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317A -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oh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oh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317A
KR20160066317A KR1020140170531A KR20140170531A KR20160066317A KR 20160066317 A KR20160066317 A KR 20160066317A KR 1020140170531 A KR1020140170531 A KR 1020140170531A KR 20140170531 A KR20140170531 A KR 20140170531A KR 20160066317 A KR20160066317 A KR 2016006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unit
modules
light emitt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상우
남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317A/en
Publication of KR2016006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to represent various images and a controlling method. The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mp unit; and a second lamp unit a part of which is arranged in front of the first lamp unit. The second lamp unit includes lamp modules which are located to cover a part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by rotating an end part thereof locat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irst lamp unit; and a driving part which rotates the lamp module through a belt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lamp modules. So, a dynamic image can be formed in turning on/off the lamp.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ohd for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amp capable of expressing various image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Generally, a vehicle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vehicle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 users or other road users of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so that an obje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identified at night when traveling . For example, head lamps and fog lamps are aimed at lighting functions, while turn signal lamps, tail lamps, brake lamps, and side markers are intended for signal functions.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또는 고전압 방출(High intensity discharge, HID) 등과 같은 광원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Such automotive lamps have typically used light sources such as halogen lamps or high intensity discharge (HID) lamps.

최근에 이르러 광원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 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Recently, a light emitting diode (LED) has been used as a light source. The light emitting diode has a color temperature of about 5500K, which is close to solar light, which minimizes fatigue in a human eye and minimizes size, It is also economical due to its semi-permanent lifetime.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헤드 램프는 차량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Among such vehicle lamps, headlamp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to form a low beam pattern or a high beam pattern so as to ensure a forward visibility of the driver during nighttime driving, thus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in safe driving.

일반적인 헤드 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램프(10)가 소등된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하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램프(10)를 점등할 경우 특별한 이미지 또는 형상을 표현하지 않고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정적인 구조를 가진다.As shown in FIG. 1, a general head lamp is a vehicle in which a head lamp 10 is turned off, and when the head lamp 10 is turned on, And has a static structure for forming a predetermined beam pattern.

전통적이고 정형화된 차량의 구조에서 탈피하여 차량 운전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차량 운전자의 디자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헤드 램프의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variety of means for expressing the personality of the driver of a vehicle by breaking away from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nd standardized vehicle and there is a demand for a new headlamp structure that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design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

유럽공개특허공보 1 985 913 A1Europ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 985 913 A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시에 동적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lamp capable of generating a dynamic image when a vehicle lamp is turned on or off,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 1램프 유닛;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2램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2램프 유닛은,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일단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발광면 일부를 가리도록 위치되는 복수의 램프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램프모듈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 부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mp unit; And a second lamp unit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lamp unit, wherein the second lamp unit includes: one end loc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lamp unit, A plurality of lamp modules positioned to cover a part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lamp module;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through a belt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일부가 제 1램프 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 2램프 유닛에 포함된 복수의 램프 모듈을 점등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램프 램프 모듈을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발광면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램프 유닛을 소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사이에 연결된 벨트 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lamp for a vehicle, comprising: illuminating a plurality of lamp modules included in a second lamp uni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lamp unit; Rotating the plurality of lamp lamp modules in an inner direction of a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And turning off the first lamp unit, wherein the rotating includes rotating a belt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일부가 제 1램프 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 2램프 유닛에 포함된 복수의 램프 모듈을 점등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을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발광면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램프 유닛을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사이에 연결된 벨트 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lamp for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illuminating a plurality of lamp modules included in a second lamp unit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lamp unit; Rotating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in a direction outside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And turning the first lamp unit on, wherein the rotating comprises rotating a belt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차량용 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될 때 다양한 램프 이미지나 형상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 is an effect that various lamp images or shapes can be expressed when the vehicle lamp is turned on or off.

또한, 제 1램프 유닛의 발광면 일부를 제 2램프 유닛이 가리거나 가리지 않도록 위치하여 역동적인 미감을 표현할 수 있고, 차량에 친밀감 내지 일체감을 부여하고 특별한 디자인적 미감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Further, the second lamp unit is positioned such that the second lamp unit does not cover or cover a part of the light-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so that dynamic aesthetics can be expressed, and intimacy or unity can be imparted to the vehicle and special design aesthetics can be express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램프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램프 유닛이 도시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램프 유닛이 도시된 측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동작 순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Figs. 3 and 4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lamp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secon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to FIG. 10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ing and / or comprising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 or operations other than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 / .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erspective view, cross-sectional view, side view, and / 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nstituent elem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lamp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3 and 4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 1램프 유닛(100) 및 제 2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vehicle lamp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lamp unit 100 and a second lamp unit 2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차량이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는 차량에 구비되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램프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lamp 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is a headlamp that ensures a front view when the vehicle travels at night or in a dark place. The vehicle lamp 1 may be various lamps such as a tail lamp, a brake lamp, a position lamp, a turn signal lamp, a backup lamp,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 헤드 램프 중 어느 하나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다른 하나도 설치 방향이나 형상 등에 있어서 일부 차이가 있을 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head lamp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other one may be similarly applied as well, with some difference in installation direction, shape, and the like.

제 1램프 유닛(100)은 소정의 빔 패턴을 가지는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램프 유닛(100)은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제 1램프 유닛(100)는 단일로 구성되어 복수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고, 복수의 빔 패턴을 각각 형성하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lamp unit 100 may irradiate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beam patter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lamp unit 100 irradiates light having a low beam pattern or a high beam pattern The first lamp unit 10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unit to form a plurality of beam patterns or a plurality of beams to form a plurality of beam patterns, respectively.

이때, 도 3 및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램프 유닛(100)은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광원, 리플렉터, 실드, 렌즈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first lamp unit 100 includes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light source, a reflector, a shield, a lens, and the like, necessary components for forming a predetermined beam pattern can do.

제 2램프 유닛(200)은 적어도 일부가 제 1램프 유닛(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도 1과 같이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일부를 가리도록 위치되거나 도 2와 같이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을 가리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lamp unit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lamp unit 100 and is positioned to cover a part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as shown in FIG. 1,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cover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unit 100.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3과 같이 제 2램프 유닛(200)이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일부를 가리도록 위치된 경우를 "제 1모드"라 칭하고, 도 4와 같이 제 2램프 유닛(200)이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을 가리지 않도록 위치된 경우를 "제 2모드"라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second lamp unit 200 is positioned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is referred to as a " first mode " The case where the second lamp unit 200 is positioned so as not to cover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mode ".

또한, 도 3 및 도 4는 제 2램프 유닛(200)은 제 1램프 유닛(100)의 일부를 가리거나 가리지 않도록 위치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제 2램프 유닛(200)의 구조나 형상 등이 도 3 및 도 4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3 and 4 illustrate that the second lamp unit 200 is positioned so as to cover or not cover a part of the first lamp unit 100.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econd lamp unit 200,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3 and Fig.

제 2램프 유닛(200)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 2램프 유닛(200)이 제 1램프 유닛(100)의 일부를 가리도록 위치된 제 1모드에서는 주간 주행 램프(Daytime running lamp, DRL)의 용도로 사용되고, 제 2램프 유닛(200)이 제 1램프 유닛(100)을 가리지 않도록 위치된 wp 2모드에서는 포지션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제 1 및 제 2모드 이외의 다른 모드에서는 제 2램프 유닛(200)의 용도가 달라질 수 있다.In the first mode in which the second lamp unit 200 is positioned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first lamp unit 100, for example, the second lamp unit 200 may b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depending on the position, The second lamp unit 200 may be used as a position lamp in the wp 2 mode in which the second lamp unit 200 is positioned so as not to obscure the first lamp unit 100. However, And the use of the second lamp unit 200 may be changed in modes o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modes.

이때, 제 2램프 유닛(200)은 전술한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되는 시점이나 그 이전에 점등될 수 있으며, 제 1램프 유닛(100)은 모드에 따라 전술한 제 2램프 유닛(200)과 함께 점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lamp unit 200 may be turned on at or before the time of switching to one of the mode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lamp unit 100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mode, 200).

예를 들어, 제 2램프 유닛(200)이 주간 주행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제 1모드에서는 제 1램프 유닛(100)이 소등되고, 제 2램프 유닛(200)이 포지션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제 2모드에서는 제 1램프 유닛(100)도 함께 점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irst mode in which the second lamp unit 200 is used as a daytime running lamp, the first lamp unit 100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amp unit 200 is used as a position lamp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lamp unit 100 may also be ligh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램프 유닛(100)은 제 2램프 유닛(200)보다 발광 면적이나 광량이 큰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는데, 이는 제 1램프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이 차량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 조명 기능을 하고, 제 2램프 유닛(200)는 주간 주행 램프나 포지션 램프 등과 같은 신호 기능을 하기 때문이며, 제 1램프 유닛(100) 및 제 2램프 유닛(200)의 발광 면적이나 광량 등은 각 램프 유닛의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amp unit 100 has a larger light emitting area and a larger light amount than the second lamp unit 200, The second lamp unit 200 has a lighting function for ensuring a front view of the vehicle such as a low beam pattern or a high beam pattern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lamp unit 200 has a signal function such as a daytime running lamp and a position lamp, The light emitting area and the light amount of the first lamp unit 100 and the second lamp unit 200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use of each lamp uni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램프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램프 유닛이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램프 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d the second lamp unit is a side view.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램프 유닛(200)은 복수의 램프 모듈(210~260) 및 복수의 램프 모듈(210~26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2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램프 모듈(210~260)을 각각 제 1 내지 제 6램프 모듈(210~260)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second lamp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 modules 210 to 260 and a driving unit 270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210 to 26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210 to 260 will be referred to as first to sixth lamp modules 210 to 260, respectively.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램프 유닛(200)의 6개의 램프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램프 유닛(200)에 포함되는 램프 유닛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x lamp modules of the second lamp unit 200 are exemplified,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lamp units included in the second lamp unit 200 can be variously changed.

제 1 내지 제 6램프 모듈(210~260)은 각각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 및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to sixth lamp modules 210 to 260 includes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and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Pulleys 212-26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은 소정 형상을 가지는 라이트 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라이트 가이드로 광을 입사되도록 하는 광원(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광원(미도시)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및 벌브(Bulb)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are made of a light guid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Not shown), and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aser diode (LD), and a bulb may be used as a light source (not shown).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은 제 1램프 유닛(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일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다가 타단부가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내측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절곡된 절곡부(211a~26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절곡부(211a~261a)가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을 가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extend forward from one end loca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lamp unit 100 while the other end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And bent portions 211a to 261a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oward the first lamp unit 100. These bent portions 211a to 261a serve to cover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방"은 광이 발생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ward" means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generated. The direction "front" It can be different.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은 각각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절곡부(211a~261a)가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are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first to sixth pulleys 212 to 262. When the first to sixth pulleys 212 to 262 rotate The bent portions 211a to 261a can be rotated inward or outward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

각각의 절곡부(211a~261a)가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일부를 가리게 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절곡부(211a~261a)가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제 1램프 유닛(1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A part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is covered when each of the bent portions 211a to 261a is rotated inward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The bent portions 211a to 261a of the first lamp unit 100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so as to have a shape that entirely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lamp unit 100. [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이 각각 풀리(212~26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 전술한 제 1모드 및 제 2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카메라의 조리개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are rotated around the pulleys 212 to 262 as described above, any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is cas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aphragm shape of the camera can be implemented.

즉, 제 1모드에서는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이 회전되어 각각의 절곡부(211a~261a)가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의 타단부가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중심부에 가까워지도록 회전하게 되고, 제 1램프 유닛(100)이 소등되어 카메라의 조리개가 닫혀 있는 것과 같은 형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first mode,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are rotated so that each of the bent portions 211a to 261a is rotated inward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The other ends of the six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are rotated so as to approach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so that the first lamp unit 100 is turned off and the diaphragm of the camera is closed .

또한, 제 2모드에서는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이 회전되어 각각의 절곡부(211a~261a)가 제 1모드와 반대로 발광면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의 타단부가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 1램프 유닛(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하게 되며, 제 1램프 유닛(100)이 점등되어 카메라의 조리개가 열린 것과 같은 형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are rotated so that each of the bent portions 211a to 261a is rotat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as opposed to the first mode, The other ends of the first lamp units 211 to 261 are rotated away from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to thereby be position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100 are turned on and the diaphragm of the camera is opened.

구동부(270)는 액추에이터(271) 및 액추에이터(271)의 구동력을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로 전달하는 벨트 부재(2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70 may include a belt member 272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271 and the actuator 271 to the first to sixth pulleys 212 to 262.

액추에이터(271)는 복수의 구동 기어(271a, 271b)를 통해 구동력을 벨트 부재(272)로 전달할 수 있으며, 벨트 부재(272)는 복수의 구동 기어(271a, 271b) 중 어느 하나와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에 감겨져 액추에이터(271)가 구동될 때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actuator 271 can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belt member 272 through the plurality of driving gears 271a and 271b and the belt member 272 can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gears 271a and 271b, The first to sixth pulleys 212 to 262 are rotated when the actuator 271 is driven by being wound on the sixth pulleys 212 to 262.

이때,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벨트 부재(272)에는 소정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고, 이와 유사하게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에도 벨트 부재(272)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액추에이터(271)에 의해 벨트 부재(272)가 회전될 때 벨트 부재(272)의 홈에 맞물리는 돌기에 의해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가 정해진 회전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5 to 7, grooves are formed in the belt member 27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similarly, the first to sixth pulleys 212 to 262 are formed in the belt member 272 The first to sixth pulleys 212 to 262 are rotated by the protrusions engaged with the grooves of the belt member 272 when the belt member 272 is rotated by the actuator 271,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an ang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벨트 부재(272)에 의해 동일한 회전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는 서로 다른 회전 각도로 회전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through sixth pulleys 212 through 262 ar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nd are rotated at the same rotational angle by the belt member 27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sixth pulleys 212 to 262 may have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to sixth pulleys 212 to 262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But may be rotated at another rotation angle.

본 발명의 벨트 부재(272)는 고무 벨트나 금속 재질의 체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벨트 부재(272)는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belt member 27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rubber belt, a metal chain, or the like, but the material of the belt member 272 may be variously changed.

전술한 바와 같은 제 2램프 유닛(200)에 의한 차량용 램프(1)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n image of the lamp 1 for a vehicle using the second lamp unit 20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8은 제 1모드의 일 예로서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이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일부가 가려진 상태로서 제 2램프 유닛(200)이 주간 주행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의 일 예이다. 8 shows an example of the first mode in which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are rotated inward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so that a part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And the second lamp unit 200 is used for the purpose of the daytime running lamp.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모드에서 제 1램프 유닛(100)이 소등된 상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램프 유닛(200)의 용도에 따라 제 1램프 유닛(100) 및 제 2램프 유닛(200)이 동시에 점등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first lamp unit 100 is turned off in the first mo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unit 100 and the second lamp unit 200 may be turned on at the same time.

또한, 제 1모드에서 제 1램프 유닛(100)은 제 1모드로 전환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소등될 수도 있고, 제 1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된 시점에서 소등될 수도 있으며, 제 1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광량이 감소되어 최종적으로 전환이 완료되었을 때 소등될 수도 있다.Also, in the first mode, the first lamp unit 100 may be extinguished at the time when the first lamp unit 100 starts to be switched to the first mode, may be extinguished at the time when the switching to the first mode is completed, The amount of light gradually decreases in the process and may be extinguished when the conversion is finally completed.

전술한 도 8과 같은 제 1모드 상태에서 제 2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액추에이터(271)가 구동되어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이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10과 같이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이 제 1램프 유닛(1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램프 유닛(200)은 포지션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며 제 1램프 유닛(100)이 함께 점등될 수 있다.8, when the actuator 271 is driven as shown in FIG. 9,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are driven by the first lamp unit 100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may be position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lamp unit 100 as shown in FIG. 10, and in this case, The lamp unit 200 is used as a position lamp and the first lamp unit 100 can be lighted together.

또한, 제 2모드에서 제 1램프 유닛(100)은 제 2모드로 전환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점등될 수도 있고, 제 2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된 시점에서 점등될 수도 있으며, 제 2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광량이 증가되어 최종적으로 전환이 완료되었을 때 점등된 상태의 광량을 가질 수 있다.Also,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lamp unit 100 may be turned on at the time when the first lamp unit 100 starts to be switched to the second mode, may be turned on when the switching to the second mode is completed, The amount of light gradually increases in the process, and the light amount of the lighted state can be obtained when the conversion is finally completed.

한편, 전술한 도 8 내지 도 10은 제 1모드로부터 제 2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의 일 예이며, 이와 반대로 제 2모드로부터 제 1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반대 순서로 동작할 수 있다.8 to 10 are examples of switching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and conversely, when switching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they can operate in the reverse order.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11은 제 2모드인 상태에서 제 1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xample of a case of switching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먼저 제 1램프 유닛(1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한 제 1 내지 제 6램프 모듈(210~260)을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S110). 즉, 일단부가 제 1램프 유닛(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6풀리(212~262)에 연결된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의 타단부가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중심부와 가까워지도록 회전시키는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sixth lamp modules 210 to 260, which ar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lamp unit 100, Emitting surface of the unit 100 (S110). That is, the other ends of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connected to the first to sixth pulleys 212 to 262, one end of which is loca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lamp unit 100, To be close to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unit (100).

제 1 내지 제 6램프 모듈(210~260)이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내측에 위치된 후(S120), 제 1램프 유닛(100)을 소등시키게 된다(S130).After the first to sixth lamp modules 210 to 260 are positioned inside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in step S120, the first lamp unit 100 is turned off in step S130.

이때, 도 11은 제 2모드인 상태에서 제 1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S130 단계에서 제 1램프 유닛(100)을 소등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램프 유닛(100)이 이전에 소등 상태인 경우에는 소등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11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lamp unit 100 is turned off in step S130 in order to switch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0 is in the unlit state previously, it is controlled to keep the unlit state as it is.

또한, S130 단계에서 제 1램프 유닛(100)을 소등시키는 방법은 전술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130,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for turning off the first lamp unit 100. [

이와 같이, 도 11에서는 제 1 내지 제 6발광 유닛(211~261)이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카메라의 조리개가 닫혀 있는 형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11,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units 211 to 261 are rotated inward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thereby realizing a shape in which the diaphragm of the camera is clos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12는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ample of a case of switching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먼저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내측에 위치한 제 1 내지 제 6램프 모듈(210~260)을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S210).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sixth lamp modules 210 to 260 located inside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lamp And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utside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unit 100 (S210).

제 1 내지 제 6램프 모듈(210~260)이 제 1램프 유닛(100)의 발광면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게 된다(S220).The first to sixth lamp modules 210 to 260 are position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100 (S220).

제 1 내지 제 6램프 모듈(210~260)의 회전이 완료된 후, 제 1램프 유닛(100)을 점등시키게 된다(S230).After the rotation of the first to sixth lamp modules 210 to 260 is completed, the first lamp unit 100 is turned on (S230).

이때, 도 12는 제 1모드인 상태에서 제 2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S230 단계에서 제 1램프 유닛(100)을 점등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램프 유닛(100)이 이전에 점등 상태인 경우에는 점등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1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lamp unit 100 is turned on in step S230 in order to switch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0 are previously in the lighting state, the lighting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또한, S230 단계에서 제 1램프 유닛(100)을 점등시키는 방법은 전술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230,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for lighting the first lamp unit 100. [

위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1)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1)가 점등 또는 소등될 때 다양한 이미지 내지 형상을 표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에 친밀감 내지 일체감을 부여하고 특별한 디자인적 미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1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express various images or shapes when the vehicle lamp 1 is turned on or off, thereby giving intimacy or a sense of unity to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expres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rang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제 1램프 유닛
200: 제 2램프 유닛
210~260: 제 1 내지 제 6램프 모듈
270: 구동부
271a, 271b: 구동 기어
272: 벨트 부재
100: first lamp unit
200: second lamp unit
210 to 260: First to sixth lamp modules
270:
271a, 271b:
272: Belt member

Claims (19)

제 1램프 유닛;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2램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2램프 유닛은,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일단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발광면 일부를 가리도록 위치되는 복수의 램프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 부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A first lamp unit; And
And a second lamp unit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lamp unit,
The second lamp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amp modules positione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lamp unit and rotated so that one end rotates to cover a part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And
And a driver for rotating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through a belt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은,
각각 발광 유닛; 및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하며 상기 발광 유닛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풀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include:
Respectively; And
And a pulley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lamp uni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ight-emitt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풀리에 장착된 일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발광면 내측을 향하여 소정 곡률를 가지며 절곡되는 차량용 램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
Wherein the first lamp unit extends forward from one end portion mounted on the pulley and the other end portion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is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타단부가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중심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3,
The light-
And the other end rotat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lamp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ulley,
A lamp for a vehicle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diamet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은,
제 1모드에서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발광면 일부를 가리도록 위치하고,
제 2모드에서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발광면 외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include:
The first lamp unit is positioned to cover a part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in the first mode,
And is located outside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in the second m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램프 유닛은,
상기 제 1모드에서 소등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lamp unit includes:
And the lamp is turned off in the first m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램프 유닛은,
상기 제 2모드에서 점등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lamp unit includes:
And the lamp is illuminated in the second m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램프 유닛은,
상기 제 1모드에서 주간 주행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제 2모드에서 포지션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lamp unit includes:
The first mode is used as a daytime running lamp,
Wherein the lamp is used as a position lamp in the second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램프 유닛은,
상기 제 2램프 유닛보다 높은 광량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amp unit includes:
And has a higher light quantity than the second lamp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램프 유닛은,
상기 제 2램프 유닛보다 넓은 발광면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amp unit includes:
Wherein the second lamp unit has a larger light emitting surface than the second lamp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구동 기어는,
상기 벨트 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Actuator; And
And at least one drive gear connected to the actuator,
Wherein the at least one drive gear comprises:
And a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el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부재는,
소정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에 각각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에 맞물려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을 회전시키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lt member comprises: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are rotated by engaging with protrus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적어도 일부가 제 1램프 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 2램프 유닛에 포함된 복수의 램프 모듈을 점등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램프 램프 모듈을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발광면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램프 유닛을 소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사이에 연결된 벨트 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Lighting a plurality of lamp modules included in a second lamp uni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lamp unit;
Rotating the plurality of lamp lamp modules in an inner direction of a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And
And turning off the first lamp unit,
Wherein the rotating comprises:
And rotating the belt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각각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타단부가 상기 발광면의 중심부에 가까워지도록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otating comprises:
And rotating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loc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lamp unit so as to be closer to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을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회전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꼐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otating comprises:
And a step of rotating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at the same or different rotational angles.
적어도 일부가 제 1램프 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 2램프 유닛에 포함된 복수의 램프 모듈을 점등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을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발광면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램프 유닛을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사이에 연결된 벨트 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Lighting a plurality of lamp modules included in a second lamp uni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lamp unit;
Rotating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in a direction outside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amp unit; And
And lighting the first lamp unit,
Wherein the rotating comprises:
And rotating the belt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램프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각각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타단부가 상기 발광면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rotating comprises:
And rotating the lamp module such that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loc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lamp unit i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을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회전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꼐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rotating comprises:
And a step of rotating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at the same or different rotational angles.
KR1020140170531A 2014-12-02 2014-12-02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ohd for the same KR201600663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31A KR20160066317A (en) 2014-12-02 2014-12-02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oh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31A KR20160066317A (en) 2014-12-02 2014-12-02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oh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17A true KR20160066317A (en) 2016-06-10

Family

ID=5619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531A KR20160066317A (en) 2014-12-02 2014-12-02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oh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31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5913A1 (en) 2007-04-25 2008-10-29 Valeo Vision Automobile headlight comprising an optical module equipped with a mobile sha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5913A1 (en) 2007-04-25 2008-10-29 Valeo Vision Automobile headlight comprising an optical module equipped with a mobile sha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798B2 (en) Vehicle headlamp device
KR101873441B1 (en) Lamp for vehicle
JP4983278B2 (en) Vehicle lighting
KR101451861B1 (en) Lamp for vehicle
JP2007099222A (en) Vehicular lighting system
KR101361091B1 (en) Automotive head lamp
KR20140083807A (en) Light guide unit
KR102384546B1 (en) Lamp for vehicle
KR101423668B1 (en) Lamp for vehicle
JP2013058374A (en) Vehicular lamp
KR20150107332A (en) Lamp for vehicle
US7033054B2 (en) Lamp assembly with peripheral auxiliary function
Bielawny et al. Automotive lighting continues to evolve
CN205424735U (en) Illumination area territory adjustable head -light
KR101397588B1 (en) Automotive head lamp
KR101361090B1 (en) Automotive head lamp
KR101375772B1 (en) Automotive head lamp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66317A (en)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ohd for the same
JP5529951B2 (en) Front combination lamp
KR20150125808A (en) Lamp for vehicle
KR102348896B1 (en) Head lamp for vehicle
KR101361089B1 (en) Automotive head lamp
KR101744624B1 (en) Lamp for vehicle
KR101637342B1 (en) Lamp for vehicle
KR102529889B1 (en) lam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