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068B1 - 원자력 사고 대응을 위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력 사고 대응을 위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068B1
KR102622068B1 KR1020220101050A KR20220101050A KR102622068B1 KR 102622068 B1 KR102622068 B1 KR 102622068B1 KR 1020220101050 A KR1020220101050 A KR 1020220101050A KR 20220101050 A KR20220101050 A KR 20220101050A KR 102622068 B1 KR102622068 B1 KR 10262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prevention
procedure
tree diagram
procedu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원
김승현
차민호
안경일
최윤수
이현창
Original Assignee
비즈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즈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론시스템 filed Critical 비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른 다수의 원자력 사고 관리절차정보 및 원자력 사고 이행절차정보를 포함하는 절차정보를 입력받아 각각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절차정보를 기초로 작성된 방재대책 수목도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절차정보 입력값을 기 저장된 절차정보와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자력 사고 대응을 위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Safety management procedure flow chart editing system for radiological emergency response}
본 발명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 사고 대응(대비 및 대처)을 위한 방재대책용 수목도를 편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 인근 지역의 경우, 원자력 사고 발생에 대비하고, 원자력 사고 발생시 적절한 대처를 위해 원자력 사고 대비 시나리오 및 사고 대응 시나리오가 존재하며, 이러한 시나리오는 원자력 사고와 관련된 법령 및 방재 절차를 반영하여 작성된 수목도(procedure flow chart)의 형태인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수목도는 다수의 세부절차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세부절차들 사이의 복잡한 연관관계 및 절차 진행 순서에 기초하여 작성된다. 다만, 관련 법령 또는 방재 절차 중 일부가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변경 내용을 반영하여 사고 대비 및 대응 시나리오를 보다 용이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목도 편집 시스템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의 수정 및 편집이 용이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은, 서로 다른 다수의 원자력 사고 관리절차정보 및 원자력 사고 이행절차정보를 포함하는 절차정보를 입력받아 각각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절차정보를 기초로 작성된 방재대책 수목도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절차정보 입력값을 기 저장된 절차정보와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하는 편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새로 입력된 상기 절차정보 입력값이, 상기 기 저장된 절차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절차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편집부는, 새로 입력된 상기 절차정보를 기초로 하여, 기 작성된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서로 다른 다수의 원자력 사고 관리 절차서 및 상기 원자력 사고 이행절차서 각각에 적용되는 법령 및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절차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이용하여 관리절차 및 이행절차를 수행하는 수행주체의 특성을 파악하고, 상기 편집부는 상기 수행주체의 특성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행주체의 특성정보는, 상기 수행주체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행주체는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기초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기 저장된 절차정보와 새로 입력된 상기 절차정보를 시계열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 저장된 방재대책 수목도, 수정된 방재대책 수목도 및 상기 기 저정된 방재대책 수목도와 상기 수정된 방재대책 수목도 비교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은, 원자력 사고 발생시 적용되는 법령 또는 방재 절차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부분에 대응되는 세부절차 항목이 새롭게 입력되는 것에 의해, 다른 세부절차들과 연관성, 진행 순서 및 세부절차 수행주체의 역할을 고려하여, 방재대책 수목도를 용이하게, 그리고 자동으로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방재대책 수목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방법에 포함된 편집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방재대책 수목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이하,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10)은 원자력 발전소 인근 지역 내의 사고 대응을 위한 관리 절차 및 사고 발생시 대응 절차를 포함하는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10)은 저장부(100)와, 판단부(200)와, 편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10)은 입력부(IP)와, 출력부(O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0)는 절차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절차정보는 원자력 사고 관리절차정보(이하, 관리절차정보) 및 원자력 사고 이행절차정보(이하, 이행절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00)는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입력 받고, 저장 가능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저장부(100)는 입력부(IP)를 통해 절차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IP)는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스마트폰, 테블릿 등과 같이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IP)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저장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관리절차정보는 원자력 사고 발생 가능 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방재 매뉴얼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절차정보는 방사능 방재 교육 매뉴얼, 방사능 방재 훈련 매뉴얼, 원자력 발전소 인근 지역의 부지 특성 및 방사능 방재 시설 정보, 방사능 방재 자원에 관한 정보, 유관기관과의 협조 체계 및 협조 방법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절자정보는 관리절차 하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절차 하위정보는 어느 하나의 관리절차 매뉴얼에 포함된 세부절차일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관리절차 매뉴얼은 다수의 세부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절차 매뉴얼은 전술한 세부절차들 각각의 수행주체(예컨대, 반장 및 반원)와, 각 세부절차들 사이의 진행 순서(흐름)에 기초하여 작성된 매뉴얼일 수 있다.
이행절차정보는 원자력 사고 발생 시, 재난상황 대처를 위한 대응절차 매뉴얼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행절차정보는 방재전담부서 및 초기대응 매뉴얼, 재난상황 관리 매뉴얼, 긴급통신 지원 매뉴얼, 긴급생활안정지원 매뉴얼, 시설피해 응급복구 매뉴얼, 에너지공급 피해시설 복구 매뉴얼, 재난관리자원 지원 매뉴얼, 교통대책 매뉴얼, 의료 및 방역 서비스 지원 매뉴얼, 재난현장 환경정비 매뉴얼, 자원봉사 지원 및 관리 매뉴얼, 사회질서유지 매뉴얼, 재난지역 수색, 구조, 구급 및 지원 매뉴얼, 재난수습 홍보 매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행절차정보는 중장기단계 주민보호조치 매뉴얼, 농축산물 및 자연생태계 관리 매뉴얼 등과 같은 원자력 사고 수습복구 매뉴얼 포함할 수 있다.
이행절자정보는 이행절차 하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행절차 하위정보는 어느 하나의 이행절차 매뉴얼에 포함된 세부절차일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이행절차 매뉴얼은 다수의 세부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행절차 매뉴얼은 전술한 세부절차들 각각의 수행주체(예컨대, 반장 및 반원)와, 각 세부절차들 사이의 진행 순서(흐름)에 기초하여 작성된 매뉴얼일 수 있다.
저장부(100)에는 방재대책 수목도가 저장될 수 있다. 방재대책 수목도는 상술한 관리절차 매뉴얼 또는 이행절차 매뉴얼을 구성하는 다수의 세부절차항목들의 연결 관계(전후 관계), 흐름, 순서를 나타내는 대응 시나리오(또는 대응 순서도)일 수 있다. 저장부(100)에는, 현재 법령 또는 방재 절차를 기준으로 작성된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가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저장부(100)에는 방재대책 수목도를 이용하여 관리절차 및/또는 이행절차를 수행하는 수행주체의 특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수행주체의 특성 정보는 수행주체의 종류, 또는 수행주체가 관할하는 지역이 원자력 발전소로부터 이격된 거리(이하, 이격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행주체의 종류에는,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기초지방자치단체(예컨대, 이재민 구호 지방자치단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재대책 수목도는, 수행 주체에 따라,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로부터의 이격 거리에 따라 세분화되어 작성될 뿐만 아니라, 원자력 사고 발생 시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른 시점에 따라 세분화되도록 작성될 수 있다.
저장부(100)는 입력된 절차정보 및 방재대책 수목도를 각각 DB(Data base)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00)는 관리절차정보, 이행절차정보 및 방재대책 수목도를 각각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00)는 관리절차 DB와, 이행절차 DB 및 수목도 DB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자력 사고 발생시 적용 법령 및 방재 절차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방재대책 수목도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10)의 사용자(또는 관리자)는 입력부(IP)를 통해 변경된 법령이나 방재 절차에 대응되는 절차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저장부(100)에 저장된 절차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판단부(200)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절차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00)는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10)의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절차정보 입력값이 입력된 경우, 절차정보 입력값과 기 저장된 절차정보를 비교하여, 절차정보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00)는, 새롭게 입력된 절차정보 입력값이 기 저장된 절자정보와 상이한 경우, 원자력 사고 관리절차 및/또는 이행절차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00)는 관리절차정보 및/또는 이행절차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하위정보 별로 절차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00)는 관리절차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관리절차 하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하위정보가 새로 입력된 경우, 관리절차 하위정보 입력값과, 이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관리절차 하위정보를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판단부(200)는 이행절차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이행절차 하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하위정보가 새로 입력된 경우, 이행절차 하위정보 입력값과, 이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이행절차 하위정보를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00)는 다수의 관리절차 하위정보 및 다수의 이행절차 하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편지부(300)는 해당 하위정보를 변경된 정보로 수정하여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할 수 있다.
편집부(300)는 판단부(200)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00)에서 원자력 사고 관리절차 및/또는 이행절차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편집부(300)는 기 작성된 방재대책 수목도에서, 변경된 절차정보를 반영하여 편집할 수 있다. 이때, 편집부(300)는 변경된 하위정보를 파악하고, 새로운 정보로 수정될 세부절차의 전후관계와 절차순서 및/또는 세부절차 수행주체 등과의 연관관계 고려하여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부(300)는, 관리절자 정보에 포함된 관리절차 하위정보 중 일부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관리절차 하위정보에 대응되는 관리절차 하위정보를 수정함으로써,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편집부(300)는, 이행절차 정보에 포함된 이행절차 하위정보 중 일부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이행절차 하위정보에 대응되는 이행절차 하위정보를 수정함으로써,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할 수 있다. 이때, 변경되는 하위정보의 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판단부(200)에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 모든 하위정보를, 이에 대응되는 변경된 하위정보로 수정함으로써,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편집부(300)는 관리절자 정보 및/또는 이행절차 정보 전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절차정보를 반영하여 방재대책 수목도를 새롭게 작성할 수도 있다.
또한, 편집부(300)는, 판단부(200)에 의해 파악된 '관리절차 및 이행절차 수행주체'의 특성을 기초로 하여,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부(300)는 파악된 '수행주체의 종류(예를 들어,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기초지방자치단체(이재민 구호 지방자치단체 포함), 반장과 반원)', '원자력 발전소로부터 이격거리' 또는 '원자력 사고 발생 후 경과한 시점'에 대응되는 방재대책 수목도(또는 방재대책 수목도에서 파악된 특성에 대응되는 부분)를 특정한 후, 변경된 절차정보 입력값이 적용되도록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판단부(200)와 편집부(300)는,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10)의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OP)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방재대책 수목도 및 그 편집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10)의 사용자(또는 관리자)는 출력부(OP)를 통해 방재대책 수목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재대책 수목도가 편집된 경우, 편집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전/후의 비교 정보 등을 출력부(OP)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방법에 포함된 편집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원자력 사고 대응용 수목도 편집 방법(S10)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이때, 저장부(100)에는 판단부(200)에 의한 변경 여부의 판단대상이 되는 기본 절차정보 및 편집부(300)에 의한 편집 대상이 되는 기본 방재대책 수목도가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우선, 저장부(100)는 절차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10). 입력부(IP)를 통해 새로운 절차정보가 입력되면(S111), 절차정보 입력값은 저장부(1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00)는 절차정보를 종류별로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S112).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00)는 다수의 관리절차정보 및 다수의 이행절차정보를 각각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 판단부(200)가, 절차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원자력 사고 발생시 적용되는 법령이나 방재 절차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됨에 따라, 변경된 절차정보가 저장부(100)에 저장되는 경우, 판단부(200)는 새로운 절차정보가 입력되면, 절차정보 입력값을 기 저장된 절차정보와 비교하여, 절차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1). 이때, 판단부(200)는 입력된 절차정보가 기 저장된 절차정보와 상이한 경우, 해당 절차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판단부(200)는 하나의 관리절차정보(관리절차 매뉴얼) 또는 이행절차정부(이행절차 매뉴얼)를 구성하는 다수의 세부절차 항목 중 변경된 항목을 파악할 수 있다(S122).
다음, 편집부(300)가, 판단부(200)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할 수 있다(S130). 편집부(300)는 판단부(200)에 의해 파악된 변경 항목에 대응되는 절차정보를, 새롭게 입력된 절차정보로 수정할 수 있다. 이때, 편집부(300)는 변경항목에 대응되는 세부절차 항목과, 다른 세부절차 항목들과 연관 관계, 절차의 진행순서를 고려하여,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할 수 있다.
이후, 편집된 방재대책 수목도는 저장부(1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편집된 방재대책 수목도는, 기존의 방재대책 수목도와 함께 시계열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부(OP)를 통해 편집된 최신 방재대책 수목도뿐만 아니라, 과거의 방재대책 수목도 역시 확인할 수 있으며, 양 수목도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10)은, 원자력 사고 발생시 적용되는 법령 또는 방재 절차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부분에 대응되는 세부절차 항목이 새롭게 입력되는 것에 의해, 다른 세부절차들과 연관성, 진행 순서 및 세부절차 수행주체의 역할을 고려하여, 방재대책 수목도를 용이하게, 그리고 자동으로 편집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100: 저장부
200: 판단부
300: 편집부
IP: 입력부
OP: 출력부

Claims (8)

  1. 서로 다른 다수의 원자력 사고 관리절차정보 및 원자력 사고 이행절차정보를 포함하는 절차정보를 입력받아 각각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절차정보를 기초로 작성된 방재대책 수목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절차정보 입력값을 기 저장된 절차정보와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하는 편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자력 사고 관리절차정보는, 원자력 사고 발생 가능 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방재 매뉴얼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원자력 사고 이행절차정보는, 원자력 사고 발생 시, 재난상황 대처를 위한 대응절차 매뉴얼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는 상기 관리절차 매뉴얼 또는 상기 이행절차 매뉴얼을 구성하는 다수의 세부절차 항목들의 연결관계, 흐름,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대응 시나리오이고,
    상기 편집부는, 변경된 상기 절차정보를 파악하고, 새로운 정보로 수정될 상기 세부절차의 전후관계, 절차순서, 상기 세부절차 수행주체와의 연관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편집하고,
    상기 편집부는, 상기 관리절차정보에 포함된 관리절차 하위정보 중 일부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기 관리절차 하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관리절차 하위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하고,
    상기 이행절차정보에 포함된 이행절차 하위정보 중 일부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기 이행절차 하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이행절차 하위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하고,
    상기 절차정보 전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절차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새롭게 작성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이용하여 관리절차 및 이행절차를 수행하는 수행주체의 특성을 파악하고,
    상기 편집부는 상기 수행주체의 특성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편집하고,
    상기 수행주체의 특성정보는, 상기 수행주체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는, 상기 수행주체, 상기 수행주체의 관할 지역이 원자력 발전소로부터 이격된 거리 및 원자력 사고 발생 시로부터 시간 흐름에 따른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세분화되어 작성되는,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새로 입력된 상기 절차정보 입력값이, 상기 기 저장된 절차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절차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편집부는, 새로 입력된 상기 절차정보를 기초로 하여, 기 작성된 상기 방재대책 수목도를 수정하는,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서로 다른 다수의 원자력 사고 관리절차정보 및 상기 원자력 사고 이행절차정보 각각에 적용되는 법령 및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절차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주체는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기초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하는,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기 저장된 절차정보와 새로 입력된 상기 절차정보를 시계열식으로 저장하는,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기 저장된 방재대책 수목도, 수정된 방재대책 수목도 및 상기 기 저장된 방재대책 수목도와 상기 수정된 방재대책 수목도 비교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사고 대응용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KR1020220101050A 2022-08-12 2022-08-12 원자력 사고 대응을 위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KR10262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050A KR102622068B1 (ko) 2022-08-12 2022-08-12 원자력 사고 대응을 위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050A KR102622068B1 (ko) 2022-08-12 2022-08-12 원자력 사고 대응을 위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068B1 true KR102622068B1 (ko) 2024-01-09

Family

ID=8953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050A KR102622068B1 (ko) 2022-08-12 2022-08-12 원자력 사고 대응을 위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0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971A (ko) * 2013-12-30 2015-07-08 한국원자력연구원 중대사고관리지침서의 전산화 시스템
KR101675733B1 (ko) * 2014-09-23 2016-11-14 전자부품연구원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KR101692470B1 (ko) * 2014-11-27 2017-01-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이행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971A (ko) * 2013-12-30 2015-07-08 한국원자력연구원 중대사고관리지침서의 전산화 시스템
KR101675733B1 (ko) * 2014-09-23 2016-11-14 전자부품연구원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KR101692470B1 (ko) * 2014-11-27 2017-01-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이행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Othman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isaster Management Metamodel (DMM)
WO2021136452A1 (zh) 应急预案模型生成方法、装置及设备
CN109460664A (zh) 风险分析方法、装置、电子设计及计算机可读介质
Wellington et al. Role of Internet of Things in disaster management
US109096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isk recommendation, mitigation and prediction
CN110704873B (zh) 一种防止敏感数据泄漏的方法及系统
US202101661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isk recommendation, mitigation and prediction
Gwynne et al. Modelling and influencing human behaviour in fire
CN107368975A (zh) 数据审核方法、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190114573A1 (en) Risk score calculations for facilitation of safety tailboarding
CN109446276A (zh) 基于关系数据模型的订单拦截方法、装置、设备及介质
Nicoll et al. Emergency Response &Business Continuity: The Next Generation in Planning
Hurst et al. A summary of the'ALARP’principle and associated thinking
Azmani et al. Challenges of communication system during emergency disaster response in Malaysia: A review
KR102622068B1 (ko) 원자력 사고 대응을 위한 방재대책 수목도 편집 시스템
McAllister Community resilience: The role of the built environment
Othman et al. Metamodelling approach to support disaster management knowledge sharing
CN116128696A (zh) 应急流程的检测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Baybutt Setting multinational risk tolerance criteria
CN115860495A (zh) 应急预案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100448019B1 (ko) 통신망을 통해 경보 변수 정보 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Mijović et al. Ontology enabl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mergency management at airports
KR102391612B1 (ko)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Tarigan et al. Operational risk analysis of network Operation Center Division pt. 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