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039A - 오일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039A
KR20160068039A KR1020140172807A KR20140172807A KR20160068039A KR 20160068039 A KR20160068039 A KR 20160068039A KR 1020140172807 A KR1020140172807 A KR 1020140172807A KR 20140172807 A KR20140172807 A KR 20140172807A KR 20160068039 A KR20160068039 A KR 20160068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oller
upper roller
lower roller
appl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786B1 (ko
Inventor
진조관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7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9/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moving reservoir or the equivalent
    • F16N9/02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moving reservoir or the equivalent with reservoir on or in a rotary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before th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도포장치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에서 회전하게 구비되고, 상호 간격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형성된 간격으로 통과되는 소재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소재에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도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도포장치{Apparatus of supplying material with grease}
본 발명은 소재의 표면에 오일타입의 윤활제를 도포하여 소재 표면에 균일한 유막이 형성되게 하는 오일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의 성형성을 판단하는 데에는 소재의 마찰시험 데이터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소재 물성시험의 일종인 마찰시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마찰시험 데이터를 활용하면 소재의 성형이 용이한 금형을 설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공정을 설계할 수 있다.
소재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마찰시험에 관한 표준은 미국재료시험협회(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는 ASTM에서 제공하는 마찰시험에 관한 표준 이외에도 소재를 판재 형태로 가공하여 마찰시험기를 통해 소재의 마찰계수를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일예로서, 상부 다이(Die)를 포함하는 편면 마찰시험기를 이용한 소재의 마찰계수 측정방법이 있다. 즉, 윤활제로서의 오일을 도포한 소재를 편면 마찰시험기의 상부 다이 하부에 배치하고, 상부 다이에 일정한 힘을 가한 상태에서 소재를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부 다이와 소재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이때, 오일은 소재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찰시험으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는 강재의 가공성 평가에 중요한 인자 중 하나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하고 정밀한 마찰시험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소재의 표면에 오일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도포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소재 표면에 오일을 도포하는 작업이 종래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기로 진행되었으며, 작업자가 직접 오일 도포용 롤러나 브러시에 오일을 묻혀 소재의 표면에 오일을 도포하는 수작업은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에 따라 오일 도포 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하고 균일한 오일 도포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가능 시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신속한 마찰시험의 진행이 어렵고,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면 연속적이고 지속적인 마찰시험의 진행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의 마찰시험기를 이용한 마찰시험은 오일 도포로써 형성되는 소재 표면의 유막두께가 일정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마찰시험 데이터의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60645호(2002.07.18.공개)
본 발명은 소재의 표면에 윤활제로서의 오일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도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재 표면에 공급된 일정량의 윤활제를 밀어내어 소재 표면에 일정하게 존재하도록 하고, 이로써 소재 표면에 균일한 유막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마찰시험 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정확한 가공성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더하여, 오일 도포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개선된 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작업자의 작업 집중도를 향상시키고 공정 흐름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품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오일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에서 회전하게 구비되고, 상호 간격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형성된 간격으로 통과되는 소재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소재에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도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는, 상기 장치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롤러로 구비되되, 상기 오일도포부가 설치되는 롤러는, 오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내부저장공간; 및 상기 내부저장공간에서부터 외부로 이어지도록 관통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몸체와 상기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에 의해 형성된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일도포부는, 상기 내부저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게 제공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봉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되,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소재와 접촉될 시에 상기 내부저장공간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소재에 공급하는 도포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일도포부는, 상기 관통홀을 밀폐하도록 상기 도포돌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저장공간에 저장된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차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장치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하부롤러를 지지하는 하부롤러고정대;와, 상기 하부롤러고정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롤러를 지지하는 상부롤러고정대; 및 상기 하부롤러고정대 또는 상기 상부롤러고정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롤러고정대 또는 상기 하부롤러고정대를 이동하여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조절하는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상부롤러고정대에 고정되고, 일측에 제1기어부가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빔; 및 동력발생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기어부에 대응되는 제2기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가이드빔을 이동시키는 이동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장치몸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소재가 상기 롤러에 의해 형성된 간격으로 통과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소재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는 오일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는 오일차단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오일 도포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재의 표면에 윤활제로서의 오일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 표면에 균일한 유막을 형성하여 마찰시험 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정확한 가공성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일 도포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개선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공정 흐름을 원활하여 제품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오일 도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상세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B'의 상세도이다.
도 3b는 도 2의 'B'의 상세도로서, 소재가 접촉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오일 도포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오일 도포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오일 도포장치의 이동박스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오일 도포장치는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장치몸체(10)와, 상기 장치몸체에서 회전하게 구비되고, 상호 간격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롤러(20)와, 상기 롤러들 중에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들에 의해 형성된 간격으로 통과되는 소재(M)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소재에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도포부 및 상기 장치몸체와 상기 롤러들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들에 의해 형성된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롤러(20b)와 하부롤러(20a) 사이에는 소재(M)가 통과될 수 있는 적정 간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소재(M)를 지지하도록 장치몸체(10) 상에 배치되는 소재지지부(80)에 의해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의 간격으로 소재(M)가 이송될 수 있다.
덧붙이자면, 소재(M)의 이송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롤러(20b)와 하부롤러(20a)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용 롤러(미도시)를 복수개 구비하여 소재지지부(8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소재지지부(80)는 사용자 및 사용환경에 의해 설치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공간 또는 환경상의 제약으로 이를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될 시에는 사용자가 직접 소재(M)를 상기 롤러들 사이로 공급할 수 있다.
장치몸체(10)에서 상부롤러(20b)와 하부롤러(20a)를 지지하기 위해서 도 4에 보이는 것처럼 하부판(14)을 설치하고, 하부판에 고정된 고정빔(13)을 복수개 구비하여 이를 하부롤러고정대(41)에 연결할 수 있다.
하부롤러고정대(41)는 내부에 일정 높이를 가진 이동가이드홈(44b)이 구비된다. 이동가이드홈은 선술할 이동가이드빔(44)의 개수만큼 구비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빔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동가이드빔(44)의 일단부는 이동가이드홈(44b)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롤러들을 향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연장된 타단부에는 각각 제1기어부(44a)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동가이드빔(44)의 연장부에는 상부롤러고정대(42)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롤러고정대의 상부로는 상부판(12)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부판(12)은 이동가이드빔(44)의 연장부에 설치되되, 제1기어부(44a)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후술할 이동박스(45)가 이동가이드빔(44)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상부판이 이동박스(45)의 이동한계를 정하게 되고, 만약의 경우 하부의 소재(M)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재(M)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장치몸체(10) 상에 고정 구조가 마련되면, 상부롤러고정대(42)에는 상부롤러(20b)가 고정되고, 하부롤러고정대(41)에는 하부롤러(20a)가 고정된다.
다만, 상부롤러고정대 및 하부롤러고정대는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가 중력방향으로 낙하하여 장치몸체(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의 회전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상부롤러(20b)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부롤러고정대(42)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부롤러(20b)의 양측 롤러축(24)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부롤러고정대에는 상기 롤러축(2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통홀이 구비되며, 여기에 롤러축(24)이 삽입되되, 베어링유닛(42a)이 함께 삽입되어 롤러축(24)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사항은 하부롤러(20a) 및 하부롤러고정대(41)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사항이다. 다만,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만 동력발생수단(200)에 연결되어 직접적인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을 경우에는, 나머지 하나의 롤러는 소재의 인입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24)과 상기 상부롤러고정대 또는 하부롤러고정대는 베어링유닛과 함께 결합됨에 있어 헐거운 끼워맞춤 등의 적정 공차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하부롤러(20a)가 동력발생수단(200)에 연결되어 하부롤러가 직접 회전하고, 상부롤러는 소재(M)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는 구조를 제공하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4a 및 도 4b에 보이는 것과 같이 동력발생수단(200)은 모터로 제공될 수 있고, 모터에 의해 하부롤러(20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체인부(210)가 구비된다. 즉, 모터의 회전축(201)에는 구동을 위하여 제1풀리(211)가 장착된다. 그리고 하부롤러(20a)의 롤러축에는 제2풀리(212)가 장착되어, 상기 제1풀리 및 상기 제2풀리를 감아 도는 벨트(213)가 설치된다.
또한, 하부롤러(20a)의 하부와 하부판(14) 사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2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하부롤러(20a)에 대한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며, 가이드롤러(27)의 회전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사항이다. 하부롤러(20a)의 완충효과를 더하기 위해서는 하부판(14)의 하방에 복수개의 보조탄성부재(11)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하부판(14)의 하부와 장치몸체(10)의 상부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하부판(14)과 접촉하는 로드셀(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로드셀(50)은 장치몸체(10) 상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하중변화를 측정할 것이고, 사용자는 상기 로드셀에 연결된 표시부(51)를 통해 본 오일 도포장치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러면 소재(M)에 오일을 도포하면서 실시간 하중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장치의 과부하, 하중으로 인한 고장 또는 손상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b를 참고로 하여 상부롤러(20b)와 하부롤러(20a)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후술할 오일도포부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내부저장공간 및 상기 내부저장공간에서부터 외부로 이어지도록 관통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저장공간에는 오일(L)이 저장되며, 오일(L)은 도 2에 보이는 메인공급유로(25)를 통해 롤러 내부저장공간으로 공급된다. 메인공급유로(25)는 롤러축(24)을 관통하여 상기 롤러의 내부저장공간을 잇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롤러축(24)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오일(L) 공급시에만 상기 롤러축(24)에 연결되게 할 수 있고, 오일 공급이 완료된 이우에는 롤러축(24)에서 분리하고, 상기 롤러축(24)의 내부 유로의 입구는 뚜껑, 마개와 부재를 이용하여 막으면 내부의 오일(L)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일도포부는 상기 내부저장공간 내에서 상부롤러(20b)의 직경방향에 평행한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배치되고, 양단부는 상기 내부저장공간의 벽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지지봉(31)과, 상기 지지봉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게 제공되는 탄성부재(32)와, 상기 지지봉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지지핀(33) 및 상기 지지핀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되, 내부에 도포용 유로(34a)가 형성되어 소재(M)와 접촉될 시에 상기 내부저장공간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소재에 공급하는 도포돌기(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도포부는 상부롤러(20b)의 내부공간에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오일도포부를 복수개 구비하면 소재(M)의 길이가 길거나, 폭이 넓은 경우에 보다 신속하게 오일 도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롤러(20b)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롤러를 감싸도록 오일흡수부재(60)가 장착될 수 있다. 오일흡수부재(60)는 상부롤러(20b)의 관통홀을 통해 오일(L)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누출되는 오일(L)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아울러, 상부롤러(20b)에 구비되는 관통홀과 상기 도포돌기(34)의 직경을 조절하여 내부저장공간에 저장된 오일(L)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즉, 도포돌기(34)가 관통홀 내에서 상하 이동은 하되, 그 틈으로 오일(L)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도포돌기(34)의 외주면에도 오일흡수부재(6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만, 도포돌기(34)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오일흡수부재(60)는 도포돌기(34)와 관통홀의 상호 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마찰이 방지되는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롤러(20b)의 관통홀 주변에는 도포돌기(34)를 감싸도록 오링(36)을 설치하면 오일(L) 유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일측이 소재(M)에 접촉하는 도포돌기(34)의 타측에는 오일차단판(35)이 고정된다. 오일차단판(35)은 내부저장공간 내에 위치하며, 그 크기가 상기 상부롤러(20b)에 구비된 관통홀의 직경을 초과하여야 하며, 관통홀 전체를 막을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오일차단판(35)은 도포돌기(34) 내에 구비되는 도포유로(34a)를 통해 내부저장공간에 저장된 오일(L)이 들어갈 수 있도록, 도포유로(34a)를 가로막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일측이 도포돌기(34)와 연결되는 오일차단판(35)의 타측에는 지지핀(33)이 고정된다. 지지핀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어 상기 중공부에는 지지봉(31)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중공부의 직경은 상기 지지봉(31)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되, 지지핀(33)이 지지봉(31)의 외측을 따라 상하 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공차를 갖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지지핀(33)의 하부에는 탄성부재(32)가 구비된다.
한편, 선술한 이동유닛은 도 4a 및 도 4b에 보이는 것처럼, 상부롤러고정대(42)에 고정되고, 일측에 제1기어부(44a)가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빔(44) 및 동력발생수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제1기어부에 대응되는 제2기어부(45a)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빔을 이동시키는 이동박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동박스(45)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박스(45)는 보조동력발생수단(49)과 감속기(48)를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구비된 제2기어부(45a)는 이동가이드빔(44)에 구비된 제1기어부(44a)와 맞물리게 연결된다.
제2기어부(45a)는 이동박스(45) 내에서 제1베벨기어(45)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베벨기어(45)는 베어링유닛(46a)을 통해 이동박스(45)에 장착된다. 제1베벨기어(45)의 수직방향으로는 제2베벨기어(47)가 맞물리게 구비되고, 제2베벨기어(47) 회전축은 베어링유닛(47a)에 의해 이동박스의 몸체(45b)에 장착된다. 그리고 제2베벨기어(47)의 회전축은 변속기(48)에 연결되며 상기 변속기는 보조동력발생수단(49)에 연결되게 된다.
이때, 선술한 동력발생수단(200) 및 보조동력발생수단(49)은 스텝핑 모터, 인버터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동력발생수단(49)의 동력은 상기 변속기에서 적정한 회전수로 감소 또는 증가되어 상기 제2베벨기어(47)로 전달되게 된다.
즉, 상기 보조동력발생수단(49)에서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이동박스(45) 내부의 제2기어부(45a)와 맞물린 상기 제1기어부(44a)에 의해 상기 이동가이드빔(44)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가이드빔과 고정 연결된 상부롤러고정대(42)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상부롤러고정대(42)에 연결된 상부롤러(20b)가 소재(M)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가이드빔(44)의 단부는 상기 하부롤러고정대(41)에 마련된 이동가이드홈(44b)에 삽입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에 대하여, 도 4a 및 도 4b에 보이는 것처럼 상기 상부롤러고정대와 상기 하부롤러고정대 사이에 보조탄성부재(41a)를 설치하면 상하 운동에 따른 완충작용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롤러고정대의 갑작스런 낙하와 같은 돌발의 상황에서도 장치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동력발생수단(49)을 제어부(90)에 연결하면 사용자는 보조동력발생수단(49)의 회전을 제어하여, 이동가이드빔(44)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이동유닛과 이동가이드빔(44)을 제어함으로써 상부롤러(20b)를 고정된 하부롤러(20a)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그 사이로 인입되는 소재(M)가 상기 상부롤러 또는 상기 하부롤러에 접촉하게 된다.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소재(M)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즉, 본 오일 도포장치를 통해 소재에 오일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도 4a에 보이는 것처럼 제어부(90)를 통해 이동박스(45)를 동작시키고, 이동가이드빔(44)을 상승시켜 이동가이드홈(44b)에서도 일정거리 상승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부롤러고정대(42)가 함께 상승되고 이에 따라 여기에 고정된 상부롤러(20b)도 함께 상승하게 되면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이후 소재(M)를 소재지지부(80) 상에 올려놓고,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간의 간격을 소재(M)의 두께에 걸맞게 조절하기 위해 다시 제어부(90)를 조작하여 이동박스(45)와 이동가이드빔(44)을 이동시킨다.
즉, 도 4b에 보이는 것처럼 상부롤러(20b)를 하부롤러(20a)방향으로 하강시켜, 상기 롤러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알맞게 좁힌다. 다만, 상기 롤러들의 외주로 돌출되는 도포돌기(34)의 높이를 고려하여, 소재(M)가 접촉하기 이전에 상기 도포돌기(34)들끼리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이어, 소재(M)를 롤러들 사이에 인입하여 소재(M)가 도포돌기(34)들을 압박하게 한다. 그러면 상기 도포돌기(34)들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되며, 도포유로(34a)를 통해 소재(M)에 오일(L)을 도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롤러의 내부저장공간에서 오일차단판(35)이 이동하면서, 도포돌기(34)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도포돌기에 내장된 도포유로(34a)가 오일(L)이 수용된 내부저장공간으로 연결되기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소재(M)와 도포돌기(34)의 접촉이 해제되어, 도포돌기(34)가 탄성부재(32)의 신장에 의해 다시 상승하고, 오일차단판(35)이 함께 상승하여 도포유로(34a)가 롤러 상에 구비된 관통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내부저장공간과 도포유로(34a)의 연결이 차단되면서 오일(L)의 공급도 끊기게 된다.
이에, 선술한 것과 같은 오일 도포장치의 구성, 동작 및 오일을 도포할 소재(M)의 두께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면 간편하고 용이하게 소재 표면에 오일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 장치몸체 20 : 롤러
20a : 하부롤러 20b : 상부롤러
41 : 하부롤러고정대 42 : 상부롤러고정대
50 : 로드셀 60 : 오일흡수부재
70 : 오일차단링 80 : 소재지지부
90 : 제어부 200 : 동력발생수단
210 : 체인부

Claims (10)

  1. 장치몸체;
    상기 장치몸체에서 회전하게 구비되고, 상호 간격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형성된 간격으로 통과되는 소재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소재에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도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일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장치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롤러로 구비되되,
    상기 오일도포부가 설치되는 롤러는,
    오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내부저장공간; 및
    상기 내부저장공간에서부터 외부로 이어지도록 관통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도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몸체와 상기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에 의해 형성된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간격조절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일 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도포부는,
    상기 내부저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게 제공되는 탄성부재;
    상기 지지봉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되,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소재와 접촉될 시에 상기 내부저장공간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소재에 공급하는 도포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도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도포부는,
    상기 관통홀을 밀폐하도록 상기 도포돌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저장공간에 저장된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차단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도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장치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하부롤러를 지지하는 하부롤러고정대;
    상기 하부롤러고정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롤러를 지지하는 상부롤러고정대; 및
    상기 하부롤러고정대 또는 상기 상부롤러고정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롤러고정대 또는 상기 하부롤러고정대를 이동하여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조절하는 이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도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상부롤러고정대에 고정되고, 일측에 제1기어부가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빔; 및
    동력발생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기어부에 대응되는 제2기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가이드빔을 이동시키는 이동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도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장치몸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소재가 상기 롤러에 의해 형성된 간격으로 통과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소재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도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는 오일흡수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일 도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는 오일차단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도포장치.






KR1020140172807A 2014-12-04 2014-12-04 오일 도포장치 KR101657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807A KR101657786B1 (ko) 2014-12-04 2014-12-04 오일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807A KR101657786B1 (ko) 2014-12-04 2014-12-04 오일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039A true KR20160068039A (ko) 2016-06-15
KR101657786B1 KR101657786B1 (ko) 2016-09-20

Family

ID=5613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807A KR101657786B1 (ko) 2014-12-04 2014-12-04 오일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635A (ko) * 2019-05-09 2020-11-18 한재형 오일도포장치의 프레스 소재 받침대
CN114887818A (zh) * 2022-04-15 2022-08-12 李鹏政 碳素固废材料制备产品加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645A (ko) 2002-06-07 2002-07-18 이명수 오일 씰의 구리스 정량공급장치
KR200357213Y1 (ko) * 2004-04-26 2004-07-27 이종호 오일 공급 롤러
KR20050070269A (ko) * 2003-12-30 2005-07-0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윤활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
KR20120101933A (ko) * 2011-03-07 2012-09-17 신형운 프레스기용 오일 도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645A (ko) 2002-06-07 2002-07-18 이명수 오일 씰의 구리스 정량공급장치
KR20050070269A (ko) * 2003-12-30 2005-07-0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윤활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
KR200357213Y1 (ko) * 2004-04-26 2004-07-27 이종호 오일 공급 롤러
KR20120101933A (ko) * 2011-03-07 2012-09-17 신형운 프레스기용 오일 도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635A (ko) * 2019-05-09 2020-11-18 한재형 오일도포장치의 프레스 소재 받침대
CN114887818A (zh) * 2022-04-15 2022-08-12 李鹏政 碳素固废材料制备产品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786B1 (ko)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786B1 (ko) 오일 도포장치
KR101508813B1 (ko) 파이프 자동가공장치
KR101746611B1 (ko) 라운드 형상의 리드용 리바니싱 헤드
KR20130093124A (ko) 마찰 교반 접합 장치
JP7169099B2 (ja) 昇降装置
KR101466172B1 (ko) 벨트 포설장치
ITMI20100498A1 (it) Macchina inchiodatrice per l¿assemblaggio di pallet in legno o simili, con traini per gruppi di tasselli a distanza variabile.
KR101618774B1 (ko) 마찰력 저감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공작기계
KR200375222Y1 (ko) 원통형 모재 용접장치
JP2017150648A (ja) 直動装置用給脂装置
US10759551B2 (en) Ejection head for an ejection device of a sealing machine for sealing a container
KR102216227B1 (ko) 외부 윤활형 리니어 이송유닛
KR10138804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N106586511A (zh) 连续分料机构
CN210700949U (zh) 一种新型涂胶机
CN107008660B (zh) 利用机器人单轴手臂测皮带长度的装置及筛选皮带的方法
CN107052103A (zh) 自动上料的卧式卷绕设备
DE102013003940A1 (de)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r Vorheizung einer Thermoformmaschine
KR20130073704A (ko) 공작 기계용 도어 조립체
KR101399882B1 (ko) 벨트 조절장치
EP1529130B1 (de) Nähmaschine mit einer dämpfungsvorrichtung
US1669915A (en) Counterbalancing means for multiple drills
US9981440B2 (en) Rotor for a rotary press
CN207423835U (zh) 一种可调节的射线探伤机支撑架
CN209589853U (zh) 一种光电直读光谱激发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