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347A -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347A
KR20160064347A KR1020140167662A KR20140167662A KR20160064347A KR 20160064347 A KR20160064347 A KR 20160064347A KR 1020140167662 A KR1020140167662 A KR 1020140167662A KR 20140167662 A KR20140167662 A KR 20140167662A KR 20160064347 A KR20160064347 A KR 2016006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ess
steel
weight
manga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696B1 (ko
Inventor
문준오
박성준
이창훈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6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6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망간 경량강판은 합금성분과 시효 처리 등의 제어를 통하여, 중량%로, 망간(Mn): 25~45%, 실리콘(Si): 0.2% 이하, 알루미늄(Al): 11~13%, 탄소(C): 0.85~0.95%를 포함하고, 잔부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오스테나이트, 페라이트, β-Mn을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비커스 경도(Hv) 700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방법 {HIGH MANGANESE LIGHT WEIGHT STEEL WITH EXCELLENT WEAR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강판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스테나이트계로서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관재, 철도 레일, 금형부품 등 다양한 소재에 있어서 내마모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내마모강들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내마모강은 구성상에 따라 크게 오스테나이트계와 마르텐사이트계가 있다.
대표적인 오스테나이트계 내마모강으로는 Hadfield강이 있으며 이는 중량%로 10% 이상의 망간과 1% 이상의 탄소를 함유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미세조직을 가지고 있다. Hadfield강은 다양한 내마모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나 낮은 항복강도로 인해 그 적용에 제한이 있다.
마르텐사이트계 내마모강은 높은 경도 뿐만 아니라 높은 항복강도와 인장강도를 동시에 가짐으로써 구조재, 운송기계, 건설기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마르텐사이트계 내마모강은 우수한 물성으로 인해 그 사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건설기계 등의 대형화에 따라 내마모강의 후물화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운송기계 부품의 후물화는 소재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운송기계의 연비를 떨어뜨리며 이로 인해 에너지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건설환경 및 건축소재들이 점차 고강도화 됨에 따라 건설기계부품 및 가공부품 등에 적용되는 내마모강의 고경도화도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0351호(2014.02.18. 공개)에 개시된 초-고강도 및 내마모성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문헌에는 C: 0.205-0.25중량%, Si: 0.20-1.00중량%, Mn: 1.0-1.5중량%, P≤0.015중량%, S≤0.010중량%, Al: 0.02-0.04중량%, Ti: 0.01-0.03중량%, N≤0.006중량%, Ca≤0.005중량%를 포함하고, Cr≤0.70중량%, Ni≤0.50중량%, Mo≤0.30중량%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나머지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고, 마르텐사이트와 잔류 오스테나이트로 이루어진 미세조직을 가지며, HB420 이상의 브리넬 경도를 갖는 고-강도 내마모성 강판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강판의 경우, 경량성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경량강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도가 우수하면서도 경량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경량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망간 경량강판 제조 방법은 (a) 중량%로, 망간(Mn): 25~45%, 실리콘(Si): 0.2% 이하, 알루미늄(Al): 11~13%, 탄소(C): 0.85~0.95%를 포함하고, 잔부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을 열간 압연하는 단계; (b) 상기 열간압연된 강판을 균질화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균질화 처리된 강판을 550±10℃에서 1000분 이상 시효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실리콘과 알루미늄의 합산 함량이 13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900℃ 이상의 마무리압연온도 조건으로 열간압연하는 단계와, 10℃/sec 이상의 평균냉각속도로 60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1000~1200℃에서 1~3시간동안 균질화 처리하는 단계와, 10℃/sec 이상의 평균냉각속도로 60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550±10℃에서 1000분 이상 시효 처리하는 단계와, 10℃/sec 이하의 평균냉각속도로 20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망간 경량강판은 중량%로, 망간(Mn): 25~45%, 실리콘(Si): 0.2% 이하, 알루미늄(Al): 11~13%, 탄소(C): 0.85~0.95%를 포함하고, 잔부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오스테나이트, 페라이트, β-Mn을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판은 면적률로, 오스테나이트 20~45%, 페라이트 5~20% 및 β-Mn 40~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은 비커스 경도(Hv) 700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경량강판 제조 방법에 의하면, 경도가 매우 높으면서 동시에 경량성이 우수한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강 대비해서 비커스 경도가 약 250 이상 높으면서 10% 이상 경량화가 가능한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경량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경량강판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발명강에 있어서, 550℃에서 시효 처리 시간에 따른 경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발명강에 있어서, 550℃에서 시효 처리 시간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550℃에서 1000분동안 시효 처리 후, 발명강의 XRD 분석결과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은 망간(Mn): 25~45%, 실리콘(Si): 0.2% 이하, 알루미늄(Al): 11~13%, 탄소(C): 0.85~0.9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강판은 실리콘과 알루미늄의 합산 함량이 13.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들 이외 나머지는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경량강판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망간(Mn)
망간은 대표적인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써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강판 제조를 위해 유용한 원소이며 강 중에 고용강화를 통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망간을 25중량% 이상 첨가할 경우, β-Mn 상을 형성시킴으로써 강의 경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망간을 45중량%를 초과하여 과잉 첨가 시에는 연주 공정 중에 중심편석을 유발하여 물성을 저하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망간의 함량을 강판 전체 중량의 25~45중량%로 제한하였다.
실리콘(Si)
실리콘(Si)은 제강공정 중에 강의 탈산을 위해 첨가할 수 있으나, 다량 첨가 시에는 제강 중에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의 함량을 강판 전체 중량의 0.2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은 경량화를 위해서 필수적인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철강소재 대비 10% 이상 경량화 효과를 얻기 위하여 강판 전체 중량의 11중량% 이상 첨가하였다.
다만, 알루미늄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13중량%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첨가될 경우 오스테나이트 상의 생성을 방해하고 페라이트 생성에 따라 연신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의 함량을 강재 전체 중량의 13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한편, 실리콘과 알루미늄은 공히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인 바, 그 합산 중량 역시 13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C)
탄소(C)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강재 제조를 위해 필요하며, 또한 고용강화 효과로 인해 인장강도 증가에 효과적인 원소이다.
상기 탄소는 강판 전체 중량의 0.85~0.95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의 함량이 0.85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탄소의 함량이 0.9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탄화물의 생성에 따라 연성을 떨어뜨리고, 압연 시 균열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황(S), 인(P)
황(S)과 인(P)은 제강 시에 편석을 유발하여 강재의 인성 및 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또한 용접시 응고균열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황과 인은 포함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불순물로 포함되더라도 황(S) : 0.01중량% 이하, 인(P) : 0.018중량% 이하로 함량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금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경량강판은 후술하는 제조 과정을 통하여 오스테나이트, 페라이트 및 β-Mn을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고망간 경량강판은 면적률로, 오스테나이트 20~45%, 페라이트 5~20% 및 β-Mn 40~7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고망간 경량강판은 비커스 경도(Hv) 700이상을 나타낼 수 있어, 종래강 대비 200 Hv 이상의 경도 향상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경량화 효과까지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경량강판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고강도 강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고강도 강재 제조 방법은 열간압연 단계(S110), 균질화 처리 단계(S120) 및 시효 처리 단계(S130)를 포함한다.
우선, 열간압연 단계(S110)에서는 중량%로, 망간(Mn): 25~45%, 실리콘(Si): 0.2% 이하, 알루미늄(Al): 11~13%, 탄소(C): 0.85~0.95%를 포함하고, 잔부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를 열간 압연한 후 냉각한다.
열간압연 이전에 대략 1150~1250℃에서 1~3시간정도 재가열할 수 있다.
열간 압연 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9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1000℃의 마무리압연온도 조건으로 열간압연하는 단계와, 10℃/sec 이상, 바람직하게는 10~200℃/sec의 평균냉각속도로 60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0~400℃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무리압연온도가 900℃ 미만일 경우, 이상립 혼립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평균냉각속도가 10℃/sec 미만일 경우, 냉각시 다량의 조대한 탄화물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종료온도가 600℃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다량의 조대한 탄화물 생성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냉각 방식은 수냉 방식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균질화 처리 단계(S120)에서는 열간압연된 강재를 균질화 처리한다.
균질화 처리 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1000~1200℃에서 1~3시간동안 균질화 처리하는 단계와, 10℃/sec 이상, 바람직하게는 10~200℃/sec 의 평균냉각속도로 6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온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균질화 처리가 1000℃ 미만인 경우, 균질화 효과가 불충분하고, 1200℃를 초과하는 경우, 결정립 조대화로 인하여 강도 및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균질화 처리 이후 평균냉각속도가 10℃/sec 미만일 경우, 냉각시 다량의 조대한 탄화물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종료온도가 600℃를 초과하는 경우, 다량의 조대한 탄화물 생성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냉각 방식은 수냉 방식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시효 처리 단계(S130)에서는 균질화 처리된 강재를 시효 처리한다. 시효 처리를 통하여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시효 처리 단계는 550±10℃에서 100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000분동안 시효 처리하는 단계와, 10℃/sec 이하의 평균냉각속도로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온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효처리 온도가 540℃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고, 560℃를 초과하는 경우, 결정립계 석출에 따른 물성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550℃ 부근에서 특히, 시효처리시 시효 처리시간이 1000분 부근에서 경도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한다. 이에 시효처리 시간은 1000분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효 처리 이후 10℃/sec를 초과하는 평균냉각속도로 냉각을 수행하는 경우, 강재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냉각 방식은 공냉 방식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편의 제조
표 1의 화학성분을 갖는 주괴(cast ingot)를 진공유도용해로를 통하여 획득하였다. 이후, 잉곳을 1250℃에서 2시간 재가열한 후, 920℃ 마무리압연 조건으로 열간압연을 거쳐 550℃까지 50℃/sec 의 평균냉각속도로 수냉하고, 이후 상온까지 공냉하여 두께 4mm의 판재를 제조하였다. 이후, 1050℃에서 2시간 동안 균질화처리한 후 상온까지 20℃/sec의 냉각속도로 수냉하였다. 이후, 550℃에서 다양한 시간동안 시효처리한 후 상온까지 공냉하였다.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의 경우 12%의 Al을 첨가함으로써 종래강 대비 10% 이상의 경량화를 구현하였으며, 종래강 대비하여 Nb, V, Ti 등의 합금원소를 배제하여 설계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기재한 종래강들은 고망간 내마모강으로서 알려진 화학성분 및 경도값을 나타내었으며, 여기서 경도값은 이미 알려진 브리넬 경도값을 경도 환산표에 근거하여 비커스 경도값으로 변환한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표 1의 발명강의 화학성분을 갖는 열간압연재에 대해서 550℃에서 다양한 시간 동안 시효 처리를 실시하였으며, 시효 처리 후의 경도값을 다음의 도 2 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발명강의 경우 1,000초 이상의 시효열처리시 700 Hv 이상의 비커스 경도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표 1에서 보듯이 종래강 대비 250 HV 이상 고경도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종래강의 경우, 마르텐사이트상 생성을 통해 경도를 확보하고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오스테나이트 기지 내에 β-Mn 상을 형성시킴으로써 고경도를 확보하였다.
도 3은 표 1의 발명강의 합금성분에 대해서 열간압연 후 550℃에서 시효열처리 시간 ((a) 0분, (b) 300분, (c) 1000분)에 따른 SEM 미세조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시효 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페라이트 및 β-Mn 분율이 높아지며, 시효 처리 시간 1000분 이후에 β-Mn 상이 오스테나이트 입내에 까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1000분 이상 시효 처리시 고경도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러한 β-Mn의 형성은 도 4 XRD 분석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550℃에서 1000분동안 시효 처리 후, 발명강 시편의 XRD 분석결과이다. 한편, 도 4의 XRD 분석 결과에 따르면 β-Mn상 외에 κ-carbide 석출물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Al을 다량 첨가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석출물로서 Fe3AlC 의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오스테나이트 입내에 미세하게 생성됨으로써 석출강화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κ?arbide 석출물의 생성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한 고경도를 달성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을 통해서 제공된 방법에 따르면 종래강 대비하여 250 HV 이상 향상된 고경도 내마모 경량강판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간압연 후 550℃에서 1000분 이상 시효열처리를 할 때 생성되는 β-Mn 상에 의해 고경도 내마모 경량강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a) 중량%로, 망간(Mn): 25~45%, 실리콘(Si): 0.2% 이하, 알루미늄(Al): 11~13%, 탄소(C): 0.85~0.95%를 포함하고, 잔부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을 열간 압연하는 단계;
    (b) 상기 열간압연된 강판을 균질화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균질화 처리된 강판을 550±10℃에서 1000분 이상 시효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망간 경량강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과 알루미늄의 합산 함량이 13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망간 경량강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900℃ 이상의 마무리압연온도 조건으로 열간압연하는 단계와,
    10℃/sec 이상의 평균냉각속도로 60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고강도 강재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1000~1200℃에서 1~3시간동안 균질화 처리하는 단계와,
    10℃/sec 이상의 평균냉각속도로 60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고강도 강재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550±10℃에서 1000분 이상 시효 처리하는 단계와,
    10℃/sec 이하의 평균냉각속도로 20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고강도 강재 제조 방법.
  6. 중량%로, 망간(Mn): 25~45%, 실리콘(Si): 0.2% 이하, 알루미늄(Al): 11~13%, 탄소(C): 0.85~0.95%를 포함하고, 잔부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오스테나이트, 페라이트, β-Mn을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망간 경량강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면적률로, 오스테나이트 20~45%, 페라이트 5~20% 및 β-Mn 40~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망간 경량강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과 알루미늄의 합산 함량이 13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망간 경량강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비커스 경도(Hv) 700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망간 경량강판.
KR1020140167662A 2014-11-27 2014-11-27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4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62A KR101642696B1 (ko) 2014-11-27 2014-11-27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62A KR101642696B1 (ko) 2014-11-27 2014-11-27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347A true KR20160064347A (ko) 2016-06-08
KR101642696B1 KR101642696B1 (ko) 2016-07-28

Family

ID=5619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662A KR101642696B1 (ko) 2014-11-27 2014-11-27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6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740A1 (ko) * 2017-11-09 2019-05-16 한국기계연구원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6083803A (zh) * 2023-01-05 2023-05-09 鞍钢集团矿业有限公司 一种时效硬化型轻质高锰钢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631B1 (ko) * 1989-02-11 1992-02-21 내셔날 사이언스 카운슬 열간압연 강판
JP2006118000A (ja) * 2004-10-21 2006-05-11 Nippon Steel Corp 延性に優れた軽量高強度鋼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631B1 (ko) * 1989-02-11 1992-02-21 내셔날 사이언스 카운슬 열간압연 강판
JP2006118000A (ja) * 2004-10-21 2006-05-11 Nippon Steel Corp 延性に優れた軽量高強度鋼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740A1 (ko) * 2017-11-09 2019-05-16 한국기계연구원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6083803A (zh) * 2023-01-05 2023-05-09 鞍钢集团矿业有限公司 一种时效硬化型轻质高锰钢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696B1 (ko)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4345A (ko) 용접부 물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고강도 강재 제조 방법
KR101344672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80902A (ja) 銅を含んだ複合ベイナイト系の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70073B1 (ko) 고강도 철근의 제조 방법
KR20130046967A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2696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망간 경량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90380B1 (ko) 고강도 구조용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9184B1 (ko) 인장강도 750MPa급 고강도 구조용 강재의 제조 방법 및 그 구조용 강재
KR101687592B1 (ko) 용접부 물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고강도 강재 제조 방법
KR101505292B1 (ko)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2286B1 (ko)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2317B1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3445B1 (ko) 비열처리형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7593B1 (ko) 강도-연신율 밸런스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고강도 강재 제조 방법
KR101267624B1 (ko) 구조용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7723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경량 스테인리스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9962B1 (ko)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 및 고연성 비자성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4346A (ko) 강도-연신율 밸런스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고강도 강재 제조 방법
KR20110022308A (ko)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28215B1 (ko)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88270B1 (ko) 고강도 후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36813A (ko) 탄소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2490A (ko)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6147B1 (ko) 고강도 후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5319B1 (ko) 강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