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798A -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이행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이행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798A
KR20160063798A KR1020140167541A KR20140167541A KR20160063798A KR 20160063798 A KR20160063798 A KR 20160063798A KR 1020140167541 A KR1020140167541 A KR 1020140167541A KR 20140167541 A KR20140167541 A KR 20140167541A KR 20160063798 A KR20160063798 A KR 2016006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plant
nuclear power
information
engin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470B1 (ko
Inventor
현진우
염동운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4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저장된 데이터를 빅 데이터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제공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이행 통합 장치 및 그 방법{Integ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ngineering Process Implementation In Nuclear Power Plants}
본 발명은 발전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발전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현대 사회에서는 전력 필요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력 필요랑의 증가는 달리 말하면 부하(load)의 증가를 의미하며, 현대 사회에서는 부하에게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 공급원에 해당하는 화력 발전소, 수력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등을 지속적으로 건설하고 있다.
건설된 전력 공급원은 복수의 부하에게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부하와 연결을 해야 한다. 전력 공급원이 2개 이상일 경우, 전력 공급의 효율성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전력 공급원은 다른 전력 공급원들 및 복수의 부하와도 연결되게 되며, 이때 복수의 전력 공급원과 복수의 부하들이 연결된 집합은 전력 시스템을 이룬다.
전력 시스템에서는 특정 요인으로 인하여 전력 공급원이 중지되는 상태가 발생하게 되며, 특정 요인의 예로는 전력 제어 시스템 오작동, 전력 공급원 안전 점검, 과부하 발생 등이 있다. 전력 시스템에서 하나의 전력 공급원이 중지되면, 중지되지 않은 전력 공급원 각각이 감당해야 되는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중지되지 않았던 나머지 전력 공급원들은 과부하 상태에 도달하게 되고, 과부하로 인해 나머지 전력 공급원들 또한 과부하로 인해 중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연쇄적으로 전력 공급원이 중지되어, 전력 시스템 전체가 중지되는 상태를 블랙 아웃(black out)이라고 부르며, 전력 시스템이 부분적으로 중지되는 상태를 브라운 아웃(brown out)이라고 부른다. 이때, 블랙 아웃 또는 브라운 아웃은 막대한 인적,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전력 공급원에 해당하는 발전소가 시스템 오작동이나 안전 점검으로 인해 정지되지 않도록 방지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발전소가 시스템 오작동이나 안전 점검으로 인해 정지되지 않도록 발전소를 효율적으로 정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전소 제어에 있어 빅 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보의 수정 및 갱신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발전소 제어에 있어 빅 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간 연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ERP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데이터 입력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저장된 데이터를 빅 데이터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상기 ERP 시스템에 제공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복수의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연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예방 정비 표준화 시스템, 발전 정지 유발 기기(Single Point Vulnerability: SPV) 시스템, 또는 기능적 설비 그룹(Functional Equipment Group: FEG) 구성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ERP 시스템 내 원자력 발전소 기기 고장 및 정비 이력을 담고 있는 기초 자료로부터 분석된 고장 정비 이력 결과와 기 설정된 일반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기기 고장률 및 이용 불능도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원전 신뢰도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PRinS; Plant Reliability Data Information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최적의 예방 정비 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설비의 기능적 중요도를 결정하는 기능적 중요도 결정(Functional importance Determination: FID)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가동중인 전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리스크 감시 시스템(RIM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계획 예방 정비중인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정지 저출력 리스크 감시 시스템(ORI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ERP 시스템으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는 원자력 발전소의 고장에 대한 이력 정보, 발전소의 기기 정보, 작업 공정 수립 정보, 또는 안전 기능 평가 수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외부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에 공유하여, 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 또는 분석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ERP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데이터를 빅 데이터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상기 ERP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복수의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예방 정비 표준화 시스템, 발전 정지 유발 기기(Single Point Vulnerability: SPV) 시스템, 또는 기능적 설비 그룹(Functional Equipment Group: FEG) 구성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ERP 시스템 내 원자력 발전소 기기 고장 및 정비 이력을 담고 있는 기초 자료로부터 분석된 고장 정비 이력 결과와 기 설정된 일반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기기 고장률 및 이용 불능도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원전 신뢰도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PRinS; Plant Reliability Data Information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최적의 예방 정비 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설비의 기능적 중요도를 결정하는 기능적 중요도 결정(Functional importance Determination: FID)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가동중인 전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리스크 감시 시스템(RIM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계획 예방 정비중인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정지 저출력 리스크 감시 시스템(ORI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ERP 시스템으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는 원자력 발전소의 고장에 대한 이력 정보, 발전소의 기기 정보, 작업 공정 수립 정보, 또는 안전 기능 평가 수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외부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에 공유하여, 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 또는 분석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소 제어에 있어 빅 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보의 수정 및 갱신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소 제어에 있어 빅 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간 연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ERP)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에 관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 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ERP)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RP(10)는 작업 할당 서버(101), 데이터 관리 서버(102), 분석 서버(103) 및 통합 관리 서버(104)를 포함한다. 이때, 작업 할당 서버(101), 데이터 관리 서버(102), 분석 서버(103) 및 통합 관리 서버(104) 각각의 정보 송수신은 유, 무선을 포함하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작업 할당 서버(101)는 원자력 발전소의 계획 예방 정비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예방정비 수행을 위해 작업 오더 발행 정보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공정 수립 프로세스에 따라 작업 공정 수립 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 관리 서버(102)는 작업 할당 서버(101)로부터 수신한 작업 오더 발행 정보 및 작업 공정 수립 정보와, 원자력 발전소에 구비된 설비들에 대한 안전 기능 평가 수목, 계통 고장에 대한 내역 및 리스크 평가 결과 및 리스크 평가 결과에 따른 대응 조치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한다.
분석 서버(103)는 계획 예방 정비 기간 중 작업 일정이 중첩되는 경우, 원자력 발전소에 구비된 계통 및 시스템을 모니터링하여 안전 기능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 기능 분석 정보에 포함된 운전이 중지된 계통 및 시스템들을 분석하여 고장 수목 추적 정보를 생성한다.
통합 관리 서버(104)는 데이터 관리 서버(102)로부터 작업 오더 발행 정보, 작업 공정 수립 정보, 발전소 기기 정보 및 안전 기능 평가 수목을 수신하여 작업 공정 수립 정보에 포함된 작업 내역 및 작업 공정 스케줄을 조정 관리하고, 상기 분석 서버(103)로부터 수신한 고장 수목 추정 정보에 따른 계통 및 시스템 각각에 대한 리스크를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분류하여 각기 상이한 색상으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RP(10)는 원자력 발전소의 고장에 대한 이력 정보, 발전소의 기기 정보, 작업 공정 수립 정보, 안전 기능 평가 수목 등에 대한 기초 자료를 담고 있다. 하지만, ERP(10)가 방대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자력 발전소의 특성 상 자료 변경 절차가 매우 복잡하고, 기술적으로도 자료 변경이 어려웠기 때문에 자료에 대한 보완 및 갱신이 적기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보의 수정 및 갱신을 용이하게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및 장치를 추가적으로 더 제안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에 관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에 관한 시스템은 ERP(10),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20), 외부 장비(30), 관리자 단말기(40) 및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을 포함한다.
ERP(10)는 원자력 발전소의 고장에 대한 이력 정보, 발전소의 기기 정보, 작업 공정 수립 정보, 안전 기능 평가 수목 등에 대한 기초 자료를 담고 있다. 이때, 구체적인 ERP(1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20)는 데이터 입력부(201), 데이터 베이스부(202), 데이터 분석부(203), 연계부(204) 및 피드백부(205)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201)는 원자력 발전소의 고장 이력에 대한 기초 자료를 담고 있는 ERP(10)(EntERPrise Resource Planning)로부터 설비 마스터 데이터와, 정비 이력 데이터 등을 입력 받는다. 설비 마스터 데이터는 발전소의 체계적인 설비 관리를 하기 위한 데이터로, 정비 작업이 수행되어야 할 설비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설비 분류 체계 및 설비 목록 등의 구조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설비 마스터 데이터는 설비의 기준 정보가 입력되고 설비의 속성, 점검 및 정비 기준, 설비 이력, 설비 정비 비용, 도면 및 기술 문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정비 이력 데이터는 발전소의 정비시 발생했던 문제점, 발전소의 정비 방법 등에 대한 이력을 저장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데이터 베이스부(202)는 데이터 입력부(201)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연계부(204)를 통해 다수개의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에서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입력 받은 후 저장하여, 각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에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부(202)는 개인 PC 등의 각종 외부 장비(3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202)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음으로써,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외부 장비(30)에서 사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람들이 새로운 정보를 쉽게 갱신하고, 갱신된 데이터를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의 갱신 및 공유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20)에서는 하나의 집단 지성(Smart Swarm)을 구현할 수 있는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부(202)가 빅 데이터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ERP(10)와는 별도로 통합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유용한 많은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부(202)는 빅 데이터 기술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데이터의 수정 갱신을 할 수도 있다. 빅 데이터는 비정형의 다양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구체적으로 문자, 영상,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빅 데이터는 클라우드 컴퓨팅 등 비용 효율적인 장비를 활용할 수 있으며, 빅 데이터는 오픈 소스 형태의 무료 소프트웨어, 오픈 소스 통계 솔루션,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온라인 버즈 분석(opinion mining)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빅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찾는 기법을 ‘빅 데이터 기법’이라고 한다.
데이터 분석부(203)는 데이터 베이스부(202)에 저장된 데이터를 빅 데이터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이때, 빅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찾는 기법을 ‘빅 데이터 기법’이라고 한다. 데이터 분석부(203)는 빅 데이터 기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관리자 단말기(40)의 검색 요청 제어 신호에 따라 요청된 데이터의 원본 및/또는 요청된 데이터의 분석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로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검색 엔진 기술을 접목하여 누구나 쉽게 정보를 공유 탐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분석부(203)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운영되는 각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에 관한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분석부(203)는 빅 데이터 기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관리자 단말기(40)의 검색 요청 제어 신호에 따라 요청된 데이터의 원본 및/또는 요청된 데이터의 분석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로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연계부(204)는 다양한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의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과 연계한다. 구체적으로, 연계부(204)는 다수개의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과 연계하여 각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입력 받아 데이터 베이스부(202)로 전송한다.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은, 원전 신뢰도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PRinS; Plant Reliability Data Information System), 기능적중요도결정(Functional Importance Determination: FID) 시스템, 정비 효과성 감시 프로그램(Maintenance Rule: MR) 시스템, 리스크 감시 시스템(RIMS), 정지 저출력 리스크 감시 시스템(ORION), 예방정비표준화(PMT), 발전소 불시정지 최소화를 위한 발전 정지 유발 기기(Single Point Vulnerability: SPV) 선정 및 효율적인 정비 작업 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능적 설비 그룹(Functional Equipment Group: FEG) 구성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전 신뢰도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PRinS; Plant Reliability Data Information System)은 ERP(10) 시스템 내 원자력 발전소 기기 고장 및 정비 이력을 담고 있는 기초 자료로부터 분석된 고장 정비 이력 결과와 기 설정된 일반데이터(generic data)를 통계 분석하여, 기기 고장률 및 이용 불능도를 자동으로 계산한다.
이때, 기능적 중요도 결정(Functional Importance Determination: FID) 시스템은 최적의 예방 정비 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설비의 기능적 중요도를 결정한다.
이때, 정비 효과성 감시 프로그램(Maintenance Rule: MR) 시스템은 정비된 설비에 대한 성능을 감시하여, 정비의 효과성을 검출한다.
이때, 리스크 감시 시스템(RIMS)은 가동중인 전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이때, 정지 저출력 리스크 감시 시스템(ORION)은 계획 예방 정비중인 원전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계획 예방 정비는 발전기의 성능유지와 각종기기의 고장을 예방하고 설비의 신뢰도 및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시행하는 정기적인 점검 및 정비를 의미한다.
피드백부(205)는 데이터 베이스부(202)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각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에 관한 최신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ERP(10) 시스템으로 피드백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에 관한 시스템은 개별적인 엔지니어링 프로그램(PRinS, FID, MR, RIMS, ORION, PMT, PSA, SPV, LTAM 등) 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통합 운영함으로써 데이터 분석의 일관성을 높이고,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중복 분석에 투입되는 자원을 절감함으로써 DB 운영의 효율성을 증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에 관한 시스템은 각 사용자 단말에서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각종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신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오랜 기간 충분한 데이터가 축적되어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에 관한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자발적인 업그레이드를 하여, 각 엔지니어링 시스템에서 공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에 관한 시스템에서는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정보 업데이트를 통해 보안 문제 및 절차의 복잡함을 극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20)는 ERP(10)로부터 기본 자료인 설비 마스터 데이터와, 통지 및 명령을 포함하는 정비 이력 데이터 등을 입력 받는다(S300). 이때, ERP(10), 설비 마스터 데이터 및 정비 이력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20)는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며(S310),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20)는 다수개의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과 연계한다(S320). 이때,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20)가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체적인 방법 또한 상술한 바와 같다.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20)는 각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에서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입력 받아 데이터 베이스부(202)로 전송한다(S330). 이때, 데이터 베이스부(202)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후,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20)는 데이터 베이스부(202)에 저장된 데이터를 빅 데이터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며(S340), 관리자 단말기(40)의 검색요청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부(202)에 저장된 데이터 및 분석된 데이터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검색하여 관리자 단말기(40)로 제공한다(S350). 이때, 빅 데이터 기법을 이용한 분석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20)는 데이터 베이스부(202)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S360), 각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50)에 관한 최신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ERP(10)로 피드백한다(S370). 이때, 구체적인 피드백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2)

  1.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ERP)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저장된 데이터를 빅 데이터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제공하는 피드백부
    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연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예방 정비 표준화 시스템, 발전 정지 유발 기기(Single Point Vulnerability: SPV) 시스템, 또는 기능적 설비 그룹(Functional Equipment Group: FEG) 구성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내 원자력 발전소 기기 고장 및 정비 이력을 담고 있는 기초 자료로부터 분석된 고장 정비 이력 결과와 기 설정된 일반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기기 고장률 및 이용 불능도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원전 신뢰도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PRinS; Plant Reliability Data Information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최적의 예방 정비 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설비의 기능적 중요도를 결정하는 기능적 중요도 결정(Functional importance Determination: FID)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가동중인 전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리스크 감시 시스템(RI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계획 예방 정비중인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정지 저출력 리스크 감시 시스템(OR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는 원자력 발전소의 고장에 대한 이력 정보, 발전소의 기기 정보, 작업 공정 수립 정보, 또는 안전 기능 평가 수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외부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에 공유하여, 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 또는 분석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장치.
  12.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ERP)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데이터를 빅 데이터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예방 정비 표준화 시스템, 발전 정지 유발 기기(Single Point Vulnerability: SPV) 시스템, 또는 기능적 설비 그룹(Functional Equipment Group: FEG) 구성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내 원자력 발전소 기기 고장 및 정비 이력을 담고 있는 기초 자료로부터 분석된 고장 정비 이력 결과와 기 설정된 일반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기기 고장률 및 이용 불능도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원전 신뢰도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PRinS; Plant Reliability Data Information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최적의 예방 정비 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설비의 기능적 중요도를 결정하는 기능적 중요도 결정(Functional importance Determination: FID)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가동중인 전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리스크 감시 시스템(RI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계획 예방 정비중인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정지 저출력 리스크 감시 시스템(OR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는 원자력 발전소의 고장에 대한 이력 정보, 발전소의 기기 정보, 작업 공정 수립 정보, 또는 안전 기능 평가 수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외부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에 공유하여, 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 또는 분석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공정 방법.
KR1020140167541A 2014-11-27 2014-11-27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이행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2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41A KR101692470B1 (ko) 2014-11-27 2014-11-27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이행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41A KR101692470B1 (ko) 2014-11-27 2014-11-27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이행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98A true KR20160063798A (ko) 2016-06-07
KR101692470B1 KR101692470B1 (ko) 2017-01-17

Family

ID=5619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541A KR101692470B1 (ko) 2014-11-27 2014-11-27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이행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2978A (zh) * 2016-08-11 2016-10-12 塞壬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智能电厂管理系统
CN114661731A (zh) * 2020-12-22 2022-06-24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核电厂功能设备组数据自动更新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068B1 (ko) * 2022-08-12 2024-01-09 비즈 주식회사 원자력 사고 대응을 위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131A (ko) * 2004-11-23 2006-05-26 (주)포미트 지능형 플랜트 정보시스템
KR20090000285A (ko) * 2007-02-15 2009-01-07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공정관리 시스템 및 공정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131A (ko) * 2004-11-23 2006-05-26 (주)포미트 지능형 플랜트 정보시스템
KR20090000285A (ko) * 2007-02-15 2009-01-07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공정관리 시스템 및 공정관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송태영. 원자력발전소에서의 리스크를 고려한 작업관리. 한국에너지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13년, pp31(2013.)* *
이상대 외 2인. 원자력발전소 1차기기냉각수계통에 대한 FEG 개발. 2012년, pp58-61(201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2978A (zh) * 2016-08-11 2016-10-12 塞壬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智能电厂管理系统
CN114661731A (zh) * 2020-12-22 2022-06-24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核电厂功能设备组数据自动更新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470B1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6128A1 (en) Edge Computing Platform
US10007513B2 (en) Edge intelligence platform, and internet of things sensor streams system
US10542086B2 (en) Dynamic flow control for stream processing
US96650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ule-based control system reliability
CN102663543A (zh) 一种用于企业数据统一平台的调度系统
US104666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data collection system and schedule for control system monitoring
KR101692470B1 (ko)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이행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CN103841100A (zh) 基于Android平板终端访问防汛预警云服务系统及构建方法
US109900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industrial alarms
CN108268355A (zh) 用于数据中心的监控系统及方法
Heilala et al. Ambient Intelligence based monitoring and energy efficiency optimisation system
CN108353086A (zh) 用于监测工业控制系统的部署确保检查
CN107301488B (zh) 生产物资供应链中断管理系统和生产的方法
CN117408561A (zh) 一种住宅工程建设监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5023100A (zh) 针对平台软件的数据库与中间件非指标量化管理平台
CN104778545A (zh) 基于移动设备的工作任务管理系统
KR20160087280A (ko) 스마트 워터 그리드 기반 통합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azorla et al. A three-stage analysis of IDS for critical infrastructures
US201501868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mi assets
US20220342685A1 (en) Component monitoring framework
US20150012481A1 (en) Unified Master Report Generator
CN114997574A (zh) 一种基于业务中台的配电台区弹性资源管理方法及装置
US100847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and contextual collaboration in a network
US117094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ata classification for use with data collection system and process control system
CN111105046A (zh) 风力发电机组的设备健康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