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622A -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622A
KR20160066622A KR1020140170498A KR20140170498A KR20160066622A KR 20160066622 A KR20160066622 A KR 20160066622A KR 1020140170498 A KR1020140170498 A KR 1020140170498A KR 20140170498 A KR20140170498 A KR 20140170498A KR 20160066622 A KR20160066622 A KR 20160066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evaporator
drying chamber
agricultural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흥하이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흥하이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흥하이랙
Priority to KR102014017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622A/ko
Publication of KR20160066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with addition of chemicals before or during d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실과 기계실로 내부 공간이 구획되며, 농수산물이 상기 건조실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기계실에 내장되어 냉각사이클을 형성하며, 가열된 상기 기계실의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공급하고, 냉각된 상기 기계실의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공급하여 상기 농수산물의 건조 및 제습을 수행하는 순환 유닛; 및 상기 건조실의 습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냉각사이클을 형성하는 제1증발기가 가동됨과 동시에, 상기 냉각사이클을 형성하는 제2증발기가 가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조실의 습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증발기를 가동시켜 제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HUMIDITY ELIMINATE DRIER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OPERAT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농수산물 제습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습도를 농수산물의 건조에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하도록 제습효율을 높인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수산물 등은 일반적으로 수분함량이 높으며, 쉽게 상하기 쉬어 소비자에게 공급될 때까지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 건조되어야 한다.
특히, 김과 같은 상품은 김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김의 상품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김을 상품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김의 습도를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최근에는 습도를 유지하며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있는 농수산물 건조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20-0331880호의 "김건조 장치"는 외부로부터 급기되는 공기를 김건조한 이후의 일부 공기로써 열교환 방식으로 예열시키는 열교환기와, 예열된 공기를 김건조에 적합한 온도로 올리는 보일러와 김건조실 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급기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건조실의 습도에 따라 외부의 급기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여 건조하는 것으로 제습효율과 김이 건조되는 효율에 비하여 연료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318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건조실의 습도상태에 따라 건조 및 제습효율을 높임으로써 최적상태의 농수산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실과 기계실로 내부 공간이 구획되며, 농수산물이 상기 건조실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기계실에 내장되어 냉각사이클을 형성하며, 가열된 상기 기계실의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공급하고, 냉각된 상기 기계실의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공급하여 상기 농수산물의 건조 및 제습을 수행하는 순환 유닛; 및 상기 건조실의 습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냉각사이클을 형성하는 제1증발기가 가동됨과 동시에, 상기 냉각사이클을 형성하는 제2증발기가 가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건조실에 장착되어 가열되거나 냉각된 상기 기계실의 공기를 상기 건조실측으로 이송하여 상기 건조실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되게 하는 순환팬과,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각 사이클은 응축기의 입구측과 배관 연결되어 상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출구측 및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과 배관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1팽창밸브 사이의 배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2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제2증발기 사이의 배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하강시켜 상기 압축기의 입구측으로부터 냉매의 일부를 보내어 상기 압축기의 부하를 저감시키는 수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실 및 상기 건조실에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 및 상기 건조실의 습도가 기입력된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의 기계실에 내장된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가동시켜 냉매가 상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게 하는 제1 단계; 상기 압축기의 가동에 따라 상기 압축기와 배관 연결된 응축기를 거쳐 고온 고압으로 응축된 냉매와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기계실과 이웃한 건조실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건조실에 수용된 농수산물을 가열 건조하는 제2 단계; 상기 건조실의 습도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여 높아지면, 제1증발기의 가동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2증발기를 가동시키면서 제1증발기가 가동된 상태보다 건조실의 온도를 하강시켜 건조실의 습도를 떨어뜨러 상기 농수산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건조실의 습도가 설정 범위 이내로 하강하면, 상기 제2 증발기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증발기는 가동 및 가동 정지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의 가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실의 습도가 높은 경우, 냉각사이클을 구성하는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가 동시에 가동됨으로써 제습효율을 높이도록 하여 김과 같은 농수산물이 최적의 상태로 건조되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농수산물 생산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의 주요부인 순환 유닛과 제어부의 블록선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의 주요부인 순환 유닛과 제어 유닛의 블록선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 미설명 부호로 "▶◁"로 표시된 것은 각각 냉매의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 밸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순환 유닛(200)과 제어부(290)로 포함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은 건조실(101)과 기계실(102)로 내부 공간이 구획되며, 김과 같은 농수산물이 건조실(101)에 수용된다.
순환 유닛(200)은 기계실(102)에 내장되어 냉각 사이클을 형성하며, 가열된 기계실(102)의 공기를 건조실(101)로 공급하고, 냉각된 기계실(102)의 공기를 건조실(101)로 공급하여 농수산물의 건조 및 제습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290)는 건조실(101)과 기계실(102)에 구비되고, 건조실(101)의 습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냉각 사이클을 형성하는 제1증발기(230)이 가동은 유지시키는 동시에, 냉각 사이클을 형성하는 제2증발기(240)가 가동되도록 하여 습도를 떨어뜨려 습도를 설정값 범위로 하강시킨 후 제2증발기(24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1증발기(230)는 가동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습도에 따라 제어부(290)에 의하여 제2증발기(240)의 가동 및 가동정지를 반복함으로써 김과 같은 농수산물의 제습효율을 높이며 제습 및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우징(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실(101)과 기계실(102)로 내부 공간의 구획된 것으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건조실(101)로 공급하고 기계실(102)로 되돌리는 공기의 순환이 가능도록 순환팬(1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로 공기를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팬(1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순환팬(110)은 가열되거나 건조된 공기를 건조실(101)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되게 한다.
배출팬(12)은 농수산물을 건조후 남은 가열 도는 건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냉각 사이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증발기(230) 및 제2증발기(240)와 함께,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제1,2팽창밸브(260,270)와 수액기(250)를 포함한다.
압축기(210)는 응축기(220)의 입구측과 배관 연결되어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한다.
상기 압축기는 냉매를 순환시키는 펌프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제1증발기(230)와 제2증발기(240)에서 증발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흡입하여 응축기(220)에서 응축 액화할 수 있도록 응축 온도에 해당되는 포화압력까지 압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응축기(220)는 압축기(23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기체 냉매의 열을 방출시킴으로써,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 액화시킴과 더불어 주변의 공기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증발기(230)는 응축기(220)의 출구측 및 압축기(210)의 흡입측과 배관연결되어 응축기(22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것이다.
제1증발기(230)는 제1팽창밸브(260)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변화하면서 주변의 공기가 갖고 있는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하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팽창밸브(260)는 제1증발기(230)와 제2증발기(240) 사이의 배관상에 배치되어 응축기(22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교축시키는 것이다.
제2증발기(240)는 응축기(220)와 제1팽창밸브(260) 사이의 배관 상에 배치되고, 평소에는 가동되지 않다가 건조실(101)의 습도가 설정범위 이상으로 높은 경우, 제어부(290)에 의하여 제1증발기(240)와 함께 가동시켜 온도를 하강시키며 습도를 떨어뜨려 제습효율을 높이도록 구비된다.
제2팽창밸브(270)는 응축기(210)와 제2증발기(240)사이의 배관 상에 배치되고, 평소에는 가동되지 않다가 건조실(101)의 습도가 설정범위 이상으로 높은 경우, 제어부(290)에 의하여 응축기(22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액체상태인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교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기(210), 응축기(220), 제1팽창밸브(260), 제1증발기(230), 제2팽창밸브(270) 및 제2증발기(240)는 순환하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을 가능하게 하는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건조실(101)의 습도가 설정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냉매가 제어부(290)에 의하여 압축기(210)→응축기(210)→제1팽창밸브(260)→제1증발기(230)의 순서로 순환하면서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주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서, 가열된 공기가 건조실(101)의 내부로 보내질 수 있게 되고, 또 건조실(101)을 빠져나온 공기 속의 습기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건조실(101)의 습도가 설정범위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냉매가 제어부(290)에 의하여 압축기(210)→응축기(210)→제2팽창밸브(270)→제2증발기(240)→제1팽창밸브(260)→제1증발기(230)의 순서로 순환하면서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주변의 공기의 공기로부터 열을 추가적으로 흡수하게 되므로서, 가열된 공기가 건조실(101)의 내부로 보내질 수 있게 되고, 또 건조실(101)을 빠져나온 공기 중의 습도가 추가적으로 제거되어 제습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건조실(101)의 습도가 설정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응축기(220)의 뜨거운 열원을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한 후, 건조실(101)의 내부로 보내어 건조를 시키며, 또 건조실(101)에서 제1증발기(230)를 통하여 온도 차이에 의한 효과로 제습작용을 일으켜 제습하는 제습 및 건조 메카니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건조실(101)의 습도가 설정범위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제어부(290)에 의하여 제1증발기(230)의 가동과 동시에 제2증발기(240)를 추가적으로 가동시켜 제습효율올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냉각 사이클의 경우, 농수산물의 건조를 위한 토출 온도에 비중을 두다 보면, 전체적으로 고압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고압 운전으로 인한 부하로부터 냉각 사이클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응축기(210)와 제2증발기(240) 사이에는 모세관(미도시)이 삽입되어 있는 수액기(250)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이와 더불어 상기 수액기(250)의 배출측 라인에는 별도의 보조 라인이 분기되어 압축기(210)의 흡입측 라인, 즉 증발기로부터 연장되어 압축기에 연결되는 라인에 연결된다.
즉, 수액기(250)는 응축기(2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하강시켜 압축기(210)의 입구측으로 냉매의 일부를 보내어 압축기(210)의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어부(290)은 제2증발기(240)을 건조실(101)의 습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동시킴으로써 주변의 공기로부터 열을 추가적으로 흡수하도록 제습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습도센서(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제어부(29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압축기(210)와 제1증발기(230) 및 제2증발기(260)등의 가동을 제어하거나 기설정된 습도 및 압력 조건에 맞는지 습도센서 등으로 측정된 값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비교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습도센서는 제어부(2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조실(101) 및 기계실(102)에 장착되고, 건조실(101) 및 기계실(102)의 습도가 제어부(290)에서 기입력된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작업자는 제어부(290)를 조작하여, 하우징(100)의 기계실(102)에 수용된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210)를 가동시키고 냉매가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게 한다.(S1:제1단계)
그리고, 압축기(210)가 가동됨에 따란 압축기(210)와 배관 연결된 응축기(220)를 거쳐 고온 고압으로 응축된 냉매와 열교환한 공기를 하우징(100)의 기계실(102)과 이웃한 건조실(101)측으로 공급하여 건조실(101)에 수용된 김 등의 농수산물을 가열 건조하게 된다(S2: 제2단계)
다음으로, 건조실(101)의 습도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여 높아지면, 제1증발기(230)의 가동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2증발기(240)를 가동시키면서 제2팽창밸브(270)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변환하면서 온도를 제1증발기(230)가 가동된 상태보다 온도를 하강시켜 온도 차이에 의한 제습을 높이는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S3:제3단계)
최종적으로, 건조실(101)의 습도가 설정 범위 이내로 하강하면, 제2증발기(240)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제1증발기(230)만 가동시킨다.(S4:제4단계)
상기 건조실(101)의 습도에 따라 제2증발기(240)의 가동과 가동정지를 반복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작동 부하를 줄여 건조 및 제습 효율을 높임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농수산물 건조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하우징
101...건조실
102...기계실
110...순환팬
120...배출팬
200...순환 유닛
210...압축기
220...응축기
230...제1증발기
240...제2증발기
250...수액기
260...제1팽창밸브
270...제2팽창밸브
290...제어부

Claims (5)

  1. 건조실과 기계실로 내부 공간이 구획되며, 농수산물이 상기 건조실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기계실에 내장되어 냉각사이클을 형성하며, 가열된 상기 기계실의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공급하고, 냉각된 상기 기계실의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공급하여 상기 농수산물의 건조 및 제습을 수행하는 순환 유닛; 및
    상기 건조실의 습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냉각사이클을 형성하는 제1증발기가 가동됨과 동시에, 상기 냉각사이클을 형성하는 제2증발기가 가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건조실에 장착되어 가열되거나 냉각된 상기 기계실의 공기를 상기 건조실측으로 이송하여 상기 건조실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되게 하는 순환팬과,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사이클은,
    응축기의 입구측과 배관 연결되어 상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출구측 및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과 배관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1팽창밸브 사이의 배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2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제2증발기 사이의 배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하강시켜 상기 압축기의 입구측으로부터 냉매의 일부를 보내어 상기 압축기의 부하를 저감시키는 수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실 및 상기 건조실에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 및 상기 건조실의 습도가 기입력된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5. 하우징의 기계실에 내장된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가동시켜 냉매가 상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게 하는 제1 단계;
    상기 압축기의 가동에 따라 상기 압축기와 배관 연결된 응축기를 거쳐 고온 고압으로 응축된 냉매와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기계실과 이웃한 건조실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건조실에 수용된 농수산물을 가열 건조하는 제2 단계;
    상기 건조실의 습도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여 높아지면, 제1증발기의 가동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2증발기를 가동시키면서 제1증발기가 가동된 상태보다 건조실의 온도를 하강시켜 상기 건조실의 습도를 떨어뜨려 상기 농수산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건조실의 습도가 설정 범위 이내로 하강하면, 상기 제2 증발기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증발기는 가동 및 가동 정지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의 가동방법.
KR1020140170498A 2014-12-02 2014-12-02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 KR20160066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498A KR20160066622A (ko) 2014-12-02 2014-12-02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498A KR20160066622A (ko) 2014-12-02 2014-12-02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622A true KR20160066622A (ko) 2016-06-13

Family

ID=5619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498A KR20160066622A (ko) 2014-12-02 2014-12-02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6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82293A1 (it) * 2017-07-19 2019-01-19 Parker Hannifin Emea Sarl Impianto per l’essiccazione di gas compresso e relativo metod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80Y1 (ko) 2003-05-30 2003-11-01 주식회사 에이스랩 김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80Y1 (ko) 2003-05-30 2003-11-01 주식회사 에이스랩 김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82293A1 (it) * 2017-07-19 2019-01-19 Parker Hannifin Emea Sarl Impianto per l’essiccazione di gas compresso e relativo metodo
EP3431166A1 (en) * 2017-07-19 2019-01-23 Parker Hannifin Emea S.A.R.L. Apparatus for drying a compressed gas and the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4936B (zh) 衣物处理装置
EP3133357B1 (en) Heat pump system having structure for recovering waste heat by means of secondary evaporator
WO2016112788A1 (zh) 一种环保节能型并联温湿度调控设备
KR20170105660A (ko) 건조기 내의 노점온도 조절에 의한 직렬연결식 응축기의 스위치기능을 갖는 공기열원 히트펌프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170044673A (ko) 열 펌프 시스템, 세탁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KR101793638B1 (ko) 고추 건조기
CN106288507A (zh) 一种酒店干衣热水冷冻一体化装置
KR20150117529A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KR101370871B1 (ko) 가습 능력 및 냉동 효율이 동시에 개선된 항온항습기
CN109945632A (zh) 一种低温热风干燥设备及干燥方法
CN211476637U (zh) 能量回收型高温热泵烘干机
KR101818743B1 (ko) 에너지 절약형 온수생산 시스템이 구비된 항온항습기
JP6159579B2 (ja) 水加熱装置
JP6136525B2 (ja) 冷却貯蔵庫用ユニットクーラ
JP2013124802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60066622A (ko) 농수산물 제습 건조장치 및 그것의 가동방법
KR20090131562A (ko) 응축기 발생열을 이용한 건조장치
KR101310939B1 (ko) 저온건조 및 냉장 시스템
CN206361858U (zh) 恒温恒湿机
KR101760331B1 (ko) 제습 건조기
KR20100100265A (ko) 냉장고 응축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방식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130126767A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건조장치
CN109945536A (zh) 一种附带除湿功能的冷水机
CN203413729U (zh) 一种立式除湿机
CN110274443B (zh) 热泵烘干系统及热泵烘干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