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696A -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696A
KR20160066696A KR1020140171782A KR20140171782A KR20160066696A KR 20160066696 A KR20160066696 A KR 20160066696A KR 1020140171782 A KR1020140171782 A KR 1020140171782A KR 20140171782 A KR20140171782 A KR 20140171782A KR 20160066696 A KR20160066696 A KR 20160066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oking oil
waste cooking
waste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951B1 (ko
Inventor
김현성
Original Assignee
(주) 청미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청미래 filed Critical (주) 청미래
Priority to KR102014017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9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 구성은 탱크로리 및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 및 운반된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을 열매체 보일러를 가열하여 50 ~ 70℃의 열을 전달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응축기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응축하는 제 1 공정; 제 1 공정을 통해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이 분리되면 수조에 공급된 물과 산성백토를 50 : 50 중량비로 교반하여 제조된 산성백토 용액과 전처리 공정을 통해 분리된 폐식용유를 교반장치를 통해 혼합 교반하여 200℃ 내외로 가열하여 폐식용유에 함유된 응집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 2 공정; 제 2 공정 진행중에 열이 식은 폐식용유를 70 ~ 80 ℃로 스팀 가열하여 분리되지 않는 중금속 또는 섬유질을 원심분리기를 구동하여 제 2 공정을 통해 분리되지 않는 폐식용유 내의 중금속 또는 섬유질을 분리하는 제 3 공정; 상기 제 3 공정이 이루어진 후, 불순물이 제거된 폐식용유와 물을 반응조의 연결관을 통해 유입하고, NaHCO3, Na2CO3, CaCl2, MgCl2 의 무기염 조성물을 혼합하여 교반하여 폐식용유를 유화시키는 제 4 공정; 및 제 4 공정이 이루어진 후, 진공펌프와 모터가 고속교반기로 구성된 유화장치를 이용하여 모터에 의한 축회전으로 스크루축이 회전하도록 하고, 마찰간극을 조절하면서 처리 혼합물이 유화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불완전한 유화처리를 충분한 유화처리를 진행하는 제 5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각종 시설로부터 수집된 폐식용유를 일련의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정제하여 품질이 우수한 정제유로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에너지 재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fuel oil using waste oil}
본 발명은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거된 폐식용유를 산성백토와 혼합하여 폐식용유 내의 이물질을 1차 정제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무기염 조성물 용액을 혼합, 이온 결합하여 전처리 공정, 촉매처리 공정을 통해 연료유를 제조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폐유는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환경오염원이다. 이의 발생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공업상으로는 많은 분야에서 윤활 및 기타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오일이 사용 중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금속칩, 슬러지 등의 고형물의 유입, 대기의 온도차로 인해 응결된 공기 중 수분의 혼입, 및 부패성 박테리아의 개입 등의 현상으로 인해 오일의 열화를 일으키게 되어 폐 오일로 변질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량의 폐유가 발생하는 또 다른 경우로는, 가정에서도 쉽게 접하는 유류인 식용유의 사용을 들 수 있다.
가정뿐만 아니라 공업 및 상업상 여러 분야에서 주로 음식재를 튀기는 등의 조리시 사용되는 식용유는 조리과정을 여러번 반복적으로 거치는 과정에서 음식재로부터 유출되는 타성분의 유지 및 불순물 등의 혼입으로 오염된 폐 식용유로 변질된다.
이렇게 변질된 폐 오일 및 폐 식용유를 교체없이 방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폐 오일은 윤활개소에 윤활막이 파괴되어 금속과 금속간의 경계마찰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기기의 직접적인 손상을 초래하게 되고 장비 및 부품에 녹을 발생시키는 등, 장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변질된 폐 식용유를 이용한 조리는 제품 및 요리의 맛과 질을 저하시키고 변질된 식용유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조리되는 음식재에 다시금 유입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변질된 폐 오일 및 폐식용유는 새로운 오일 또는 식용유로 교체하여만 하고, 이때 발생하는 폐오일 및 폐식용유에 대한 재활용의 필요성이 요구됨에 따라, 종래에는 오일청정기 또는 폐식용유 정제기를 개발·사용하여 왔다.
특히, 폐식용유 정제기는 그 구성 및 설비가 용이하여 손쉽게 이를 구비하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폐 식용유가 그냥 버려지지 않고 다시금 재활용됨에 따라 환경오염원의 발생 방지와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이점에 큰 효율을 보이고 있다.
1. 폐유 정제용 여과체 및 이를 포함한 폐유 정제기(FILTER OF WASTE OIL AND REFINING APPARATUS)(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60305호) 2. 폐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fuel oil using waste oil)(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0570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시설로부터 수집된 폐식용유를 일련의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정제하여 품질이 우수한 정제유로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에너지 재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거된 폐식용유를 산성백토와 혼합하여 폐식용유 내의 이물질을 1차 정제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무기염 조성물 용액을 혼합, 이온 결합하여 전처리 공정, 촉매처리 공정을 통해 폐식용유, 무기염 조성물 및 물을 혼합한 것이 좋은 유화조건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수분리가 장시간에 걸쳐 일어나지 않도록하여 청정연료유를 제조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는 탱크로리 및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 및 운반된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을 열매체 보일러를 가열하여 50 ~ 70℃의 열을 전달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응축기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응축하는 제 1 공정; 제 1 공정을 통해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이 분리되면 수조에 공급된 물과 산성백토를 50 : 50 중량비로 교반하여 제조된 산성백토 용액과 전처리 공정을 통해 분리된 폐식용유를 교반장치를 통해 혼합 교반하여 200℃ 내외로 가열하여 폐식용유에 함유된 응집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 2 공정; 제 2 공정 진행중에 열이 식은 폐식용유를 70 ~ 80 ℃로 스팀 가열하여 분리되지 않는 중금속 또는 섬유질을 원심분리기를 구동하여 제 2 공정을 통해 분리되지 않는 폐식용유 내의 중금속 또는 섬유질을 분리하는 제 3 공정; 상기 제 3 공정이 이루어진 후, 불순물이 제거된 폐식용유와 물을 반응조의 연결관을 통해 유입하고, NaHCO3, Na2CO3, CaCl2, MgCl2 의 무기염 조성물을 혼합하여 교반하여 폐식용유를 유화시키는 제 4 공정; 및 제 4 공정이 이루어진 후, 진공펌프와 모터가 고속교반기로 구성된 유화장치를 이용하여 모터에 의한 축회전으로 스크루축이 회전하도록 하고, 마찰간극을 조절하면서 처리 혼합물이 유화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불완전한 유화처리를 충분한 유화처리를 진행하는 제 5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은 상기 제 2 공정에서 폐식용유와 산성백토 용액의 혼합을 위해 교반장치 내에 200℃ 내외의 열을 제공하는 탱크를 사용하여 산성백토 용액은 백토용액투입구로 투입되고, 폐식용유는 폐식용유투입구로 투입되며, 증발유는 증발유배출구로 배출되고, 유수혼합물은 유수분리조로 유출되어 반응기에서 폐식용유가 고열분위기에서 산성백토 용액에 의해 화학 처리되어 폐식용유로부터 이물질들이 응집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은 상기 제 4 공정에서 상기 무기염 조성물은 NaHCO3 10%중량부, Na2CO3 10%중량부, CaCl2 40% 중량부, MgCl2 40% 중량부를 폐식용유와 혼합하여 고속회전하여 알칼리 금속염화되는 유화제 기능을 하여 물과 염이 이온결합을 하여 유수분리가 되지 않는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은, 각종 시설로부터 수집된 폐식용유를 일련의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정제하여 품질이 우수한 정제유로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에너지 재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은 수거된 폐식용유를 산성백토와 혼합하여 폐식용유 내의 이물질을 1차 정제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무기염 조성물 용액을 혼합, 이온 결합하여 전처리 공정, 촉매처리 공정을 통해 청정연료유의 대체 연료를 제조함으로서 대체 연료유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은 수거된 폐식용유를 산성백토와 혼합하여 폐식용유 내의 이물질을 1차 정제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무기염 조성물 용액을 혼합, 이온 결합하여 전처리 공정, 촉매처리 공정을 통해 청정연료유를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1차 정제를 위해 사용되는 산성백토의 특성 및 효능을 살펴보면, 백토는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철분(Fe2O3) 칼슘(CaO), 마그네슘(MgO), 칼리(K2O), 나트륨(Na2O), 티타늄(TiO2)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표면이 넓은 벌집구조로 수많은 공간 구조를 이루고 있어 이 스폰지 같은 구멍 안에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다량 저장되어 있어 열을 받으면 발산하여 다른 물체의 분자 활동을 자극한다.
백토는 규소성 광물로서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광전 효과가 있어 정화력, 분해력이 있는 백토는 인체의 독을 제거해주어 제독제, 해독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백토에서 유익한 원적외선이 복사되어 인체에 흡수됨으로써 신진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짐으로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방지, 각종 성인병 예방, 화상에 효과는 물론 적조 현상을 막는 효과도 있다.
백토는 우리 민족의 문화·역사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데 그 중 조선백자는 우리조상의 백토문화를 대표하며 선조들은 백토를 단순한 흙의 범주를 뛰어넘어 식생활에까지 이용했고 건강요법으로도 활용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백토를 이용해 도자기를 굽고, 한의학에서는 백악(白堊:불로 달군 것)이라 하여 오랜 세월 동안 무병 장수의 흙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도자기의 원료, 제지용 충전제, 제지 코팅제, 의약품, 화장품 원료, 페인트 원료, 농약 배합제, 식품 첨가제, 정수제, 흡착제, 내화벽돌, 흡습제, 표백제, 백 시멘트 원료, 가축사료 첨가제 등 우리 산업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백토 중 산성백토 일명 팽윤토라고 칭하는 것을 사용하여 폐식용유 내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정제하도록 사용하는데, 산성백토(팽윤토)의 주요성분은 SiO2 60.85 ~ 67,63 %, Al2O3 15.64 ~ 21.68 %, Fe2O3 1.65. ~ 3.84 %, MgO 2.93 ~ 3.94 %, CaO 0.20 ~ 1.11%, Na2O 2.94 ~ 3.2 % 및 작열감량 3%로 구성되어 있다.
산성백토는 활성화 처리에 의해 그 구조내의 가용성 물질을 용출하여 미세한 세공이 있는 표면을 형성하고 있다. 산성백토의 표면적은 150~300m2/g 세공의 평균지름은 30 ~ 50 Å 정도의 표면특성이 있다.
산성백토의 주원료를 화학명 Montomrillonite 계의 일종의 점토광물로서 일정의 층구조(3층구조)로 되어 있어 이온 교화수지가 유사한 양 이온 교환성의 표면특성이 있고, 화학적 특성으로 활성화 처리에 의해 양이온의 일부는 수소 이온으로 치환된다. 이의 량은 10 ~ 30m.e/100g 정도이며 타의 흡착제에 있는 화학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산성백토는 표면에서 물질의 흡착은 선택적이여서 수종의 물질이 공조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극성물질 불포화 방향족 물질에 대하여 선택적 흡착성을 나타태고, 다 성분계 혼합물로부터 열극성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Activadted clay 고유의 최적성을 부여하여 유지종류별 선택흡착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은 전처리공정, 1차 정제공정, 원심분리공정, 혼합교반공정, 유화공정, 교반공정, 2차 정제공정으로 구분된다.
우선, 상기 전처리 공정은 원료인 폐식용유를 탱크로리 및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 및 운반하여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을 분리하는 공정으로서, 열매체 보일러를 사용하여 폐식용유에 열을 전달하여 폐유를 일정온도로 가열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응축기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응축하게 된다. 응축기 및 진공장치의 사용은 공지의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에서 생략한다.
한편, 상기의 폐식용유는 유탕면 공장에서 나오는 최종 슬러지 형태의 폐식용유, 식용유를 제조할 때 나오는 슬러지 형태의 폐식용유, 비누공장에서 배출되는 슬러지 형태의 폐식용유, 각종 튀김이나 튀김닭에서 나오는 슬러지 형태의 폐식용유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 공정을 통해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이 분리되면 수조에 공급된 물과 산성백토를 균일하게 교반하여 산성백토 용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산성백토 용액과 전처리 공정을 통해 분리된 폐식용유를 혼합한다.
즉, 산성백토 용액과 폐식용유를 교반장치를 통해 혼합 교반하여 200℃ 내외로 가열하여 폐식용유에 함유된 이물질을 응집되도록 한다.
폐식용유와 산성백토 용액의 혼합을 위한 반응기는 교반장치가 구비되고, 200℃ 내외의 열을 제공하는 탱크를 사용함으로써 산성백토 용액은 백토용액투입구로 투입되고, 폐식용유는 폐식용유투입구로 투입되며, 증발유는 증발유배출구로 배출되고, 유수혼합물은 유수분리조로 보내진다. 상기 반응기에서 폐식용유가 고열분위기에서 산성백토 용액에 의해 화학 처리됨으로써, 폐식용유로부터 이물질들이 응집 분리되어 1차 정제공정이 마무리된다.
상기 산성백토 용액과 폐식용유의 교반장치에 사용되는 기구는 공지의 내역으로 세부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1차 정제공정에서 분리되지 않는 폐식용유 내의 중금속 또는 섬유질을 분리하기 위해 원심분리공정을 진행한다.
즉, 1차 정제공정 중에 열이 식은 폐식용유를 70 ~ 80 ℃로 스팀 가열하면 1차 정제공정에서 분리되지 않는 중금속 또는 섬유질을 원심분리기를 구동하여 분리하게 된다. 이때, 원심분리공정은 10∼15마력의 기어모터를 장착한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데, 모터의 rpm에 따라 다르겠지만 10마력 모터를 사용한 경우 7㎥/시간의 처리속도를 가진 원심분리기가 바람직하였다.
상기의 원심분리공정을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폐식용유와 물을 반응조의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면 무기염 조성물을 혼합하여 교반한다.
상기 무기염 조성물은 폐식용유를 유화시켜 유수분리가 장시간에 걸쳐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처리제로서, NaHCO3, Na2CO3, CaCl2, MgCl2을 일정비율로 물과 혼합하여 교반하여 반응조에 유입하여 폐식용유와 혼합하여 교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무기염 조성물, 폐식용유와 함께 저유황 벙커C유를 혼합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무기염 조성물을 NaHCO3 10%중량부, Na2CO3 10%중량부, CaCl2 40% 중량부, MgCl2 40% 중량부를 폐식용유와 혼합하여 고속회전하여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화되는 유화제 기능을 하여 물과 염이 이온결합을 하게 되므로 유수분리가 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를 처리하여 얻어진 대체연료는 목욕탕, 열병합 발전소, 화력발전소, 요업제품 제조공장, 시멘트제조공장, 기타 난방열을 필요로 하는 산업체의 보일러용의 대체 연료유,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 시설농가의 난방용 대체 연료유, 가정의 난방용 대체 연료유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식용유, 저유황 벙커 C유와 무기염 조성물을 4 : 3 : 3 중량비로 혼합 교반하여 고속회전하여 유화제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혼합교반공정은 폐식용유, 물, 무기염 조성물, 저유황 벙커C유를 혼합비율에 맞춰 혼합하여 70∼80℃의 온도와 7∼10kg/㎠의 압력상태를 유지하며 40∼60분간 교반하면 불완전하지만 유화처리가 진행되었으며 이온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는 유효한 압력과 회전날개의 적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여야 처리혼합물의 비중이 낮아져 혼합이 잘 이루어짐과 동시에 처리 혼합물간의 이온결합이 효과적으로 형성되어 물과 오일간의 유수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의 혼합교반공정이 이루어진 후, 혼합교반공정을 통해 유화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불완전환 유화처리를 충분한 유화처리를 위해 유화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즉, 진공펌프와 모터가 고속교반기로 구성된 유화장치를 이용하여 모터에 의한 축회전으로 스크루축이 회전하도록하고, 마찰간극을 조절하면서 처리 혼합물을 더 효과적으로 유화시켜 유수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유화장치에는 상단부에 유입구와 축하부에 조절밸브를 부착한 유출파이프를 설정하고, 스크류 축 말단부에는 테이퍼 형성부를 두어 마찰작용의 극대화를 유도함과 동시에 미세공을 통해 정제품 저장탱크로 유입시킨다.
미세공판이 설치된 원판은 처리 혼합액을 통과시킴과 동시에 마찰에의한 진행속도를 완화시켜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유화공정은 혼합교반공정에서 1차적으로 유화처리가 이뤄지나 이는 불완전한 유화처리이므로 충분한 유화처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의 혼합교반공정 및 유화공정을 통해 처리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왕복교반 함으로서 혼합교반공정의 혼합상태의 혼합물과 유화공정의 완성품 형태의 유화물을 1:1 또는 2:1의 비율로 혼합하여 재 교반하여 보다 양질의 유화물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왕복연속교반되어 정제품 저장탱크에 보관한 난방유를 다시 한번 교반하는 공정이다.
이때, 무기염조성물을 추가시킬 수 있으며 40∼50℃의 저온을 유지하며 유효한 압력상태에서 30∼40분간 추가 교반함으로서 처리 혼합물간의 이온결합을 상승시켜 물과 오일간의 유수분리 현상을 억제하고 양질의 난방유를 제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3)

  1. 탱크로리 및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 및 운반된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을 열매체 보일러를 가열하여 50 ~ 70℃의 열을 전달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응축기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응축하는 제 1 공정;
    제 1 공정을 통해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이 분리되면 수조에 공급된 물과 산성백토를 50 : 50 중량비로 교반하여 제조된 산성백토 용액과 전처리 공정을 통해 분리된 폐식용유를 교반장치를 통해 혼합 교반하여 200℃ 내외로 가열하여 폐식용유에 함유된 응집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 2 공정;
    제 2 공정 진행중에 열이 식은 폐식용유를 70 ~ 80 ℃로 스팀 가열하여 분리되지 않는 중금속 또는 섬유질을 원심분리기를 구동하여 제 2 공정을 통해 분리되지 않는 폐식용유 내의 중금속 또는 섬유질을 분리하는 제 3 공정;
    상기 제 3 공정이 이루어진 후, 불순물이 제거된 폐식용유와 물을 반응조의 연결관을 통해 유입하고, NaHCO3, Na2CO3, CaCl2, MgCl2 의 무기염 조성물을 혼합하여 교반하여 폐식용유를 유화시키는 제 4 공정; 및
    제 4 공정이 이루어진 후, 진공펌프와 모터가 고속교반기로 구성된 유화장치를 이용하여 모터에 의한 축회전으로 스크루축이 회전하도록 하고, 마찰간극을 조절하면서 처리 혼합물이 유화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불완전한 유화처리를 충분한 유화처리를 진행하는 제 5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정에서
    폐식용유와 산성백토 용액의 혼합을 위해 교반장치 내에 200℃ 내외의 열을 제공하는 탱크를 사용하여 산성백토 용액은 백토용액투입구로 투입되고, 폐식용유는 폐식용유투입구로 투입되며, 증발유는 증발유배출구로 배출되고, 유수혼합물은 유수분리조로 유출되어 반응기에서 폐식용유가 고열분위기에서 산성백토 용액에 의해 화학 처리되어 폐식용유로부터 이물질들이 응집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공정에서
    상기 무기염 조성물은 NaHCO3 10%중량부, Na2CO3 10%중량부, CaCl2 40% 중량부, MgCl2 40% 중량부를 폐식용유와 혼합하여 고속회전하여 알칼리 금속염화되는 유화제 기능을 하여 물과 염이 이온결합을 하여 유수분리가 되지 않는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KR1020140171782A 2014-12-03 2014-12-03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KR101700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782A KR101700951B1 (ko) 2014-12-03 2014-12-03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782A KR101700951B1 (ko) 2014-12-03 2014-12-03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696A true KR20160066696A (ko) 2016-06-13
KR101700951B1 KR101700951B1 (ko) 2017-02-01

Family

ID=5619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782A KR101700951B1 (ko) 2014-12-03 2014-12-03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9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930A (ko) 2019-09-24 2021-04-0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일 정제 장치
KR20220064515A (ko)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자이언트케미칼 폐유 정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372A (ko) * 2001-05-31 2003-01-29 김길용 폐유 및 폐식용유를 이용한 대체 연료유와 그 제조방법
KR20040005708A (ko) 2003-10-07 2004-01-16 최경열 방수 미장 몰탈
KR20050060305A (ko)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검출기가 모놀리식 집적된 전계 흡수형 광변조 모듈
KR100592856B1 (ko) * 2004-01-29 2006-06-23 변희준 폐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KR20100009287U (ko) * 2009-03-13 2010-09-27 씨엔지플랜트(주) 폐유 정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372A (ko) * 2001-05-31 2003-01-29 김길용 폐유 및 폐식용유를 이용한 대체 연료유와 그 제조방법
KR20040005708A (ko) 2003-10-07 2004-01-16 최경열 방수 미장 몰탈
KR20050060305A (ko)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검출기가 모놀리식 집적된 전계 흡수형 광변조 모듈
KR100592856B1 (ko) * 2004-01-29 2006-06-23 변희준 폐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KR20100009287U (ko) * 2009-03-13 2010-09-27 씨엔지플랜트(주) 폐유 정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930A (ko) 2019-09-24 2021-04-0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일 정제 장치
KR20220064515A (ko)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자이언트케미칼 폐유 정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951B1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3376B2 (ja) 加熱処理によるフィードストックの精製
FR2527584A1 (fr) Agent pour la purification des eaux usees et procede pour sa production
US20060003891A1 (en) Spent FCC catalyst based coagulating and flocculating agent and method for making it
MX2013002096A (es) Un metodo y un sistema para el tratamiento integral de aguas residuales en una industria del maiz.
KR101700951B1 (ko) 폐식용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Umembamalu et al. Packed bed column adsorption of oil and grease from refinery desalter effluent, using rice husks derived carbon as the adsorbent: Influence of process parameters and Bohart–Adams kinetics study
CN106673401A (zh) 石化行业中含油浮渣脱水方法
US5133870A (en) Treatment of aqueous dispersions
CN109020107A (zh) 油泥破乳三相分离剂及其制备工艺
CN106044923A (zh) 生活污水处理剂及其制备方法
CN103523883A (zh) 甜水或皂化废水净化过程中的预处理方法
JPH01275692A (ja) 廃エンジン油の処理方法
Hajiyeva et al. Ecological Effective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Formed in the Oil-Producing Industry by Coagulation Method
JPH10503459A (ja) 廃棄物処理剤
KR20030008372A (ko) 폐유 및 폐식용유를 이용한 대체 연료유와 그 제조방법
CN102757108A (zh) 一种微波加超声波协同有机膨润土处理含油废水的方法
JPH0553521B2 (ko)
RU2341463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промывных сточных вод молоч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CN105753119A (zh) 一种含油废水处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S6214985A (ja) リンの除去方法
CN105419855B (zh) 一种高含渣污油的处理工艺
JP6442367B2 (ja) バイオマス原料由来の木酢液の凝集処理剤及びその凝集処理剤を用いた処理方法
RU2125599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жидких сред
Singh et al. Effect of thermal Energy on Artificial Coagulation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Tarasova et al. Studying breaking of inverted emulsions with thermolysis purification TD60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