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783A -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783A
KR20160066783A KR1020140171980A KR20140171980A KR20160066783A KR 20160066783 A KR20160066783 A KR 20160066783A KR 1020140171980 A KR1020140171980 A KR 1020140171980A KR 20140171980 A KR20140171980 A KR 20140171980A KR 20160066783 A KR20160066783 A KR 20160066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late
hole
flange portion
connector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737B1 (ko
Inventor
박승민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17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7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01R13/6466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on substrate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H01R13/6469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on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장비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플랜지부 내에 삽입될 철판을 성형하는 단계(a); 상기 철판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고정시키는 단계(b);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에 알루미늄 용융액을 주입하는 단계(c); 및 상기 알루미늄 용융액을 응고시키는 단계(d)를 포함하되, 상기 철판은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의 바닥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철판의 형상은 상기 플랜지부의 형상에 상응하되 상기 플랜지부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가진다. 개시된 방법에 의하면, 사출 성형에 의해 커넥터를 제조하면서 커넥터가 하우징에 결합될 때 발생하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다 단순화되고 적은 비용으로 커넥터를 제조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Method for Producing Connector and Connector Produc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RF 장비의 커넥터 제조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필터, 듀플렉서, 다이플렉서와 같은 다양한 RF 장비들은 RF 신호를 제공하는 케이블을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한다. 커넥터는 주로 RF 장비의 하우징에 결합되며 케이블로부터 제공되는 신호가 RF 장비 내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RF 장비의 커넥터에는 주로 외심과 내심을 가지는 동축 케이블이 결합되며, 동축 케이블의 외심은 커넥터의 하우징과 전기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내심은 RF 장비의 내부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RF 장비 내로 신호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RF 장비의 커넥터는 주로 황동 재질로 제조되었으며 절삭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절삭 공정은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작업일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중 원재료가 낭비되기도 하고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으며 특히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보다 효율적인 비용으로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해 알루미늄 등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이 시도되기도 하였으나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은 그 강도가 낮아 커넥터를 RF 장비의 하우징에 결합할 때 휘어짐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여 커넥터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출 성형에 의해 커넥터를 제조하면서 커넥터가 하우징에 결합될 때 발생하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보다 단순화되고 적은 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비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플랜지부 내에 삽입될 철판을 성형하는 단계(a); 상기 철판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고정시키는 단계(b);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에 알루미늄 용융액을 주입하는 단계(c); 및 상기 알루미늄 용융액을 응고시키는 단계(d)를 포함하되, 상기 철판은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의 바닥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철판의 형상은 상기 플랜지부의 형상에 상응하되 상기 플랜지부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커넥터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내심이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철판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홀에 상응하는 철판 홀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으로의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의 볼트 홀이 형성되며, 상기 철판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다수의 볼트 홀에 상응하는 다수의 철판 볼트 홀이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에는 상기 다수의 철판 볼트 홀이 삽입되어 상기 철판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 기둥이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에는 상기 철판 홀이 삽입되어 상기 철판을 고정하기 위한 홀 삽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홀 삽입부의 하부에는 홀 삽입부에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철판을 지지하기 위한 철판 지지부가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의 바닥부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홀 삽입부의 경계부 중 소정 위치에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철판 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그루브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장비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평판 형태의 플랜지부; 케이블이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케이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부에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철판이 삽입되며, 상기 철판은 플랜지부의 형상에 상응하고 상기 철판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출 성형에 의해 커넥터를 제조하면서 커넥터가 하우징에 결합될 때 발생하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다 단순화되고 적은 비용으로 커넥터를 제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랜지부 내부에 삽입되는 철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랜지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에 사용되는 인서트 사출 금형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를 위해 철판이 인서트 사출 금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커넥터의 전체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케이블 결합부(100) 및 플랜지부(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RF 장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케이블 결합부(100)는 RF 신호를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케이블 결합부(100)는 원통 형태를 가지며, 접지 결합 홈(102) 및 홀(104)이 형성된다.
동축 케이블은 접지 상태인 외심과 신호가 전달되는 내심을 포함한다. 동축 케이블의 외심과 내심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외심과 내심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RF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케이블이다.
케이블 결합부(100)에 형성되는 접지 결합 홈(102)은 동축 케이블의 외심이 삽입되는 영역이다. 동축 케이블의 외심은 내부에 홀이 형성된 원통 형태를 가지며 접지 결합 홈(102)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케이블 결합부(100)의 홀(104)로는 동축 케이블의 내심이 삽입된다. 동축 케이블의 내심은 홀(104)로 삽입되어 커넥터가 결합되는 RF 장비에는 동축 케이블의 내심과 연결되는 핀이 존재하며, 내심은 홀(104)에 삽입되어 핀과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부(110)는 RF 장비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성 요소이다. 플랜지부(110)는 사격 형태를 가지며,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 홀(112)이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도 1에는 4각형의 모서리에 4개의 볼트 홀(112)이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볼트 홀의 개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 재질은 종래 커넥터의 재질인 황동에 비해 가격이 낮은 장점이 있고 사출 성형에 의해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황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 외부에 장착되는 부품이기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내 부식성이 좋은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알루미늄이 85%이상 98%이내 포함된 순 알루미늄에 가까운 고(高)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재질만으로 커넥터를 제조하게 될 경우 낮은 강도로 인해 플랜지부가 RF 장비의 하우징에 결합될 때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휘어짐으로 인해 커넥터와 장비의 하우징과의 결합이 불안전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PIMD와 같은 특성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부(11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플랜지부(110)의 내부에 철판을 삽입한다. 철판은 플랜지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는다.
플랜지부(110) 내부에 철판을 삽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인서트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인서트 사출 금형에 철판이 인서트 부재로 삽입되며, 철판이 인서트 부재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 내부에 삽입되는 철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110) 내부에 삽입되는 철판은 플랜지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플랜지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플랜지부에 비해 미세하게 작은 사이즈를 가진다.
플랜지부(110) 내부에 삽입되는 철판(200)에도 볼트 홀(210)이 형성되며, 내심의 삽입을 위한 홀(220)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110)에는 철판(200)이 삽입된다.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는 플랜지부(110)에 삽입된 철판(200)은 플랜지부(110)의 강도를 강화시켜 플랜지부(110)가 커넥터가 결합되는 장비에 결합될 때 플랜지부(110)의 휘어짐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판은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플랜지부의 내부에위치하는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에 사용되는 인서트 사출 금형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에 사용되는 인서트 사출 금형(400)은 다수의 돌출 기둥(410), 홀 삽입부(420) 및 철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다수의 돌출 기둥(410)은 철판의 볼트 홀(210)이 삽입되는 기둥이다. 다수의 돌출 기둥(410)은 볼트 홀에 상응하여 원통 형태를 가지며, 볼트 홀(210)이 삽입 가능하도록 볼트 홀의 지름에 비해 미세하게 작은 지름을 가진다.
철판에는 4개의 볼트 홀(2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4에는 4개의 돌출 기둥(410)이 형성되어 있다.
홀 삽입부(420)에는 철판의 홀(220)이 삽입된다. 홀 삽입부(420)의 소정 영역에는 그루브(440)가 형성된다. 그루브(440)는 철판이 홀(220) 및 돌출 기둥(410)에 삽입될 때 철판을 정확한 위치에 삽입하기 위해 형성된다. 홀 삽입부(420)의 지름은 철판의 홀에 비해 미세하게 작게 설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철판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되며,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기 위해 돌출부(230)가 그루브(440)에 끼워진다.
물론 철판이 정사각형인 경우 철판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사출 금형의 홀 삽입부(420)에 형성되는 그루브(440)는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철판 지지부(430)는 철판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철판 지지부의 지름은 철판의 홀(220)의 지름에 비해 크게 설정되어 철판(2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철판 지지부(430)에 의해 철판은 사출 금형의 바닥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를 위해 철판이 인서트 사출 금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철판(200)의 볼트 홀 및 홀이 돌출 기둥(410) 및 홀 삽입부(420)에 삽입되어 도 5와 같이 결합된다.
도 5와 같이 철판(200)이 인서트 사출 금형(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금형에 알루미늄 용융액이 제공되며, 철판이 플랜지부 내부에 삽입된 커넥터가 제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커넥터의 전체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철판에 해당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철판이 인서트 부재가 되어 플랜지부 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에 철판이 삽입될 경우 알루미늄만으로 플랜지부가 성형되는 것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가 장비에 결합될 때 휘어짐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하므로 사출 성형을 유지하면서 알루미늄으로 커넥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인서트 부재로 사용할 철판을 성형한다(단계 700). 철판은 다양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절삭 가공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철판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철판의 형상은 플랜지부의 형상에 상응한다. 철판의 볼트 홀의 위치는 플랜지부의 볼트 홀의 위치에 상응하며 철판의 홀의 위치는 플랜지부의 홀의 위치에 상응한다.
철판이 성형되면, 인서트 금형에 철판을 고정시킨다(단계 70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판의 고정을 위해 철판에 형성된 볼트 홀 및 홀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물들이 인서트 금형에 형성된다.
또한, 철판은 플랜지부 내부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철판의 바닥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철판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인서트 금형에 형성된다.
인서트 금형에 철판이 고정되면, 인서트 금형에 알루미늄 용융액을 주입한다(단계 704). 인서트 금형에 알루미늄 용융액이 주입되면 알루미늄 용융액을 응고시켜 커넥터를 완성한다(단계 70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장비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플랜지부 내에 삽입될 철판을 성형하는 단계(a);
    상기 철판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고정시키는 단계(b);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에 알루미늄 용융액을 주입하는 단계(c); 및
    상기 알루미늄 용융액을 응고시키는 단계(d)를 포함하되,
    상기 철판은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의 바닥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철판의 형상은 상기 플랜지부의 형상에 상응하되 상기 플랜지부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내심이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철판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홀에 상응하는 철판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으로의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의 볼트 홀이 형성되며, 상기 철판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다수의 볼트 홀에 상응하는 다수의 철판 볼트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에는 상기 다수의 철판 볼트 홀이 삽입되어 상기 철판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 기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에는 상기 철판 홀이 삽입되어 상기 철판을 고정하기 위한 홀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 삽입부의 하부에는 홀 삽입부에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철판을 지지하기 위한 철판 지지부가 상기 인서트 사출 금형의 바닥부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 삽입부의 경계부 중 소정 위치에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철판 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그루부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
  9. 장비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평판 형태의 플랜지부;
    케이블이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케이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부에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철판이 삽입되며, 상기 철판은 플랜지부의 형상에 상응하고 상기 철판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하우징과의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의 볼트 홀 및 상기 케이블의 내심 삽입을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철판에는 상기 다수의 볼트 홀에 상응하는 철판 볼트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상응하는 철판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171980A 2014-12-03 2014-12-03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 KR10165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980A KR101655737B1 (ko) 2014-12-03 2014-12-03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980A KR101655737B1 (ko) 2014-12-03 2014-12-03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783A true KR20160066783A (ko) 2016-06-13
KR101655737B1 KR101655737B1 (ko) 2016-09-08

Family

ID=5619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980A KR101655737B1 (ko) 2014-12-03 2014-12-03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7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150U (ko) * 1990-11-27 1992-06-16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인서트물 삽입용 지그(jig)
KR20080021955A (ko) * 2006-09-05 2008-03-1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알에프 커넥터
KR20120111600A (ko) * 2011-04-01 2012-10-10 주식회사 엠피디 통신용 커넥터 및 그 표면처리방법
KR20140028291A (ko) * 2012-08-28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150U (ko) * 1990-11-27 1992-06-16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인서트물 삽입용 지그(jig)
KR20080021955A (ko) * 2006-09-05 2008-03-1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알에프 커넥터
KR20120111600A (ko) * 2011-04-01 2012-10-10 주식회사 엠피디 통신용 커넥터 및 그 표면처리방법
KR20140028291A (ko) * 2012-08-28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737B1 (ko)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1318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aler between conatct module and outer shell
US9257761B2 (en)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TWI641190B (zh)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CN101958490B (zh) 线缆连接器组件
US9509084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01997247B (zh) 同轴连接器用插座
US8007323B1 (en) HDMI connector with fastening portions of terminals insert molded in insulating bodies
CN103138084A (zh) 同轴连接器插头及其制造方法
US20190067867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o-r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90115692A1 (en) Connector, connector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nnector
US20220224064A1 (en) Hybri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4795655A (zh) 同轴连接器插头
EP2412061A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80115828A1 (en) Loudspeaker
CN102104220A (zh) 连接器及其制造方法
KR101655737B1 (ko)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
US8419414B2 (en) Molding insert core and insert molding process utilizing the core
CN203103621U (zh) 一种嵌件注塑定位的连接器
US6447310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tabilizer
WO2020004077A1 (ja) 遮蔽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CN203103690U (zh) 一种可预固定于pcb的板端连接器
US9039461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01725911U (zh) 一种汽车仪表连接器
CN201655939U (zh) 腔体滤波器以及滤波器腔体
US2019004427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ongated positioning hole during manufacturing and method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