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390A -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390A
KR20160066390A KR1020140170722A KR20140170722A KR20160066390A KR 20160066390 A KR20160066390 A KR 20160066390A KR 1020140170722 A KR1020140170722 A KR 1020140170722A KR 20140170722 A KR20140170722 A KR 20140170722A KR 20160066390 A KR20160066390 A KR 20160066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inner housing
pipe
groov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659B1 (ko
Inventor
서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to KR102014017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용수 저장용기에 삽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는 제1연결관, 상기 유입관에서 상기 제1연결관의 반대반향으로 분기되는 제2연결관을 가지는 3방향 접속유닛; 상,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3방향 접속유닛의 외측을 덮으며,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나선홈 및 상기 제1나선홈과 역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제2나선홈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유닛; 상기 회전구동유닛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을 덮으며, 외주면에는 제1수직홈 및 제2수직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관은 상기 제1나선홈 및 제1수직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2연결관은 상기 제2나선홈 및 제2수직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회전구동유닛의 회선 운동을 제어하여 내부 하우징만을 회전 시키고, 외부하우징은 고정되어 있도록 하여, 수직홈과 나선홈의 공간에 동시에 연결되어진 3방향 접속유닛이 수직으로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A needle ups and downs device for drinking water dispensing}
본 발명은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온수기의 경우, 정수된 음용수가 저장된 용기를 냉온수기에 연결하여 냉각 또는 가열을 통해 사용자에게 냉, 온수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음용수가 저장된 용기에서 음용수를 전달받는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냉온수기 내에 마련된 니들형태의 유입구성이 저장 용기에 천공을 형성하여 중력에 의해 음용수를 제공 받는 형태로 많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방식의 음용수 제공을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40195호의 "냉온수기의 생수통 지지구조체"가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생수통 지지구조체 내에 구비된 별도의 유입관이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생수통 내부로 삽입 관통되어 생수통 내의 음용수를 냉온수기의 다양한 배관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내용물이 저장된 카트리지 또는 캡슐형태의 저장용기에 천공을 형성하는 천공 수단을 제어하여 저장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5378호의 "캡슐 천공 모듈"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경우,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와 내용물의 공급장치 간의 연결 상태와 무관하게 유입관이 외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어야 하고, 천공을 형성하는 유입관과 천공을 통해 제공되는 내용물을 공급장치 내 다양한 배관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동시에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냉온수기와 음용수를 제공하는 저장용기의 결합상태에 따라 저장용기에 천공을 형성하는 구성 및 천공을 통해 제공되는 저장물을 제공하는 배관 구성의 위치를 동시에 제어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는, 음용수 저장용기에 삽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는 제1연결관, 상기 유입관에서 상기 제1연결관의 반대반향으로 분기되는 제2연결관을 가지는 3방향 접속유닛; 상기 3방향 접속유닛의 외측을 덮으며, 외주면에는 제1나선홈 및 제2나선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유닛; 상기 회전구동유닛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을 덮으며, 외주면에는 제1수직홈 및 제2수직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관은 상기 제1나선홈 및 제1수직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2연결관은 상기 제2나선홈 및 제2수직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입관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음용수 저장용기를 관통하여 삽입되기 위해 뾰족한 형태로 마련되는 니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음용수 저장용기 내 음용수가 상기 유입관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멍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니들부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홈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2나선홈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나선홈과 역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음용수 저장용기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부면상에서 상기 유입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관의 수직 이동을 위한 출입통로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구동유닛의 회선 운동을 제어하여 내부 하우징만을 회전 시키고, 외부하우징은 고정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홈과 나선홈의 공간에 동시에 연결되어진 3방향 접속유닛이 수직으로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3방향 접속유닛의 위치를 수직으로 조절함으로써 음용수 저장용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유입관의 노출상태를 음용수 저장용기의 결합상태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유입관의 노출상태 고정에 의한 배관 오염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의 결합형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의 동작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냉온수기 내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를 설명하면,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는 3방향 접속유닛(100); 내부하우징(200); 회전구동유닛(300); 제어유닛(400); 및 외부하우징(500);을 포함한다.
3방향 접속유닛(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수 저장용기와 삽입 연결되는 유입관(110); 유입관(110)에서 분기되어 유입관(110)을 통해 공급되는 음용수가 제1저장탱크로 공급되게 하는 공급관과 연결되는 제1연결관(120); 유입관(110)에서 상기 제1연결관(120)의 반대반향으로 분기되어 유입관(110)을 통해 공급되는 음용수가 제2저장탱크로 공급되게 하는 공급관과 연결되는 제2연결관(1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연결관(120)과 제2연결관(130)은 일자로 연결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 되며, 유입관(110)은 일자로 형성된 제1연결관(120)과 제2연결관(130)의 중심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3방향 접속유닛(100)은 결과적으로 뒤집어진 T자형의 형태로 마련된다.
즉,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음용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분기된 제1연결관(120)과 제2연결관(130)으로 나누어져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이동하여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종류 역시 서로 다르게 된다.
아울러, 유입관(110)은 선단에 음용수 저장 용기를 관통하여 연결하기 위해 뾰족한 형태로 마련되는 니들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니들부(113)는 도3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원뿔 형태로 마련되며, 이러한 니들부(113)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홈(113a)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유입관(110)의 수직 운동을 통해 니들부(113)가 음용수 저장용기에 천공을 형성하고 관통되어 승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용수 저장용기의 찢어짐 또는 훼손을 방지한다.
또한, 유입관(110)의 외주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부(113)의 승강에 의해 관통 삽입된 유입관(110)의 내부로 음용수 저장용기 내 음용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멍(115)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하우징(200)는 상, 하부가 개방되어진 원통 형태로 마련되며, 3방향 접속유닛(100)의 외측을 덮는다. 또한 내부하우징(20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나선홈(210) 및 제2나선홈(220)이 나선으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나선홈(210) 및 제2나선홈(22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하우징(200)의 외주면 상에서 형성되는 위치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자리한다.
회전구동유닛(300)은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내부하우징(200)에 연결되어 내부하우징(200)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내부하우징(200)은 일정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유닛(400)은 회전구동유닛(300)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구동유닛(300)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도록 신호를 통해 유, 무선 상으로 통신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유닛(400)은 별도의 센서의 구성을 첨가함으로써, 연결되는 음용수 저장 용기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외부하우징(500)은 하부가 개방되어진 원통 형태로 마련되며, 내부하우징(200)의 외측을 덮는다. 또한, 외부하우징(50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수직홈(510) 및 제2수직홈(520)이 수직하게 일자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수직홈(510) 및 제2수직홈(520)의 외부하우징(500)의 외주면 상에서 형성되는 위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같은 높이만큼 형성된다.
또한, 외부하우징(500)은 음용수 저장용기와 결합되는 결합부(530)를 포함하고, 이러한 결합부(5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500)의 상부면상에서 유입관(11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결합부(530)의 내부에는 유입관(110)의 수직 이동에 의한 승강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출입통로(540)가 마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3방향 접속유닛(100)의 외측에 내부하우징(200)이 위치하고, 내부하우징(200)의 외측에 외부하우징(500)이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호 위치하는 형태는 3방향 접속유닛(100)의 제1연결관(120)이 제1나선홈(210) 및 제1수직홈(510)에 끼워지고, 3방향 접속유닛(100)의 제2연결관(130)이 제2나선홈(220) 및 제2수직홈(230)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구동유닛(300)은 연결된 내부하우징(200)에만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외부하우징(500)에 형성된 제1수직홈(510) 및 제2수직홈(520)은 3방향 접속유닛(100)의 승강을 위한 수직 운동 경로의 가이드홈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2.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의 이동 형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는 회전구동유닛(300)의 회전운동력을 기반으로 연결된 내부하우징(200)을 회전시킴으로서, 내부에 끼워진 3방향 접속유닛(100)의 위치 이동을 유발하고, 외부하우징(500)이 더 결합되어 3방향 접속유닛(100)의 위치 이동 형태가 회전이 아닌 수직이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는 3방향 접속유닛(100)의 외측에 내부하우징(200)이 위치하고, 내부하우징(200)의 외측에 외부하우징(500)이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호 위치하는 형태는 3방향 접속유닛(100)의 제1연결관(120)이 제1나선홈(210) 및 제1수직홈(510)에 끼워지고, 3방향 접속유닛(100)의 제2연결관(130)이 제2나선홈(220) 및 제2수직홈(230)에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우선적으로 음용수 저장용기가 냉온수기로부터 탈리되거나, 아직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방향 접속유닛(100)이 내부하우징(200)의 가장 하측에 위치한 상태여서 아직 외부하우징(500)의 결합부(530) 내부의 출입통로(540)에 니들부(113)가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음용수 저장용기가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의 결합부(530)와 결합하여 냉온수기에 연결된 경우, 제어유닛(400)은 사용자에 의한 제어신호 또는 별도의 센서를 통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회전구동유닛(300)의 회전운동을 진행시킨다.
그 결과, 내부하우징(200)은 회전하고 외부하우징(50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각각의 형성된 나선홈(210, 220)과 수직홈(510, 520)은 각각의 연결관(120, 130)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는 가이드홈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나선홈(210, 220)과 수직홈(510, 520) 모두에 각각 끼워진 각각의 연결관(120, 130)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나선홈(210, 220)의 위치와 고정되어 있는 수직홈(510, 520)의 위치에 따라 수직으로 운동하여 위로 올라가게 된다.
더 나아가, 각각의 연결관(120, 130)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홈(210, 220)과 수직홈(510, 520)의 가장 선단부까지 올라가서 위치하게 되면, 제어유닛(400)은 사용자에 의한 제어신호 또는 별도의 센서를 통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회전구동유닛(300)의 회전운동을 중단시킨다. 그 결과 외부하우징(500)의 선단에 위치하는 음용수 저장용기의 내부로 유입관(110)이 관통하여 삽입되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삽입되어진 유입관(110)은 음용수 저장용기 내 음용수를 외주면에 형성된 유입구멍(115)을 통해 내부로 이동시키고, 이렇게 이동된 음용수 들은 각각의 연결관(120, 130)을 통해 분기되어 연결되어진 냉온수기 각각의 저장탱크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연결관(120, 130)의 일단에는 연결관(120, 130)의 승강 운동에 따라 각각의 연결관(120, 130)과 연결되어진 공급관 사이의 연결 상태가 끊어지지 않도록 상호 배관 사이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의 구성이 추가 형성된다.
또한, 외부하우징(5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30)의 외주면에 나선형태의 돌기(535)가 마련될 수 있어, 결합되는 음용수 저장용기와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도4(c)와 같이 유입관(110)의 상승에 의한 음용수 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의 방지가 가능하다.
아울러, 외부하우징(500)의 내측면 상에서 결합부(530)가 위치하는 아래 부분에, 유입관(110)의 직경 수준으로 마련되어 유입관(110)의 이동은 가능하되 유입관(110)의 수직운동에 따른 외부하우징(500)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방지용 패킹(550)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음용수 저장용기 내 음용수 모두가 배출되고 나면, 제어유닛(400)은 사용자에 의한 제어신호 또는 별도의 센서를 통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회전구동유닛(300)의 회전운동을 반대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그 결과,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는 도4(c)의 상태로부터 도4(a)의 상태로 역으로 이동하며, 최종적으로는 처음의 상태와 같이 3방향 접속유닛(100)이 내부하우징(200)의 가장 하측에 위치한 상태여서 아직 외부하우징(500)의 결합부(530) 내부의 출입통로(540)에 니들부(113)가 위치한 상태로 돌아간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3방향 접속유닛
110 : 유입관
113 : 니들부
115 : 유입구멍
120 : 제1연결관
130 : 제2연결관
200 : 내부하우징
210 : 제1나선홈
220 : 제2나선홈
300 : 회전구동유닛
400 : 제어유닛
500 : 외부하우징
510 : 제1수직홈
520 : 제2수직홈
530 : 결합부
540 : 출입통로

Claims (5)

  1. 음용수 저장용기에 삽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는 제1연결관, 상기 유입관에서 상기 제1연결관의 반대반향으로 분기되는 제2연결관을 가지는 3방향 접속유닛;
    상기 3방향 접속유닛의 외측을 덮으며, 외주면에는 제1나선홈 및 제2나선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유닛;
    상기 회전구동유닛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을 덮으며, 외주면에는 제1수직홈 및 제2수직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관은 상기 제1나선홈 및 제1수직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2연결관은 상기 제2나선홈 및 제2수직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입관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음용수 저장용기를 관통하여 삽입되기 위해 뾰족한 형태로 마련되는 니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음용수 저장용기 내 음용수가 상기 유입관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홈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나선홈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나선홈과 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음용수 저장용기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부면상에서 상기 유입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관의 수직 이동을 위한 출입통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KR1020140170722A 2014-12-02 2014-12-02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KR10164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22A KR101647659B1 (ko) 2014-12-02 2014-12-02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22A KR101647659B1 (ko) 2014-12-02 2014-12-02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90A true KR20160066390A (ko) 2016-06-10
KR101647659B1 KR101647659B1 (ko) 2016-08-11

Family

ID=5619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722A KR101647659B1 (ko) 2014-12-02 2014-12-02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377A (zh) * 2018-11-28 2019-02-15 沈立胜 一种自动提升桶装水的饮水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146A (ja) * 2009-11-12 2011-05-26 Suntory Holdings Ltd 飲料サーバーおよび飲料サーバー用接続構造
JP2014076814A (ja) * 2012-10-09 2014-05-01 Muramoto Kosakusho: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146A (ja) * 2009-11-12 2011-05-26 Suntory Holdings Ltd 飲料サーバーおよび飲料サーバー用接続構造
JP2014076814A (ja) * 2012-10-09 2014-05-01 Muramoto Kosakusho: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377A (zh) * 2018-11-28 2019-02-15 沈立胜 一种自动提升桶装水的饮水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659B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28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ading of tubing into a pumping device
US99874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uid infusion device with automatic reservoir fill
KR101647659B1 (ko) 음용수 전달용 니들 승강장치
CN105909515A (zh) 一种全自动圆网印花机的浆泵机构
KR101772685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CN103857426A (zh) 带旋转机构的注入头
ES2265460T3 (es) Encoladora de cantos.
JP2012149751A (ja) 弁装置
JP5186309B2 (ja) 薬液供給装置
EP3268053B1 (en) Multiple-bore solute cartridge carrier
CN107475999A (zh) 洗衣机投放系统和洗衣机
KR20160072725A (ko) 약제포장유닛 및 이의 약제 이송 방법
CN204338159U (zh) 一种制药厂反应装置
KR101044283B1 (ko) 액상 물질 토출 장치
KR20110027099A (ko) 링거액 주입 제어장치
RU23195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рева жидкости в трубке
CN106629268B (zh) 一种绕线装置和耳机
KR101581743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CN205867216U (zh) 喂食泵用防自由流动装置
BR112020005013A2 (pt) aparelho semiautônomo de distribuição de produtos comestíveis, e respectivo processo de operação
KR20240030897A (ko) 음료 추출 장치
CN207349774U (zh) 一种润滑油加热装置
CN207674030U (zh) 防滴漏出料管
KR20160148974A (ko) 컴팩트한 약제 포장용 카세트장치
JP5135128B2 (ja) 薬液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