석판넬(110)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석판넬(110)은 리클라이닝(300)과 결합 및 탈착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300)과의 결합 및 탈착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쿠션(120)은 사용자가 착석시 편안함을 느끼기 위해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탄력성이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압축에 대한 복원력이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의 구성>
도 4a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등받이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등받이의 결합사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단,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등받이(200)는 외형을 구성하는 등받이 판넬(210), 잠금장치(220), 헤드레스트(230), 등받이 이너커버(240), 벨트가이드(250), 벨트가이드(250)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부(260) 및 어깨 벨트(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등받이 판넬(210)의 정면 상단 일부에 헤드레스트(230)가 위치되고, 헤드레스트 정면 하부의 일부 및 등받이 판넬(210)의 정면 일부를 덮는 등받이 이너커버(240)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판넬(210)의 양측에 등받이 이너커버(240)를 고정하는 잠금장치(220)가 위치 될 수 있다.
한편, 도 5a는 헤드레스트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헤드레스트의 결합시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230)는 헤드레스트(230)의 위치조절을 위한 헤드레스트 레버(231), 헤드레스트 레버(231)와 벨트가이드(250)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232), 헤드레스트(230)의 후면에 헤드레스트 레버(231)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커버(233), 헤드레스트(230) 하단과 헤드레스트 레버(231)의 하단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통해 헤드레스트 레버(231)를 끌어당겨 위치를 고정하는 헤드레스트 레버 스프링(234), 벨트가이드(250)를 결합하기 위한 샤프트(2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 커버(240)는 등받이 판넬(210)에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벨트가이드(250)는 등받이(200)후면에 위치되고, 높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바를 포함할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T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의 양단 상부에 어깨 벨트(270)가 접촉되어 통과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2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는 상단에 어깨 벨트(270)가 기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경사를 갖거나 기 설정된 각도로 굽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고정부(260)는 벨트가이드(250)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요철로 구성될 수 있고, 요철은 등받이(200)의 후면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깨 벨트(27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자의 몸이 카시트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등받이(200)의 정면 하단에 결합되고, 등받이(200)에 구비된 개방부를 통해 등받이(200)의 후면으로 관통하며, 벨트가이드(250)의 양단 상부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고, 등받이(200)의 후면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의 구성>
도 6a 및 도 6b는 리클라이닝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c는 리클라이닝의 결합사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단,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리클라이닝(300)은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카시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리클라이닝(300)은 좌석(100)의 좌석판넬(110)와 결합되는 베이스(310), 베이스(310)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좌석판넬(110) 하부에 결합고정되는 리클라이닝 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6c를 참조하면 베이스(310)는 리클라이닝(300)의 각도 조절 및 고정을 위한 리클라이닝 레버(311), 베이스(310)가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도록, 양측에 위치되는 스토퍼(312), 일단이 베이스(3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토퍼(312)에 고정되어, 탄성을 이용해 상기 베이스를 끌어당겨 스토퍼(312) 상단에 위치된 등받이의 각도를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는 스토퍼 스프링(313), 리클라이닝 레버(311)와 베이스(310)사이에 위치되는 리클라이닝 레버 스프링(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클라이닝 커버(320)는 좌석판넬(110)과 나사로 결합될 수 있고, 베이스(3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의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조절 홀(321)를포함할 수 있다.
<벨트가이드의 사용방법>
도 7a 내지 도 7c는 벨트가이드의 사용상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벨트가이드의 사용순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벨트가이드(250)는 브라켓(232), 샤프트(235)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 레버(231)와 연결된다.
도 7a 및 도 7c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레버(231)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과 연동된다. 즉, 헤드레스트 레버(231)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벨트가이드(250)도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한번의 조작으로 헤드레스트(230)와 벨트가이드(250)의 바 양단 상부를 지나는 어깨 벨트(27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 위해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헤드레스트(230) 및 어깨 벨트(27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등받이(200)의 후면에 위치된 벨트가이드(2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 고정부(260)의 요철 중 만입된 부분에서 결합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 레버(231) 또는 벨트가이드(250)를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헤드레스트 레버(231) 및 벨트가이드(250) 중 하나를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나머지도 같이 높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사용자는 헤드레스트 레버(231) 또는 벨트가이드(250) 중 적어도 하나를 높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후, 벨트가이드(250)를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고정부(260)의 요철 중 만입된 부분에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서, 헤드레스트(230) 및 어깨 벨트(270)를 사용자가 한번의 조작을 통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사용방법>
도 9는 벨트가이드의 사용순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 및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310)는 양측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베이스(310)내부에 스토퍼(312)가 위치되며, 스토퍼(312)와 리클라이닝 커버(32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스토퍼 스프링(313)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10)의 중앙 하단에 리클라이닝 레버 스프링(314)가 위치되고, 리클라이닝 레버 스프링(314)상단에 리클라이닝 레버(311)의 타단이 위치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 레버 스프링(314)은 압축에 대한 탄성 복원력을 갖고 있어, 리클라이닝 레버(311)가 눌려진 경우, 리클라이닝 레버(311)를 밀어 올리게 된다.
리클라이닝 레버(311)는 일단이 리클라이닝 커버(320)에 포함된 위치조절 홀(321)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커버(320)의 타단이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시소처럼 리클라이닝 커버(320)의 일단이 위치조절 홀(321)에서 결합이 해제된다.
즉 리클라이닝 레버(311)가 위치조절 홀(321)에서 결합이 해제됨으로 인해, 베이스(31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방향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클레이닝 레버(311)는 베이스(310)의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위치조절 홀(321)에 다시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리클레이닝 레버(311)의 타단에 인가된 압력이 제거되면, 리클라이닝 레버 스프링(314)의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통해 리클레이닝 레버(311)를 밀어 올려 위치조절 홀(321)에 인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위치조절 홀(321)은 리클레이닝 레버(311)가 인입되어 고정시, 고정력을 증가하기 위해 마찰력이 증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클레이닝 레버(311)의 일단에 걸쇠가 위치될 수 있고, 걸쇠가 위치조절 홀(321)에 인입될 수 있으며, 위치조절 홀(321)은 걸쇠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조절 홀(321)은 리클레이닝 레버(311)의 일단에 위치된 걸쇠의 형태에 따라 바형, 톱니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 홀(321)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 2a 내지 2c, 도 6a 및 도 6b에 따르면 리클레이닝(310)의 각도조절은 3단계로 가능하도록 위치조절 홀(321)이 구비되어 있지만, 이는 일례일 뿐이며, 그 보다 많은 위치조절 홀(321)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리클라이닝(300)과 좌석(100)의 결합 및 분리에 관해서, 좌석(100)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 및 리클라이닝 커버(320)는 베이스(3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방향 이동하여 좌석(100)에서 리클라이닝(300)을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레버(311)의 타단에 압력을 인가하면, 리클레이닝 레버(311)의 일단이 상향이동되어 위치조정 홀(321)에 고정결합이 해제가 되고, 베이스(3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분리될 수 있다. 결합의 경우, 분리의 역순으로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SOFIX 고정장치의 구성>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ISOFIX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a 및 도 10b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는 카시트의 좌석(100)의 하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우측 연결기(400) 및 좌측 연결기(500)의 한 쌍으로 구성된다.
우측 연결기(400)는 카시트의 좌석(100) 하면의 우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면에 우측 고정볼트(406)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연결기(500)는 카시트의 좌석(100) 하면의 좌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면에 좌측 고정볼트가 설치된다.
이렇게 우측 연결기(400)와 좌측 연결기(500)는 대칭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우측 연결기(4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나, 우측 연결기(400)와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좌측 연결기(5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우측 연결기(400)의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가능하다.
도 11은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우측 연결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우측 연결기(400)는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 우측 커버(410) 및 우측 커넥터(4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는다. 우측 연결기(400)의 후면에는 우측 가이드(418)가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은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후면은 개방되어 있다.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내부(408)는 중공으로 되어 있으며, 우측 커넥터(420)가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내부(408)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좌측면에는 개구된 복수의 위치조절공(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공(401)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있다. 위치조절공(401)은 후술할 우측 레버 돌기(442)의 끝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우측면은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우측면의 개방된 부분은 우측 커버(410)의 개구된 우측 커버 개구부(4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우측에 우측 커버(41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과 우측 커버(412)가 결합되면 우측 커버 개구부(412)를 통하여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내부(408)에 위치된 우측 커넥터(420)의 우측 조작부가 돌출될 수 있다.
우측 커버(410)에는 우측 라벨 부착부(414)가 우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라벨 부착부(414) 위에는 우측 위치조절용 라벨(416)이 부착될 수 있다.
우측 위치조절용 라벨(416)은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40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표시가 각인되어 있다. 사용자는 우측 위치조절용 라벨(416)을 이용하여 우측 커넥터(420)가 슬라이딩된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우측 커넥터(420)는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내부(408)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성이다. 우측 커넥터(420)의 후방은 인입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우측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커넥터(420)의 우측면의 전방에 우측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우측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우측 조작부는 우측 커버 개구부(412)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우측 커넥터(420)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12을 참조한다. 도 12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우측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우측 커넥터(420)는 우측 이너 프레임(422)과 우측 아웃 프레임(430)이 결합된 구조로 형성된다.
우측 이너 프레임(422)에는 제 1 우측 링크축(424)과 제 2 우측 링크축(426)이 설치되어 있고, 이는 각각 우측 링크(466)에 형성된 제 1 우측 링크홀(470)과 제 2 우측 링크홀(472)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우측 링크축(424)과 제 2 우측 링크축(426)의 끝단은 우측 아웃 프레임(430)의 내면에 고정된다. 또한, 우측 이너 프레임(422)에는 우측 랫치축(428)이 설치되어 있고, 이는 우측 랫치(476)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며, 상기 우측 랫치축(428)의 끝단은 우측 아웃 프레임(430)의 내면에 고정된다.
우측 커넥터(420)의 우측 이너 프레임(422)과 우측 아웃 프레임(430) 내부에는 우측 장착부의 잠금을 위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측 장착부의 후방에는 우측 랫치(476)가 설치되어 있으며, 우측 랫치(476)는 우측 랫치축(428)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우측 링크(466)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우측 커넥터(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설치된다. 우측 링크(466)의 전단은 우측으로 절곡된 우측 링크 후크(468)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링크 후크(468)는 우측 해제레버(454)의 내측으로 돌출된 연결부분(456)과 연결된다.
사용자는 우측 해제레버(454)를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우측 해제레버(454)를 조작할 수 있다. 우측 해제레버(454)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면, 우측 해제레버(454)와 연결된 우측 링크(466)도 우측 해제레버(454)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이는 우측 링크(466)에 연결된 제 1 우측 스프링(474)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제 1 우측 스프링(474)는 우측 링크(466)와 우측 랫치(476)를 연결한다. 우측 링크(466)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우측 스프링(474)에 의하여 우측 랫치(476)가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우측 커넥터(420)의 우측면의 전방에 우측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조작부는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와 우측 해제레버(454)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440, 454)는 우측 조작부 커버(446)에 결합된다. 우측 조작부 커버(446)의 좌측에는 우측 조작부 연결기(44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조작부 연결기(448)는 우측 조작부 고정나사(464)에 의하여 우측 아웃 프레임(430)에 고정된다.
우측 조작부 커버(446)에는 개구된 우측 라벨홈(4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해제레버(454)에는 우측 잠금 라벨(452)이 상기 우측 라벨홈(4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된다. 우측 잠금 라벨(452)은 기 설정된 제 1 색상 및 제 2 색상으로 구성되며, 우측 잠금 라벨(452)을 구성하는 하나의 색상이 우측 라벨홈(450)을 통하여 외부에 표시된다.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는 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다.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에는 우측 레버 돌기(4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는 우측 조작부 커버(446), 우측 조작부 연결기(448) 및 우측 커넥터(420)를 관통하며,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의 끝단 일부는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401) 중 하나에 삽입 가능하다.
우측 레버 돌기(442)의 외주면에는 제 2 우측 스프링(460)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 2 우측 스프링(460)의 부착을 위한 E-링크(462)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ISOFIX 고정장치의 동작>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ISOFIX 고정장치의 조작부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여기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우측 연결기(400)에 대해 서술하나, 좌측 연결기(500)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도 13a, 도 13b,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해제레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3a 및 도 13b는 우측 장착부의 잠금 해제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우측 장착부의 잠금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는 좌측 해제레버와 우측 해제레버(454)를 전후방으로 조작함으로써 좌측 장착부와 우측 장착부의 잠금 여부를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우측 해제레버(454)가 후방으로 이동된 경우로서, 우측 장착부(320)가 잠금 해제상태인 경우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우측 해제레버(454)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경우, 우측 해제레버(454)와 연결되어 있는 우측 링크(466)도 후방으로 함께 이동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 링크(466)에는 길이방향의 제 1 우측 링크홀(470)과 제 2 우측 링크홀(47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링크홀(470, 472)은 우측 링크축(424, 426)에 결합되어 있다. 우측 링크(466)는 상기 우측 링크홀(470, 47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우측 링크(466)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우측 스프링(474)의 탄성이 우측 랫치(476)에 작용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우측 랫치(476)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일 방향으로 회전된 우측 랫치(476)에 의하여 우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이 개방되며, 우측 장착부에 차량의 앵커(5)가 장착될 수 있는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우측 해제레버(454)가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로서, 우측 장착부가 잠금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우측 해제레버(454)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경우, 우측 해제레버(454)와 연결되어 있는 우측 링크(466)도 전방으로 함께 이동된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 링크(466)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우측 링크홀(470, 47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후방으로 이동된 우측 링크(466)는 제 1 우측 스프링(474)가 우측 랫치(476)에 탄성을 작용하지 않게 하기 때문에, 우측 랫치(476)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우측 장착부의 인입된 부분에 앵커(5)가 장착됨에 따라 우측 랫치(476)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며, 타 방향으로 회전된 우측 랫치(476)에 의하여 우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이 우측 랫치(476)의 일부분에 의하여 막히게 됨으로써 우측 장착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 랫치(476)에는 인입부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장착부가 도 14b의 잠금 상태로 전환된 경우, 우측 랫치(476)의 인입부에 앵커(5)가 위치되고, 우측 랫치(476)의 돌출부가 우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을 막게 된다.
다음으로, 도 15,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위치조절 레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5, 도 16a 및 도 16b는 우측 위치조절 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는 좌측 위치조절 레버와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좌측 커넥터와 우측 커넥터(420)를 슬라이딩 시킬수 있다.
도 15은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로서, 우측 커넥터(420)가 고정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경우, 우측 레버 돌기(442)의 끝단 일부가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401) 중 하나에 삽입된다. 이에 의하여 우측 레버 돌기(442)는 우측 커넥터(420)가 슬라이딩 되는 것을 막게 되며, 우측 커넥터(4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은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로서, 우측 커넥터(420)가 고정 해제상태인 경우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경우, 우측 레버 돌기(422)의 끝단 일부가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401) 중 하나로부터 삽입해제된다. 이에 따라, 우측 커넥터(420)의 고정이 해제되고, 우측 커넥터(420)가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내부(408)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사용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0 : 좌석
110 : 좌석판넬,
120 : 쿠션,
200 : 등받이,
210 : 등받이 판넬,
220 : 잠금장치,
230 : 헤드레스트,
231 : 헤드레스트 레버,
232 : 브라켓,
233 : 헤드레스트 커버,
234 : 헤드레스트 레버 스프링,
235 : 샤프트,
240 : 등받이 이너커버,
250 : 벨트가이드,
260 : 가이드 고정부,
270 : 어깨 벨트,
300 : 리클라이닝,
310 : 베이스,
311 : 리클라이닝 레버,
312 : 스토퍼,
313 : 스토퍼 스프링,
314 : 리클라이닝 레버 스프링,
320 : 리클라이닝 커버,
321 : 위치조절 홀,
400: 우측 연결기,
401: 위치조절공,
402: 우측 슬라이딩 레일,
406: 우측 고정볼트,
410: 우측 커버,
412: 우측 커버 개구부,
414: 우측 라벨 부착부,
416: 우측 위치조절용 라벨,
418: 우측 가이드,
420: 우측 커넥터,
422: 우측 이너 프레임,
424: 제 1 우측 링크축,
426: 제 2 우측 링크축,
428: 우측 랫치축,
430: 우측 아웃 프레임,
440: 우측 위치조절 레버,
442: 우측 레버 돌기,
446: 우측 조작부 커버,
448: 우측 조작부 연결기,
450: 우측 라벨홈,
452: 우측 잠금 라벨,
454: 우측 해제레버,
460: 제 2 우측 스프링,
466: 우측 링크,
470: 제 1 우측 링크홀,
472: 제 2 우측 링크홀,
474: 제 1 우측 스프링,
476: 우측 랫치,
500: 좌측 연결기.

Claims (5)

  1.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
    상기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등받이; 및
    상기 좌석 하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등받이 하단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 및 상기 등받이를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는 리클라이닝;을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은,
    상기 좌석판넬 하부측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닝 커버; 및
    상기 리클라이닝 커버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좌석판넬과 상기 리클라이닝 커버의 사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변경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의 슬라이딩 방식 이동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석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좌석과 분리되고,
    상기 좌석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좌석과 분리되는 것을 통해 상기 등받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커버는,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의 위치 조절을 위한 복수의 위치조절 홀;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 홀 중 하나에 인입되어 걸림상태가 되는 리클라이닝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일단이 걸림 해제상태가 된 경우,
    상기 베이스가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 홀 중 하나에 입인되어 상기 베이스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의 고정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타단에 고정되며,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갖는 리클라이닝 레버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는,
    타단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일단의 걸림 여부가 전환되는 것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를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가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리클라이닝을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양측 및 상기 등받이 하단에 위치되는 스토퍼;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에 고정된 스토퍼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해 상기 스토퍼를 끌어당기고, 상기 끌어당겨진 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토퍼 상단에 위치된 등받이가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KR1020140173721A 2014-12-05 2014-12-05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KR101642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721A KR101642604B1 (ko) 2014-12-05 2014-12-05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721A KR101642604B1 (ko) 2014-12-05 2014-12-05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261A true KR20160068261A (ko) 2016-06-15
KR101642604B1 KR101642604B1 (ko) 2016-07-26

Family

ID=5613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721A KR101642604B1 (ko) 2014-12-05 2014-12-05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3857B1 (en) 2018-07-16 2024-05-29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12A (ja) * 1993-06-30 1995-01-20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子供安全シート
KR200350920Y1 (ko) * 2004-02-10 2004-05-17 사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 어린이 카시트
KR100458316B1 (ko) 2004-03-18 2004-11-26 (주)엠알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JP2008503378A (ja) * 2004-06-19 2008-02-07 ブリタックス エクセルシオル リミテッド 子供用安全キャリアのベース
KR20080091262A (ko) 2006-01-27 2008-10-09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KR20120138274A (ko) * 2011-06-14 2012-12-26 이덕삼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유아용 카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12A (ja) * 1993-06-30 1995-01-20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子供安全シート
KR200350920Y1 (ko) * 2004-02-10 2004-05-17 사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 어린이 카시트
KR100458316B1 (ko) 2004-03-18 2004-11-26 (주)엠알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JP2008503378A (ja) * 2004-06-19 2008-02-07 ブリタックス エクセルシオル リミテッド 子供用安全キャリアのベース
KR20080091262A (ko) 2006-01-27 2008-10-09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KR20120138274A (ko) * 2011-06-14 2012-12-26 이덕삼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유아용 카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604B1 (ko)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958B1 (ko) 분리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
TWI661954B (zh) 兒童安全座椅
RU2673225C2 (ru) Сиденья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
US4655503A (en) Vehicular seat
US9616784B2 (en) Vehicle seat
US6779843B2 (en) Harness-control panel adjuster for child-restraint seat
US9738182B2 (en) Child seat for a motor vehicle
US20160114705A1 (en) Child safety seat
US20120013160A1 (en) Child Safety Seat Assembly
KR101421876B1 (ko)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US10604034B2 (en) Child safety seat
JP201000637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20080150247A1 (en) Detachable connecting device for a child carrier
CN108275035A (zh) 模块化头部约束结构和造型支持结构
KR101586960B1 (ko)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US11186209B2 (en) Child safety seat
US11760237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headrest and child support device
CN108275036A (zh) 具有改进的进入系统和模块化头部约束组件的高性能座椅总成
KR101642604B1 (ko)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US20140008954A1 (en) Detachable seating device
US11884189B2 (en) Child safety seat
KR101788719B1 (ko) 카시트
US20220219580A1 (en) Adjustable protector and safety seat
KR20150084512A (ko)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
JP2020189585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