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403A - 볼링용 손목 보호대 - Google Patents

볼링용 손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403A
KR20160066403A KR1020140170743A KR20140170743A KR20160066403A KR 20160066403 A KR20160066403 A KR 20160066403A KR 1020140170743 A KR1020140170743 A KR 1020140170743A KR 20140170743 A KR20140170743 A KR 20140170743A KR 20160066403 A KR20160066403 A KR 20160066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gear
rotating body
respect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성
Original Assignee
조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성 filed Critical 조윤성
Priority to KR102014017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403A/ko
Publication of KR2016006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볼링용 손목 보호대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꺾임각도를 조절하는 스토퍼를,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고 타방향으로의 회전은 불가능한 회전체에 의해 왕복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체의 일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스토퍼의 위치를 조절하여 두기만 하면, 별도의 조임나사 등에 의한 고정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스토퍼가 그 위치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토퍼의 이동 및 위치고정 작업이 단시간에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볼링용 손목 보호대{Wrist protector for bowling}
본 발명은 볼링을 하는 사람의 손목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팔에 착용되는 볼링용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팔을 지지하는 부분과 손을 지지하는 부분 간의 꺾임 각도를 조절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개선된 볼링용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볼링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무거운 볼링공을 들고 그 볼링공을 레인을 따라 굴려서 핀을 쓰러뜨리는 운동 경기이다. 이처럼, 사람(이하,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라고 칭함)이 무거운 볼링공을 들어서 굴려야 하므로, 사용자의 손목 부상의 위험이 있어서, 볼링용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술한 볼링용 손목 보호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팔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손등쪽에 위치하는 손지지부재와, 그 손지지부재의 뒤쪽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팔쪽에 위치하는 팔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손지지부재에는 검지손가락을 받쳐주는 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목이 안쪽 방향(예를 들어, 손바닥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팔을 앞으로 뻗은 경우에, 손바닥이 얼굴쪽을 향하게 되는 방향; 이하, "꺾임 방향"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음)으로 적정량 꺾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손지지부재는, 팔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꺾임 방향 및 그 반대 방향(꺾임 해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팔지지부에는, 꺾임 해제 방향으로 회동하려는 손지지부재에 접촉됨으로써 손지지부재를 멈춰세우는 스토퍼가 손지지부재에 대해 진퇴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의 위치에 따라, 꺾임 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손지지부재를 멈춰세우는 위치가 달라지게 되므로, 팔지지부재에 대한 손지지부재의 꺾임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사용자는 스토퍼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팔지지부재에 대한 손지지부재의 꺾임 각도를 적절히 조절해 둔 상태로 손목 보호대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손지지부재의 꺾임 각도 조절을 위해 스토퍼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스토퍼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손목 보호대에 마련된 조임나사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스토퍼를 팔지지부재에 조여붙여 위치고정시켜 둔다. 그리고, 손지지부재의 꺾임 각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스토퍼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임나사를 풀어서 팔지지부재에 대한 스토퍼의 조여붙임 상태를 해제한 후 스토퍼를 원하는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다시 조임나사 조여서 스토퍼를 팔지지부재에 대하여 조여붙여서 위치고정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손지지부재의 꺾임 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조임나사를 풀고 스토퍼를 이동시킨 후 다시 조임나사를 조이는 작업이 행해져야 하므로, 손지지부재의 꺾임 각도 조절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둔 후 조임나사를 조여서 스토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스토퍼가 움직여서 원하는 위치를 벗어나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예컨대, 스토퍼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임나사를 풀 때 너무 많이 풀어서, 혹은 취급이나 보관시의 부주의로 인하여, 조임나사가 스토퍼나 팔지지부재에 대해 완전히 분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따라서는 조임나사를 조이는 방향과 푸는 방향을 착각하여 꺾임 각도 조절시에 시간이 지체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31173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토퍼의 위치를 조절하여 두기만 하면, 별도의 조임나사 등에 의한 고정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스토퍼가 그 위치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혹은 보관시에 조임나사가 분리되어 버려서 손지지부재의 꺾임 각도 조절을 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스토퍼의 이동 및 위치고정 작업이 단시간에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볼링용 손목 보호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링용 손목 보호대는, 제1부재와, 이 제1부재에 대한 꺾임 방향 및 꺾임 해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부재에 힌지결합된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대해 진퇴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부재에 접촉되며 그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부재에 대한 상기 제2부재의 꺾임 각도가 조절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하나는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을 받치는 부분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볼링용 손목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고 타방향으로의 회전은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2부재에 대한 전진 방향 및 후퇴 방향으로 번갈아 이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부재에 대한 제2부재의 꺾임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회전체를 한 방향으로 돌리기만 하면 꺾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그 꺾임 각도 조절 작업이 단시간에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볼링용 손목 보호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 및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볼링용 손목 보호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목 보호대를 팔에 착용하고 볼링공을 밑에서 받쳐들고 있는 상태를 아래쪽에서 위로 향해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기어 부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기어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스토퍼가 제2부재측으로 전진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스토퍼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래칫폴 대신에 다른 형태의 래칫폴이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 보호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볼링용 손목 보호대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목 보호대를 팔에 착용하고 볼링공을 밑에서 받쳐들고 있는 상태를 아래쪽에서 위로 향해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볼링용 손목 보호대(100)는,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 보호대(100)를 사용자의 팔에 벨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착용하였을 때, 상기 제1부재(10)는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며, 상기 제2부재(20)는 사용자의 손을 받쳐주게 된다. 참조번호 21은, 제2부재(20)에 마련되어서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을 받쳐주는 부분이다. 도 2에서의 참조부호 "B"는 볼링공을 가리킨다.
제1부재(10)에는, 후술하는 스토퍼(40), 구동기어(55), 종동기어(57) 등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인 수용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제2부재(20)는, 제1부재(10)에 대한 꺾임 방향(RK; 예컨대 사용자가 본 볼링용 손목 보호대(100)를 착용하고 손바닥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팔을 앞으로 뻗은 상태를 가정할 때, 그 상태로부터 손바닥이 사용자의 얼굴쪽을 향하도록 회동되는 방향) 및 그 반대방향인 꺾임 해제 방향(RP)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좌우 양측에서 제1부재(10)에 힌지(3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부재(10)의 수용부(15)에는 스토퍼(40)가 수용되어 있다. 이 스토퍼(40)는, 수용부(15)의 좌우 양측 내벽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로 가이드되면서 제2부재(20)에 대해 전진하는 방향(S1) 및 후퇴하는 방향(S2)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40)의 선단은 제2부재(20)에 마련된 걸림턱(25)에 접촉된다. 스토퍼(40)의 선단과 걸림턱(25)간의 접촉에 의해서, 제1부재(10)에 대한 제2부재(20)의 꺾임 해제 방향(RP)(꺾임 방향(RK)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스토퍼(40)의 위치(상기 제2부재(20)에 대하여 진퇴하는 방향(S1, S2)에서의 위치)에 따라, 제1부재(10)에 대한 제2부재(20)의 꺾임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제1부재(10)에는 또한, 회전체(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체(50)는 제1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워진 축부(51)와, 이 축부(51)의 상단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노출된 조작노브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체(50)의 축부(51)에는 구동기어(55)가 그 축부(51)와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회전체(50)의 회전시에 구동기어(55)도 그 회전체(5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구동기어(55)에는 제1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종동기어(57)가 맞물려 있다. 이 종동기어(57)는 구동기어(55)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동기어(57)를 구동기어(55)보다 큰 직경으로 하게 되면, 구동기어(55)를 회전시킬 때 종동기어(57)의 회전각이 구동기어(55)의 회전각보다 작으므로, 후술하는 스토퍼(40)의 위치 조절이 보다 정밀하게 행해질 수 있다. 종동기어(57)에는 가압돌기(571)가 그 종동기어(57)에 대해 편심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 가압돌기(571)는 스토퍼(40)의 장공(41)에 끼워져 있다. 스토퍼(40)의 장공(41)은 그 스토퍼(40)의 왕복이동방향(S1, S2)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장공(41)의 폭(스토퍼(40)의 왕복이동방향(S1, S2)으로의 간격)은 가압돌기(571)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돌기(571)는 스토퍼(40)에 대하여 장공(41)의 길이방향으로는 상대이동 가능하며, 장공(41)의 폭방향으로는 스토퍼(40)에 대한 상대이동이 억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종동기어(57)가 화살표(R2) 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때 가압돌기(571)가 장공(41) 내에서 스토퍼(40)를 밀어서 왕복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체(50)가 일방향(R1)으로는 회전될 수 있게 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될 수 없게 하기 위하여, 래칫폴(6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칫폴(60)의 일단부는 힌지(61)에 의해 제1부재(10)에 화살표(Y1, Y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래칫폴(60)의 타단부는 구동기어(55)의 기어치들 사이에 끼워져 있다. 래칫폴(60)의 타단은, 구동기어(55)의 회전방향(R1)상 래칫폴(60)의 회전중심인 힌지(61)와 구동동기어(55)의 회전중심을 잇는 가상선보다 약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래칫폴(60)은, 일단이 제1부재(10)에 고정되고 타단이 래칫폴(60)에 고정된 인장코일스프링(65)에 의해서, 래칫폴(60)의 타단부가 구동기어(55)의 기어치들 사이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Y1)의 반대 방향(Y2)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그러므로 래칫폴(60)은, 회전체(50) 및 구동기어(55)의 일방향(R1)으로의 회전이 계속되는 중에는 구동기어(55)의 기어치들에 의해 계속적으로 밀려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래칫폴(60)의 타단부가 구동기어(55)의 기어치들 사이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Y1)으로 회전되어 있게 되며, 그 결과 래칫폴(60)의 타단부가 구동기어(55)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체(50)에 가하던 회전력을 제거하여 구동기어(55)의 회전이 종료하게 되면, 래칫폴(60)이 인장코일스프링(6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다시 화살표(Y2)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폴(60)의 타단부가 구동기어(55)의 기어치들 사이로 끼워져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회전체(50) 및 구동기어(55)에 타방향(R2)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래칫폴(60)에 의해, 그 회전체(50) 및 구동기어(55)는 타방향(R2)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결국, 회전체(50)는 상기 일방향(R1)으로의 회전만 가능하고 타방향(R2)으로는 래칫폴(60)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55)와 종동기어(57)와 가압돌기(571)는, 회전체(50)의 상기 일방향(R1)으로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토퍼(40)를 제2부재(20)에 대해 전진하는 방향(S1) 및 후퇴하는 방향(S2)으로 번갈아 이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볼링용 손목 보호대(100)에 있어서, 제1부재(10)에 대한 제2부재(20)의 꺾임각도(이하, '제1부재에 대한 제2부재의 꺾임각도'를, 편의상 단순히 '제2부재의 꺾임각도'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를 조절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1부재(10)에 대한 제2부재(20)의 꺾임각도를,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즉, 더 많이 꺾이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체(50)의 조작노브부(52)를 잡고 일방향(R1; 본 실시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그 회전체(50)의 축부(51)에 고정된 구동기어(55)도 회전체(50)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체(50)와 구동기어(55)가 일방향(R1)으로 회전되는 동안에는, 래칫폴(60)은, 상기 일방향(R1)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55)의 기어치들에 의해 계속적으로 밀려서, 그 타단부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치들 사이로부터 빠져나오는 위치로, 회전되어 있게 되며, 그 결과 래칫폴(60)은 구동기어(55)의 일방향(R1)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이 때, 인장코일스프링(65)은 탄성적으로 인장되어서 복원력을 지니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기어(55)가 일방향(R1)으로 회전하면, 그 구동기어(55)에 맞물린 종동기어(57)는 화살표(R2)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종동기어(57)에 마련된 가압돌기(571)는, 종동기어(57)의 회전에 따라 원호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제2부재(20)측으로 전진해가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돌기(571)가 제2부재(20)측으로 전진해 가는 동안에, 가압돌기(571)가 스토퍼(40)의 장공(41)에 끼워져 있으므로, 스토퍼(40)를 제2부재(20)에 전진하는 방향(S1)으로 밀어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부재(20)에 대해 전진하는 방향(S1)으로 이동되는 스토퍼(40)는 걸림턱(25)을 밀어서 제2부재(20)를 제1부재(10)에 대해 꺾임 방향(RK)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부재(20)가 제1부재(10)에 대해 꺾임방향으로 회동되다가 원하는 꺾임 각도가 될 때까지(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꺾임각도가 될 때까지) 회동하게 되면, 조작노브부(52)를 통해 회전체(50)에 가해지던 회전력을 제거한다(즉, 조작노브부(52)를 더 이상 돌리지 않는다).
그러면, 구동기어(55)와 종동기어(57)의 회전도 도 9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정지되고, 가압돌기(571)와 장공(41)을 통해 종동기어(57)에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40)도 마찬가지로 도 9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이동을 멈추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기어(55)의 회전이 정지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 있던 래칫폴(60)이, 인장코일스프링(65)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래칫폴(60)의 타단부는 다시 구동기어(55)의 기어치들 사이로 끼워져 들어가서 구동기어(55)가 역회전(시계방향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결과, 종동기어(57)의 회전도 방지되며, 가압돌기(571)와 장공(41)을 통해 종동기어(57)에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40)도 다시 제2부재(20)에 대해 후퇴되는 방향(S2)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처럼 원하는 위치로 이동된 후 후퇴 방지된 스토퍼(40)는, 그 위치에서 제2부재(20)의 걸림턱(25)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제2부재(20)가 꺾임 해제 방향(RP)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제2부재(20)의 꺾임각도가 원하는 각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1부재(10)에 대한 제2부재(20)의 꺾임각도를 더 크게(예컨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조작노브부(52)를 잡고 회전체(50)를 상기 일방으로(R1)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구동기어(55)가 R1 방향으로 회전하고 종동기어(57)가 R2 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토퍼(40)가 S1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진하던 스토퍼(4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체(50)의 회전을 멈춘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래칫폴(60)에 의한 종동기어(57)의 회전 방지에 의해, 스토퍼(40)는 그 도 10에 도시한 위치에서 후퇴 방지된 상태로 위치고정되어서, 제2부재(20)의 걸림턱(25)과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제2부재(2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꺾임 해제 방향(RP)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2부재(20)를 다시 도 3이나 도 9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동시키기 위하여, 스토퍼(40)를 예컨대 도 3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회전체(50)를 상기 일방향(R1)으로 회전시켜서, 구동기어(55)를 R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종동기어(57)를 R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종동기어(57)가 회전되는 중에 가압돌기(571)는, 그 가압돌기(571)와 구동기어(55)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이 스토퍼(40)의 전진 방향(S1)과 나란해지게 되는 위치(이하, '상사점'이라 함)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체(50)를 일방향(R1)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상사점을 지난 가압돌기(571)가, 제2부재(20)에 대해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토퍼(40)를 제2부재(20)에 대해 후퇴하는 방향(S2)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가압돌기(571)가 상기 상사점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부터 종동기어(57)가 180도 더 회전하게 되면 가압돌기(571)는 상기 상사점과는 정반대의 위치(이하, '하사점'이라 함)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체(50)가 계속 일방향(R1)으로 회전되어 가압돌기(571)가 상기 하사점을 넘어서게 되면, 가압돌기(571)가 다시 제2부재(20)측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토퍼(40)를 다시 제2부재(20)에 대해 전진하는 방향(S1)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40)가 제2부재(20)에 대해 전진 이동하는 중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그 상태에서 회전체(50)의 상기 일방향(R1)으로의 회전을 멈춘다. 그러면, 스토퍼(40)가 도 10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한 위치로 후퇴 이동되어 있으므로, 제2부재(20)는, 도 10에 도시한 위치에서부터 도 3에 도시한 위치까지 꺾임 해제 방향(RP)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볼링용 손목 보호대(100)는, 회전체(50)를 잡고 일방향(R1)으로 원하는 만큼 회전시켜 주기만 하면, 스토퍼(40)의 이동 및 그 스토퍼 이동 후의 위치 고정이 행해지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조임나사 등을 이용하여 스토퍼를 위치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50)는 일방향(R1)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 일방향(R1)의 회전에 의해 스토퍼(40)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회전 방향을 착각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우려 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스토퍼(40)의 이동 및 위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래칫폴(60)이 구동기어(55)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종동기어(57)측에 래칫폴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형태의 래칫폴(60) 대신에,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래칫폴(69)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래칫폴(69)은, 강성을 가지며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이 래칫폴(69)의 일단부는 제1부재(10)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종동기어(57)의 기어치들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 래칫폴(69)의 경우도 타단부가, 종동기어(57)의 회전방향상 래칫폴(69)의 일단(고정단)과 상기 종동기어(57)의 회전중심점을 잇는 선보다 약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래칫폴(69)을 구비한 경우에 있어서도, 구동기어(55)가 일방향(R1)으로 회전하게 되면, 래칫폴(69)은 도 11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래칫폴(69)의 타단부가 구동기어(55)의 기어치에 의해 밀려서 구동기어(55)의 기어치들 사이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구동기어(55)의 상기 일방향(R1)으로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구동기어(55)의 일방향(R1)의 회전이 정지되면 래칫폴(69)는 다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서 타단부가 구동기어(55)의 기어치들 사이에 끼워져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체(50)에 타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래칫폴(69)의 타단부가 기어치들로부터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회전체(50)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부재(10)가 하나의 몸체로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부재가, 제2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회동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1부분에 결합된 제2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40)가 설치되는 제1부재(10)가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고, 걸림턱(25)이 마련되는 제2부재(20)가 사용자의 손을 받쳐주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스토퍼가 설치되는 제1부재에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을 받쳐주는 부분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부재를 사용자의 손을 받쳐주는 부분이 되게 하고, 걸림턱이 마련되는 제2부재가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0)와 제2부재(20) 각각의 내측(사용자의 팔 또는 손과 마주하는 측)에,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팔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스폰지 패드(미도시) 등이 부착하여 둘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나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볼링용 손목 보호대가 구현될 수 있다.
100...볼링용 손목 보호대 10...제1부재
20...제2부재 25...걸림턱
30...힌지 40...스토퍼
41...장공 50...회전체
55...구동기어 57...종동기어
571...가압돌기 60, 69...래칫폴

Claims (4)

  1. 제1부재와, 이 제1부재에 대한 꺾임 방향 및 꺾임 해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부재에 힌지결합된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대해 진퇴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부재에 접촉되며 그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부재에 대한 상기 제2부재의 꺾임 각도가 조절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하나는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을 받치는 부분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볼링용 손목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고 타방향으로의 회전은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2부재에 대한 전진 방향 및 후퇴 방향으로 번갈아 이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그 스토퍼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회전체에 동축적으로 고정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1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대해 편심되게 그 종동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기어의 일방향의 회전시에 상기 장공 내에서 상기 스토퍼를 밀어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토퍼의 장공에, 상기 스토퍼의 이동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은 억제되고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 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는 상기 제1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기어의 기어치들 사이에 끼워진 래칫폴을 구비하며,
    상기 래칫폴은, 상기 회전체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그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기어의 기어치에 의해 밀려서 구동기어의 회전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회전체에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질 때에는 상기 타단부가 상기 구동기어의 기어치들 사이에 끼워져 있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상기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 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1020140170743A 2014-12-02 2014-12-02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160066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43A KR20160066403A (ko) 2014-12-02 2014-12-02 볼링용 손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43A KR20160066403A (ko) 2014-12-02 2014-12-02 볼링용 손목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03A true KR20160066403A (ko) 2016-06-10

Family

ID=5619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743A KR20160066403A (ko) 2014-12-02 2014-12-02 볼링용 손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4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038A (ko) * 2016-12-19 2018-06-27 지멘스 메디컬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크. 스위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173Y1 (ko) 2003-07-14 2003-10-22 강신영 볼링용 손목보호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173Y1 (ko) 2003-07-14 2003-10-22 강신영 볼링용 손목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038A (ko) * 2016-12-19 2018-06-27 지멘스 메디컬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크. 스위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1438B2 (en) Self-adjusting pliers
US20190111545A1 (en) Load induced mechanism system
US8794612B2 (en) Quick adjustable clamp
US8813366B2 (en) Folding knife handle with assisted opening function
US20090144986A1 (en) Folding knife
CN109210353A (zh) 一种穿戴设备及其绑带调节锁紧机构
AU2019258296B2 (en) Surgical forceps structure capable of being locked in one direction
TWI540024B (zh) Ratchet wrench structure
KR101496132B1 (ko) 웨어러블 장치
US8826865B2 (en) Grip for grasping with one hand and a leash device with such a grip
US20160345995A1 (en) Treatment device
US2646711A (en) Ratchet wrench
JP3195523U (ja) マイクロトルクツール
WO2015024405A1 (zh) 一种可固定钳口尺寸的钳子
TWM478573U (zh) 可更換驅動件之棘輪扳手
KR20160066403A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JP6826944B2 (ja) 魚掴み器
US9321607B2 (en) Hand-held tape dispenser
TWI524970B (zh) 穿透式棘輪扳手
TWM483148U (zh) 棘輪扳手結構
CN100453273C (zh) 快速锁紧水泵钳
BRPI0508422A (pt) pistola com travamento semi-rìgido
US10272549B2 (en) Hinged ratchet wrench
KR101842990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TWM576943U (zh) Adjustable water pipe w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