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865A -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865A
KR20160066865A KR1020140172189A KR20140172189A KR20160066865A KR 20160066865 A KR20160066865 A KR 20160066865A KR 1020140172189 A KR1020140172189 A KR 1020140172189A KR 20140172189 A KR20140172189 A KR 20140172189A KR 20160066865 A KR20160066865 A KR 2016006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extract
active ingredient
ferment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규
김종명
김종국
이상한
손형우
허진철
Original Assignee
(주)팜바이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팜바이오스 filed Critical (주)팜바이오스
Priority to KR102014017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865A/ko
Publication of KR2016006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마련하여, 고체 발효를 통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진과 아토피 동물 모델을 이용한 항 염증 활성 증진을 위하여 장수상황버섯을 이용한 고체발효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Compositoi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공기의 오염과 식품의 오염으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알러지(Allergy) 증상이 만연해 지고 있다. 알러지는 알레르겐(allergen)이라 불리는 항원이 인체에 침입하면 인체의 방어 시스템은 외부 물질인 알러르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알레르겐에 대한 IgE가 생성되어서 조직 내 비만세포(Mast cell)에 부착되어 존재한다. 이 후 다시 같은 종류의 알레르겐이 들어오면 이것이 비만세포의 IgE와 결합한다. 이때 비만세포가 터지면서 히스타민, 세로토닌, 레닌 등 여러 가지 물질이 유리되어서 재채기, 소양감 등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증상을 알러지라 한다.
또 아토피는 라틴어 'atopia'에서 유래한 말로서 '괴상한' 또는 "부적절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알러지성 질환인 접촉성알러지성 피부염은 알러지 천식, 식품 알러지, 알러지성 비염 등과 같은 알러지성 질환보다 먼저 발생하며, 주위에서 자주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알레르기 질환 중 가장 흔한 과민 반응은 아토피, 천식과 같은 제1형 과민반응과 만성 염증과 같은 제4형 과민반응이다. 예를 들면 아토피 알레르기 피부염 환자의 80% ∼ 90%는 혈청 IgE가 증가하며 호흡기 아토피(알레르기성 l비염이나 천식)가 동반하는 경우에는 특히 혈청 IgE가 높다. 약 85%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서 피부반응검사 혹은 RAST(radioallergosorbent test) 검사에서 음식물과 흡입 항원에 대한 IgE가 양성으로 관찰된다. 만약 혈청 IgE가 증가한 경우, 제 1 형 과민 반응인 아토피 질환이 그치지 않고 만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등 제 4형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러므로 제 1 형 및 제 4 형 과민반응은 아주 밀접한 알레르기 반응이면서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는 중요한 열쇠가 되고 있다.
즉,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지만, IgE 생성의 증가, CD8+ 억제/세포독성 T 림프구(CD8+ suppressor/cytotoxic T lymphocytes) 수적 감소와 기능 저하, IFN-γ를 분비하는 Th1(T-cell Helper type 1) 림프구의 수적 감소, 단핵구/대식세포의 침윤, 비만세포, 호산구,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s; DCs), 표피의 랑게르한스 세포 및 CD4+ T 림프구의 수적 증가, Th1 세포에 비해 Th2 세포의 수적 증가, 사이토카인(IL-10, IL-4, IL-5, TNF-α 등)의 생성 증가, 케모카인(TSLP, RANTES, CTACK, LARC, MDC, TARC 등)의 생성 증가 등의 면역학적 현상들이 보고되고 있고, 통상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사람이 집 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음식물, 꽃가루, 곰팡이 등과 같이 외부환경의 이물질에 대해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는 점과 또 아토피 피부염이 알러지성 비염, 천식, 결막염, 장관염 등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면역 체계의 교란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아토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활성 성분으로서 유효량의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추출물, 무화과잎(Ficus carica) 추출물, 창이자(Xanthium strumarium) 추출물 및 차전잎(Plantago asiatica) 추출물을 Lactobacillus sp. 와 Saccharomycetes sp. 또는 Lactobacillus sp. 또는 Saccharomycetes sp.로 혼합 발효한 상황버섯 발효 추출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세포내 알레르기 염증 유도 기전 중의 하나인 ERK, PKC alpha 및 PKC delta의 활성화 (인산화) 증가에 따른 알레르기성 질환, 아나필락시스쇼크, 기관지천식, 두드러기, 화분증 등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질환 및 만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장수상황버섯의 동백종실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동백종실유 추출물이 면역세포에서의 탈과립화 및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하여 이에 따른 전신 과민반응으로 인한 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수상황버섯의 동백종실유 추출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대황 3∼15g, 목통 3∼10g, 치자 3∼10g, 차전자 8g, 구맥 8g, 편축 8g을 물 1L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며, 추출액의 여과 과정은 거즈 및/또는 여과지(filter paper)를 이용하였으며, 농축한 것에 물을 가하여 동결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의 추출물 시료를 마련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비특허문헌 1에는 여러 가지 한약재의 추출물의 항알러지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장수상황버섯의 고체발효 중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고, 그 결과 마황이 좋은 활성을 나타내어 DNFB(dinitrochlorobenzene)에 의해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동물모델에서 피부상피조직의 비후정도를 약 50%정도의 수준으로 완화시키며, 이는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이 결과로, 마황 추출액의 장수상황버섯 고체발효의 최적 조건을 확립한다면 향장 소재 또는 이의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9893호(2011.08.1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4020호(2011.07.2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7688호(2013.07.12 등록)
신용규, 허진철, 이진형, 이상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제17권 제2호 (2010년 4월) pp.297-300 1738-7248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들 보다 항알레르기 효과가 저하되며, 부작용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수상황버섯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고체 발효(solid state ferment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장수상황버섯 액체 종균 20ml을 멸균된 계피 100g에 무균적으로 접종하여 종자 배양하고, 온도 25℃, 습도 80%에서 20일간 실행되며, 발효 후 10배 부피의 열수를 첨가하여 2시간 동안 진탕 시킨 후 10,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추출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건강식품은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은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의하면, 고체 발효를 통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진과 아토피 동물 모델을 이용한 항 염증 활성 증진을 위하여 장수상황버섯을 이용한 고체발효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건강식품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장수상황버섯의 고체 발효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DNFB에 의해 아토피 유발 모델에서 염증을 억제한 장수상황버섯과 계피 발효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C57BL/6 마우스에서 DNFB에 의한 아토피성 염증에 계피에서 장수상황버섯의 고체 발효에 의해 생성된 유분(afCc/Pb)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fCc/Pb의 적용 또는 적용하지 않은 MMP 발현의 억제ㄹ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사이토카인(cytokine) 발현에 afCc/Pb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마련한 것이다.
상황버섯은 Phellinus Linteus와 Phellinus Baumii(장수상황버섯) 두 종류이며 이 두 종만이 식품으로서 사용이 허가되고, 담자균류(Basidomycetes) 민주름버섯목(Aphylloporales) 진흙버섯과(Phellinaceae)에 속하는 백색 부후균으로 자실체는 목질로 되어 있다.
또 상황버섯은 목질진흙버섯이라고도 하며, 동의보감에서는 상목이(桑木耳)라는 이름으로 탕액편에 기록되어 있다. 갓은 지름 6∼12cm, 두께 2∼10cm로, 반원 모양, 편평한 모양, 둥근 산 모양, 말굽 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을 하고 있다. 표면에는 어두운 갈색의 털이 짧고 촘촘하게 나 있다가 자라면서 없어지고 각피화한다. 검은빛을 띤 갈색의 고리 홈이 나 있으며 가로와 세로로 등이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선명한 노란색이고 아랫면은 황갈색이며 살도 황갈색이다. 자루가 없고 포자는 연한 황갈색으로 공 모양이다.
다년생으로 뽕나무 등에 겹쳐서 나는 목재부후균이다. 초기에는 진흙 덩어리가 뭉쳐진 것처럼 보이다가 다 자란 후에는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항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귀중한 약재로서 한국에서는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다. 약용하기 위해 달이면 노란색이거나 연한 노란색으로 맑게 나타나며, 맛과 향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맛이 순하고 담백하여 먹기에도 좋다. 한국·일본·오스트레일리아·북아메리카 등에 자생한다.
이러한 상황버섯은 Phellinus Linteus와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 두 종류이며 이 두 종만이 식품으로서 사용이 허가되고 있다.
계피(桂皮, Cinnamomum cassia Blume)는 녹나무과의 육계(肉桂)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수피 또는 주피를 다소 제거한 수피를 말하며, 두께는 대개 3㎜이며 바깥 부위의 색은 흑갈색 또는 흑적색으로 되었고 회백색의 꽃과 같은 반점이 있다. 안쪽은 암홍적색에서 흑적색을 띤다. 절단면의 바깥층은 회갈색이다.
산지는 주로 중국의 남부, 일본 남부, 월남, 캄보디아, 태국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계피는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는 약제이다. 계피의 주성분은 계피유라고 하는 정유(Essential oil)로 Cinnamic aldehyde, Camphene, Cineol, Linalool, Eugenol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성분의 주요 기능은 신경을 흥분시켜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도 있다. 이런 위장관 및 혈액에 관한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약의 맛은 맵고 단맛이 나며 약성은 열성이다. 효능은 비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소화기가 차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설사 등에 널리 이용된다. 뿐만 아니라 배가 차서 일어나는 구토에도 신속한 반응을 일으킨다. 그리고 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사지마비와 동통을 그치게 하고, 허리나 무릎이 차고 시리면서 아픈 신경통과 관절 질환에도 널리 응용된다.
또한, 산후에 출혈이 계속되거나 오래된 이질과 대변시에 출혈되는 증상을 개선시키기도 한다. 이외에도 콩팥기능 감퇴증상에도 효력이 높고 하복부가 차면서 방광염이 자주 발생하는 질환에도 활용되고 있다. 동물실험 결과에서는 실험관 내에서 피부진균을 억제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끓여서 사용할 때보다 냉침한 것이 효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식품 및 바이오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액상의 박테리아 또는 이스트 발효와 달리 고체발효(solid state fermentation)를 적용하였고, 상기 장수상황버섯의 고체발효에 의해 생성된 계피유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지의 여부에 대해 실험하였다.
도 1은 고체 발효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다양한 식물의 고체 발효의 고전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b)는 장수상황버섯의 균사체 성장에 고체 발효를 위한 플라스틱병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을 위한 실험을 위해 DNFB(2,4-dinitrofluorobenzene)을 적용하였다. DNFB의 도포는 마우스에서 아토피와 비슷한 지연형 접촉성 알러지 피부염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세포 매개성 염증세포의 침윤에 의한 피부 부종과 피부 조직의 비후가 나타나는 이유로 아토피 피부염 연구의 동물모델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계피유의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균주 및 배지 및 한약재 추출물의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되었다.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 ,)은 샘플 채취하여 (주)팜바이어스에서 고체 발효시켰다. 계대 배양은 PDA(Potato Dextrose Agar, Difco, Co., USA)배지에서 25℃에서 7일 배양하여 사용하고, 4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면서 4℃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장수상황버섯은 절단하여 페트리 접시에서 PDA 배지(2.4% PDB(potato dextrose broth)와 2% 한천)에서 재배하고, 살균된 커터로 평면 한천의 각 부분(1×1cm, 3조각)을 절단하여 종자 배양 배지에 옮겼다. 종자 배양은 500ml 플라스크에서 100ml 배지에 접종한 후 회전 진탕배양기(Daihan Labtech Co.Korea, 251, 130rpm)에서 7일간 배양하여 액체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계피(Cinnamomum cassia Blume)는 사용 전 수세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탈수하였으며, 계피 100g을 1000mL 플라스크에 넣고, 121℃에서 20분간 고압멸균 하였다. 종자 배양은 장수상황버섯 액체 종균 20ml을 멸균된 계피 100g에 무균적으로 접종하였다. 이러한 배양(발효)은 온도 25℃, 습도 80%에서 20일간 실행되었다. 발효 후 10배 부피의 열수를 첨가하여 2시간 동안 진탕 시킨 후 10,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추출하였으며, 4℃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계피는 299년 11월과 12월 사이에서 대한민국의 대구시의 한약재 시장에서 구입하였고, 경북대학교의 수석 담당자에 의해 확인되었다. 식물의 바우처 표본은 경북대학교의 효소생물공학 연구실에 기탁하였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분말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의 평가에 대한 실험동물 준비 및 관리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6-7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샘타코(주)에서 공급받아 마우스용 케이지에서 1주일간 순화시킨 다음 사용하였다. 공기 정화된 동물 실험실은 온도 22±2℃, 상대습도 55±5%로 유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사료는 공급받은 펠릿형 고형사료인 'Purina Rat Chow'를 자유 급이 하였으며, 음용수는 멸균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실험 그룹의 수는 5마리로 한정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의 특징 및 효과에 대해 도 2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DNFB에 의해 아토피 유발 모델에서 염증을 억제한 장수상황버섯과 계피 발효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에서 NT없이 샘플 그룹은 모두 0.2% DNFB를 처리하였다. 도 2의 (a)는 5 마리의 마우스의 귀의 외관이며, NT : 처리하지 않은 그룹, DNFB : 1 플루오로-2,4-디니트로 벤젠, Cc : 계피, Pb : 장수상황버섯, afCc/Pb : 본 발명에 따른 계피에서 장수상황버섯의 고체 발효에 의해 생성된 유분이며, 5 마리의 마우스는 조직 화학 분석을 위해 HE 염색하여 각 그룹(b, c)으로 사용하였다. 스케일 바는 200㎛, c : 40×, d : 100× 배율. 데이터는 3개의 독립적인 실험으로 기록하였다.
도 3은 C57BL/6 마우스에서 DNFB에 의한 아토피성 염증에 계피에서 장수상황버섯의 고체 발효에 의해 생성된 유분(afCc/Pb)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DNFB용액(0.2%, w/v)을 마우스의 피부에 도포하였다. 제어(매제 전용(vehicle-only)) 마우스는 DNFB없이 아세톤으로 유사하게 처리하였다. afCc/Pb 는 30 ㎍/ml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도 3의 (a)와 (b)에 있어서, afCc/Pb의 적용에 의해 귀 종창(swelling) 또는 표피가 완화된 것을 나타내며, 두께는 버니어 캘리퍼스 (AMI, Painesville, O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제어는 상대%로 나타내었다. 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n = 5); * P <0.05로 나타내었다. 도 3의 (c) 및 (d)에 있어서, afCc/Pb의 적용에 의해 DNFB 처리된 귀 조직에서 총 세포 수 또는 총 호산구(eosinophil)는 감소하였다. 세포는 헤마토시토미터(hematocytometer)의 아홉 블록에서 위상차 현미경에 의해 계수되고, 제어 값과 비교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n = 5); * P <0.05로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fCc/Pb의 적용 또는 적용하지 않은 MMP 발현의 억제ㄹ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DNFB 처리된 마우스에서의 MMP-2 양성 세포의 수준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4의 (a)에서 별표는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를 나타내고, 스케일 바는 25㎛이다. 도 4의 (b)는 마우스 비장 세포를 위상차 현미경하에서 촬영하고, 상대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n = 5); * P <0.05로 나타내었다. 도 4의 (c)는 MMP 억제의 RT-PCR 분석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의 (d)는 afCc/Pb에 의한 MMP-9 발현의 자이모그래피(Zymography) 분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사이토카인(cytokine) 발현에 afCc/Pb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β-헥소사미니다아제(Hexosaminidase)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의 (b)에서 IL-4의 콘텐츠는 마우스 항 IL-4 단일 클론 항체의 결정을 위해 상업적 ELISA 키트에 의해 검사된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c)는 DNFB 처리된 마우스에서의 IL-31 양성 세포의 수준을 측정한 사진이며, 별표는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를 나타내고, 스케일 바는 25㎛이다. 도 4의 (d)는 세포를 위상차 현미경 하에서 촬영하고, 상대 강도를 계산한 그래프로서, 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n = 5); * P <0.05로 나타내었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에 관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서는 계피를 이용한 상황버섯의 고체 발효 추출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작용 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의 유효 성분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건강식품에 적용가능하다.
건강식품이란 상기 유효성분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캅셀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어 아토피 예방 및 치료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의 유효 성분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에 적용가능하다.
기능성 화장품이란 상기 유효성분을 크림, 로숀의 형태로 만들었을 때, 일반 화장품과는 달리 피부의 보습기능을 향상시키고 아토피 예방 및 치료보조 기능의 화장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에센스, 크림제, 로숀제 및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및 유동 파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5)

  1.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고체 발효(solid state ferment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장수상황버섯 액체 종균 20ml을 멸균된 계피 100g에 무균적으로 접종하여 종자 배양하고, 온도 25℃, 습도 80%에서 20일간 실행되며, 발효 후 10배 부피의 열수를 첨가하여 2시간 동안 진탕 시킨 후 10,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추출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4.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건강식품.
  5.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에 의해 발효된 계피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KR1020140172189A 2014-12-03 2014-12-03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KR20160066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189A KR20160066865A (ko) 2014-12-03 2014-12-03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189A KR20160066865A (ko) 2014-12-03 2014-12-03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865A true KR20160066865A (ko) 2016-06-13

Family

ID=5619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189A KR20160066865A (ko) 2014-12-03 2014-12-03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86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020B1 (ko) 2009-06-24 2011-08-04 주식회사 아이지에스 장수상황버섯의 동백종실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89893A (ko) 2010-02-02 2011-08-10 주식회사 머슈빌 상황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7688B1 (ko) 2010-09-14 2013-07-24 송용원 천연물질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020B1 (ko) 2009-06-24 2011-08-04 주식회사 아이지에스 장수상황버섯의 동백종실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89893A (ko) 2010-02-02 2011-08-10 주식회사 머슈빌 상황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7688B1 (ko) 2010-09-14 2013-07-24 송용원 천연물질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신용규, 허진철, 이진형, 이상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제17권 제2호 (2010년 4월) pp.297-300 1738-724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0577B2 (ja) クローディン産生促進剤及びオクルディン産生促進剤
CN101495128B (zh) 胡桃分离提取物及其获取方法和用途
KR20090002678A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Rani et al. A review on Solanum nigrum
KR20130033591A (ko) 인삼열매 또는 씨앗을 발효시켜 추출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기능성 의료용 발효식품
KR20180085124A (ko) 개비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에 함유된 호모해링토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8879A (ko) 피부 항상성 유지 및 항염성 천연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Joshi et al. A review on Cleome viscosa: an endogenous herb of Uttarakhand
Lieshchova et al. Effect of Salvia officinalis and S. sclarea on rats with a high-fat hypercaloric diet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486484B1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33068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870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Dacasin et al. The potential use of virgin coconut oil as an adjunctive treatment for COVID-19: A review
KR20160066865A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KR101615923B1 (ko) 거북꼬리, 바디나물 및 우엉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20020147A (ko)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 또는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895024B1 (ko)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160022190A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6749B1 (ko) 항염 활성을 갖는 울금 함유 어간장
Mahajan et al. Solanum nigram-A potential medicinal herb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3575A (ko)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142213A (ko) 삼백초 수용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Zhang et al. A moderate anticoccidial effect of cedrol on Eimeria tenella in broiler chick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