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158A -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 Google Patents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158A
KR20160068158A KR1020140173502A KR20140173502A KR20160068158A KR 20160068158 A KR20160068158 A KR 20160068158A KR 1020140173502 A KR1020140173502 A KR 1020140173502A KR 20140173502 A KR20140173502 A KR 20140173502A KR 20160068158 A KR20160068158 A KR 20160068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stent
cover member
artificial blood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6547B1 (ko
Inventor
김철생
박찬희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5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3/00Prosthesis, i.e. artificial body members, parts thereof, or aids and accessories therefor
    • Y10S623/902Method of implanting
    • Y10S623/903Blood vess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sthes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늘 삽입 후에도 인조혈관의 지혈 등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은, 중공형상의 혈관튜브와; 상기 혈관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상기 혈관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는 바늘에 의한 천공시 밀착되어 구멍을 폐쇄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 ARTIFICIAL BLOOD-VESSEL FOR HEMODIALYSIS }
본 발명은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늘 삽입 후에도 인조혈관의 지혈 등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에 관한 것이다.
심장과 혈관 질환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 중의 하나로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심장과 혈관 등 순화기 계통에서 발생하는 질병인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은 혈관과 관련된 질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 사망 원인 중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범세계적으로 수많은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이들 순화기 계통에서의 발병율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치료요법으로 약물요법에는 한계가 있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장과 혈관의 기능 소실이 초래될 수 있는 말기 심혈관 질환에서의 복원술에 대한 연구는 조직 또는 장기의 기능을 복구, 유지, 향상시킨다는 생체조직공학의 목적에 잘 부합되는 과제로써, 왕성한 연구가 진행되어 차세대의 치료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중 인조혈관 제조분야는 가장 발전된 생체조직공학적 기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의 경우 현재 내경 6mm 크기의 Dacron 또는 Goretex 재질의 인조혈관을 사용하고 있으며, 길이는 의사들이 환자와 사용부위에 따라 맞춰서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혈액용 바늘의 경우 직경이 1mm 정도로 인조혈관 직경에 비하여 큰편에 속하고, 의사들이 위치를 잘 찾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가장 중요한 투석을 마친 뒤, 바늘을 다시 인조혈관에서 빼게 되면 지혈이 쉽게 되지 않고 출혈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술 후 사람이 움직이기 때문에 인조혈관에서 Rupture현상 즉 V자형으로 꺾여 인조혈관이 파열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혈액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42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진 인조혈관에 바늘을 삽입한 후 빼더라도 지혈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고, 인조혈관이 V자형으로 꺾이지 않는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은, 중공형상의 혈관튜브와; 상기 혈관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상기 혈관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는 바늘에 의한 천공시 밀착되어 구멍을 폐쇄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혈관튜브는 PFA, FEP, PTF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를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텐트는 상기 혈관튜브가 꺾이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스텐트의 바깥쪽에 결합되는 제1커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스텐트와 상기 혈관튜브 사이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스텐트의 안쪽에 결합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혈관튜브는 상기 스텐트 또는 커버부재의 외주면에 인서트사출되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혈관튜브의 내부에 스텐트와 커버부재를 결합하여 삽입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진 인조혈관에 바늘을 삽입한 후 빼더라도 커버부재에 의해 지혈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텐트에 의해 인조혈관이 V자형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의 절개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에 바늘을 삽입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의 절개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에 바늘을 삽입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은, 혈관튜브(10)와, 스텐트(20)와, 커버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혈관튜브(10)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혈관튜브(10)는 인체에 해롭지 않은 재질 특히 고어텍스의 재질의 재질인 PFA, FEP, PTF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텐트(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혈관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스텐트(20)는 종래의 공지된 것을 사용하면 되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스텐트(20)는 상기 혈관튜브(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기 보다는, 상기 혈관튜브(10)가 꺾이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스텐트(20)가 상기 혈관튜브(10)의 꺾이는 부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혈관튜브(10)가 V자형으로 꺾이지 않고 U자형으로 꺾이도록 할 수 있어, 상기 혈관튜브(10)가 V자형으로 꺾여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스텐트(20)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상기 혈관튜브(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혈관튜브(10)의 재질과는 달리, 바늘(40)에 의한 천공시 즉 바늘(40)에 의해 구멍(33)이 형성되고 바늘(40)이 빠져 나갔을 때, 상기 바늘(40)에 의해 형성된 구멍(33) 주위에 존재하는 부위가 상호 밀착되어 구멍(33)을 폐쇄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부재(30)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30)는 제1커버부(31)와 제2커버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커버부(31)는 상기 스텐트(20)의 바깥쪽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커버부(32)는 상기 스텐트(20)의 안쪽에 결합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커버부(31)와 제2커버부(32)는 상기 스텐트(2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커버부(31)와 제2커버부(32)는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1커버부(31)는 상기 스텐트(20)와 상기 혈관튜브(10) 사이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제1커버부(31)와 제2커버부(32)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제1커버부(31) 또는 제2커버부(32)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30)는 디핑 또는 전기방사를 통해 상기 스텐트(20)에 안쪽 및/또는 바깥쪽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혈관튜브(10)는 상기 스텐트(20) 또는 커버부재(30)의 외주면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조의 인조혈관에 의해, 혈액 투석용 바늘(40)을 삽입할 경우, 상기 바늘(40)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텐트(20)가 삽입 배치된 부위에 삽입한다.
상기 바늘(40)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바늘(40)은 상기 혈관튜브(10) 및 커버부재(30)에 구멍(33)을 발생시키게 된다.
혈액 투석 후 상기 바늘(40)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혈관튜브(10) 및 커버부재(30)에는 상기 바늘(40)에 의한 구멍(33)이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30)는 스스로 상기 구멍(33)을 막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33) 주위에 존재하는 상기 커버부재(30)의 부위가 상호 밀착되어 상기 구멍(33)을 막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혈관튜브(10)에 구멍(33)이 개방 형성되어 있어도, 상기 커버부재(30)에 의해 상기 인조혈관 내부는 외부로부터 밀폐되는바, 자연혈관처럼 출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혈관튜브,
20 : 스텐트,
30 : 커버부재, 31 : 제1커버부, 32 : 제2커버부, 33 : 구멍.
40 : 바늘.

Claims (7)

  1. 중공형상의 혈관튜브와;
    상기 혈관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상기 혈관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는 바늘에 의한 천공시 밀착되어 구멍을 폐쇄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혈관튜브는 PFA, FEP, PTF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를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혈관튜브가 꺾이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스텐트의 바깥쪽에 결합되는 제1커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스텐트와 상기 혈관튜브 사이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6. 청구항1 또는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스텐트의 안쪽에 결합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혈관튜브는 상기 스텐트 또는 커버부재의 외주면에 인서트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KR1020140173502A 2014-12-05 2014-12-05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KR101666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02A KR101666547B1 (ko) 2014-12-05 2014-12-05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02A KR101666547B1 (ko) 2014-12-05 2014-12-05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158A true KR20160068158A (ko) 2016-06-15
KR101666547B1 KR101666547B1 (ko) 2016-10-14

Family

ID=5613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502A KR101666547B1 (ko) 2014-12-05 2014-12-05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5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8110A (ja) * 1997-08-11 1999-07-13 Advanced Cardeovascular Syst Inc ステントの被覆方法
JP2003511196A (ja) * 1999-10-15 2003-03-25 エドワーズ ライフサイエン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積層型自己封鎖性血管アクセス移植片
KR20090083113A (ko) * 2008-01-29 2009-08-03 (주) 태웅메디칼 담즙관용 이중 피막형 스텐트
JP2010538741A (ja) * 2007-09-13 2010-12-16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ステント付き血管グラフト
KR20110090425A (ko) 2010-02-03 2011-08-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벤딩되는 원통형 인조혈관 스텐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8110A (ja) * 1997-08-11 1999-07-13 Advanced Cardeovascular Syst Inc ステントの被覆方法
JP2003511196A (ja) * 1999-10-15 2003-03-25 エドワーズ ライフサイエン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積層型自己封鎖性血管アクセス移植片
JP2010538741A (ja) * 2007-09-13 2010-12-16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ステント付き血管グラフト
KR20090083113A (ko) * 2008-01-29 2009-08-03 (주) 태웅메디칼 담즙관용 이중 피막형 스텐트
KR20110090425A (ko) 2010-02-03 2011-08-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벤딩되는 원통형 인조혈관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547B1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6454B (zh) 左心耳封堵器
JP4815024B1 (ja) 人工血管および人工血管のアクセスポート
JP4991014B2 (ja) 人工血管
CN203724591U (zh) 阀控导管组件
KR20190026002A (ko) 혈관 통로를 위한 유입기 시스
JP2016185254A (ja) 医療器具
US20210275780A1 (en) Patch and method of providing dialysis
CN101239217A (zh) 带无针密闭正压接口的安全式动静脉留置针
CN206934209U (zh) 分叉型覆膜支架
ES2374073T3 (es) Dispositivo de anastomosis.
KR101666547B1 (ko) 혈액 투석용 인조혈관
JP6947479B2 (ja) バルブ体を有する送達カテーテル
US11389622B1 (en) Patch for providing dialysis
KR20160016414A (ko) 이중 봉합부를 포함하는 복합이식편
US9687240B2 (en) Implant for facilitating sutureless side-to-side arteriovenous fistula creation and maintaining patency
US9554801B2 (en) Extravascular implant for facilitating sutured side-to-side arteriovenous fistula creation and maintaining patency
KR101618824B1 (ko) 벌룬 카테터
EP2635342B1 (en) Haemostatic valve assembly
JP2000024016A (ja) 生体内留置管
JP2015213595A (ja) アクセス装置
BR102013015282A2 (pt) sistema de agulha de punção e injeção de materiais biológicos ou medicamentos no miocárdio
FR2945452A1 (fr) Dispositif interne d'injection et de prelevement d'un liquide a l'interieur d'un organisme viv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